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스트레스 증상

        이평숙 ( Pyoung Sook Lee ),한금선 ( Kuem Sun Han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00 정신간호학회지 Vol.9 No.3

        본 연구 대상자의 대처 유형의 경우 긍정적 사고, 문제 중심적 대처유형을 이용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경우 만성인 경우가 많고, 질병에 대한 자가 관리를 위해 정보를 구하려는 경향인 high-monitoring style을 이용하는 경우가 높다고 보고한 Davey 등(1993)의 연구와 유사하다. 스트레스 증상은 정서적 분노 증상이 평균 1.55점으로 가장 높았고, 심폐기능 증상이 평균 1.35점, 인식력 장애 증상이 평균 1.32점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경우 억압된 정서적 분노와 관련이 있다는 기존의 이론들(Alexander, 1939; Saul, 1939; 전겸구, 1991)과 일치한다. 대처 유형과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계는 소망적 사고, 회피 및 무관심 대처 유형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증상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정서 중심의 대처 유형을 이용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반응 및 정서 반응이 높아진다는 여러 학자들(Folkman, 1988; 이평숙, 한금선, 1998)의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스트레스 증상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는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증상 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자가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자기효능감을 인간의 행동 변화에 주요 예측 인자로 설명하는 기존의 연구들(Bandura, 1977; 이영휘, 1994)을 지지하고 있다. 건강증진 행위 수행 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증상 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바, 이는 건강 증진 행위의 하위 요인인 스트레스 관리 영역이 스트레스 증상 경감에 영향을 미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문제 중심적, 소망적 사고, 사회적 지지 추구, 지기비난, 긴장 감소, 자기 보존 등의 대처유형에 따라 기분 상태가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대처 유형에 따라 인간의 정서 및 스트레스 반응에 차이를 보인다는 기존의 연구결과(Folkman, 1988)를 지지하고 있다. 스트레스 증상과 건강증진 행위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증상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 수행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건강증진 행위가 만성 질환자의 스트레스 반응 및 증상 관리에 주요한 측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Katherine과 Carol(1998)의 보고와 유사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대처 행위 유형, 자기효능감, 건강증진 행위 등의 변수가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스트레스 증상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대처 유형, 자기효능감, 건강증진 행위 정도 등의 변수가 고려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 on symptoms of stress in essential hyperten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 patient with mild essential hypertension diagnosed by physician at outpatient and health examination center in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Korea.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were Ways of Coping scale by Lazarus and Folkman(1984), Selfefficacy scale by Sherer(1982), SOS scale by Kogan(1991),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Scale by Walker(1988).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wishful thinking coping, avoidanceindifference coping, seek for social support coping, and tension reduce coping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ymptoms of stress. Therefore, the higher emotionoriented coping, the higher symptoms of stress. 2. The self-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ymptoms of stress.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ymptoms of stress. Therefore, the higher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lower symptoms of stress. 3. Stepwi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most powerful predictor of symptoms of stress in essential hypertension patients was self-efficacy. A combination of self-efficacy, self-conservation coping, exercise accounts for 33% of the variance in symptoms of stress in the Essential hypertension patients. In conclusion, ways of coping,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re influencing factors on stress symptoms in essential hypertens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To develop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influencing variables above mentioned should be considered. 2. It is necessary to replicate this study wit.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의 삶의 질 예측모형 구축

        박은숙(Park Eun Sook),김순자(Kim Soon Ja),김소인(Kim So In),전영자(Chun Young Ja),이평숙(Lee Pyoung Sook),김행자(Kim Haeng Ja),한금선(Han Kuem Sun) 한국노년학회 1998 한국노년학 Vol.18 No.3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하는 변수와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예측하는 모형을 구축함으로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문헌 고찰과 선행연구를 기초로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하는 요인으로 연령, 결혼 상태, 경제상태, 교육정도, 건강개념, 지각된 건강상태, 내적 건강통제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건강중진 행위로 개념적기틀을 구성하였으며 공변량 구조 분석을 이용하여 총34개에 이르는 가설 경로들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8개구에 거주하는 571명의 65세이상 노인이었으며 연구자료 수집 기간은 1997년 11월부터 1998년 1월까지였다. 연구도구는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노유자(1988)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건강증진 행위를 측정하기 위해 Walker등(1987)이 개발한 건강증진 행위 척도, 건강개념은 Laffrey(1986)의 도구를, 지각된 건강상태는 Lawston 등(1982)의 도구를, 건강통제위는 Wallston (1978)의 도구를, 자아존중감은 Rogenberg(1965)의 도구, 자기효능감은 Sherer(1982)의 도구를 노인에게 예비조사하여 문구를 수정, 보완한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후 사용하였다. 가설 모형의 검증 결과 모형의 부합도가 주어진 자료와 잘 맞지 않아 자유 특징수들을 추가하고 유의하지 않은 경로중 3개의 경로를 삭제하여 수정모형에서의 부합도와 설명력을 높였다. 노인의 삶의 질 예측 요인으로는 연령, 교육정도, 경제상태, 건강개념, 지각된 건강상태, 내적 건강통제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건강증진 행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 요인으로는 연령, 교육정도, 건강개념, 지각된 건강상태, 내적 건강통제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으며 건강개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 개념이 포괄적일수록, 지각된 건강 상태가 높을수록, 내적 통제위 성향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건강증진 행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연령, 경제 상태, 교육 정도 등의 인구사회학적인 변수와 건강증진 행위 및 건강 개념, 자아존중감, 내적 건강통제위, 자기효능감 등의 변수가 노인의 삶의 질을 예측하는 변수임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상의 관련 변수를 고려한 지역사회 중심의 포괄적인 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의 결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노인대학과 경로당을 중심으로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므로 연구의 제한점이 있고, 가정내 거주 노인 및 농촌 지역의 노인을 대상으로 대상자 확대 및 반복 연구가 요구된다. 2. 노인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방 및 효과 검증이 요구된다. 3. 지역사회 노인 인구의 건강 요구를 평가하고 실제 건강관리를 전담하기 위한 노인 건강 관리전문가의 교육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 structural model for explain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The conceptual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findings from studies on the elderly.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s questionnaires from 571 elderly living in Seoul, from Nov. 1997, to Jan. 1998. Data analysis was done with SAS 6.12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PC-LISREL 8.12 program for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The findings as follow; 1. The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with 21 paths and the empirical were low, thus it was modified by excluding 4 paths and adding free parameter to it. The Modified Model with 17 paths showed a good fitness to the empirical data (x2 =1162.76 (df=182, P=0.0), GFI=0.95, AGFI=0.92, NNFI=0.97, NFI=0.97, RMSR=0.07, RMSEA=0.09). 2. Age(r ₄₁=-0.03 ), Educational level(r ₄₄=0.04), Health concept(r ₄₅=0.59), Perceived health status(r ₄₆=0.16), Internal locus of control(r ₄₇=0.11), self esteem(β ₄₁=0.32), self efficacy(β ₄₂=0.13), health promoting behavior(β ₄₃=0.20) have significant effects on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of these variable, self esteem was the most essential factor. All predictive variable of quality of life altogether explained 79% of variance. 3. Age(r ₃₁=-0.01), Educational level(r ₃₄=0.11), Health concept(r ₃₅=1.33), Perceived health status(r ₃₆=0.15), Internal locus of control(r ₃₇=0.02), self esteem(β ₃₁=0.12), self efficacy(β ₃₂=0.38) have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All predictive variabl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altogether explained 69% of variance. In conclusion, the derived model in this study was confirmed to be proper in explaing and predicting on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it is suggested to develop health promoting program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 KCI등재

        만성정신질환자 가족기능 예측모형

        한금선 ( Kuem Sun Han ),김영자 ( Young Ja Kim ),이평숙 ( Pyoung Sook Lee ),이숙자 ( Sook Ja Lee ),박은숙 ( Eun Sook Park ),박영주 ( Young Joo Park ),유호신 ( Ho Sihn Ryu ),강현철 ( Hyun Chul Kang ) 한국정신간호학회 2004 정신간호학회지 Vol.13 No.2

        N/A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struct a structural model for family function of the family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Method: The hypothetical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365 the family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a National Mental Health Hospital and a General Hospital. Data analysis was done with SAS 6.12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PC-LISREL 8.0 Program for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Result: The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to the data was moderate, thus it was modified by excluding 6 path and including free parameters to it. The modified model with path showed a good fitness to the empirical data(x2=339.84, p=0.0, GFI=.98, AGFI=.90, NNFI=.95, RMSR=.01, RMSEA=.04). The family hardiness, sense of coherence, and the family coping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family function of the family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The pile-up stress were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s on family function of the family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Conclusion : The derived model in this study is considered appropriate in explaining and predicting family function of the family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Therefore it can effectively be used as a reference model for further studies and suggested direction in nursing practice.

      • KCI등재

        노인 운동의 의사결정 균형, 자아효능감의 운동 행위 변화단계에 대한 예측모형 연구

        이평숙,김소인,전영자,김순용,이숙자,박은숙,장성옥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1999 정신간호학회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decisional balance for exercise, self efficacy for exercise and stage of change of exercise in the elderly. A hypothethetical model explaining stage of change was constructed based on behavioral change mode. Empirical data for testing the hypothetical model was collected from 198 old adults aged over 60 in community setting in Seoul, Korea in April and May. 1999.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al analysis by using pc-SAS program. The Linear Structural Modeling (LISREL) 8.0 program was used to find the best fit model which predicts causal relationship of variables. The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to the data was good(X^2=12.82. (df=4, p=.012), RMR=.05, GFI=.97, NNFI=.88, NFI=.96). The predictable variables of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of the Korean elderly were perceived physical psychological benefit about exercise, perceived physical psychological burden about exercise and self efficacy for exercise. These variables explained 65% of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of the Korean elderly.

      • 노화와 관련된 정신사회적 이론 분석

        이평숙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1993 고려대 의대 잡지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and understand the phenomenon for successful aging through reviewing and analyzing several theories on aging, and then attempt to find usefulness on implication in nursing situation. 1. The aging phenomenon has been studied by many researchers, but due to lack of consensus and empirical support, its conclusions are still not clear. 2. From the psychobiological view, the aging phenomenon seems to be an inevitable, irreversible decline which appears as time passes, and the aging depends on physical age. Basic problems of the aging process consist of the loss of nerve cell, the degeneration of revival ability, and the gradual decline of physical ability and stress adaptability. In such a point, these elements can be a basis of understanding the disease process and the aging process. But, the gradual declining process focuses only on these negative aspects and there is not explains on individual variation in aging. 3. Judging from the psychosocial view, the aging phenomenon more emphasis on the emotional response than the aging process. Ego-integrity, that usefulness is recogniz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psychosocial aspect, shows the final stage of life, in which reflects on one's life accomplishment and failures. According to Butler, it is normal that old men reminisce about past life events. Therefore, reminiscing about their past experiences, recognizing and reintegrating their unresolved conflicts can be a positive approach to aging. In such a point, the process of reminiscing and life reviewing of one's life can b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psychotherapeutic nursing intervention as well as explain the result of aging. Social disengagement theory takes the position that it is nomal for old men to withdrawal from society and such a situation brings them a positive benefits. But scholars criticize this theory in many aspects. As a reaction to the negativistic perspective of disengagement developed activity theory which takes the position that old men who participate positively in social activities are healthier and happier. Though this theory is disputed by some critics, according to an empirical study, the support for this theory is more predominant than for the other. Rut the evaluation of successful aging cannot be disputed by the social disengagement theory or the social activities theory. From such a point, I think that more research on this issue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