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현생인류의 석기제작 복합인지체계 연구

        이헌종(Lee, Heonjong),장대훈(Jang, Daehoon) 한국상고사학회 2010 한국상고사학보 Vol.67 No.-

        정장리유적의 석기제작기술은 현생인류가 자신들의 유전적 반응을 구현하기 위해 복합적인 기술적 시도가 이루어진 인지체계의 산물로 볼 수 있다. 그들이 속한 환경, 즉 기후, 식생대와 같은 거시환경과 점거한 지점의 여건, 석재환경 등과 같은 미시환경에 의해 석기제작체계와 인지개념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거나 통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지체계 속에 기획되어 있는 다양한 기술적 경험들을 구현하는 데에는 미시환경에 의한 제한이 컸다. 이것은 마치 유전체의 촉수가 반응하기는 하지만 그 반응에 대한 총체적 인자들의 대응이 제한을 받았던 것과 유사하다. 정장리 현생인류는 그들의 인지체계 속에 축적된 행동 패턴을 표출하기 위해 석기들을 제작하였다. 그것은 기존의 격지석기를 제작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체계와 더불어 돌날석기문화와 연계되어 나타난다. 후기구석기 시대의 지표가 되는 석기군들은 제한된 범주에서만 나타나지 않고 몸돌, 돌날, 돌날격지, 몸돌석기, 격지석기, 돌날석기 등 전반적인 석기제작체계에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양상들은 정장리유적의 현생인류가 후기구석기시대 석기제작과정에 대한 풍부한 이해와 경험들을 이미 축적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복합적인 기술인지가 마치 유전자가 적응을 위해 유전체들을 반응시키듯 그들의 적응력을 기술체계에 적용함으로써 반응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The technique of making tools in the Jeomgjangri Site is ot be analyzed by the technical feature of tools to be examined now. Therefore, we could know that, at that time, the Paleolithic people made many efforts to realize this genetic reaction of their own but they are controlled by the situation, that is, a macro-environment and a micro-environment. A block of stone became the most positive control method. There was an environmental limitation in order realize various technical experiences to be planned within a cognitive system. It seemed like that the tentacles of organisms reacted but the correspondence of the whole factors was restricted. The environment of stone materials to be suitable to apply the existed traditional technique handled the realization of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 season and the restrictive livelihood natural resource when Jeongjangri Paleolithic people lived in the same made the environment of tool making recognition limited. This means that the site is just an unit to record a limited time and space and can't be an absolute index to explain a macro culture. Nevertheless, the Jeongjangri Paleolithic people made necessary tools to their behavior patterns to be related with the accumulated experience in their cognitive system. The cluster of tools to be an index of the Upper Paleolithic does not appear only in the restrictive category to be formed in the process of making stone tools, but appear in every filed like blade core, blades, and blade tools even through the number of the tools is not many. A series of aspect to be seen in the process of making tools shows that the Paleolithic people had already learned various experiences and techniques to the method of making tools, and, moreover, the complex recognition of stone tool making technique made their techniques reacted as a gene makes organisms reacted for an adaptation. The results of these complex cognitive systems seem like to be mixed by very complicated technique system, but actually have some technique branches. It is the result to react genetenetly. These act genetebranches are to appear in a multiple type with being interlocked with each other like a flexible organism. In other words, It is conversed to a making method for large-sized tools, a set of coys for making loyer tools, an enough understanding of the making method for stone blades, a making stone tools for a reproduction, and a technique for making a representative tool(the advent of the composite tool to be understood by tanged point.

      • KCI등재

        우리나라의 돌날과 세형돌날문화의 기원과 확산 연구

        이헌종(Heonjong Lee) 한국구석기학회 2015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1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돌날석기군이 확인된 곳은 수양개유적 Ⅵ지구 3문화층이다. 이 유적의 절대연대는 우리나라의 돌날문화가 4만년 전후에 시작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중소형 돌날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 면서 비체계화된 세형몸돌이 출토되는 이 유적은 알타이의 카라콜 유형과 비견된다. 우리나라 돌날문화 1기 (40~30ka)는 역시 10cm 미만의 중소형돌날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석기제작전통을 갖고 있다. 돌날문화 2기 (29~15ka)에는 체계화된 돌날제작기법들이 잘 나타나며 석기제작과정에서 나타나는 기술격지들도 함께 공반 한다. 이 시기에는 고례리와 같은 대형돌날떼기법과 40ka부터 지속되는 중소형돌날떼기법이 함께 공존한다. 이주의 산물인 이 돌날문화는 한반도 전역으로 확산되어 세형돌날문화기와 공존하여 15ka까지 이어진다. 아직 까지 우리나라에서 세형돌날문화가 돌날문화를 대체했다거나 혹은 돌날문화로부터 자발생적으로 세형돌날문 화로 기술적인 변화를 거쳤다는 증거는 없다. 시베리아와 극동지역에서 체계화된 양면박리체계를 기반한 세형 돌날문화는 아무르강의 셀렘자 후기구석기문화의 유적군(27-10ka)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 세형돌날문 화는 대체로 25ka에 시작된다. 다층위의 셀렘자유적군을 비롯해서 극동지역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후기구석기 최말기의 몸돌제작기법은 양면박리체계로부터 격지나 소형 자갈들을 활용해서 간단한 조정을 통해 세형몸돌을 조성하는 단계로 변화한다. 기술형태적 다양성도 확대되었다. 시베리아와 극동지역의 초원지대에 넓게 확산된 사냥도구는 양면박리체계를 기반한 잎형찌르개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주요 사냥도구로 세형돌날을 끼워 만든 결합식사냥도구와 함께 슴베찌르개가 널리 사용된다. 후기구석기 최말기에 접어들면서 잎형찌르개와 소형 화살촉 등 다양한 형태의 양면박리원칙의 사냥도구들이 폭넓게 나타난다. 이러한 기술형태적 특징은 제주도의 고산리유적과 같이 신석기 초창기의 석기문화로 이어진다. Suyanggae Loc. 6, 3 rd cultural layer is oldest blade industry in Korea. Absolute dating data of this site show that blade industry(BI) started around 40ka. The site showed unsystematic microblade technique with middle and small size blade is similar them of Karakol variant in Altai mountain region. BI stage 1(40~30ka) is representative stone tool making tradition based on the blade and bladelet less than 10 cm. BI stage 2(29~15ka) is representative systematic blade technique with various technical flakes. There are two different variants of technical features. First variant is large blade technique such as Koreri site and second variant is middle and small blade technique of other many sites. Blade tool industry as a result of migration widely distributed and coexisted with microblade industry until 15ka in Korea. We have no any evidence replaced from BI and technologically change by itself from BI, too. Microblade industry(MI), based on the systematic bifacial flaking system in Siberia and Far East identified at the Selemdja Upper Paleolithic complex(27ka-10ka) in Amur river basin. Korean MI was started from 25ka. Shaping technique of Microblade core changed from bifacial tecnique to simple flaking technique using flake and small pebble in Far Eastern region in the end of UP. Techno-typological diversity also was expended. Hunting tool widely spreaded in steppe region of Siberia and Far Eastern area is leaf shaped point based on the bifacial technique. However tanged point was widely used with composite tool in Korea. Former type bifacial technique was used in the end of UP in Korea, such as leaf shape point and small arrow head based on the bifacial technique. This techno-typological characteristics persisted the first period of Neolithic, Gosanri site in Jeju island.

      • KCI등재

        고고문화유산을 통한 컬포츠 활용 및 지역문화인재양성 시론

        이헌종(Lee, Heonjong),김선영(Kim, Sunyoung),문경오(Moon, KyungO) 역사문화학회 2016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9 No.2

        이 논문은 고고문화유산을 고고학 대중화를 위해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를 검토하고, 기존의 축제형의 선사체험프로그램(PEP)의 단점을 보완하고 지역문화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컬포츠를 활용한 문화인재양성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해양-갯벌-육상의 복합 생태계로 구성되어 있는 생태계의 보고인 이 신안다도해생물권보전지역은 고고학기반의 컬포츠를 적용하기에 적지이다. 섬과 갯벌의 우수한 지질다양성은 수많은 생물들에게 서식지를 제공하였고, 생물다양성이 풍부해졌다. 이러한 생물자원을 기반으로 구석기시대로부터 역사시대에 이르기까지 인간 정주의 문화다양성은 인류의 적소(niche)로서 풍부한 고고학문화 유산을 남겼다. 섬이 갖고 있는 수려한 경관과 자원, 이에 적응하며 남겨 놓은 문화의 특성을 보다 전문화된 교육을 통해 역사와 문화 및 지역민의 삶을 담은 토착지식을 보전하고 다음세대에 물려줄 자산으로 기록하고 남겨두어야 한다. 고고학기반의 컬포츠로는 크게 1) 사냥유형 2) 어로유형 3) 주거생활유형 등 세 가지 유형을 들 수 있다. 이 각 유형은 고고학의 연령별 수준별 콘텐츠를 만들 수 있으며 스포츠의 여러 요소와 결합할 수 있다. 기존의 PEP의 목적이 선사시대의 주제를 가지고 체험을 통한 놀이와 학습의 조화였다면 컬포츠는 문화인재양성교육과 문화유산 지속가능성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 컬포츠는 그런 의미에서 단순히 선사시대의 문화를 이해하는 차원을 넘어 다차원의 학문 분야와 연계된 수많은 유형으로 융복합하여 개발될 것이며, 개발된 유형들은 점차 스포츠의 기능을 포함한 엄밀성을 갖추게 될 것이다. 특히 스포츠의 여러 요소가 있겠지만 규칙을 통해 교육의 틀을 제공함과 동시에 경쟁을 통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과 다양한 융복합과정을 통해 인문학의 통시성을 추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단순한 선사체험 프로그램에서 다룰 수 없었던 합리성과 체계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풍부한 고고학 유적과 지속가능성을 포괄한 담론을 갖고 있는 컬포츠 적용의 최적지인 신안다도해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SDBR)에는 인류가 지역의 경관과 자원을 활용하여 살아왔던 모든 과정을 잘 내포하고 있다. 이 고고학 자원을 연령별 또는 수준별로 컬포츠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이 지역에 특화된 학교 정규교육 또는 방과후 교육으로 정착할 수 있다면 보다 체계적인 문화인재를 양성하여 도서지역의 문화의 지속가능성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