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교육의 질적 연구에 대한 대학원생들의 인식 변화

        채동현 ( Dong Hyun Chae ),이항로 ( Hang Ro Lee ),최영완 ( Young Owan Choi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1 초등과학교육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change in 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before and after they take a class on qualitative research. The class on qualitative research was held by the researcher in the winter semester of 2009. The subjects are nine graduate students (two male and eight female) and all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 open-ended questionnaire with 5 items was used. The responses were interpreted,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several main concep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some students perceived qualitative research as the counterpart for quantitative research, some perceived that qualitative research supplements quantitative research, while the rest of them had no concept of either before they took the class. Second, they all agreed that qualitative research is necessary in gifted education after they took the clas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what is happening in classrooms, in terms of gifted education, a well organized curriculum for gifted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conducted in graduate schools.

      • KCI등재

        고등학생의 프로토콜 분석을 통한 과학 탐구능력과 개념 중심의 탐구능력 대범주별 과학 문제 해결 특성

        이항로 한국과학교육학회 199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19 No.3

        자료의 해석과 분석 능력의 범주에 속하는 과학 탐구 문제의 학습에는 관련 탐구능력 보다 과학 개념을, 탐구의 설계 및 수행 능력의 범주에 속하는 과학 탐구 문제의 학습에는 관련 탐구능력과 과학 개념을 강조하는 학습법의 적용이 유효할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 탐구 문제를 해결해 가는 사고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면 현재와 같이 성공자에게는 1점, 실패자에게는 0점을 부여하는 이분법적(dichotomous)인 평가 방법으로는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이 동일한데도 불구하고 성공자와 실패자를 완전하게 별별하고 있지 못해 과학 교육 활동의 전반적인 정치(replacement) 활동에 문제가 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와 같이 과학 탐구 문제 해결 사고 과정 분석에 의한 제 1유형에는 1점, 제 2유형에는 0.8점, 제 3유형에는 0.6점, 제 4유형에는 0.4점, 제 5유형에는 0.2점, 제 6형에는 0점을 부여하는 대안적 다단계 평가 방법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inquiry problem solving were analyzed in the interactions betwee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 concepts by each related its category. Nine types of problem solving, which were based on two elements and the thinking aloud were found largely by protocol analysis, but six types when integrated similar thinking processes. There were quite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ve types between students who succeeded and failed when science inquiry items were solved in the abilities of recognizing problems and generating hypotheses or those of drawing conclusions and evaluating. But there were not complete differences in those types between students who succeeded and failed when they were solved in the abilities of designing and performing experiments or those of interpreting and analyzing data. The data were divided into independent variables: D₁, D₂, D₃, D₄, D and C₁, C₂, C₃, C₄, C and dependant variables; E₁, E₂, E₃, E₄, E. The former consisted of the content-free science process skill achievement levels by each category of science inquiry skill and the science concept achievement levels, the latter the science inquiry problem achievement levels by each category of science inquiry skill. The regression equations were acquired within the 0.05 significant level by regression analysis : E₁ = 0.03 + 0.16D₁ + 0.29C₁, E₂ = -0.203 + 0.21D₂ + 0.45C₂, E₃ = -0.32 + 0.13D₃ + 0.47C₃, E₄ = 0.61 + 0.09D₄ + 0.29C₄, E = -1.41 + 0.13D + 0.47C(E : the achievement of science problems, D : the achiev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C : the achievement of science concepts).

      • KCI등재

        수행평가와 선다형 지필평가에 의한 변인확인 능력 평가의 차이

        이항로 한국과학교육학회 199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능력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들 중에서 변인확인 능력을 측정하는 평가 문항의 유형에 따른 차이와 최근에 한층 더 강조되고 있는 수행평가 방법중의 하나인 면접법을 통한 변인확인능력 평가 결과간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제시한 바와 같이 선다형 지필 평가 문항 유형별 변인확인 능력은 대체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선다형에 의한 변인확인능력 평가 결과와 수행평가 방법에 의한 평가 결과는 매우 낮은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독립변인 확인 능력과 종속변인 확인 능력은 거의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능력 중 어느 한쪽의 인지 여부가 다른 한쪽의 인지 여부를 결정해 주지는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과학교육 활동에서 이 두 능력을 동시에 강조하는 과학과 교수 학습 전략의 적용이 필요함을 함의한다. 또한 선다형에 의한 평가 결과와 수행평가에 의한 평가 결과가 상이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선다형만을 이용한 과학 탐구능력 평가와 그에 관련된 연구보다는 수행평가 방법과 같은 과정 평가를 이용한 정성적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평가의 결과와 연구 결과의 해석에 대한 타당성을 한층 높여줄 것으로 해석된다. Since 1960' s, aims of science education have changed from attainment of scientific concepts, principles and laws to improvement of science process(or inquiry) skills. According to the science education philosophy like this, our nation has adopted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science process(or inquiry) skills in scienc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high school students on 4 types of multiple choice items used to access students ability to identify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Stimulus materials were either a ques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a hypothesis, a description of an experiment, or a description of results of an experiment. Student performance on these item types was compared to this performance on a standard Piagetian interview task of variable ident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cluded : (1) the "hypothesis" type was the most difficult, while the "question" type appeared to be the easiest ; (2) the "procedure" item type had a higher correlation with the total interview than any other item type. Among conclusions reached in this study was that although all four item types operated similarly, they did not correlate very highly with the performance assessment by interview.

      • 과학교육학 목표에 관한 연구

        우종옥,이항로,이경훈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4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goals of Science Pedagogy as a subject curriculum. This study is served as the criterion for syllabus of teacher's university which instruct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perform this study, by a premise of Science Pedagogy, the domains and the categories of science educational goals ware pursued by review of literature. In this study, the sources to establish science educational goals are national educational ideology, nature of science, interests and cognitive levels of children, and social demands. According to these sources, the domains of science educational goals are as follows: 1.cognitive domain 2.inquiry process domain 3.manual skills domain 4.creativity domain 5.science attitude domain 6.S-T-S domain These six domains are essential to school science educational achievement. Therefore, these domains are surely reflected in the course of science preservice teacher's training. On the base of these domains of science educational goals, 1 general goal and 10 specific objectives of Science Pedagogy are proposed.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과학 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 도구 개발

        송경혜,이항로,임청환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6

        본 연구에서는 평가도구의 구비조건을 갖춘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과학탐구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과학탐구 능력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평가도구를 구성하는 문항은 R&D 방법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2차례에 걸친 과학교육 전문가의 점검과 2번의 현장 검증을 통해 문항을 수정ㆍ보완하였다. 각 평가 문항은 교과 내용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해결할 수 있는 범교과적인 문항으로 제작하여 과학탐구능력의 하위 요소들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SAPA 교육과정과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과학탐구과정 요소를 근간으로 관찰, 분류, 측정, 예상, 추리, 문제인식, 변인통제, 자료해석, 결론도출, 실험설계의 10가지 하위 요소들을 선정하고 각 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평가 목표를 설정하였다. 물질과 에너지, 생명과 환경, 지구와 순환의 3가지 내용 영역의 소재를 중심으로 총 30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을 과학교육 전문가에게 2회 의뢰하여 타당도, 객관도, 문항의 명료성을 점검 받았으며 2번의 현장 검증을 통해 신뢰도, 변별도, 난이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타당도 91.6%, 신뢰도 지수 Cronbach α값 0.79, 객관도 93.3%, 변별도 지수 0.30, 난이도 지수 66.1%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값들은 평가도구가 갖추어야 할 구비조건의 허용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탐구능력 평가도구는 양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탐구능력 평가도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성취 수준의 진단,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자료 및 과학과 교수ㆍ학습 방법의 과학탐구능력 반영 수준을 평가하는 도구로도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evaluating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 fifth and sixth graders. The instrument is developed through R&D procedure, which includes two checks of science specialist and two field trials of the instrument. Evaluating items are content-free for each science inquiry skill. Each science inquiry element is based on SAPA and the 7th curriculum. This study has selected 10 science inquiry skills(observing, classifying, measuring, predicting, inferring, recognizing of a problem, controlling variables, interpreting data, drawing a conclusion, designing an experiment), formulated a clear definition of the elements of science inquiry skills, and established the objectives of evaluation. The content area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material and energy, life and environment, and the earth and circulation. Each category contains 10 items. So the instrument consists of 30 items. The content validity of items, objectivity of the scoring keys, and clarity of the items has been checked twice by specialists in science education. At the same time, two field trials were performed to produce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discrimination index, and item difficulty index. The instrument has the content validity is 91.6%, reliability 0.79, objectivity 93.3%, discrimination index 0.30, and item difficulty index 66.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