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PTV 방송 프로그램의 효율적 검색방법 연구

        이중식(Joong seek Lee) SBS 2011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9 No.2

        IPTV의 등장은 시청경험을 프로그램 단위로 해체한다. 현재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해 프로그램을 선택하지만 방송의 분절화가 심화되고, 사용자의 능동성이 증가하면 프로그램 내 클립(clip)을 ‘검색’하는 방식으로 진화할 것이다. 본 연구는 IPTV 환경에서 프로그램 내 소단위에 접근 가능한 검색을 구현하기 위해 온톨로지 기반이 필요하다고 가정하였다. 지식구조인 온톨로지는 방송의 분절화로 증발해 버린 편성과 구성의 프로그램의 맥락을 보완하여 시청자의 총체적 경험을 증가시킬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방송용 온톨로지 검색 프로토타입을 구축해 보았다. 방송 콘텐츠 중 시소러스를 빌려 올 수 있는 자연 다큐멘터리를 소재로 선정한 뒤 콘텐츠를 의미단위로 분절하고, 이에 적절한 메타태그를 붙인 뒤 온톨로지 툴로 재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위계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성 평가를 통해 온토롤지 기반의 탐색이 방송 시청자들에게 어떤 느낌으로 다가오는지를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검색과 분류 기반의 브라우징이 적절히 접목되어야 한다는 점, 의미기반의 시멘틱 못지않게 흥행성인 조회수도 부차적인 분류기준으로 의미를 갖고 있다는 점, 방송 콘텐츠의 주제별 사용례(use case)의 분석이 중요하다는 점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advent of the IPTV has decomposed viewing experiences to program unit. While people pick up TV programs through EPG(Electronic Program Guide)at present, it will evolve to the stage where people search clips within a program as the user’s degree of participation. In this paper, it is assumed that the construction of ontology is required to implement the advanced search that is accessible to minor units in a program. Ontology, as a structure of Knowledge, would improve the whole viewer’s experience by complementing the program’s context of composition that has been disappeared by the segmentation of broadcasting. Along this line, the ontology-based search prototype for broadcasting is constructed. Specifically, a documentary about nature, offering thesaurus, was selected first. And then the contents were divided into a meaning unit. Finally, after attaching the appropriate meta tags to each unit, they were reconstituted based on the ontology tool. The primary inquiry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viewers feel about the ontology-based search through the usability evaluation of hierarchical interface.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to name a few, are as follows. First, integrating search into browsing based on classification is necessary. This study’s findings also indicate that the ‘hits’ is as significant as semantic for criteria for classifi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analyzing the classified use case of contents is important.

      • 내가 이렇게 빠르다고? 진동 피드백을 통한 전동킥보드 속도 지각 보조

        이정복(Jeongbok Lee),이중식(Joong-Seek Lee)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최근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 전동킥보드는 학습이 쉽고 휴대가 간편하여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전동킥보드는 급가속능력과 작은 회전각에 비해 취약한 제동장치를 갖고 있으며, 사고 시 안전장치가 부족해 운전자가 큰 피해를 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킥보드의 주행 속도인지는 사고를 피할 수 있는 좋은 정보가 된다. 그러나 전동킥보드의 속도계는 운전자의 시야각 밖에 존재해 인지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운전자가 자신의 주관적 속도감에 의존하여 주행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행속도 지각을 돕기 위한 진동 피드백을 고안하고, 진동 피드백이 운전자의 주행속도 지각에 영향이 있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2 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평평한 직선도로에서 주행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속도유지 상황에서 진동 피드백이 속도 지각을 보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객관적 속도와 지각된 속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운전자의 주행을 보조하는 피드백 정보의 필요성을 제기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맨 뒤가 특수문자였던가?

        이지훈(Jihoon Lee),이중식(Joong-Seek Lee)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웹 브라우저에 비밀번호 자동 저장 기능이 추가되면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기억해야 하는 부담이 과거보다 줄어들었다. 그러나 이 기능은 캐시를 정리하였거나, 다른 기기로 로그인하는 상황에는 사용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비밀번호를 기억해낼 수 있도록 문자 종류별 띄어쓰기가 적용된 비밀번호 입력 창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설문을 통해 브라우저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이유와 빈도를 조사하여 문제 상황을 확인하였다. 이어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식과 기존 방식의 로그인 실패 횟수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브라우저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효율적으로 기억해내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새로운 시민참여모형 : 온라인과학상점

        박대민(Dae-Min Park),이중식(Joong-Seek Lee) 한국언론학회 2010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6 No.2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과학기술사회학을 바탕으로 사회적 과학기술의 개념을 제안하고 시민 참여 방법론으로 온라인과학상점을 시험적으로 구축했다. 사회적 과학기술은 사회에 대한 설명책임성과 타자에 대한 응답책임성을 다하는 과학기술이다. 과학기술의 설명책임성 개념은 과학기술계가 수행했던 진리 추구와 경제적 필요 충족 외에도 다양한 인문적 가치를 추구하며 정치 적, 문화적 필요도 충족할 것을 요청한다. 응답책임성 개념은 과학기술이 직접 초래한 문제점만이 아니라 사회적 약자의 삶을 적극적으로 개선할 것을 요구한다. 온라인과학상점은 사회적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보완된 시민참여 방법론이자, 그 자체로서도 하나의 사회적 과학기술이다. 시험적으로 만든 온라인과학 상점을 활용해본 결과 기존의 시민참여방법론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 보다 많은 시민과 전문가가 참여해 쉬우면서도 지속적인 방식으로 토론을 주고받을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사회적 과학기술 개발에서 민간지는 공식 지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능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This study suggested the concept of social science and technology (SST) based on the discuss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TS), and designed onlin science shop (OSS) as pilot citizen participating methodologies. SST is a science or technology that makes 'accountability' for the society and takes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Accountability of SST imposes science or technology systems on not only pursuiting the truth and fulfilling economic needs, but also embracing various human values and accomplishing political or cultural goals. Responsibility of SST requests to improve social minorities' lives as well as solving problems caused by sciences or technologies. OSS is advanced participatory methodologies to develop SST and also a SST itself. Compared with other methodologies, ass enables us to save more money, to stimulate participation in a sustanable and easy way. Moreover, lay knowledge provides critical perspective that leads the development of formal knowledge to SST.

      • 이미지 기반 SNS 에서의 #해시태그 검색 전략

        나누리(Nuri Na),이중식(Joong-Seek Lee),김진영(Jinyoung Kim)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본 연구는 이미지 기반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해시태그가 검색어로 어떻게 사용되는지, 그리고 해시태그를 통한 검색 행동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인스타그램을 주 3 회 이상 이용하는 사용자 32 명의 2 주간 해시태그 검색 로그 309 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로그 분석을 통해 밝혀낸 검색 유형 중 해시태그 검색의 주요 특징으로 파악된 연쇄적인 검색 행동에 대한 시나리오 기반의 검색실험을 10 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검색에서 사용되는 해시태그를 범주적 속성의 축에 따라 1)카테고리 태그, 2)네비게이션 태그, 3)인스턴스 태그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검색과정에서도 1), 2), 3) 의 해시태그가 각각 다른 속성으로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해시태그를 통한 이미지 검색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비정형 데이터 검색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모바일 Copy-Paste 에 대한 탐색적 연구

        지현수(Hyun soo Ji),이중식(Joong seek Lee)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에서의 Copy-Paste 사용동기와 대상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7 일간 5 명의 사용자 (남 2, 여 3)를 대상으로 모바일 클립보드(Copy 실행시의 임시 저장공간) 속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인터뷰를 함께 진행하였다. 수집된 43 개의 클립보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모바일의 Copy-Paste 사용은 수행 목적에 따라 총 5 개의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편집’ 유형이 모바일 Copy-Paste 에서 독특하게 드러나는 대표특성임을 파악하였다. 또한 Copy-Paste 수행 과정에서 사용자는 작은 화면과 터치 인터페이스라는 모바일의 특성 때문에 일부 지점에서 불편을 겪고 있었다. 불편 지점을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ChenChen, 2014)에서 제시된 수행 단계를 활용했고, 본 조사에서 수집한 데이터와 인터뷰를 통해 세부사항과 맥락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모바일 Copy-Paste 기능에 기술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에서 나아가 사용자의 사용 행태파악을 시도하였고, 이는 추후 사용자 중심의 모바일 Copy-Paste 기능 개선 연구로의 확장 가능성을 지닌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user performance of Copy-Paste operation on mobil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gure out how this function could partially overcome limitations of touch interface. We conducted an experiment for seven days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using the operation. After the experiment, we analyzed the problem of performing operation, as workflow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ChenChen, 2014) figured severa behavior steps of Copy-Paste operation. We focused on smartphone and how Copy-Paste operation was executed differently from desktop interface. Several pain point users countered explored on touch interface. Experimental methods are as follow ; collected user data from mobile clipboard and contextual interviews.

      • MIM 노티피케이션의 인지적 부담 완화를 위한 연구

        김재영(Jaeyoung Kim),이중식(Joong seek Lee),서진욱(Jinwook Seo)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우리는 알림(Notification)의 폭주 시대에 살고 있다. 노티피케이션의 양적 폭증도 문제지만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는 무차별적인 침투는 사용자에게 큰 인지적 부담을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OS 들은 지난 몇 년간 방해금지 모드와 같은 notification control 기능을 갖추었지만, 이러한 기능들은 사용자의 가변적 상황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MIM(Mobile Instant Messenger) 노티피케이션의 침투적 상황을 분석하고 사용자가 상황에 맞게 쉽게 노티피케이션을 조절할 수 있는 직관적인 인터액션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4 일간 6 명에게 MIM 노티피케이션의 부적절성을 기록하도록 안내하고 인터뷰를 통해 이를 보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노티피케이션에 우선순위를 반영, 2) 높은 집중을 요하는 상황에서 전체 노티피케이션 잠금 기능을 지원, 3) 놓친 노티피케이션들에 대한 요약 이라는 디자인 요구사항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디자인 요구사항들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가변적 상황을 반영하는 직관적 노티피케이션 인터액션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 실시간 정보 전달에 적합한 모바일 알림 구성 방식 연구

        지현수(Hyun soo Ji),이중식(Joong seek Lee)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짧은 정보 전달에 효과적인 모바일 알림을 구성하고, 세 가지 알림 메시지 형식에 따른 만족도와 정보 수용도를 측정하여 모바일에서의 정보전달에 효과적인 형식을 도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5 일간 15 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텔레그램(Telegram) 봇을 통한 세 가지 형식의 알림메시지를 발송하여, 짧은 정보에 적절한 형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메시지는 A(키워드), B(키워드 + 소셜), C(키워드 + 뉴스기사)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하였고, 알림 수신 이후에는 유형별 메시지에 대한 만족도와 정보 수용도를 측정하는 설문을 진행하였다. 알림 메시지에 대한 만족도는 ‘키워드 + 뉴스기사’ 형식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키워드 + 소셜’ 형식, ‘키워드’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시간 검색어와 관련된 짧은 기사 내용이 참가자의 정보 이해도를 높여 높은 만족도를 이끈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알림메시지별 정보 수용도는 만족도와 상관없이 ‘키워드 + 소셜 형식’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키워드 + 뉴스기사’, ‘키워드’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뉴스가 전하는 사실 자체보다, 이용자들의 의견이나 반응이 정보의 습득을 촉진하고 내용을 상기하는데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