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혁본 <鱉兎傳>의 인물 형상화와 작가에 관한 고찰

        이진오(Lee, Jin-O)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69

        본 연구는 ≪토끼전≫의 한문본 중 이혁본 <鱉兎傳>을 대상으로 작품세계와 개작의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이혁본 <鱉兎傳>의 원본은 전남대학교 이혁 교수가 소장했던 필사본이었는데, 김기동 교수가 교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유인본(油印本)으로 편집한 것이라고 한다. 현재는 원본은 확인할 수 없고, 유인본의 복사본만이 전해지고 있다. 이혁본 <鱉兎傳>은 기존의 ≪토끼전≫을 토대로 개작한 작품으로, 일반적인 ≪토끼전≫의 서사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용왕은 군주로서의 자질과 권위를 상실한 통치자로, 별주부는 본분과 예법을 중시하는 사대부로, 토끼는 처사지도의 삶을 추구하는 사대부로 그려낸다는 특징을 보인다. 즉, 이 작품은 조선시대 사대부 중심의 세계관을 반영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혁본 <鱉兎傳>은 ≪토끼전≫의 경판본과 세책본 계열의 화소를 차용하여 개작한 것으로 보이는데 두 계열과의 관계로 미루어 볼 때, 이 작품의 개작 시기는 1880년대 이후로 추정된다. 이 작품의 작가는 등장인물의 의인화에 있어서 주로 사대부가의 인물로 묘사하는 데에 주력하였고, 안빈낙도를 내적인 주제로 삼았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혁본 <鱉兎傳>의 작가는 이혁의 증조부인 이최선으로 비정할 수 있었는데, 첫째, 이최선이 신재효의 스승이었다는 점, 둘째, 그의 집안이 담양 지역의 재지사족이라는 점, 셋째, 과거시험에 낙방하여 고향에 은둔하였다는 이력이 있다는 점, 넷째, 경판본이나 세책본을 입수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 다섯째, 작품의 개작 추정 시기와 말년의 은둔 시기가 겹친다는 점을 근거로 삼을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zation method and meaning of creation in Lee Hyuk"s Tokkijeon(written in Chinese letters). The original copy of Lee Hyuk"s Tokkijeon was a manuscript by Professor Lee Hyuk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hich was printed on an oil-printing copy to be used by Professor Kim Ki-dong as a textbook. Currently, the original cannot be confirmed. Only a copy of the handout is available. Lee Hyuk"s Tokkijeon is a work created based on the existing Tokkijeon, and the narrative structure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general Tokkijeon. However, The dragon king is described as having lost his authority as a monarch, and the Byeoljubu, characterized as rabbits, are described as a ruling class who regard manners as important during the Joseon. In other words, Lee Hyuk"s Tokkijeon shows the worldview of the ruling class that liv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Lee Hyuk"s Tokkijeon seems to have been created by utilizing Tokkijeon"s Seoul block-printed novel version and Tokkijeon"s A Novel for Lending version. In the relationship Tokkijeon"s versions, the creation period of Lee Hyuk"s Tokkijeon warfare is estimated to be the 1880s. The writer of this novel described animals as the dominant class of the Joseon Dynasty, especially with the theme of the work that reflects the emotions of the ruling class of the Joseon Dynasty living in the provinces. The author of Lee Hyuk"s Tokkijeon is presumed to be Lee Hyuk"s great-grandfather Lee Choi-sun. This is because Lee Choi-sun was a teacher of Shin Jae-hyo, a master of Pansori, and his family was the dominant group of the Joseon. In addition, he failed the past examination and his reclusive period coincides with the creation time of Lee Hyuk"s Tokkijeon.

      • KCI등재

        동아시아에서 인어에 대한 인식 층위와 인어설화의 변화 : 중국과 한국의 문헌 기록을 중심으로

        이진오(Lee Jin-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본 논문은 동아시아에서 인어에 관한 인식의 층위와 우리나라에서 인어설화의 탄생 배경에 관하여 고찰한 것이다. 그간 우리나라의 인어는 대개 중국 문헌의 기록을 근거로 동아시아의 전통에서 성립된 것으로 논의되었다. 현재 인어는 긴 머리에 아름다운 여성의 상반신을 가진 반인반어의 존재로 인식되는데, 이를 단순히 동아시아에서 인식되고 전승되었던 존재들과 연결 짓기에는 적지 않은 간극들이 발견된다. 그간 인어에 대한 논의들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진 존재들은 『산해경』의 인어, 당송시대의 교인, 명청시대의 해인어 등이었다. 이러한 존재들이 현재의 인어 이미지와 인어설화로 전승되어온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애초 『산해경』의 인어는 주로 황하강을 중심으로 내륙지역의 강이나 하천에 서식하는 동물을 의미했다. 이 동물은 다리가 달렸으며 어린아이 울음소리를 낼 수 있다고 하였는데, 그 생김새나 생태를 보아 도롱뇽과 같은 양서류를 관찰한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교인은 주로 당송시대의 기록에서 부각되었던 존재였는데, 중국의 남쪽에 거주하면서 눈물로 진주를 만들고, 비단을 짜는 존재로 묘사되었다. 실상 교인은 희귀한 유리구슬을 생산하고 인도의 면화를 중개무역했던 동남아시아인들에 대한 기록이었다. 당송시대 중국인들은 동남아시아에서 새롭고 진귀한 유리구슬의 생산하고, 면화의 무역을 담당했던 이들을 교인이라 인식했던 것이다. 한편 명청대의 문인들은 해인어, 해녀, 부인어에 주목하였는데, 이들이 기록한 것은 해양 포유류로, 특히 암컷의 경우 새끼에게 젖을 물릴 수 있으며, 사람과 같은 신체구조를 가졌기 때문에 사람과 교접이 가능한 존재로 인식되었다. 중국 문헌을 통해 볼 때, 상반신이 여성의 형상을 갖는 반인반어의 인어의 등장은 해양 포유류의 목격담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후기에 이르러 사물의 본질을 궁구하는 학문적 풍토가 마련되면서 해양 포유류에 관한 구체적인 기록들이 생산된다. 이옥의 『백운필』, 정약전과 이청의 『자산어보』 , 서유구의 『전어지』 등에서는 서남해의 옥붕어, 상광어 등을 인어로 인식하였으며, 유몽인의 『어우야담』, 이익의 『성호사설』에서는 동해의 가지어 등을 인어로 인식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인어로 인식되었던 해양 포유류는 한반도 근해에 서식하는 점박이물범, 상괭이, 강치 등으로 추정되는데, 이러한 동물의 목격담을 통해 여성의 형상을 갖는 반인반어의 인어가 이미지화 되었고, 이렇게 얻어진 인어의 이미지는 인어설화에도 반영되었다. 결론적으로 동아시아에서 아름다운 여성의 상반신을 갖는 반인반어의 인어 탄생은 해양 포유류의 목격담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어의 탄생은 서양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은데, 중세 유럽에서는 매너티, 듀공 등의 목격담을 통해 인어의 이미지를 만들어냈으며, 이를 토대로 근대에 이르러 아름다운 여성의 상반신을 가진 반인반어의 인어의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layer of Seiren in East Asia and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Seirenes Legend in Korea. In the meantime, Korean Seirenes have been discussed as being established in East Asian traditions based on Chinese records. However the Seiren is recognized as having a long hair and a beautiful upper body of a woman. There i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connecting it with those recognized and passed down in East Asia. The main subjects of the existing Seiren discussions were the Seirenes of the Sanhaegyeong(山海經), Kyo-in(鮫人 ) of the Tang-Song(唐宋) era and the HaeIneo(海人魚) of the Ming-Qing(明淸) era. These beings have been understood to have been passed down to the image of the current Seiren and the Seirenes Legend. The Seiren of the Sanhaegyeong meant animals that live in rivers or rivers in the inland area mainly in the Yellow River. The animal has legs and can make a child cry, which can be said to be a record of observing amphibians such as salamanders by looking at their appearance and ecology. Kyo-in(鮫人) was mainly recorded in the Tang-Song period, and was described as a tearful pearl making and weaving silk while living in the South of China. In fact, the Kyo-in was a record of Southeast Asians who produced glass beads in Southeast Asia and traded cotton in India. The Chinese of the Tang-Song era recognized those who produced new and rare glass beads in Southeast Asia and were responsible for the trade of cotton as members. On the other hand, people in the Ming-Qing era paid attention to the Haeineo (海人魚), Haenyeo(海女), Buineo(婦人魚 ), what they recorded was marine mammals. Especially females, who could be wet to their young and were recognized as being able to interact with people because they had the same physical structure as humans. In Chinese records, the appearance of Seirenes with the shape of women in the upper body can be said to have originated from the sightings of marine mammals. In Korea, as the study of observing the essence of things is esta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rine mammals begin to be recorded in detail. In the case of Lee Ok’s Baekunpil(白雲筆), Jeong Yak-jeon and Lee Cheong s Jasaneobo(兹山鱼譜 ), and Seo Yu-gu’s JeonEoji(佃渔志), the Okboongeo(玉朋魚) and Sanggwang(尙光魚) fish of the West Sea and the South Sea were recognized as Seirenes. And in the Yoo Mong-in’s Eouyadam(於于野談 ) and Lee Ik’ Seonghosaseol (星湖僿說), the GaJieo(嘉支魚) of the East Sea was recognized as Seirenes. Marine mammals, which were recognized as Seirenes in Korea, were Spotted seals, Finless porpoises, and Northern sea lions inhabiting the Korean sea. Through the sightings of these animals, Seirenes in the shape of women were imaged, and the images of Seirenes obtained were reflected in Seirenes Legend. However, after the mid-19th century the images of Seirenes, which emphasize the beautiful and mysterious woman rather than the animal attributes, were introduced through Europeans. And with the introduction of Andersen fairy tales and Copenhagen mermaids are the legend of Korean Seirenes has also changed, and more feminine Seirenes(mermaids) introduced in Europe have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new myth of Geomundo. And the existing carp legend was adapted as a Seiren legend or newly made into a Seiren legend.

      • KCI등재

        이와야 사자나미(巖谷小波)의 <龍宮の使者> 연구

        이진오 ( Lee Jin O ) 판소리학회 2015 판소리연구 Vol.40 No.-

        <龍宮の使者>는 이와야 사자나미(巖谷小波)가 일본에서 1904년 출판한 『세카이오토기바나시(世界お伽?)』 제64편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이다. 사자나미는 세계의 각종 설화(說話)와 소설을 수집하여 『世界お伽?』를 편찬하였는데, 조선을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로 <龍宮の使者>를 소개하였다.이 작품은 이와야 사자나미가 이인직(李人稙, 1862~1916)에게 넘겨받은 작품을 바탕으로 개작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이인직은 우리에게 신소설 작가로, 일본 유학에서 돌아온 뒤 근대소설뿐 아니라, 창극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고에서 다루는 <龍宮の使者>는 이인직이 유학시절 일본에 남긴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이와야 사자나미는 이렇게 이인직에게서 받은 작품을 다소 손질하여 『世界お伽?』에 수록하였는데, “토끼화상(토끼畵像)” 대목 등 가요사설의 미감을 살리는 한편, 육지세계와 수궁세계를 조선과 일본에 대비하여 묘사하였다. 이는 19세기 말 일본인의 입장에서 조선을 바라보는 시각과 이 작품의 독자층인 일본 아동을 염두에 둔 것이라 생각된다.이와야 사자나미의 <龍宮の使者>는 19세기 말~20세기 초 토끼전의 모습을 담고 있다는 점, 일본에서 개작된 작품이라는 점, 또한 근대 아동문학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Envoy of Yonggung<龍宮の使者> is included in the volume 64 of 『The Complete Series of World Literature(世界お伽?)』 which Iwaya Sajanami(巖谷小波) published in Japan in 1904. Sajanami published 『The Complete Series of World Literature(世界お伽?)』 by collecting various tales(說話) and novels of the world, which introduced < Envoy of Yonggung(龍宮の使者) >, as a representative novel of Joseon.This work was adapted based on the work that Iwaya Sajanami took over from Lee, injik(李人稙, 1862~1916). It has a great significance, since as Lee, injik is known as a new-style novel writer, he had actively acted in Chang-geuk(唱劇), as well as modern novel after having returned from study in Japan. Envoy of Yonggung<龍宮の使者> in this research can be said to be a work that Lee, injik left when he was studying in Japan.This way, Iwaya Sajanami included the work from Lee, injik in『The Complete Series of World Literature(世界お伽?)』 by trimming a little bit, which described comparing Land palace world and Water palace world based on Joseon and Japan, while saving the beauty of song lyrics, e.g. “Portrait of rabbit(토끼畵像)” part, etc. This seems to have minded the view on Joseon from the position of the 19th century's Japan and Japanese children, the reader group of this work.Envoy of Yonggun<龍宮の使者> of Iwaya Sajanami has a significance, in respect that it contained the aspect of Tokkijeon of late 19th century~early 20th century, an adapted work in Japan, which influenced modern children's literatur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수궁가의 더늠 형성에 관한 연구

        이진오 ( Lee Jin 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6

        본 연구는 19세기 활동했던 판소리 명창들이 남긴 기록과 흔적을 통하여 수궁가의더늠 형성 과정을 고찰하고 변화의 경향성을 검토한 것이다 판소리사에서 본격적으로 수궁가 명창이 등장한 것은 19세기 전반 무렵으로 추정된다 19세기 전반기에 수궁가의초기 명창들이 등장한 이후 19세기 중후반에는 동편제와 서편제로 유파를 달리하는 명창들이 등장했다 19세기 전반에 활동했던 수궁가의초기 명창은 권삼득 송흥록 염계달 신만엽을 들 수 있다 이들이 남긴 기록으로 볼 때 이들은 방게와 호랑이 의등장처럼 극적인 작중인물 대한 묘사와 소릿조를 활용했으며 특히 주로 토끼가 용왕을 속이는 장면과 토끼의육지 귀환을 담고 있는 관대장자 가자 어서가 소지노화 앞내 버들은 토끼가 욕하는 대목 등을 개발했던 것으로 보인다 초기 판소리 명창들의수궁가에 대한 관심은 대체로 작품의 후반부에 집중되어 있었던 것이다 19세기 중후반 판소리는 동편제와 서편제의분화가 이루어진 때다 동편제 명창으로는 송우룡 박만순 송만갑 신학준 유성준이 활동하였고 서편제 명창으로 박유전 김거복 김수영 백경순 등이 수궁가를 불렀다 동편제의명창들은 초기 명창들과 마찬가지로 수궁가의 후반부에 관심을 두어서 토끼기변과 같은 더늠을 개발하기도 했으나 이들은 점차 토끼화상 고고 천변 토별문답처럼 수궁가의전반부와 중반부에 해당하는 대목을 개발하는 데도 관심을 두었다 서편제 명창들은 용왕탄식처럼 용왕과 관련한 수궁가의전반부에 해당하는 더늠을 개발하는 한편 토사호비 고국산천 등수궁가의중반부와 후반부에 해당하는 사설을 다듬기도 하였다 본 논의를 통해서 19세기 판소리 명창들이 개발한 더늠을 검토할 수 있었다 초기 수궁가 명창들은 수궁가 후반부의더늠을 개발하였고 동편제 명창에 이르러 수궁가 전반부의대목에 관심을 두게 되었으며 서편제 명창들은 다시금 수궁가의전반적인 사설을 다듬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으로 볼 때 수궁가 명창들은 초기에는 토끼에 관심을 두었다가 별주부를 비롯한 수궁의신하들 용왕으로 관심의무게를 옮겨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Deoneum, Sugungga(水宮歌), and its tendency of the change through the trace of the Pansori masters who worked in 19th century. The time that the main group of the Sugungga masters appeared in the Pansory history is estimated in early 19th century. The Sugungga masters in this time could be divided in two groups, one is the early days masters who worked in early 19th century and the other is the latter days masters who worked in middle and late 19th century. Kwon Sam-deuk(權三得), Song Heung-lok(宋興祿), Yeom Gyeo-dal(廉季達), and Shin Man-yeob(申萬葉) are the Sugungga masters who worked in early 19th century. By the records they left, I could confirm that they used the description about the dramatic characteristics in the work and Soritjo(Pansori master's tonality), like the appearance of ‘Bangge(crab)’ and ‘Tiger’, and particularly they developed which has the scene of the Rabbit's deceiving the Dragon King and Rabbit's return, ‘Goandaejangja(寬大長者)’, ‘Gaja-Eoseoga’, ‘Sojinowha(笑指蘆花)’, ‘Apnae-Beodeuleun’ and the scene of ‘Rabbit's curse(the part that Rabbit curses Byeljubu)’ etc. I could understand that the interest of the early days Pansori masters about Sugungga is on the characters and the latter part of the work. The separation of Dongpyeonje(東便制) and Seopyeonje(西便制) of Pansori was done in the middle and late 19th century. As the Dongpyeonje master, Song Wu-ryong(宋雨龍), Park Man-sun(朴萬順), Song Man-gab(宋萬甲), Shin Hak-jun(申鶴俊) and Yu Seong-jun(劉成俊) worked. As the Seopyeonje masters, Park Yu-jeon(朴裕全), Kim geo-bok(金巨福), Kim Su-yeong(金壽永) and Baek Gyeong-jun(白慶順) etc. sang Sugungga. The Dongpyeonje masters developed the ‘Toggigibyeon(토끼奇變)’ related Deoneum paying attention on the latter part of Sugungga same as the early days masters. Meanwhile it looks like that they had interest in developing the parts which belong to the middle and early parts of Sugungga like ‘Toggiwhasang(토끼畵像)’, ‘Gogocheonbyeon(皐皐天邊)’ and ‘Tobyeolmundab(兎鱉問答)’. The Seopyeonje masters developed the parts belong to the early part of Sugungga, which are related to Dragon King and the courtiers in Sugung palace, like ‘YongwangTansik(龍王歎息)’. And I could confirm that they developed the parts influenced by Shin Jaehyo's editorials like ‘Tosahobi(兎死狐悲)’ and ‘Goguksancheon(故國山川)’ etc. In short, I could confirm the trend that the Pansori masters in 19th century had interest in from the latter part to the early part of Sugungga. If taking a look focusing on main characters, they moved their interest in from Rabbit to the courtiers including Byeoljubu(鱉主簿) and Dragon King in Sugung palace, and it could say that, in this trend, Sori part and Deoneum were developed.

      • KCI우수등재

        연세대본 <별주부젼>의 이본적 특징과 작품세계

        이진오(Lee, Jin O)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1

        본고에서는 연세대본 <별주부젼>의 이본적 특징과 작품세계를 다루고자 하였다. 연세대본 <별주부젼>은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원에 소장되어 있는 작품을 말한다. 연세대본 <별주부젼>은 토끼전에서 이본으로 아직까지 크게 주목받지는 못한 작품이다. 그 이유는 이 작품이 토끼전의 이본으로서만 언급되었을 뿐, 작품의 소개와 성격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질 기회가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작품의 문면에서 읽혀지는 독특한 특징들은 충분히 검토의 여지를 드러내고 있으며, 검토의 필요성을 충분히 갖게 한다. 여기서는 연세대본 <별주부젼>을 본격적으로 소개하고 이 작품의 이본적 위상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작품을 분석한 결과 연세대본 <별주부젼>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연세대본 <별주부젼>은 필사기(筆寫記)나 사용되는 어휘로 볼 때 1916년에 필사된 작품으로, 전대(前代)의 소설본 토끼전의 화소(話素)와 판소리 가요사설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연세대본 <별주부젼>의 등장인물의 성격과 화소의 측면에서 서울대본 <토기젼>, 경북대본 <토기젼> 그리고 박순호본 <토별산수록>의 작품과 친연성이 확인된다. 특히 별주부를 통하여 용왕을 비판하는 장면이 독특하게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토끼전의 이본 중에서 색다른 것이라 할 수 있어 주목된다. 셋째, 판소리 사설의 영향이 보이나, 현전 수궁가와는 전혀 다른 성격의 가요사설이 들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통하여 연세대본 <별주부젼>을 종합적으로 평가해보자면, 이 작품은 토끼전 중에서 비교적 후대의 등장한 국문필사본으로 판각본, 활자본 등 다양한 형태의 이본이 등장하였던 20세기 전반에 토끼전의 한 지향을 가늠할 수 있게 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별주부를 충신(忠臣)으로 그리기보다는 용왕의 무능함을 폭로하고 조롱하는 인물로 그리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만한 대목이다. 연세대본<별주부젼>의 개작자는 봉건사회를 비판적으로 그리고, 미약하게나마 근대의식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토끼전에서 볼 수 없는 “짝타령” 등 중고제(中古制) 또는 서울지역의 음악문화가 반영된 가요사설이 들어 있다는 점도 눈여겨 볼 부분이다. 이는 이 작품의 등장 배경을 추정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이는 기왕의 소설본과 판소리, 가요사설 중에서 흥미요소가 될 만한 것을 조합하고 거기에다 작가의 개작의식이 더해지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생각된다. 토끼전 이본의 계통은 기왕에 어느 정도 논의가 정리되었고 큰 흐름이 파악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연세대본 <별주부젼>과 같은 개별 작품에 대한 평가는 아직 미미한 형편이다. 이후 이러한 개별 작품의 검토와 분석이 이루어질 때, 판소리계 소설, 더 나아가 고소설에 대한 실질적인 평가가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researched different version characteristic(異本的) of 〈Byeoljubujeon〉from the collection of Yonsei University and its literary world. Yonsei University collection version 〈Byeoljubujeon〉 is a relatively long novel version of 50-page length among different versions(異本) of Tokkijeon, owned by Yonsei University Library National Literature Archive. Yonsei University version 〈Byeoljubujeon〉has not largely received attention as a different version(異本) of Tokkijeon until now. Because this work had no opportunity to be introduced properly, and regular analysis of literary aspect of this work was not conducted. This research aimed at introducing 〈Byeoljubujeon〉 in the dimension of this critical mind and investigating literary world of this work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different version. As the analysis result, this research could draw the characteristics of Yonsei University version 〈Byeoljubujeon〉 as follows, first, Yonsei University version 〈Byeoljubujeon〉 was copied in around 1916, considering transcription record(筆寫記) or used vocabulary, where the influence of chat unit(話素) of novel Tokkijeon of previous generation(前代) and pansori song narration could be identified. Second, affinity with plate version 〈Tosaengjeon〉 series, Nason version 〈Tobyeolsansyurok〉, and Park, sunho version 〈Tobyeolsansyurok〉 was identified in Yonsei University version 〈Byeoljubujeon〉 characters and chat units(話素), etc. Particularly, a distinct intention to critically describe the Dragon King appeared through Byeoljubu, which showed very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is work. Third, this work showed the influence of pansori narration,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it showed differentiated narration composition from presently transmitted Sugungga or completely different type song narration was included. Based on this, when evaluating Yonsei University version 〈Byeoljubujeon〉 on the whole, this work enables us to imagine a direction of Tokkijeon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various types of different versions appeared such as plate version, print version, etc. as the Korean manuscript(國文筆寫本) which appeared in relatively late posterity among Tokkijeon. Particularly, it described Byeoljubu as a character which exposed and laughed at incompetence of Dragon King(or central authority) rather than a loyalist(忠臣). This reflected the writer"s adaptation consciousness, i.e. modern awareness, which looked at the Middle Age society, feudal society critically. Also, it is remarkable that it contains Junggoje(中古制) as “Jjaktaryeong”, etc. which couldn"t be seen in Tokkijeon, or song narration which reflected music culture of SeoulㆍGyeonggiㆍChungcheong region. Because this becomes a clue to explain appearance background of this work. Yonsei University version 〈Byeoljubujeon〉shows various errors in the development of narration. This seems because it combined interest elements among the existing novel version, pansori, and song narration and added the writer"s adaptation consciousness thereto. This work cannot be regarded only as a deviant work, nevertheless it is an independent work among Tokkijeon. Because this work reveals unique resistance awareness, satire, and spice of humor that 1910s"(early 20th century) Tokkijeon had when this work appeared. Overall different version Tokkijeon system and series have been already developed with discourse in a certain degree and a large stream has been comprehended. However, evaluation of individual work as Yonsei University version〈Byeoljubujeon〉 is still insufficient. The researcher expects that actual evaluation on pansori system novel, furthermore, classical novel can be conducted when review and analysis of this individual work is performed, henceforth.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