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톤 체호프 장막극의 무대 해석에 대한 연구(1) -홍해성, 이해랑, 이진순의 연출 작업을 중심으로

        이진아 ( Chin A Lee ) 한국연극학회 2015 한국연극학 Vol.1 No.56

        본 연구는 한국연극에서 안톤 체호프 장막극의 무대 해석의 역사를 고찰한다. 한국연극사에서 체호프 공연사를 살피는 일은 다음의 두 가지점에서 중요하다. 첫째는 사실주의 연극의 확립과 극복의 문제이다. 둘째는 체호프의 동시대적 해석의 문제이다. 체호프는 한국근현대연극사에서 근대연극, 리얼리즘 연극, 연출론과 연기론의 정석과 같은 것으로 여겨졌다. 이 점에서 식민지 시대의 대표적 연출가 홍해성, 한국 리얼리즘연극 시대의 대표적 연출가 이해랑, 이진순도 예외는 아니었다. 홍해성은 최초의 근대적 연출가로서 체호프 작품을 통해 조선 극계에 신극을 수립하고자 했다. 사실적인 무대를 구현하고 근대적 연기술로 역할을 형상화하는 배우들로써 근대극이란 무엇인가를 조선의 관객에게 보여주고자 했다. 그러나 조선 연극의 현실을 극복하고 그의 꿈을 이룬다는 것은 그리 녹록치 않았다. 한편, 그에게 있어서 <벚꽃동산>은 구시대 지식 계급의 몰락과 신흥 세대의 등장을 애잔한 어조로 그린 작품으로, 당대의 일반적 해석이었던 ‘분위기의 연극’ ‘애수의 연극’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다만 식민지 조선의 예술가로서의 현실이 이를 더욱낭만적이고 감상적으로 만든다. 해방 이후에도 ‘애수’ ‘시정’ ‘분위기의 연극’이라는 체호프에 대한 이해는 크게 바뀌지 않는다. 이해랑이 이해한 ‘분위기’는 어떤 의미에서는 상징적이고 이미지즘적인 것이었다. 그의 시적 정서는 모든 것을 무대위에 가시적으로 다 드러내지 않은 것, 그리하여 대사로 전달되지 않은 것을 관객이 포착하고 이해함으로써 완성되는 것이었다. 반면 이진순의 연출은 훨씬 외향적이고 과감한 것으로, 인물의 심리나 관계도 시각적으로 미장센을 통해 드러내기를 원했다. 그는 관객이 더 쉽고 분명하게 체호프의 세계에 다가갈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대중적 감각으로 체호프를 무대화 했다. 홍해성으로부터 이해랑, 이진순에 이르는 체호프 해석은 어찌 보면최초로 식민지 조선에 일본을 경유하여 들어온 체호프의 무대 해석, 즉모스크바 예술극장과 스타니슬랍스키의 해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것이다. 물론 그들의 성취나 궁극의 해석은 스타니슬랍스키와도, 또 그들 서로 간에도 같지 않았다. 연출가들이 몸담은 시대와 연극적 요구, 그리고 개인의 미적 취향과 기질이 서로 다른 체호프를 만들어 낸 것이다. 그러나 예술극장식 체호프, 심리적 사실주의의 체호프, 시정과 분위기의 체호프 연극에 대한 관념적 지향을 세 연출가 모두 그리 쉽게 떨치지는 못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of stage interpretation of Anton Chekhov’s full-length plays in the Korean theatre stage. Studies on the impact of Chekhov on modern Korean theatre usually focused on introductions, but assessments on the achievements of individual performances and the aesthetic accomplishments have been dealt with relatively less. The performance history of Chekhov is closely related to the following three areas, which are also key issues of Korean theatre history. This is also related to the issue of the realism interpretation of Chekhov’s drama that became the canon for interpretation of Chekhov’s stages after the premiere of <Seagulls>, which was directed by K. Stanislavsky at the Moscow Arts Theatre. The second is the issue with the era-based reinterpretation of classics. In the modern historic context of Korea, it could be said to be an issue of the status of the writer named Chekhov, change of interpretation, and an era-based issue of Chekhov``s dramas. Chekhov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interpreted writers in Korean theatre. The history of interpreting Chekhov can be divided into the time when modern theatre first began to become established in Jose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era when realism and psychologism theatre began being established through Chekhov after gaining independent, and the era when Russian students began to appear en masse in the Korean theatre world in the mid to late 90s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is study deals with Chekhov stage interpretation up to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e most celebrated directors at this time were Hong Haesung, Lee Haerang, and Lee Jinsun. The interpretation of Hong Haesung’s <Cherry Orchard> is shown through the words of the director and translator Ham Daehun. They interpreted this as a piece depicting the fall of the old intellectuals and the appearance of new forces in a bittersweet tone. It shows strong influence of Stanislavsky that passed through Japan, and ‘theatre of mood’ is set as the key to the interpretation of Chekhov. Lee Haerang and Lee Jinsun are similar in that they are called the establishers of realism stage production, but their disposition are very different. While Lee Haerang pursued realism of moderation and the inner side, Lee Jinsun pursued the dramatic and the visualization of inner psychology of characters through mise-en-scene and dramatic expression. They agreed that theatre is an art of actors and because of this, they reproduced Chekhov throughout their entire career, but their organic differences made stages with different Chekhovs.

      • KCI등재

        「『拙藁千百』譯註」(8)

        이진한(Lee, Jin-Han),김보광(Kim, Bo-Kwang),이바른(Lee, Ba-Reun)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6

        이 글은 『졸고천백』 가운데 권1의 16번째부터 19번째에 이르는 4편의 글을 살핀것이다. 이들 네 편의 글은 모두 저자인 최해와 긴밀한 사이였던 안목, 안축, 이제현, 최문도가 관계되어 있다. 먼저 「故相安竹屋像贊」은 죽은 안우기의 영정에 대한 글로, 안우기의 인품을 칭찬하면서 그의 아들들에게 아버지의 인품을 본받을 것을 당부한 내용이다. 가묘를 세우고 영정을 봉안하던 당시 고려의 풍습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安當之關東錄後題」는 안축이 강원도 지방장관 시절에 지은 「關東瓦注」란 글에 덧붙인 글로, 일종의 부기이다. 이 글을 통해 고려시대에 금강산을 비롯한 관동 지역이 주요한 명승지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永嘉郡夫人權氏墓誌銘」은 고려후기의 유명한 재상인 이제현의 부인 권씨를 위한 묘지명이다. 이 글을 통해 이제현과 최해의 인간적 친밀함과 당시 지배층 여성들에게 요구되던 부인의 미덕을 엿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春軒壺記」는 최문도가 투호를 가르친 것에 대한 기록이다. 투호는 고대부터 이어져온 놀이로, 공부로 인한 긴장의 완화, 투호 놀이 과정에서의 규칙과 예절의 준수에 따른 도덕의 함양 등에 효과가 있다고 여겨져 성리학에서 중요시되었다. 최문도는 수양의 수단으로 자제와 후배들에게 투호를 가르쳤다. 이는 성리학이 도입되는 과정에서 성리학 자체 뿐 아니라 心的수양의 하나로 투호가 중요시되는 계기가 되었다. This paper examined four pieces of writing from the 16th to 19th pieces in “Jolgocheonbaek” Vol. 1. These four pieces are related to Mok Ahn, Chuk Ahn, Jae-Hyeon Lee, and Mun-Do Choi who had all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author Hae Choi. First, “The Piece of Writing Added to the Portrait of Deceased Minister Woo-Gi Ahn” is the writing about the portrait of deceased Woo-Gi Ahn. Its contents are about praising the character of Woo-Gi Ahn and asking his sons to follow the character of their father. This helps us get a glimpse of Goryeo’s custom in which the people built their family shrine and enshrine the deceased’ portrait. In addition, “The Postscript About the Gwandongrok of Chuk Ahn” is a piece added to “Gwandongwaju(關東瓦注)” written by Chuk Ahn when he was the provincial minister of Gangwon-do. It is a kind of additional note. This writing confirms that the Gwandong region including Mt. Geumgang was a major scenic attraction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In addition, “The Cemetery’s Name for Mrs. Gwon, the Wife of Yeonggagun (永嘉郡夫人權氏墓誌銘)” is the name of the cemetery for Mrs. Gwon, the wife of Jae-Hyeon Lee who was a famous minister in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This writing enables us to assume the personal intimacy between Jae-Hyeon Lee and Hae Choi, and the role of a supportive wife that ruling-class women during the period were required to perform. Finally, The writing “About Mun-Do Choi and Tuho (春軒壺記)” is the record regarding Mun-Do Choi having taught Tuho. Tuho is the game that had been passe ddown from ancient times and was regarded as important in Neo-Confucianism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lessening of tension from studying and observing the rules and etiquette required during the course of playing Tuho are effective in cultivating morality. Mun-Do Choiemphasized moral cultivation based on Neo-Confucianism toward his disciples and juniors. This became an opportunity for Tuho to be considered important in Korea during the time when Neo-Confucianism was introduced.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의 고려(高麗) 예종대(睿宗代) 불아(佛牙) 장래(將來) 기록(記錄)과 그 장래자(將來者)에 대하여

        이진한 ( Lee Jin-ha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79 No.-

        고려 睿宗代에는 송이 고려와 연합하여 요를 제압하려는 외교적 전략에 따라 중요한 문화적 산물을 주어 고려의 환심을 사고자 했기 때문에 고려는 그 점을 십분 활용하여 불교에서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불아를 송에서 가져올 수 있었다. 이러한 불아의 전래 과정과 고려에서의 관리에 대해서는 『三國遺事』의 「前後所將舍利」조에 실려있는데, 그것을 가져온 고려의 사신은 정극영이라고 하였다. 반면 『高麗史』에는 왕자지가 송에서 불아를 가져왔다고 하였다. 양 사서의 차이를 비교해보건대, 『高麗史』의 睿宗代 기록이 예종 사후 편찬된 『예종실록』을 인용한 것이 많았고, 『三國遺事』의 설화적인 내용과 달리 간결하게 예종, 인종, 명종 등의 불골(佛骨) 관련 의식을 적었으므로 『高麗史』 기록의 신빙성이 더욱 높다고 생각된다. 그런데도, 정극영이 불아를 가져왔다고 『三國遺事』에 전하는 것은 인종 초 정국의 변화에 따라 두 인물의 부침이 있었기 때문이다. 예종 말에 죽은 왕자지는 사돈인 이자겸 덕분에 예종묘정에 배향되는 영예를 누렸으나 이자겸 몰락 이후 배향이 철회되었다. 그에 반해 정극영은 이자겸의 반대 세력인 한안인의 당여라고 하여 1122년 말에 유배되었으나 1126년 이자겸의 난이 평정되고 나서 사면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불아를 가져온 것에 기억에도 영향을 끼쳐서, 왕자지의 역할은 사라지고 정극영이 그 일을 한 것으로 바뀌었던 것이다. During the reign of King Yejong in Goryeo Dynasty, Song Dynasty employed a diplomatic strategy of joining forces with Goryeo to suppress Liao Dynasty, and thus wanted to ingratiate itself with Goryeo Dynasty by giving valuable cultural gifts. For this reason, Goryo Dynasty could receive bul-a (Buddha's tooth), the most cherished item in Buddhism, from Song Dynasty. Records on the transport of bul-a and subsequent management in Goryeo are found in the 'Jeonhusojangsarijo' part of 'Samgukyusa,' where the records say that Goryeo's official, Jeong Geukyoung, brought bul-a from Song. However, in 'Goryeosa,' it is said that Wang Jaji brought bul-a from Song. Considering that much of the records during the reign of King Yejong in 'Goryeosa' were quoted from 'Yejongsillok' that was published after the death of the King, and that compared to fictional contents in 'Samgukyusa,' 'Goryeosa' succinctly recorded Buddhist rituals during the reigns of King Yejong, King Injong, and King Myoungjong, it is likely that the records of 'Goryeosa' are more credible. Still the records of 'Samgukyusa' say that Jeong Geukyoung brought bul-a, as the two figures' fate diverged due to political changes in the early years of King Injong's reign. Wang Jaji passed away in later years of King Yejong's reign, and was enshrined at King Yejong's shrine thanks to his family relationship with Lee Jagyeom; however, after Lee Jagyeom lost power, the privilege was revoked. In comparison, Jeong Geukyoung was exiled in 1122 because he was on the side of Han Anin, a political opponent of Lee Jagyeom, but was forgiven after the rebellion of Lee Jagyeom in 1126 was suppressed. This circumstance affected the event of bringing bul-a as well, and accordingly, Wang Jaji's role was erased in history, and it was altered to the act of Jeong Geukyoung.

      • 영국과 아일랜드 농촌디자인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농촌건물디자인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

        이진원(Lee, Jinwon),여화선(Yeo, Hwasun),서주환(Seo, Juhwa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8 No.-

        본 연구는 영국과 아일랜드 농촌디자인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농촌건물디자인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로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사업으로 진행되는 ‘농촌토털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및 활용 방안연구’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만들어지고 사용하는 농촌디자인 가이드라인 해외사례 중 영국과 아일랜드의 농촌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농촌건물디자인 부분의 항목과 내용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각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농촌건물디자인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으며, 요소와 항목을 재정리하여 지형과 환경에 조화로운 디자인, 건축 유산과 전통 건축물과 조화로운 디자인, 기존의 전통적·지역적 건물들과의 시각적 통합과 조화,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에너지 절약에 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농촌건물 디자인은 건물의 위치, 형태, 색상은 시각적으로 두드러지지 않는 디자인으로 농촌의 지형과 환경, 지역의 기존 건물들과 시각적 통합과 조화를 이룰 수 있어야 하며, 농촌의 전통적인 건축 유산을 계승하여 기존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는 동시에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추구하여 미래의 새로운 건축 유산이 될 수 있어야 할 것 이다.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research of agricultural building design guidelines for England and Ireland. It is also the foundation study to develop the guideline for Total Design Guidelin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ural which is a busines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rough comparison of rural building design guidelines for England and Ireland I have rearranged components and items concentrated upon the harmony of the terrain and the new rural buildings, the harmony of the environments and the new rural buildings, the harmony of the historical architectures and the new rural buildings, sustainable design and energy efficiency.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rural building design should be in harmony and visual integration with rural landscape and local buildings, visually indistinctive design. Moreover, rural building design should pursue a new architectural heritage of future which inherits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heritage and pursues sustainable desig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특수 환경(GOP, GP)에서 근무하는 육군 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

        이진이 ( Jin Yi Lee ),박연환 ( Yeon Hwan Park ) 국군간호사관학교 군진간호연구소 2012 군진간호연구 Vol.3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criptive correlational survey to identify stres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soldiers in a specific environment.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65 soldiers who work in 2 military units of GOP(General Outpost), GP(Guard Post) from August 8th to September 15th in 2011. The data was composed of instrument of Soldier Stress and HPLP-II, and analyzed using t-test, ANOVA, Turkey HSD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 mean of Soldier Stress was 2.10. Although it was lower than average, 12.3% soldiers still had stress higher than average. The Soldier Stress according to characteristic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incom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also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education level. In particular, the Soldier Str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ole-relationship stress and environment. The correlation among Soldier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except external stress. Conclusion: From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soldiers who have a high stress score were necessary to manage their stress. Also soldiers need to take car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If soldiers in the specific environment would manage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 more effectively, it has the effect of not only improving their mental health but also quality of life positively. Above all, it will be helpful for soldiers in specific environment to promote their health and fighting streng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the intervention reflected soldiers characters in specific environment and it needs to improve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stress management.

      • KCI등재

        CEO의 비전설정 행위와 조직성과 간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 분석

        이진서(Jin-Seo Lee),이홍배(Hong-Bae Lee)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6

        본 연구는 CEO의 비전설정 행위와 성과 간에 있어서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의 구조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O"Connell et al.(2011)이 제시한 비전 설정의 유형을 토대로 다섯 가지 유형을 검토하였으며, 분산분석과 Duncan 다중비교분석을 통하여 세 가지 유형으로 재분류하고, 재분류된 유형에 따라 비전공유 정도 차이와, 비전설정-조직시민행동-성과의 구조모형에 대한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전설정과 성과 간에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비전설정 수준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 비전설정 유형의 분산분석과 Duncan 다중비교분석을 통하여 비전공유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비전설정-조직시민행동-성과의 구조모형에 있어서 비전설정 유형의 조절효과도 확인하였다. 비전설정 초기부터 조직구성원들과의 참여를 통하여 비전을 공유함으로써 단기적인 재무성과 이상의 역할 외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을 통해 조직의 순응적 태도는 말할 것도 없고, 개인적인 이타적 행동을 강화하고, 조직을 위한 혁신적 행동까지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시사점이 크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vision creation on the OCB(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performance, and to review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CB on the vision creation and the performance, and also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hree visioning type on the relation among the vision creation, OCB and the performance. We formulat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for analyzing the relations among the three construct or latent variables(the vision creation, OCB, performance). And we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CB,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hree visioning type re-classified by the ANOVA analysis.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ision creation h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about the employee performance/finance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CB. Second, we recogniz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hree visioning type among the vision creation, OCB, and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