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대퇴비구 충돌을 일으키는 골성 변형의 관절경적 치료

        황득수(Deuk-Soo Hwang),이창환(Chang-Hwan Lee),이충희(Choong-Hui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5

        목적: 대퇴비구 충돌을 일으키는 골성 변형의 관절경적 제거술을 통한 단기 임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3월부터 2005년 3월까지 대퇴비구 충돌로 진단받고 관절경적 술식을 이용하여 파열된 비구순 제거 및 주위 골극 제거 그리고 대퇴경부의 융기부(bump) 제거술 등으로 치료받은 환자 2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퇴비구 충돌의 골성 변형은 방사선학적 검사상 asphericity, pistol grip 변형, 내반고, 외반고, 비구의 후굴(retroversion) 및 골반 내 돌출 유무로 측정하였고, 전체적인 수술 전후 임상 양상 호전에 대한 평가는 술 후 환자의 만족도, 술 전, 술 후 2주, 술 후 6주, 술 후 3개월 및 술 후 6개월의 JOA 통증 점수의 변화 및 술 전과 술 후 관절 운동의 변화를 비교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26예의 환자 중 2예의 환자를 제외한 24예(92.3%)의 환자들이 술 후 만족감을 얻었으며, 모든 환자의 술 전, 술 후 2주, 술 후 6주, 술 후 3개월 및 술 후 6개월의 통증 점수는 각각 평균 0.85, 0.71, 1.50, 1.71 및 1.86으로, 술 전에 비해 술 후 2주째의 임상 증상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고, 그 후 점차 호전되어 술 후 6개월에는 더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술 전 15예에서는 양반다리를 할 수 있었으나, 11예에서는 통증으로 인해 양반다리를 할 수 없었고 그 중 10예에서는 숨 후 양반다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결론: 관절경 술식을 통한 골성 변형의 제거술은 단기 추시상 임상 양상의 호전을 가져왔고, 중장기간의 추시를 통해 임상 양상의 변화 및 퇴행성 관절염으로의 진행을 늦추거나 예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report the preliminary clinical results for arthroscopic treatment of osseous abnormalities as a cause of femoroacetabular impingement (FAI).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26 patients diagnosed with FAI who were treated by arthroscopic debridement of the labrum, spur resection, and bump resection from March 2004 to March 2005. Osseous abnormalities of FAI were evaluated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sphericity, pistol grip deformity, coxa vara, coxa valga, retroversion of the acetabulum, and protrusion of acetabulum were present or not. We evaluated the clinical manifestations based on patient satisfaction, sequential JOA pain scores and ranges of motion of the hips. Results: 24 patients were satisfied postoperatively. The average JOA pain score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at 2 weeks, 6 weeks, 3 months, and 6 months, were 0.85, 0.71, 1.50, 1.71, and 1.86, respectively. At 2 weeks preoperatively, the clinical symptoms were aggravated and 6 months postoperatively, the clinical symptoms were improved. 11 patients could not take a cross-legged position preoperatively: but 10 of the 11 patients could take a cross-legged position postoperatively. Conclusion: Preliminary clinical results for arthroscopic treatment of osseous abnormalities were satisfactory. We need to perform a follow-up study of the clinical results about the early detection of which findings and decompression of which osseous abnormalities will prevent or delay the progression of osteoarthritis through mid and long-term follow up.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가토의 아킬레스건 파열의 수술적 치료 후 고정 방법에 따른 생역학적 및 조직학적 변화

        김경천(Kyung-Cheon Kim),황득수(Deuk-Soo Hwang),정상윤(Sang-Yun Chung),우세민(Se-Min Woo),이충희(Choong-Hui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3

        목적: 아킬레스건 파열의 수술 후 고정 방법에 따른 생역학적 및 조직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30마리의 수컷 가토의 우측 아킬레스건을 절단 후 변형된 Kessler씨 방법으로 봉합하였고, 수술하지 않은 좌측은 대조군으로 하였다. Ⅰ군(n=10)은 족저 굴곡 상태로 장하지 석고를 6주간 고정하였고, Ⅱ군(n=10)은 수술 1주일째부터 전신 마취하에 1주일 간격으로 교정하여 수술 5주에는 완전히 배측 굴곡시켜 고정하였다. Ⅲ군(n=l이은 외고정 장치를 경골과 종골에 고정 후 수술 1주부터 완전히 배측 굴곡이 되도록 하루에 2㎜씩 외고정 장치를 단축시켰다. 수술 6 주에 아킬레스건을 종골의 부착 부위에서 절단하여 각 군의 5마리는 생역학적 실험을 실시하였고 나머지 5마리는 조직 검사를 하였다. 결과: 생역학 검사에서 제Ⅰ, Ⅱ, Ⅲ, 대조군에서 파열 하중(N)은 각각 55.50, 97.46, 140.27, 180.98이었으며, 변형률은 0.44, 0.49, 0.74, 0.67이었으며, 파열에 필요한 에너지(J)는 12.23, 23.98, 51.20, 60.78이었으며, 강도(N/㎜)는 9.63, 17.87, 19.01, 23.33이었다. 제Ⅰ, Ⅱ, Ⅲ 군간 파괴 하중, 변형률, 파열에 필요한 에너지 그리고 강도가 Ⅲ군으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조직학 소견 상 Ⅲ군으로 갈수록 건 구조가 보다 성숙되어 있었으며, 섬유 다발이 보다 평행한 배열 양상을 보였다. 결론: 수술 후 치유 중의 아킬레스건의 연속적인 교정에 의한 인장력은 생역학 및 조직학적으로 보다 정상에 유사한 회복 양상을 나타낸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regimens of immobilization after surgery in a rabbit model.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on the right Achilles tendon of 30 rabbits. Modified Kessler method was used to suture the transected tendon. Rabbi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Ⅰ (n=10) underwent long leg cast with equinus position for 6 weeks, Group Ⅱ (n=10) underwent weekly cast correction to full dorsiflexion from 1 week after surgery, and Group Ⅲ (n=10) underwent daily correction of equinous position with external fixator from 1 week after surgery. The contralateral Achilles tendon served as an un operated control. And three groups were compared at 6 weeks after surgery. Results: The maximal load at rupture (N) was 55.50, 97.46, 140.27, 180.98 for group Ⅰ, Ⅱ, Ⅲ and control respectively. The strain was 0.44, 0.49, 0.74, 0.67. The stiffness (N/㎜) was 9.63, 17.87, 19.01, 23.33. The absorbed energy to rupture (J) was 12.23, 23.98, 51.20, 60.78. Values among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nsidering the maximal load, strain, stiffness, and absorbed energy to rupture (p<0.05). Histological finding was revealed more mature restoration and more parallel arrangement of fiber bundles in the group Ⅱ, and especially group Ⅲ. Achilles tendon rupture, Maximal load, Strain, Stiffness, Tensile loading. Conclusion: Tensile loading of the healing tendon by postoperative continuous correction leads to changes in more similar to the normal Achilles tendon, biomechanically and historically.

      • KCI등재
      • KCI등재

        소아 상완골 외과 골절에서 도수 정복술과 개방 정복술의 비교

        신현대(Hyun-Dae Shin),이광진(Kwang-Jin Rhee),김경천(Kyung-Cheon Kim),이정범(Jung-Burn Lee),이충희(Choong-Hui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4

        목적: 소아 상완골 외과 골절을 분류하고, 치료 방법과 골절의 형태에 따른 결과 및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5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소아 상완골 외과 골절로 진단 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9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6예, 여자가 26예이었으며, 79예가 9세 미만이었다. Milch Ⅰ형이 12예, Ⅱ형이 80예였고, Jakob Ⅰ기 15예, Ⅱ기 59예, Ⅲ기가 18예였다. 9예에서 비수술적 치료로 장상지 석고 고정술을 시행하였고, 83예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도수정복 및 K-강선 내고정이 18예,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이 65예였다. 결과: 운반각 변형은 외반주 변형 및 내반주 변형이 의심되는 7예를 제외하고는 임상적으로 의미가 없었으며, 7° 증가에서 18° 감소까지(평균 -1.3 감소) 운반각 변형을 보였다. Hardacre 등에 의한 치료 결과 판정에서 우수가 46예, 양호가 41예, 그리고 불량이 5예였다. 추시 중에 발생한 합병증으로 골극 형성이 8예, 외과 과잉 성장 및 내반주 4예, 외반주가 3예, 무혈성 골괴사 3예, 조기 성장판 유합 2예, 불유합 2예, 지연 유합 1예, fish-tail 변형 1예, 국소 염증 5예, 관절운동범위 제 한 2예, 그리고 일시적 요골신경 마비가 1예였다. 결론: 상완골 외과 골절은 소아 주관절 주위 골절 중 비교적 높은 합병증 발생률을 보였고, 임상적으로 유의한 합병증은 Jakob Ⅱ기의 일부 및 대다수의 Ⅲ기에서 발생하였다. 따라서 Jakob stage Ⅲ 골절에서 관혈적 정복을 시도하는 경우 좀더 세심한 연부조직의 조작과 해부학적 정복에 노력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e fracture of humeral lateral condyle in children was classified and the complications and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dality and the types of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92 patients who could be followed up one year or more, and were treated for a humeral lateral condyle fracture from May 1995 to May 2001 were studied. 66 cases were male, 26 cases were female, and 79 cases were under 9 years of age. The Milch stage Ⅰ encountered in 12 cases, and Ⅱ in 80 cases. Jacob stage Ⅰ were encountered in 15 cases, stage Ⅱ in 59 and stage Ⅲ in 18 cases. Conservative treatment was performed in 9 cases and surgery was performed in 83 cases. A closed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K-wire was performed in 18 cases, and a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as performed in 65 cases. Results: The change in the carrying angle was not clin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7 cases, with a cubitus varus and cubitus valgus deformity. The change in the carrying angle showed an average -1.3 (from +7 to -18).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Hardacre criteria were 'excellent' in 46 cases, 'good' in 41 and 'poor' in 5. Regarding the complications, bony spur formation was encountered in 8 cases, overgrowth of the lateral condyle and cubitus varus in 4, cubitus valgus in 3, avascular osteonecrosis in 3, prema-ture epiphyseal fusion in 2, nonunion in 2, delayed union in 1, fish-tail deformity in 1, local infection in 5, range of motion limitation in 2 and transient radial nerve palsy in 1 case. Conclusion: Humeral lateral condylar fractures have a high rate of complications and clincally significant complication appeared mainly in stage Ⅱ and Ⅲ. This suggests that more a careful dissection of the soft tissue and anatomical reduction in Jakob stage Ⅲ is required in cases of an open re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