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근대불교가사에서 자성 찾기와 시대의식

        이진오(Lee, Jin-Oh)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한국민족문화 Vol.61 No.-

        본고에서는 1900년대를 전후하여 불교가사 작품에 나타난 자성 찾기 주제가 집중적으로 나타난 현상에 주목한다. 대중적 문학형식이라고 할 수 있는 가사 문학에 왜 갑자기 이 시기에 그 전에 없던 ‘자성 찾기’라는 특이한 현상이 집중적으로 나타나는가? 그리고, 그것이 당대 불교계의 다른 변화와 어떤 맥락을 형성하는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취지이다. 승려의 도성출입금지가 해제되고 일본불교가 밀어닥치는 와중에서 불교계는 기회와 위기를 동시에 맞이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수행에 깊은 성취를 이룬 선승들이 나서서 제시했던 길은 진정한 자기, 참된 자성의 회복이었다. 이것은 거대한 시대의식을 품고 있는 것이었고, 그것은 격동의 시련을 극복하는 새로운 사회적 실천으로 이어졌다. 1900년대를 전후한 불교는 서구의 근대적 자아 개념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자신의 진면목, 참된 자성을 추구해 오던 유구한 전통을 가진 불교계에서는 불교식으로 진정한 개인의 재탄생을 추구하게 되었다. 이것은 시대의 위기에 대한 대응방식이었다는 점에서 강력한 시대의식을 품고 있는 것이었고, 그런 점에서 서구의 근대와는 다른, 한국적, 그리고 불교적 근대성의 추구라고 할 만하다. 근대불교에서 자성 찾기는 경허에서 학명, 용성, 만공, 한암으로 이어졌다. 이들은 한결같이 ‘자성’, ‘자기’, ‘마음’, ‘천진면목’, ‘나 속의 부처’ 등을 찾기를 촉구하였다. 경허는 사회적 실천으로까지 연결해 내지는 못했지만 이 시기 자성 찾기의 수행적 기초를 마련하는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학명과 용성은 선농일치운동을 통해 노동하면서 수행하는 새로운 수행법을 개발하고, 경제적 자립을 통해 불교적 가치의 건강한 실현을 추구하였다. 만공은 민족불교의 확립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용성과 한암은 불경번역을 통해 불교적 진리의 대중화에 앞장섰다. 21세기 물질주의와 경쟁지상주의가 삶을 압도하는 숨막히는 현실에서 불교적 전통인 ‘자성 찾기’야말로 이 시대의 혼란과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음을 이 연구에서 시사 받을 수 있다. 참된 개인의 자성을 발견함으로써 건강한 사회적 자아의식을 발달시키고, 그것을 사회적 실천으로 확대시키는 모델을 위의 연구를 참조하여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Korean Peninsula went through enormous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nfusion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when Zen Masters Gyeongheo and Hakmyeong, who were leaders of Buddhist community, insisted on true self search through Zen meditation study instead of belief in the Pure Land and faith in Maitreya that were the old mainstream traditions. They employed "Gasa," one of representative styles of popular literature in Joseon, and spread the true self search training method among the public. Living in almost the same times as him, Zen Master Hakmyeong presented the theories and practices to change the reality and society. The vogue initiated by Zen Masters Gyeongheo and Hakmyeong was spread to Zen Masters Yongseong, Mangong, and Hanam and developed into social transformation and practice movements based on true self search through Zen meditation study such as the oneness movement of Zen and agriculture, independence movement, and translation project of Buddhist scriptures into Korean. The Gasa style was also used actively in those movements. The true self search and social change movements during the times evolved into the movements of people rather than those of intellectuals and Buddhist leaders through the active utilization of Gasa style, thus holding huge significance. Moving those movements forward, they earned an insight into what kind of efforts the Buddhist community should make during the confusing transition period betwee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and translated their insights into popular movements through the awakening of people as well as leaders. Those movements represent the new intellect and movement of Buddhism completely different from Joseon.

      • KCI등재후보

        빈스방거, 보스, 프랑클의 정신의학과 현존재분석-철학상담치료 적용 연구-

        이진오 ( Lee Jin-oh )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2010 철학 실천과 상담 Vol.1 No.-

        현존재분석은 1, 2차 대전 후의 새로운 정신사적 분위기에서 발생한 것이다. 이 당시 특히 자연과학에 경도된 정신의학과 정신치료법에 대한 강한 비판이 있었다. 이런 배경에서 소위 “인간학적(anthropologische)” 정신의 학이 탄생한다. 인간학적 정신의학은 Binswanger, von Weizsäcker, Straus, von Gebsattel, Minkowski와 Kunz 등에 의해 창안된 것이다. 이들은 이미 1927년 이전부터 Scheler, Kierkegaard, Brentano, Dilthey, Natorp, Lipps, Bersong, Husserl 및 Heidgger에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소수이긴 하지만 이들 중에는 Jaspers와 Sartre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고, 몇몇 정신의학자들은 “실존적 정신분석”을 창안하기도 했다. 그 중 Frankl이 대표적이다. 이하에서 우리는 스위스의 정신의학자 Binswanger와 그의 제자 Boss 그리고 오스트리아 빈 출신의 실존철학 박사이자 정신과 의사인 Frankl 등에 있어서 현상학적 방법과 현존재 이해내지 실존해명이 정신의학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에는 Binswanger와 Boss의 시간-공간론과 Frankl의 의미(Logo)에 대한 의지론을 참조하여 필자가 불안의 문제를 실존현상학적으로 분석한 것을 본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우리는 철학이 인간의 정신적 고통을 해소하는 데 임상현장에서 어떤 실질적 힘이 있는지를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철학이 지닌 이런 임상적 가능성을 정신의학의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철학에서도 적극적으로 응용할 경우에 임상현장에서 철학상담의 존재이유를 분명히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Die Daseinsanalyse verdankt ihre Entstehung und Entwicklung den geistigen Erneurungen, die auf die beiden Weltkriege folgten. Im Bereich der Psychiatrie entstand in den zwanziger Jahren eine Bewegung, die teils durch die Auseinandersetzung mit der Freudschen Psychoanalyse, teils durch ein wissenschaftliches Unbehagen über die traditionelle klinische Psychopathologie ausgelöst, nach einem neuen Grundlagenverständnis menschlicher Existenz und deren Störungen forschte. So entstand die “anthropologische” Psychiatrie, begründet durch mamhfte Forscher wie Binswanger, von Weizsäcker, Straus, von Gebsattel, Minkowski und Kunz, die bereits vor dem bedeutsamen Jahr 1927 sich an den Werken Schelers, Kierkegaard, Brentano, Dilthey, Natorp, Lipps, Bersong, Husserl und Heidgger orientierten. Weniger bedeutsam war wohl der Einfluß von Jaspers und Sartre. Unter denen gründete Frankl die Logotheraphie als eine existenzielle Psychoanalyse. In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werden die Daseinsanalyse bei Binswanger und Boss und die Logotheraphie bei Frankl zusammenfassend eingeführt. Danach versuche ich ihre Daseinsanalyse auf die Philosophische Praxis anzuwenden. Damit wird es darauf hinweisen, daß solche philsophische Anwendung der psychopathologieschen Daseinsanalyse auch in dem Bereich der philosophischen Beratung allgemein ihre Gültigkeit finden kann.

      • KCI등재
      • KCI등재

        기획 특집 : 몸, 권력, 이미지 ; 의료영역에서의 몸, 이미지, 권력 문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칼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 총론』을 중심으로-

        이진오 ( Jin Oh Le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9 인문학연구 Vol.37 No.-

        의료영역만큼 상징과 이미지가 강력하고 체계적으로 작동하는 곳도 드물다. 그런데 모든 부분에서 다 그렇듯 의료영역에서도 실체와 이미지가 제각각으로 작동하는 경우가 있다. 의사가 자신이 지닌 의사라는 이미지에 기대어 권한을 확대할 경우, 도식적으로 작동하는 의료영역에서의 강력한 상징체계와 이미지로 인해 그가 실제로 그 일에 권리능력이 있는지를 엄밀히 따지지 않고 그것을 방치하는 경우도 있다. 몸에 대한 이해와 이미지 변화는 몸을 다룰 수 있는 권한을 지닌 주체의 변화와 그들의 이미지 변화를 수반한다. 이하에서 우리는 의사들이 오늘날과 같은 이미지와 권력을 획득하게 된 계기들을 살펴볼 것이다. 먼저 우리는 역사적으로 ``육체와 영혼``, ``몸과 마음``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변모해 왔는지 정리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몸에 대한 발언권이 자연과학으로 넘어가는 과정과, 그것이 생물학자와 의사들의 고유영역이 되는 과정도 간략히 고찰할 것이다. 이런 준비작업을 바탕으로 우리는 ``몸과 마음``의 관계에 있어서 유물론에 치우친 심신상관론적 정신분석학의 입장을 칼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 총론』을 길잡이 삼아 비판적으로 논할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전통적으로 몸 전문가이던 의사들이 어떤 근거에서 ``몸과 마음``의 관계에 대한 특정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간 삶의 전 영역을 이끄는 직업군으로 이미지를 변화시키는지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Es gibt Kluft zwischen Imago und Realitat. Imago und Symoble spielen die grosse Rolle in der Klinik. In der szientifisch orientiereten Gegenwart erweitert der Machtbereich des Arztes sich schnell in die anderen Gebieten, wo fruher Philosoph oder Seelesorger tatgig waren. Diese Erweiterung passiert heute automatisch und systematisch, ohne Kritik an seine Potenz in anderen neuen Gebieten, weil sich Arzt als Szientist, der scheinbar Allmacht hat, zeigt. In dieser vorliegenden Arbeit will ich darstellen, wie sich der Begriff des Korpers und Geistes in der Geschichte verandert, wie Arzt seine heutige machtvolle Position gewonnen hat, und wie sich der Machtbereich des Arztes in die anderen Gebieten als Klinikum erstreckt ist. Dabei soll Jaspers` Kriktik an die psysomatische Psychoanalyse bei Freund behandelt werden. Diese Kritik ubt Jaspers in der Allgemeinen Psychopathologie 1913 aus. Jaspers als Existenzphilosoph glaubt an die Unabhanigkeit der Geisitesphanomenen vom Korper, wahrend er als Arzt Somatiker war. Fur Jaspers ist die psysomatische Psychoanalyse von Freudianer wie Weizsacker, Mitscherlich, Mayer und Alexander, eine Anmaßung. Denn in Befrufung auf den materialischen Monismus verlegen sie die Unabhanigkeit der Geisitesphanomenen vom Korper falschlich und erlaubt es statt Philosoph oder Seelsorger dem Arzt als Szientist, Leben zu fuhre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실존현상학과 상담치료 그 이론과 실제

        이진오 ( Jin Oh Lee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인문학연구 Vol.0 No.21

        필자는 본고에서 실존현상학(Existenzphanomenologie)이 상담과 치료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이론과 실제 사례를 통해 보여주려 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실존이 철학사적으로 어떻게 파악되다가 실존철학자들에 의해 심도 있게 다루어지는지 간략히 정리했다. 그런 다음 필자는 실존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의 결과가 빈스방거, 메다르 보스, 빅토 프랑클 등 정신의학자들에 의해 임상에 어떻게 응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정신의학에 먼저 적용된 실존현상학적 탐구의 결과들은 아헨바흐나라베 등 실존현상학을 전공하지 않은 철학상담가들에 의해서도 하나의 일반적인 방법론으로 사용되다가 슈스터, 린트셋, 핀츠, 두어젠 등 실존현상학자들에 의해 핵심방법론으로 사용된다는 사실을 이들 사이의 영향사관계를 정리하며 살펴보았다. 그런데 본고의 일차적 목적은 실존현상학이 인간의 마음을 치유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실존현상학의 상담치료적 적용을 보여주기 위해 필자는 이상과 같은 예비 작업을 마친 후 두 가지 길을 선택하였다. 그 하나는 실존현상학적으로 문제를 다룰 때 필수적인 길잡이가 되는 주요 개념들을 정리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그러한 개념들이 실제 사례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In dieser Arbeit will ich darstellen, wie man die Existenzphanomenologie auf die Lebensberatung und Therapie verwenden kann. In dieser Absicht referiere ich zunachst daruber, wie das Phanomen der Existenz philosophiegeschichtlich begriffen wurde und das philophische Verstandnis der Existenz an die Psychotheraphie von L. Binswager, M. Boss oder V. Frankl angewendet wurden. Im zweiten Teil skiziere ich die Bewegung der Philosophischen Paxis bzw. Beratung von G. Achenbach bis zu S. Schust er und E. v. Duerzen. Diese sind spezi el l di e Existenzphanomenologie auf die Lebensberatung und Therapie anwenden, wahrend jener der Begrunder der moderen Philosophischen Praxis im Sinne der Beratung war. Im dritten Teil stelle ich zusammenfassend einige existenzphanomenologische Begriffe wie z.B. Dasein, Frei, Welt, Zeit und Raum des Daseins, Eigentlichkeit hin, damit sich man die Methode und den Prozebder existenzphanomenologische Philosophischen Praxis umschauen kann. Schlieblich stelle ich vor die Falle, auf die die oben genannten Begriffe als Beratungsmethoden angewendet wurd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