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쥐 배아발달에 미치는 인슐린의 효과

        이헌영,배석년,김장흡,이진우,유영옥,임용택,안웅식,김진흥 대한산부인과학회 199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6 No.7

        표유동물의 신진대사와 세포성장, 증식 및 분화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인슐린의 착상전 배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위해, 시헌관내에서 생쥐 수정란을 포배시기까지 일정한 배양액 즉 인슐린과 2-cell 배아 발육정지 현상을 일으키는 hypoxanthine 그리고 EDTA를 각각 혹은 혼합투여한 배양액에서 배양하였다. 배아난할 및 배아발달을 비교 관찰하였고, 포배발달에 필요한 인슐린의 EC50을 알아보았으며, 아울러 면역세포화확적 방법으로 인슈린 수용체을 확인하여 이를 통해 작용하는 인슐린의 단백질 합성과의 관계를 배아발달 시기별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EBSS 배양액에서 생쥐 수정란의 1차 난할율은 첨가제와 관계없이 약 90%였으나 이후 상실배 및 포배발달은 대조군에서는 40.6%와 23.6%였고, hypoxanthine 투여군에서는 10%이하로 차단된 반 면(P$lt;0.001), 인슐린과 EDTA투여군에서는 80%와 60%이상의 높은 배아발달을 보였다(P$lt;0.001) 2. 인슐린을 각 실험군에 첨가했을때 EDTA의 포배발달율을 20% 더 촉진시켰으며(p$lt;0.01), hypoxanthine의 2-cell 배아 발육정지 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켰다(p$lt;0.001). 3. 시험관내에서 2-cell 배아로부터 포배발달을 유도할 수 있는 인슐린의 EC50는 13.1nM이었다. 4. 면역세포화학적 염색법으로 포배에서 인슐린수용체을 발현시켰다. 5. 인슐린 투여군 및 대조군 모두에서 배아발달에 따라 단백질 합성을 증가시켰지만 인슐린 투여군 이 대조군에 비해 8-cell시기에 13%(P$lt;0.05), 상실배에서 64%(P$lt;0.05), 포배에서 99%(P$lt;0.01)더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6. 인슈린 항체투여는 배아 단백질 합성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인슐린의 촉진작용을 상실배와 포배 시기게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P$lt;0.05 와 P$lt;0.01). 이상과 같은 실험결과로 볼 때 인슐린은 착상전 생쥐 배아에서 배형성 및 발달에 중요한 성장인자로써 작용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위 논문은 가톨릭 중앙의료원 학술연구 조성비로 이우러짐. Although insulin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fetal growth factor, interaction with embryonic cells during the early development stages prior to the appearance of a functional pancreas has not been definde. But there is evidence that insulin binding to the cells of the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 can be detected first at the morula stage, while autoradiographic studies have confirmed that insulin binding is receptor mediated. Other sutides have provided evidence that insulin is capable of stimulating glucose transport and protein synthesis in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sulin on development of mouse preimplantation embryos, we performed the culture of mouse embryos from 1-cell zygote to blastocyst in modified Earle`s blanced salf solution(mEBSS), A chemically defined simple medium, supplemented with porcine insulin,hypoxanthine and/or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EDTA), and the embryo development was scored at 24hours(2-cell) and 96hours(morula,blastocyst)of culture. We also measured EC for blastocyst development form 2-cell enbryos inmEBSS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insulin, And the mouse embryos were stained to express the insulin receptor by immunohistochemical nethod usingan anti-insulin receptor immunoglobulinG.In addition to the immunohistochemical studies for localization of insulim receptor,experiments were undertaken to evaluate whether of not insulin exerts a stimulation of protein synthesis at early stages of mammalian enbryo gene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irst cleavage rate of embryos derived from random-bred female mice was appoximately 90% in all experimental groups. In addition, although 40.6%and23.6% of 2-cell embryos developed to morula and blastocyst stage, respectively,in the control group, fewer than10% developed beyond 2-cell stage the hypoxanthine-supplemented medium(p$lt;0.001)but significantly more embryos developed to morula($gt;80%)and blastocysts($gt;60%)in the presence of insulin of EDTA (p$lt;0.001). 2. Insulin caused an increase of 20% in blastocyst development in the presence of EDTA(p$lt;0.01)and dffectively reversed the $quot;2-cell block$quot; by hypoxanthine(p$lt;0.001). 3. The EC of insulin for induction of blastocyst development form 2-cell embryos was 13.1nM in the presence of0.45 bovine serum albumin. 4. Insulin receptor was express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sing an antiinsulin receptor immunoglobulin G at the blastocyst stage of mouse embryos. 5. Culture with insulin for 4hour caused an increase of13% in protein synthesis by 8-cell embroy(p$gt;0.05), 64% by morula(p$lt;0.05), and 99% by blastocyst(p$lt;0.01) respectively compared with control. 6. Addition of anti-insulin antibody to control had no effect on protein synthesis but it completely blocked the effect of insulin in both-supplemented medium at the mourla and blastocyst stage(P$lt;0.05 and P$lt;0.01,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 that insulin may play a role as an important growth factor in embryogenesis early development of mouse preimplantation embryos by the insulin-receptor mediated interaction.

      • KCI등재

        수도권 임금 근로자의 성별 임금격차 : 직종 숙련특성에 따른 직종 간 임금격차와 직종 내성별 임금격차

        이헌영,최예술,김민영,임업 한국지역학회 2014 지역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수도권 임금 근로자를 대상으로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하여 임금의 직종 간 차이 및 직종 내 성별 임금격차를 통합적으로 분석한다. 그 동안 성별 임금격차를 다뤘던 다수의 선행연구들은 개인과 직종 변수들을 다루는 데 있어 단일 수준에서의 모형을 구축하는 데 그쳤다면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여 두 층위의 변수를 동시에 다룰 수 있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하였다. 또한 한국직업사전에서 제공하는 직종 숙련 정보를 요인분석을 통해 신체적 숙련, 인지적 숙련, 조작적 숙련, 소통적 숙련으로 구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개인수준의 변수의 효과의 경우 기존 연구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종수준에서는 신체적 숙련 및 조작적 숙련 수준이 높을수록 직종의 임금 수준이 낮은 반면, 인지적 숙련 및 소통적 숙련 수준이 높을수록 임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종 내부의 성별 임금격차는 조작적 숙련과 소통적 숙련 수준이 높은 직종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causes and structures of gender wage gaps focusing on wage workers in metropolitan areas us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 Previous studies have conducted their research on gender wage gaps only at one level, such as at the individual level or at the occupational level, and they have limit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kills at the occupational level. Thus, we extracted the four main factors which best represent occupation-specific skills by using factor analysis to expand the concept of skills. The extracted four main factors are physical skills, cognitive skills, operational skills, and communicative skills. Our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individuals, who are involved in the occupation which cognitive skills or communicative skills are high, are more likely to guarantee higher wages. The results of physical skills and operational skills revealed the opposite results of cognitive skills and communicative skills. Our findings also indicate that gender wage gaps tend to decrease within occupations whose operational skills or communicative skills are high.

      • 간경화증 환자에 병발된 Cryptococcal meningitis의 1례

        이헌영,김선영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82 충남의대잡지 Vol.9 No.1

        The most common fungal etiology of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 is C. Neoformans and above a half of whole cases are complicated in immunosuppressive disease. A case of cryptococcal meningitis, complicated in liver cirrhosis, was presented with review of references. The chief complaint was drowsy mental state and physical findings were severe general weakness, blindness of left eye, deafness of left ear, decreased liver dullness, neck stiffness, positive Kernig sign and right Babinski sign, urinary incontinence and decreased calculation power. Diagnostic work up was performed under the impression of liver cirrhosis accompanied by meningitis. C. S. F. smear and culture for cryptococcus revealed as positive. After administration of garlic oil and amphotericin-B, illness was recovered progressively exception of deafness, blindness and mild degree of walking disturbance.

      • KCI등재

        원인불명 불임 여성혈청의 항정자항체검출에 있어 응집 , 부동화반응검사 및 Immunobead 검사의 비교

        이헌영,김장흡,김창이,김진홍,유영옥,임용택,정기욱,권동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

        저자들은 순환 항정자항체검출에 최근 가장 용이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는 immunobead를 이용한 검사법과 지금까지 널리 이용되어온 정자 부동화법, 정자응집반응검사를 이용하여 여성측 기본 불임검사에서 이상이 없는 것으로 밝혀진 89명의 원인불명 불임부인의 혈청에서 항정자항체의 검출을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89명의 원인불명 불임 여성중 18명(20.2%)에서 IBT양성을 보였으며, 71명(79.8%)에서는 IBT음성을 보였다. 그리고 18명의 IBT양성중 13명(72.2%)이 SIT양성율, 7명(38.9%)이 F-D양성반응을 보였으며, 71명의 IBT음성부인 중 2명(2.9%)이 SIT양성율, 13명(18.3%)이 F-D양성을 보여, IBT와 SIT사이에는 항정자항체 검출율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게를 보였으며(P0.05). 2. 모든 항정자 항체검사에서 양성을 보인 불임환자에서 대부분의 면역글로부린의 isotype은 IgG, IgA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3. 양성 IBT를 보이는 불임여성의 혈청에서 정자세포에 항정자항체의 부착의 부위는 면역글로부린 IgG의 64.3%가 정자 부두에 부착되고, IgA의 72.7%가 정자 미부에 부착되었으며, IgM을 75%가 정자 미단부에 부착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보아 원인불명 불임여성의 항정자항체의 대부분이 면역글로부린 IgG, IgA로 구성되어 있으며, IgG는 정자 두부, IgA는 정자 미부에 대부분이 부착되어 있음을 알았으며, 또한 불임여성 혈청에서의 항정자항체 검출에 SIT에 IBT의 대용으로 이용될 수 있음이 밝혀져 항정자항체의 선별검사에 방법이 간편하고, 경제적인 SIT방법이 불임여성의 혈청에서 항정자항체검출에 많은 이용이 기대된다. There are weveral methods of detecting antisperm antibodies in serum including method of sperm agglutination (Franklin-Duke test; F-D test), sperm immobilization (SIT), antiglobulin uptake, and immunofluorescences.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directed to the immunobead binding test (IBT). It allows us to determine the degree of binding and even to locate antibody binding site on the sperm itself. This test detect sperm-bound antibodies by using polyacrylamide bead which is coated with rabbit anti-human IgG, IgA, IgM respective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new IBT methodology with the classical tests, SIT and F-D test. Sera from 89 unexplained infertile women were assayed for antisperm antibodies using the IBT, SIT and F-D test simultaneously. Also, we tried to determine the immunoglobulin isotype of antisperm antibodies and its binding site on sper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mong 89 infertile women, IBT-positive was found in 18 cases (20.2%) and IBT-negative was 71 cases(79.8%), and 15 cases (16.9%) were positive for SIT, compared to 20 cases (22.5%) for F-D test. Of the 18 IBT positive, 13 cases (72.2%) were positive for SIT and 7 cases(38.9%) were F-D positive. In the 71 IBT negative group, however, it is found that the SIT positive was 2.9% (2 out of 71), and F-D positive was 18.3% (13 out of 71) respectively. The correlations between IBT and S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lt;0.001) in the detection rate of sperm antibodies, while those between IBT and F-D test showed no such statistical significance (p$gt;0.05) (Table 1,2). 2. The immunoglobulin of 18 IBT-positive sera was found to be IgG in 14 cases (77.7 %), IgA in 11 cases (61.1%), and IgM in 4 cases (22.2%). The 13 cases was positive for both IBT and SIT. Among them, IgG was detected in 10 cases (76.9%), IgA in 8 case (61.5%), and IgM in 3 case(23%). Likewise, 7 cases showed positive in both IBT and F-D test. In this group 5, cases (71.4%) have IgG, 4 cases (57.1%) have IgA, 2 cases (28.6%) have IgM respectively (Table 3,4). 3. In IBT positive infertile women, the binding site of antisperm antibodies was directed to the head in 63.0% of IgG, tail in 62.5 of IgA, and tail tip in 90% of IgM respectively (Table 3,4).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e noted between the SIT and IBT finally made it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SIT can replace IBT as a antisperm antibody detection method in a clinical setting. Most of antisperm antibodies in sera of unexplained infertile women, another our major concern, consists of IgG and IgA which located in the sperm head and at the tail respectively.

      • 만성 간질환에 대한 DDB(Biphenyl Dimethyl Dicaboxylate)의 임상적 효과

        이헌영,임의혁,김성걸,김진희,육은주,성자원,김병호,정형용,강대영,김영건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4 충남의대잡지 Vol.21 No.2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ort-term administration of DDB(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for decreasing elevated serum aminotransferase levels in chronic liver diseases, authors applied 3 capsules of DDB per day at each meal time for 35 patients and compared with 35 patients treated with other conservative manage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47.1± 180.0 IU/L of pretreatment level to 96.6±126.0 IU/L, 61.1±62.7 IU/L and 38.0±26.8 IU/L after 1, 3 and 6 months of treatment(p<0.05) and effective rates were observed in 60.0%, 71.4% and 88.6% of patients after 1, 3 and 6 months of treatment. 2.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levels decreased also significantly from 167.8±96.9 IU/L of pretreatment levels to 124.4±155.0 IU/L, 77.9±49.6 IU/L, 60.6± 46.9 IU/L after 1, 3 and 6 months of treatment(p<0.05), but decreasing pattern of serum AST was less significant than that of serum ALT. 3.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observed in the serum ALT and AST changes according to the cause and duration of hepatitis. 4. No significant adverse effects were observed in whole patients treated with DDB. It is suggested that small dose administration of DDB is effective for decreasing serum aminotrans ferase levels in chronic liver disease in which other conservative management was not effective.

      • KCI등재

        자궁외임신 4,053 예의 임상통계 및 역학적 고찰

        이헌영,이진우,김진홍,유영옥,나덕진,권동진,노성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4

        자궁외임신은 1970년대 이후 이환율 및 사망율이 급격한 감소를 보이는 반면, 발생빈도는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1979년 1월 1일부터 1991년 12월 31일까지 개복수술 및 복강경검사에 의해 자궁외임신으로 진단된 4,053예를 대상으로 임상통계학적인 비교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생빈도 같은기간중 분만수에 대한 자궁외임신의 빈도는 1;35.2였으며 1,000분만당 빈도는 28.4였다. 또한 1979년부터 1991년 사이에 자궁외임신은 1.8배 증가하였고, 1,000분만당 자궁외임신의 빈도는 2.9배로 증가하였다. 2. 연령분포 연령분포는 16-49세였으며 평균연령은 30.5세였다. 가장 많은 연령층은 25-29세로써 34.6%를 차지하였으며, 1979년부터 1991년 사이에 가장 많은 연령층의 분포는 25-39세로써 년도별 변화는 볼 수 없었으나 15-19세의 연령층은 2.7배의 증가를 보였다. 3. 착상부위에 따른 연령분포 착상부위에 따른 평균연령은 자궁경부 임신의 경우 33.7세로 가장 높았으며, 난소임신, 복강내임신 및 광인대 임신의 경우 연령이 다른 부위에 비해 젊었다. 4. 임신 및 유산횟수 임신횟수의 분포는 0-9회였으며 평균임신횟수는 1.44회였으며 미산부의 분포는 28.4%였고, 임신횟수가 2회인 경우가 32.2%로써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유산횟수의 분포는 0-7회였으며 평균 유산횟수는 1.83회였다. 유산경험이 없는 경우는 25.3%였으며, 유산횟수가 1회인 경우가 26.8%로써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5. 착상부위에 따른 유산횟수의 분포 유산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 착상부위에서 빈도가 증가하였는데 특히 자궁경부 임신의 경우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복강내 임신의 경우에는 반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6. 기왕력의 분포 기왕력의 분포중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 경우는 PID 27.5%, 복강경에 의한 난관불임술 17.4% 및 과거개복술 8.4%의 순서였으며, 불임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의 평균 불임기간은 66.0개월(분포: 17-97개월)이었다. 그리고 자궁외임신의 빈도와 복강경에 의한 난관불임술 및 자궁내 피임장치 사용의 기간은 복강경에 의한 난관불임술의 경우에는 기간에 따라 일정하게 자궁외임신의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자궁내 피임장치의 경우에는 사용초기인 2년이내에 69.4%의 자궁외임신의 빈도를 보였으며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7. 착상부위에 따른 기왕력의 분포 난관임신의 경우 전체 자궁외임신의 경우와 유사한 분포를 보였으나 난소임신의 경우 IUD, 자궁경부 임신의 경우 과거개복술 및 복강내 임신의 경우 PID와 과거 개복술이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 8. 주요증상 및 검사소견 주요증상인 하복부 동통, 질출혈 및 무월경은 88.4%, 72.5% 및 81.4%를 보였다. 또한 초진시 혈색소값은 10 mg%이하가 33.2%였고 적혈구 용적치는 30%이하가 35.7%였다. 9. 임신주수 임신주수의 분포는 4-12주였다. 평균임신주수는 7.2주였는데 난관임신은 7.2주, 난소임신은 7.3주, 자궁경부 임신은 8.7주, 복강내 임신은 12.5주 및 광인대임신은 14.2주였다. 가장 많은 임신주수는 6주로써 24.7%를 차지하였다. 10 착상부위 및 난관파열 착상부위는 난관임신, 난소임신, 자궁경부임신, 복강내 임신 및 광인대 임신의 순서였으며, 난관임신중 팽대부가 가장 많았고 난관파열은 54.3%였다. 난관파열형의 각 부위별 파열빈도는 자궁각, 협부, 체부 및 팽대부의 순서였으며 자궁각 및 협부의 파열빈도는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각 임신주수별 파열의 빈도는 임신주수가 경과함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9주이후에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11. 진단의 양성율 진단의 양성율은 혈청 b-hCG검사, 다글라스와천자, 복강경검사, USG 및 U-hCG 검사의 순서였으며, 혈청 b-hCG검, 다글라스와천자 및 복강경검사의 양성율은 유의하게 높았고, 혈청 b-hCG검사가 가장 높은 양성율을 보였다. 12. 자궁내막의 병리조직학적 소견 및 임신주수에 따른 변화 자궁내막의 병리조직학적 분포는 탈락막 변화, 증식기 변화, 분비기변화 및 Arias-stella 반응의 순서였다. 또한 임신주수에 따른 자궁내막의 변화는 탈락막변화와 분비기 변화는 임신주수가 진행됨에 다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증식기 변화와 Arias-stella반응은 임신 8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13. EBL EBL은 1,000 ml미만이 58.3%로 가장 많았다. 14. 치료방법 및 시대적 변화 치료방법은 난관절제술 및 부속기절제술이 81.9%였다. 수술방법의 시대적 변화를 보면 전통적인 방법들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아직도 높은 분포였으며, 보존적인 방법은 증가양상을 보였다. The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is apparent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and making a quick and accurate diagnosis of ectopic pregnancy is desirable but often difficult. This study was undertaken on 4,053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or laparoscopically proven diagnoses of ectopic pregnancies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from Jan.1, 1979 to Dec.31, 1991.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was 1 in 35.2 deliveries. 2. The most frequent age group was in 25-29 years of ages. 3. The patient of ovarian pregnancy, abdominal pregnancy and intraligamentary pregnancy tends to be younger than those of tubal pregnancy and cervical pregnancy. 4. 28.4% of patients was nullipara and 25.3% of total had not experienced artificial abortion. 5. 100.0% of cervical pregnancy had a history of previous elective abortiun and the relation between elective abortion and subsequent cervical pregnancy seems. 6. A previous history of pelvic inflammatory disease was in 27.5% and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was in 17.4%. 7. 18.0% of ovarian pregnancy occur in women with intrauterine device in situ. 8. On symptomatological analysis, lower abdominal pain was encountered in 88.4%, vaginal spotting and amenorrhea in 72.5% and 81.4% respectively. 9. The most frequent interval between last menstrual period and the onset of symptoms was 6 weeks in 24.7%. 10. Ectopic gestation was implanted on tubal pregnancy in 97.8%, ovarian pregnancy in 1.5%, cervical pregnancy in 0.4%, abdominal pregnancy in 0.2^ and intraligmentary pregnancy in 0.1%, respectively. 11. In the dignostic positive rate, culdcentesis was in 97.6%, urine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test in 71.9%, ultrasonogram in 87.6%, laparoscopy in 96.5% and serum b-human chorionic test in99.3%. 12. The histopathology of endometrium showed decidual reaction (40.2%), proliferative phase (28.7%), secretory phase (21.3%) and Arias-stella reaction (9.8%).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gestational weeks and endometrial patterns (decidual reaction and secretory phase). 13. 97.2% of ectopic pregnancies was treated with traditional procedures and 2.8% of ectopic pregnancies was treated with conservative procedures. In addition, although salpingectomy remained the operative method used most frequently, use of other tranditional methods decreased over the study period and use of conservative methods increased steadily.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early diagnosis of ectopic pregnancy was very important and the conservative procedures could be successful in selected cases of ectopic pregnancy for further fert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