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정부 형태가 재무정보공개에 미치는 영향분석: 미국지방정부 사례를 중심으로

        이학연 ( Hakyeon Lee ),박진솔 ( Jinsol Park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1 行政論叢 Vol.59 No.3

        미국의 지방정부는 시장-의회 정부형태가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는 우리나라와 달리, 지역주민들이 자신들의 의사에 따라 여러 가지 정부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는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의 대표적인 지방정부 형태(form of government)인 시장-의회(mayor-council) 형태와 의회-매니저(council-manager)형태가 지방정부의 재무정보 공개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미국 지방정부의 정부형태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지방정부의 재무공개수준을 나타내는 변수로 Government Finance Officers Association(GFOA)의 재무정보공개 프로그램 인증서(Certificate of Achievement for Excellence in Financial Reporting Program)의 획득 여부 및 누적 개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로짓과 음이항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시장-의회 정부형태는 의회-매니저 정부형태에 비해 정부의 재무정보공개 수준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elson과 Svara(2010)가 제시한 일곱가지 정부형태 분류법에 의해 지방정부를 재분류하여 재무공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했을 때, 의회-매니저 정부형태 하의 시장 선출방법이 재무공개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미국의 시장-의회 정부형태와 동일한 정부형태를 가진 우리나라 지방정부 구조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며,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의 통과로 탄력을 받게 된 자치분권에 관한 다양한 논의를 정부형태에 대한 논의로까지 확장해볼 가치가 있다는 점을 함의한다. There i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US local governments that citizens can choose their form of government. Based on this unique US local government system, this study aims to analyze empirically the effects of the form of government on the disclosure of financial information by local governments. The analysis used data from the ICMA survey on government form and the certificate of achievement for excellence in a financial reporting program issued by the Government Finance Officers Association. The analysis utilized logit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s to demonstrate that there is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he mayor-council system and disclosure of financial information by local governments. Furthermore, the analysis was extended by employing Nelson and Svara’s (2010) classification of form of government and found that the method of selecting a mayor may influence the extent to which local governments disclose financial information to citizens. The findings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local governments that unilaterally adopted the mayor-council system. The theme of government form is suggested for inclusion in the current debate on Korean government decentral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연관규칙 기반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활용한 기술경영 연구 주제 네트워크 분석

        전익진,이학연,Jeon, Ikjin,Lee, Hakyeon 기술경영경제학회 2016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4 No.4

        본 연구는 동시출현단어(co-word) 분석을 이용하여 기술경영 분야의 연구 주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핵심 연구 주제 및 연구 주제 간 상호연관관계를 도출한다. 동시출현 빈도수의 정규화를 통해 키워드 간 유사성을 도출하여 무방향 네트워크를 분석하는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본 연구는 연관규칙분석(association rule)을 통해 키워드 간 신뢰도(confidence)를 도출하여 유방향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한다. 2011~2014년 기술경영 분야 9개 국제 학술지에 게재된 2,456개의 논문의 저자키워드를 대상으로 빈도수 상위 200개 키워드를 추출하고, 주제(THEME), 방법(METHOD), 분야(FIELD)의 세 가지 유형으로 키워드를 분류한다. 각 유형별 일원(one-mode)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함께 많이 연구가 이루어진 키워드들을 찾아내고, 핵심 키워드를 도출한다. 또한 두 가지 유형의 키워드 간의 이원(two-mode)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연구 주제별로 함께 많이 활용된 방법 및 대상 분야를 탐색한다. 본 연구 결과는 최근 성숙기에 접어든 기술경영 분야의 연구 흐름 및 지식 구조를 키워드 수준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기술경영 분야 연구자들의 연구 주제 탐색 및 연구방향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identifies core research topics and their relationships by deriving the research topic networks in the technology management field using co-word analysis. Contrary to the conventional approach in which undirected networks are constructed based on normalized co-occurrence frequency, this study analyzes directed networks of keywords by employing the confidence index of association rule mining for pairs of keywords. Author keywords included in 2,456 articles published in nine international journals of technology management in 2011~2014 are extracted and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HEME, METHOD, and FIELD. One-mode networks for each type of keywords are constructed to identify core research keywords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with each type. We then derive the two-mode networks composed of different two types of keywords, THEME-METHOD and THEME-FIELD, to explore which methods or fields are frequently employed or studied for each them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fruitfully referred for researchers in the field of technology management to grasp research trends and set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우수등재

        국내 온라인 게임 산업 생태계 분석 : 개발사-퍼블리셔 관계를 중심으로

        전훈,이학연,Chun, Hoon,Lee, Hakyeon 대한산업공학회 2016 대한산업공학회지 Vol.42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online game industry using network analysis. In particular, two-mode network analysis is employed to measure the network structure, centrality, and cluster for two types of online game platforms, online games and mobile games, from 1996 to 2014. We also conduct a dynamic analysis to capture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ecosystem by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before and after turning point for each online game platform. It is revealed that the online game econsystem has the higher number of clusters and higher concentration ratio than those of mobile game ecosystem. In dynamic analysis, both platforms exhibit similar trends over tim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clusters, enlargement of largest cluster's size, and decreasing concentration ratio.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fruitful implications for strategic decision making of online game companies and policy making for the online game industry.

      • KCI등재

        DEA 윈도우 분석을 이용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사업화 동태적 효율성 분석

        이성희(Seonghee Lee),김태수(Taesoo Kim),이학연(Hakyeon Lee) 한국경영과학회 2015 經營 科學 Vol.32 No.4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GRIs) have played a pivotal role in national R&D in Korea. To achieve desired goals of GRIs with the limited R&D budget, their performance along with time needs to be measured and compared so that appropriate R&D policies can be formulated and implemented. This study measures the dynamic performance of GRIs from the efficiency perspective using the window model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DEA is a non-parametric approach to measuring the relative efficiency of decision-making units (DMUs) with multiple inputs and outputs, and the DEA window model can capture the dynamic changes in efficiency of DMUs during multiple periods. The relative efficiency of GRIs is measured from the two perspectives: R&D and R&BD. Patents, papers, technology transfers are selected as outputs for R&D while compensated technology transfers and technology royalty are employed as outputs for R&BD. This study measures and compares the two types of performance of 20 Korean GRIs under the control of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 and Technology during the period of six years from 2008 to 2013. Th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fruitful implications for national R&D policy making.

      • KCI등재

        신규인력 성과평가제도에 대한 제언 : 공무원 규모는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

        이준석 ( Junseok Lee ),이학연 ( Hakyeon Lee ),김정해 ( Junghai Kim ) 한국행정연구원 2021 韓國行政硏究 Vol.30 No.4

        본 논문은 그동안 한국에서 논쟁이 되었던 공무원의 총량적 규모 대신 적절한 평가에 의한 공무원 증원 방식에 대해 논의한다. 이는 공공인력에 대한 과학적 관리의 필요성이 크기 때문으로, 이를 위한 사례는 2020년에 도입된 ‘신규인력 성과평가’이다. 해당 제도는 정부조직의 단위업무에서 일정 규모 이상의 인력 증원이 발생할 경우, 이를 종합적으로 평가 및 분석함으로써 보다 더 효율적인 정부를 만들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새로운 제도는 ‘묻지마 증원’이라고 표현되는 그동안의 비과학적인 인력 증원 관행을 해결하고자 도입되었지만, 시행 초기인 만큼 설계상의 한계 역시 지니고 있었다. 우선 신규인력 성과평가제도는 기존의 평가제도처럼 단순히 성과만을 강조할 경우 이중규제라는 역할에 머물 수 있다. 또한 현 제도는 증거기반정책적인 성격을 지향하고 있지만, 제시된 지침서는 제도가 목표로 하는 목적과 방향이 거리가 먼 표면적인 설명서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제도는 인력 증원이라는 사건에서 성과를 확인하고 평가할 수 있는 내러티브 중심의 정책이 되어야 하며, 기존의 공공부문 성과평가와는 차별성을 지닌 세부적 지표로 평가를 시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증원이 발생한 단위업무에 한정하여 평가 측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이와 더불어 현 제도가 단기-중기 성과에 대한 평가라는 특수성을 지닌 만큼 현재의 투입 산출지표 구분이 정합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제시한 지표의 적절성 기준에 따라 신규인력 평가제도는 증거 기반적 성격을 가질 수 있도록 변화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a suggestion for the workforce of the Korean government augmentation method based on the appropriate evaluation system instead of focusing on the total scale of a public official, which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in Korea. This suggestion arose because the need for scientific management has become essential. In this sense, we focused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new personnel introduced in 2020. The purpose of the new evaluation system was to seek more efficiency for the Korean government by using a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ertain public officials in the organizational unit work. Although a new evaluation system was introduced to resolve the unscientific practice of increasing the number of public servants, there were systematic limitations because of the beginning of implementation. If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emphasized in the new evaluation method, like other previous methods, it would be a double evaluation in the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dditionally, this new method is based on an evidence-based policy, but the manual for the new assessment is a superficial explanation that is far from its original purpose. Thus, the new system would be based on a narrative evaluation that could check and evaluate performance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the number of public personnel. The new policy also needs to be based on detailed indicators to differentiate existing public sector performance evaluation. The current classification of input and output indicators should have consistency because the evaluation measurement should be conducted only in unit work where the number of public personnel was increased. Another reason is the uniqueness of the new system as a short- or mid-term performance evaluation. Lastly, the new system should be changed to obey the suggested criteria for the appropriateness of indicators and simultaneously pursue evidence-based characteristics

      • KCI등재

        DEA Window 분석을 이용한 국내 온라인 게임 기업의 운영 효율성 평가

        전훈(Hoon Chun),이학연(Hakyeon Lee) 한국경영과학회 2014 한국경영과학회지 Vol.39 No.3

        This paper measures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domestic online game companies and analyze its trends and patterns b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DEA is a non-parametric approach to measuring the relative efficiency of decision-making units (DMUs) with multiple inputs and outputs. 14 online game companies are selected as DMUs and three inputs (number of employees, capital and asset) and three outputs (sales, operating profit and net profit) are selected as DEA variables. First, the output-oriented BCC model and super-efficiency model are employed to measure the static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online game companies from 2003 to 2012. We also conduct the dynamic analysis with DEA window model to capture the trends of their operational efficiency influenced by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fruitful implications for strategic decision making of online game companies and policy making for the online game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