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형문화재 전시관 디자인 개발 -밀양아리랑 전시관을 중심으로-

        이주형 ( Yi Joohyoung ),박진호 ( Park Jin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밀양아리랑은 2012년 12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다. 밀양시는 2016년 밀양아리랑 아트센터를 완공하고 관련 공연을 정기적으로 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밀양아리랑과 관련된 역사와 정보를 알리고 관련 자료들을 제공할 수 있는 전시공간이 필요했으며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밀양아리랑 전시관을 계획하게 된다. (연구방법) 첫째, 이론 고찰 단계로써 선행논문을 분석하여 무형문화재와 전시매체의 개념과 종류별 특성에 대해 정의한다. 둘째, 현황분석 단계로써 전시관이 들어설 기존공간과 유사 프로젝트의 전시콘텐츠와 매체를 분석한다. 셋째, 디자인개념 단계에서는 전시주제와 시나리오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공간 및 매체구성 계획에서는 전시코너별 콘텐츠와 매체구성을 제안한다. (결과) 이론 고찰을 통해 무형문화재의 개념과 특성을 정의한 후, 유사사례로서 4개의 전시관을 분석하여 콘텐츠와 매체구성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콘텐츠 구성특징은 국내사례의 경우 역사성, 학술적 보존가치와 예술성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고 해외사례의 경우 학술적 보존가치, 기술가치와 예술성에 초점을 맞추어 전시 콘텐츠를 구성하고 있다. 매체구성의 특징은 국내사례의 경우 상호작용매체와 영상매체를 통해 전시내용을 설명하는 반면에 해외사례는 유물 및 모형 같은 입체매체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 정선아리랑전시관을 제외한 전시관은 정기적으로 무형문화의 기술에 숙련된 전문가나 운영자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공연과 시연 등 체험전시 매체를 비중 있게 제공하고 있다. 전시주제는 밀양아리랑의 정신을 표현하기 위해‘밀양아리랑, 새 희망의 울림’이라고 설정하였다. 밀양아리랑으로 시작한 울림이 경상도 지역에서 시작하여 한반도의 민족 전체와 전 세계로 퍼져나간다는 것으로 존별 주제를 풀어나갔다. 전시콘텐츠 계획단계에서는 밀양아리랑의 무형문화재로서의 세 가지 특성인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보전가치에 대한 자료를 수집·정리하였다. 이렇게 세 가지 가치별로 정리된 세부내용들을 전시개념 및 존별 주제 계획단계에서 나누어진 네 개 존의 성격에 맞게 재배열함으로써 전체적인 시나리오의 틀을 제안했다. (결론) 밀양아리랑전시관은 무형문화재를 전시하는 전시관으로 관련유물이 많이 확보되지 않았고 확보된 유물의 질적인 부분이 매우 떨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전시관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역사적가치와 예술적가치 부분을 표현하기 위해 복합적인 매체를 통해 공간을 연출해야만 했다. 향후 무형문화재전시관을 디자인할 때는 공간과 매체의 실행계획 이전에 유물확보, 복제 및 재생산의 과정과 방법을 명확히 정의한 후, 진행할 때 관람객들에게 좀 더 설득력 있고 흥미를 끌 수 있는 요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Miryang Arirang was registered on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December 2012. Miryang City completed the Miryang Arirang Art Center in 2016 and created a space for regular performances. However, an exhibition space was needed to inform the history and information related to Miryang Arirang and provide related materials, and the Miryang Arirang exhibition hall was planned as a solution. (Method) First, at the theoretical review stage, the preceding papers are analyzed to define the concept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exhibition media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Second, at the status analysis stage, the exhibition contents and media of similar projects and the existing space where the exhibition hall will be built are analyzed. Third, in the design concept stage, we proposed an exhibition theme and scenario. Finally, in the space and media composition plan, we proposed contents and media composition for each exhibition corner. (Results) Four exhibition halls were analyzed through similar case analysis. First, Korea’s network-connected convergence media and information retrieval media were applied, while Japanese exhibition halls secured high-quality artifacts and applied individual video and audio media around them. Second, exhibition hall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perated a corner where you could perform and experience. Third, it secures and provides data related to the subject of the exhibition, and serves as a specialized cultural archive by recording and preserving the performance scenes as digital image files in the data room. The theme of the exhibition was set to be “Miryang Arirang, the echo of new hope” to express the spirit of Miryang Arirang. The theme of each zone was solved by saying that Ullim, which started as Miryang Arirang, begins in Gyeongsang-do and spreads to the entire Korean Peninsula and the world. In the planning stage of exhibition content, data on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Miryang Arirang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that is historical, artistic, and academic were collected and organized. By rearranging the details organized by three valu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four zones divided in the exhibition concept and thematic planning stage for each zone, the framework of the overall scenario was created. (Conclusions) To design the Miryang Arirang exhibition hall, there are few related artifacts and the quality of the secured artifacts was very poor. In this situation, to plan the exhibition hall, it was necessary to create a space through a complex medium to express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s. When designing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xhibition hall in the future, the process and method of securing, reproducing, and reproducing relics should be clearly defined prior to the space and media action plan, which in turn, will lead to providing more persuasive and interesting elements to visitors.

      • KCI등재

        제주도 실증단지 홍보관 디자인 개발

        이주형 ( Joohyoung Yi ),박진호 ( Jinho Par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4

        (배경 및 목적)최근 많은 국가들이 정부주도하에 친환경 에너지개발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효율성 증대 측면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 스마트그리드이다. 스마트그리드는 전기의 생산, 운반, 소비과정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함으로써 공급자와 소비자가 서로 상호작용하며 효율성을 강화한 지능형전력망 시스템을 말한다. 우리나라 정부는 스마트그리드를 통한 국가성장 기반조성 1단계사업으로써 2011년 제주도 구좌읍 일대에 세계 최대의 스마트그리드 신기술테스트 단지를 구축하여 기술개발의 결과물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는 2단계 사업이 진행 중에 있으며 2025년까지 제주실증단지를 광역 단위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기반조성 중에 있다. 이에 본 디자인제안에서는 제주도 실증단지 내에 2단계 추진사업의 비전과 사업내용을 홍보하는 전시관을 구축함으로써 실증단지를 찾은 방문객에게 스마트그리드의 기술적 장점과 연구개발을 위한 투자의 필요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범위와 방법)본 디자인 개발에서는 현황 및 자료 분석을 통한 콘텐츠기획과 건물외부의 체험시설 및 내부의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디자인을 진행하였으며 전시관의 건축부분은 제외하였다. 디자인의 진행방법은 첫째, 현황분석 단계로써 스마트그리드기술에 대한 이해 및 가치분석과 전시관을 둘러싼 환경 및 공간을 분석하였다. 둘째, 디자인개념 단계로써 전시관이 효과적인 홍보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공간매체로서의 기능강화와 방문객의 적극적인 관람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방향과 콘셉트를 제시하였다. 셋째, 디자인 프로세스 단계로써 전체적인 전시스토리 라인, 평면 및 동선계획과 공간디자인의 세부내용을 진행하였다. (결과)제주실증단지 홍보관의 전시 프로그램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홍보관 1층은 스마트그리드기술을 통한 거시적 관점에서의 공간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공간으로써 지구촌과 도시의 미래모습을 보여주는``스마트그리드, 세상을 변화시키다!``존으로 제안하였다. 홍보관 2층은 미시적 관점에서의 공간변화에 대한 체험공간으로써 기존의 홈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결된 스마트그리드기술의 다양한 적용방법에 대한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스마트그리드, 집안환경을 변화시키다!``존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야외전시공간에서는 관람객이 전기자동차에 탑승해 충전 및 텔레메틱스 서비스 환경을 체험하는``스마트그리드, 교통 환경을 변화시키다!``존으로 기획하였다. (결론)제주도 실증단지 홍보관은 인간의 삶과 기술의 실질적 접점인 주거와 교통 환경중심의 체험공간을 계획하고 쌍방향매체를 적극적으로 도입함으로써 능동적 관람객 참여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스마트그리드기술의 에너지효율 및 생활편의성을 중심으로 한 전시콘텐츠와 이를 체험하기 위한 디지털 매체의 제안은 결과적으로 스마트그리드의 최초 개발이슈(Issue)인 ``친환경성`` 이라는 주제를 약화시켰다. 이러한 문제점은 3단계 전시관 구축 시, 전시관의 효율적 에너지관리를 통한 운영 방안과 친환경에너지를 활용한 생태공원 조성 등의 직·간접적 체험콘텐츠 강화를 통해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Background and Purpose)In Recent years, Smart Grid has become the most noticeable technology in terms of the enhancing energy efficiency while many nations are eager to explore new sustainable energy sources. Smart Grid is an intelligent power network that integrates IT with the existing power system to optimize energy efficiency through the interactive exchange of real-time information between the supplier and the consumer. The most remarkable plan in Korea``s Smart Grid project is the construction of a Smart Grid Test-bed in Jeju Island. As the 1st stage of the project, the Korean government selected Gujwa-eup, Jeju Island in 2011 as the location for Smart Grid Test-bed. The Test-bed ranked the world largest Smart Grid community that allows the testing of the most advanced Smart Grid technologies and R&D result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business models. At the present, the national project is proceeded to the 2nd stage expanding Test-bed to wide area coverages. Dedicated to deliver administrators`` visions and project results in detail, Jeju Test-bed Exhibition Center will enlighten visitors recognized the not only advantages of Smart Grid, but also needs of R&D. (Method)The design proposal is not including architectural plans but focusing on content plans by analyzing the present Gujwa-eup environments and documentary data. The 1st design step is the analysis of existing conditions nearby surrounding the exhibition center and getting insights of separate technologies consisted in Smart Grid. The next step is the establishing design directions and the concept that makes exhibition space as an effective marketing medium and a cultural landmark attracting community consistently. The last step is presenting spatial program and schematic design that is leading visitors`` circulation and assembling hands-on media in detail. (Result)The overall exhibition programs of the museum are divided in 3 parts. The 1st floor of the center ``Smart Grid, Changing the Global Village!`` is dealing with changing earth, cities`` energy and technology environment on a macro level. The 2nd floor ``Smart Grid, Changing the domestic environment!`` is providing hands-on items that enable to understanding Smart Grid technical applications related with home networking services. the last, out door experiencing zone ``Smart Grid, Changing the transportation environment!`` is delivering real traffic situation by which visitors would grasp the Smart Grid services benefits; driving and charging electric vehicles in person. (Conclusion)To lead visitors`` active participation for experiencing contents, Jeju Test-bed Exhibition Center is designed by residential and traffic environment in that people and technologies are correlation. As a result, the exhibition contents excessively focused on the technical benefits and interactive media fabricated by digital technology worsen the crucial issue of initial needs of developing Smart Grid; the sustainability. the technological issue will be intensified in the 3rd stage exhibition center dealing with the eco-friendly operating system maintaining the museum and the ecology park operated by ecological energy resources.

      • KCI등재

        가로환경개선을 위한 보행 공간 디자인 개발

        이주형(제1저자) ( Joohyoung Yi ),김철중(교신저자) ( Cheoljoong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6

        (배경 및 목적)보행자 관점에서의 가로는 공간을 이동하며 도시의 맥락(Context)을 이해할 수 있는 통로이다. 또한 도시의 매력적인 분위기와 지역적 정체성을 체험하는 매개체이며 연결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가로는 보행자를 고려하지 않고 물리적 기능을 중심으로 계획되어졌으며 이로 인하여 보행환경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였다. 1993년부터 시작된 보행환경에 대한 사회적인식의 변화는 가로가 쾌적한 환경 속에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유동적이며 가변적 소통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디자인 프로젝트에서는 사회의 변화된 요구를 반영한 새로운 가로를 제시하고자 천안의 대표거리인 ‘만남로’를 대상지로 선정하고 환경개선을 위한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범위와 방법)디자인 대상공간은 천안시의 ‘만남로’로서 방죽안오거리부터 터미널사거리까지의 약 550m 구간을 말한다. 디자인범위는 만남로의 가로환경요소 중 물리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으며 보도와 가로시설물개선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연구의 진행방법은 첫째, 현황분석으로써 지역민들의 요구사항과 가로환경의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조사하였다. 또한 만남로의 문제점을 교통, 보행 및 가로시설물 등의 가로환경 요소별로 분석하였다. 둘째, 전체적인 디자인 프로젝트의 방향을 설정하고 시각적 이미지 통합을 위한 공간개념을 제시하였다. 셋째, 전체가로환경을 비워주기 열어주기, 이어주기, 채워주기라는 네 가지 공간개념으로 세부디자인을 진행하였다. (결과)비워주기 과정에서는 차도의 임시 주차공간의 비효율적인 차선 폭을 조정함으로써 보행공간을 확장하였다. 또한 일부구간의 가파른 보도각도를 완화시킴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열어주기 과정에서는 보도의 새로운 평면계획과 전면공지의 불법 옥외 주차장 및 설치물의 정리를 통해 시각적 개방성을 확보하였다. 이어주기 과정에서는 전체거리의 통일된 보도패턴계획과 이면도로 및 천안천 진입로 설치 등의 연계가로계획을 통해 보행자 동선의 연계성을 강조하였다. 채워주기 과정에서는 보행공간에 그늘과 휴게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녹지구간을 제공하고 도시의 통합적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는 새로운 거리시설물을 설치함으로써 보행자의 공간편의성을 제공하였다. (결론)향후 만람로가 천안의 대표적 거리로서 방문객의 지속적 방문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장소적 속성이 강화된 사회문화적인 공간개념으로의 발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주기적인 이벤트 및 행사개최를 통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In terms of pedestrians, a street is the passage of understanding urban context by walking along. It is a connecting space and medium of experiencing unique circumstances and local identities as well. In Korea, Streets were not planned for the pedestrian condition, but focused on physical functions. This attitude has been getting worse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a city. The changes of social recognition for the pedestrians` environment since 1993, however, require clear and comfortable spaces that can lead fluid and changeable communication between pedestrians and urban contexts. This design proposal is try to propose the new street environment reflecting the new social requirement by redesign of Man-nam ro, where is the representative street of Cheonan city. (Method)Man-nam ro is about 550m long street from Bang-juk five-way crossing to the terminal crossroad. The design coverage focuses on the sidewalk and roadside facilities amo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factors. The first step of design is the research of existing condition. The general design requirement is arranged by survey and defined the problems of Man-nam ro are analyzed by checking out traffics, walks, and roadside facilities issues. The second, the design direction and concept are delivered to solve the problems of pedestrians` environment. The third, the design is proceeded by 4 design phases; to void, to open, to connect, and to fill. (Result)To void , the widths of traffic lanes are rearranged to expand the side walk. The temporary parking lanes are narrowed to gain more pedestrians` room. The side walk block too steep is made to easy slope for pedestrian safety also. To open, new pedestrians` space plan and the space in front of buildings are arranged to provide the visitors visual openness. The illegal open parking lots and outdoor facilities are eliminated to get more sights in this step. To Connect, the pedestrians` space block patterns and connecting road are planned to pedestrians` moving coherence. A new passage way connecting Cheonan Stream is proposed to link natural environment specially. To fill, green areas are delivered to provide shading and rest places and newly designed roadside facilities are installed to provide spatial amenities and urban visual image unification. (Conclusion)Attracting visitors constantly as Man-man ro recognized as the representative of Cheon-an city from now on, the street is needed to be enhanced not the pedestrians` environment, but locational properties that means sociocultural space including special activities and symbolic images.

      • KCI등재

        업사이클 전시사례 분석을 통한 커뮤니티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경기도 업사이클 플라자를 중심으로-

        박진호 ( Park Jinho ),이주형 ( Yi Jooh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경기도는 면적대비 인구가 조밀하고 많은 대기업의 생산시설이 들어서 있다. 이러한 조건 때문에 1일 약 77,800톤의 쓰레기와 폐기물이 발생하며 전국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은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2016년 ‘Zero Waste 경기도 비전’을 선포하게 된다. 주요 내용은 향후 10년간 폐기물의 재활용율을 67%까지 끌어올려 1일 폐기물의 발생을 65,000톤 수준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경기도는 이러한 내용을 도민에게 홍보하고 업사이클 활성화를 위해 상상캠퍼스로 새롭게 명명된 구(舊) 서울대 농생대 부지에 업사이클플라자를 구축하여 시민과 기업에게 열린 커뮤니티 공간으로서 업사이클의 생산, 판매, 소비자가 함께 소통하고 공유하는 공간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디자인의 범위는 업사이클플라자 내 커뮤니티 기능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는 소재전시실과 전시카페, 홍보관에 대한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업사이클의 개념과 현황, 입지여건 등을 조사하여 업사이클 플라자가 담당하게 될 역할과 기대효과를 분석하고, 업사이클 특성을 토대로 국내외 업사이클 전시사례를 분석하여 적용 방향성을 도출하며 대상공간에 디자인을 적용, 발전시킨다. (결과) 업사이클 커뮤니티 공간 구축을 위해 소재 생산기업과 제작공방, 소비자의 직접적인 교류를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업사이클의 미래적 가치와 사업내용 홍보를 할 수 있는 공간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 영역인 소재전시실은 경제·소비적 측면의 운영 활성화 공간으로서 소재 생산기업들이 주기적으로 물품을 교체하기 용이하도록 수납공간을 모듈화하고 방사형의 배치로 소재 특성 파악 및 관람객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판매, 소비자의 아이디어 공유를 위해 즉각적인 피드백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하였다. 두 번째, 전시카페는 공간 내 자유롭게 펼쳐진 제품들을 통해서 업사이클의 조형미(造形美)를 발견하고 인접한 입주공방을 자연스럽게 소개함으로서 업사이클 제품의 가치소비를 추구하고자 계획되었다. 아트, 공존, 활용, 희망, 나눔업의 5가지 테마로 업사이클 제품을 전시하며 휴식을 겸한 공간 내에서 제품을 관람, 구입, 탐색해보는 커뮤니티 중심 공간이다. 세 번째, 홍보관은 환경적, 사회적 측면에서 업사이클 산업의 미래와 현재적 특성을 지역과 사회적 이슈를 통해 조명하고 공존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소개하기 위한 콘텐츠 중심의 공간이다. 콘텐츠 전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숫자를 테마로 다양한 관점의 업사이클 스토리텔링을 구성하였으며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이자 지역 커뮤니티 공간으로서 업사이클 플라자의 탄생 과정을 소개하여 사회적 이슈에 대한 지역의 노력과 그 의미를 담아 내고자 하였다. (결론) 경기 업사이클 플라자는 현재 진행형이자 근 미래적 화두를 담론으로 업사이클의 경제·소비적 가치가 사회·환경적으로 올바르게 인식되며 조형적으로 늘 새롭게 탄생되어 질 때 비로소 진정한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민관이 공동의 목적을 위해 공간의 운영자이자 주체로서 인식을 함께 해야 할 것이며 다양한 트랜드 및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는 제품의 활성화와 지속가능성을 염두에 둔 공방 운영에 대한 중·장기적인 지원이 수반 되어져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Gyeonggi-do has a dense population compared to its area, and many large corporations have production facilities. Because of these conditions, about 77,800 tons of trash and waste are generated per day, ranking first in the country. Accordingly, Gyeonggi-do Economics and Science Promotion Agency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the situation and declared the “Zero Waste Gyeonggi-do Vision” in 2016. Gyeonggi province promoted these contents to citizens and established Upcycle Plaza on the site of the former Agricultural colleg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newly named Sangsang Campus, to promote upcycle production, sales, and consumers as a community space open to citizens and businesses. It was intended to provide a space to communicate and share together. (Method) The scope of the design is to develop the design for the material exhibition hall, exhibition cafe, and public relations hall that serve as the focal point of the community function within the Upcycle Plaza. Analyzing the role and expected effects that the Upcycle Plaza will play by examining the concept, status, and location conditions of the upcycle, analyzing domestic and overseas upcycle exhibition cas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cycle to derive application directions and designing in the target space apply and development. (Results) In order to establish an upcycle community space, a space to promote the future value of upcycle and business content was proposed through direct exchanges between material producers, production workshops, and consumers. The first area, the material exhibition room, is an economical and consumer-oriented operation and activation space. The storage space is modularized so that it is easy for material manufacturers to change items periodically, and the radial arrangement facilitates the identification of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the accessibility of visitors. Second, the exhibition cafe was planned to pursue the value consumption of upcycled products by discovering the formative beauty of upcycle through products that are freely unfolded in the space, and naturally introducing the adjacent workshop. Third, the PR Hall is a content-oriented space to illuminate the future and present characteristics of the upcycle industry in terms of environmental and social aspects through local and social issues, and to introduce various efforts for coexistence. (Conclusions) The Gyeonggi Upcycle Plaza has a real meaning only when the economic and consumption values of the upcycle are properly recognized socially and environmentally, and are always reborn in a formative manner with a discourse on the current and near-future topic. To this end,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must recognize as the operator and subject of the space for a common purpose, and mid- to long-term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the workshop with sustainability in mind and revitalization of products suitable for various trends and consumers' eyes is accompanied.

      • KCI등재

        도시재생을 통한 화랑대역사관 디자인 개발

        박진호 ( Park¸ Jinho ),이주형 ( Yi¸ Jooh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서울시는 경춘선 복선 전철화사업이 2010년에 마무리됨에 따라 기존 경춘선의 성북역에서 서울시 경계까지 약 6.3㎞ 폐선부지구간을 공원화하기로 하였다. 이 사업은 2013년부터 전체구간을 3단계로 나눠‘경춘선숲길공원 조성사업’으로 명명되어 공사가 진행되었다. 2017년 하반기부터 진행된 3단계 사업에서는 성북역과 육사삼거리에서 구리시 경계까지의 철도 및 주변공간을 공원화하기로 하고 화랑대역사(驛舍)를 전시관으로 변경하도록 계획하였다. 본 디자인제안에서는 화랑대역을 활용하여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며 경춘선이 지닌 의미를 방문객과 공유할 수 있는 전시관을 계획하였다. (연구방법) 디자인의 범위는 크게 건축 공간부분과 내부전시계획부분으로 나뉜다. 건축 공간에서는 기존의 역사(驛舍)를 전시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개보수하고 마감재를 변경하였다. 전시계획 부분에서는 현황 및 사례분석, 전시개념설정, 전시 시나리오, 공간연출과 세부적인 전시물 제작설치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과) 현황 및 사례 분석을 통해 전시기본방향을 첫째, 실물전시 중심의 연출과 원형의 보존 둘째, 공감각적 연출을 통한 역의 과거 모습 표현 셋째, 사람들의 이야기와 기억의 표현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기본방향을 전제로 전시개념을‘간이역, 시간의 향기로 물들다’로 설정하고 화랑대역의 역사, 화랑대역의 기억과 화랑대역과 사람들의 이야기로 공간 시나리오를 전개하였다. 건축 리모델링 계획은 크게 세 가지 방향에서 접근하였다. 첫째, 색채, 마감재 및 공간의 부분요소가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둘째, 여행의 흥겨운 감정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공간을 연출하였다. 셋째, 비대칭 삼각형 지붕구조의 조형성을 그대로 살릴 수 있도록 하였다. 구체적인 전시계획으로서 첫 번째 존인‘화랑대역, 우리의 역사와 함께하다’는 화랑대역사관에서 가장 큰 공간인 대합실을 활용하여 관람객이 역과 관련된 문학과 음악자료를 읽고 들어봄으로써 그 당시 이 역을 이용했던 사람들의 느낌과 감정을 이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두 번째 존‘화랑대역, 우리의 기억을 담다’는 화랑대역의 공간과 관련된 이야기를 주제로 하며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화랑대역의 건축적 특징과 현재의 모습이 유지되기까지의 복원과정을 모형으로 설명하였다. 세 번째 존‘화랑대역, 수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다’에서는 공간 중앙에 역의 플랫폼과 승강장을 재현하여 분주한 모습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결론) 본 디자인제안에서는 ‘경춘선숲길공원 조성사업’의 마무리 과정으로서 기존 화랑대역을 활용하여 화랑대역사관으로 변화시켰으며 건축물의 개보수와 전시콘텐츠개발 부분으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향후, 지속적 관람객 유입을 위해서는 전시관 내부와 경춘선숲길공원의 외부시설물을 연계하여 체험할 수 있는 행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화랑대역사관 주변공원을 체험형 테마파크로 변화시키고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2010, the double electric track of Kyungchun railroad was finished. Seoul municipal authority decided to develop a park that the area from Seongbuk Station to border of Seoul. This project was proceeded by three stages and named as ‘Developing project of Kyungchun railroad forest park’from 2013 to 2017. In 2017, the third stage of project included that not only making park the nearby rail road from Seongbuk Station to a crossing with the three corners of Korea Military Academy, but changing Hwarangdae Station to a historical museum. This study proposed a plan for preserving historical value of the station and sharing the significance of Kyungchun railroad with visitors. (Method) The overall design project was divided by two parts; planning architectural space and exhibition contents. For planning architectural space, exiting station space was partially renovated and applied finishing materials to change the space as a museum. For planning exhibition contents, Analysing existing circumstances, establishing concept, exhibition scenario, producing space, and plan for fabricating media were proposed for the historic museum. (Results) By analyzing circumstances and example works, the directions of project was established by which are to preserve the archetype by displaying real objects, to produce the past station features by synesthetic presentation and to describe stories and memories of people. This study proposed not only the exhibition concept ‘Station, saturated by scent of time’ as the design directions, but spatial scenario with history, memories, and people of Hwarangdae Station. There were three ways to renovate the exiting architecture of the station. Most of all, color, material, and spatial factors are well matched with overal architectural structure. The second, exhibition space is well produced to make visitors being felt the hilarious atmosphere. The last, asymmetric roof structure is maintained to presenting unique configuration. The exhibition planning details are compromised as three parts. Renovated waiting lounge, first exhibition zone ‘Hwarangdae Station is holding our history’is the largest space. Visitors are able to understand the feeling and emotion of passengers through watching literary and musical items. The next zone ‘Hwarangdae Station has our memories’focused on architectural space that is made by a scale model and registered as a cultural property. The last zone ‘Hwarangdae Station shows stories of passengers’ described vivid and packed scenary of platforms in the center of the museum. (Conclusions) This study approached design in two parts which are architectural reconstruction and exhibition scenario to change the exiting station as a historical museum. To attract visitors constantly, experiencing events relevant to external facilities are being developed. In addition, the surrounding park of historical museum is needed to change as a theme park and to provide various hands-on program for children.

      • KCI등재

        경기문화재단 소속 뮤지엄 수장고의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독립형 공유수장고 도입을 중심으로-

        박진호 ( Park Jinho ),이주형 ( Yi Jooh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경기도는 전국에서 보유 박물관과 미술관의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또한 유일하게 지역의 주요 박물관과 미술관을 경기문화재단에서 통합 관리·운영하고 있어 지역 중심의 공공수장고를 건립하여 운영하기에 효율적인 형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인 운영을 살펴보면 보유자원 측면에서 서울의 박물관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수장공간과 인력 부족의 문제는 심각하기에 개방형 수장고와 독립 수장고로 박물관의 수장기능을 분화하고 전문성을 갖춘 사례를 적용하여 개선 방안을 구상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기존 유사 주제의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새롭게 구축되고 있는 신개념 수장고의 개념변화를 정리하여 특징을 유형화 한다. 둘째, 경기문화재단 소속 6개 기관의 수장고 현황과 유물의 특징을 관계자의 심층면담과 실태파악을 통해 분석하여 독립형 공유수장고의 필요성과 활용성을 도출한다. 셋째, 6개 뮤지엄 수장고의 필요기능을 충족시키는 것을 중심으로 추후 경기지역 뮤지엄이 공유할 수 있는 경기도 문화자원센터의 역할과 기능을 모색한다. 향후 국내 박물관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수장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델로서 활용가능한 방향성을 정리하여 결론으로 맺음한다. (결과) 경기도 문화자원센터는 독립, 공동, 공공, 열린 수장고의 기능을 결합한 시설 모델이다. 독립형 공공수장고로서 개별 기관이 수장공간을 확보하는데 부담을 낮추고 장기적으로 경기지역 문화재 관리의 효율성을 높인다. 수장영역의 개방으로 문화재 관리에 대한 공감, 참여도를 촉진하고 단순 관람객이었던 대중을 후원자, 지지자로 전환하고 관련분야의 연구를 지원한다. 경기지역 문화재 관리 과정을 시스템화하여 역사문화자료의 보존 관리를 통합하는 보존과학 지원센터의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수장의 공유를 통해 각 박물관·미술관 간의 상호 네트워크를 유도하고 소장유물에 대한 검색루트를 단일화하는 경기문화자원 아카이브로 기능한다. (결론) 경기도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문화자원센터 건립의 필요성을 논하는 이 연구를 바탕으로 도입 시 기본전제와 건립대상지 선정에 관한 의제를 도출하여 건립 타당성을 분석해야 할 것이다. 경기도 문화자원센터 사용 대상과 소장품 개방 및 정보화 서비스의 범위를 실현 가능성 있는 기준으로 선정하여 도입시설 및 공간기능의 모델을 도출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건립 대상지 선정을 위해 안전성, 접근성, 유지관리성을 타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국내 박물관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수장기능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새로운 문화시설의 가치를 창출하길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Gyeonggi-do has the largest number of museums and art galleries in the country. In addition, as the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manages and operates the only major local museum and art galleries in the region, it can be considered an efficient form for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local-centered public storage facility. However, when examining the actual operation, it does not compare to the level of museums in Seoul in terms of its owned resources.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lack of storage space and manpower is so serious that the museum’s storage function is divided into open and independent storage, and an improvement plan is devised by applying cases with expertise.(Method) First, theoretical considerations are conducted through prior research on similar topics, and the new concept storages are organized to categorize their characteristics. Second, the necessity and utility of an independent shared storage center are derived by analyzing the status of storage centers and characteristics of relics of the six institutions belonging to the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grasping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eople concerned. Third,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Gyeonggi Cultural Resource Center, which can be shared by museums in the Gyeonggi region in the future, will be explored, focusing on satisfying the necessary functions of the storage of the six museums.(Results) The opening of the storage area promotes sympathy and participation in the management of cultural properties, converts the public―which was simply a visitor, to supporters and supporters, and supports research in related fields. It serves as a conservation science support center that integrates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data by systematizing the cultural property management process in the Gyeonggi region. As a result, it functions as an archive of Gyeonggi cultural resources that induces mutual networks between museums and art galleries through the sharing of heads and unifies the search route for the collections.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which discusses the necessity of building a cultural resource center jointly used by Gyeonggi Province,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basic premise and agenda for the selection of the site for construction, and analyze the feasibility of the construction. Models of introduced facilities and spatial functions should be derived by selecting the targets for use of the Gyeonggi Cultural Resource Center and the range of open collections and information services as feasible criteria. It is important to evaluate safety, accessibility, and maintainability to select the most important construction site.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the value of new cultural facilities can be created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storage functions that domestic museums have in common.

      • KCI등재

        플레이스 브랜딩을 적용한 대학 전시공간에 관한 연구 -금오공대 아이디어팩토리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박진호 ( Park Jinho ),이주형 ( Yi Jooh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대학 교육은 기존 공급자 중심의 구도에서 수요자 중심의 구도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에 대학들은 새로운 시대가 필요로 하는 창의적이고 공감 능력이 있는 인재를 길러내는 동시에 학문과 산업간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혁신을 강조하고 있다. 개교 40주년을 맞는 금오공과대학교는 지역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인재 배출을 주목표로, 변화하는 교육 및 사회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수요자 중심의 역량 강화 시스템을 갖춰 가는데 집중하고 있다. 본 디자인 개발 연구는 대학 브랜드의 공간적 경험을 통해 금오공대의 역량과 성과를 한데 모아 구성원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학생들의 창의적 아이디어 개진을 도우며 대학구성원과 지역 산업계 간 융합형 네트워크 구축의 실현을 위해 교류 및 소통할 수 있는 전시관을 계획하였다. (연구방법) 현황분석으로 콘텐츠와 관람타겟, 대상공간 등의 기초여건을 조사하여 아이디어팩토리가 담당하게 될 역할과 기대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플레이스 브랜딩을 통해 대학 내 전시공간의 체험 방식을 구체화하고 국내외의 유사사례를 조사하여 전시기획의 적용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디자인을 발전시켜 콘텐츠를 관람하고 체험하는 모든 방문객들의 경험들이 전시물과 방문객, 방문객과 방문객 간의 원활한 소통과 교류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공간을 제시하였다. (결과) 현황 및 이용자분석 그리고 금오공대의 공유공간들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아이디어팩토리의 성격을 전시장, 저장소, 창작소로 규정하였다. 또한 플레이스 브랜딩의 공간경험 방식을 국내외 유사사례조사로 발견하고 콘텐츠, 전시기법, 운영방식, 브랜딩이라는 4가지 측면의 핵심키워드에 3가지 성격을 대입하여 전시기획의 적용방안을 도출하였다. 전시영역은 kit의 명예를 높인다는 의미의 ‘Be Famed’, 생동하는 kit를 만든다는 의미의 ‘Be Alive’, 무한한 kit를 누린다는 의미의 ‘Be Smart’로 나뉘어진다. ‘Be Famed’는 모뉴먼트적 상징효과와 함께 역량과 성과의 결과물들을 전시하고 ‘Be Alive’는 가변형 공간구조로서 ‘Be Famed’에서 발견된 상징적 이미지와 연구성과 등이 라운지 형식의 공간을 통해 차별화된 아이디어로서 개진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Be Smart’는 국내외 발명대회에서 금오인재의 수상작품을 소개하여 대학의 연구성과와 학술정보의 오픈엑서스, 리포지터리 공간이 되어지도록 하였다. (결론) 전시장, 저장소, 창작소의 집합체로서 아이디어팩토리는 대외적으로 대학과 지역 산업계의 연계가 활성화되고 대내적으로 학생들과 구성원들의 지속적 관심과 참여가 더해질 때 그 가치를 더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운영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필요하며 주기적, 상시적 콘텐츠의 업데이트와 같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끊임없는 모색이 수반 되어져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recent year, university education is changing from the existing supplier-oriented system to the consumer-oriented composition. As a result, universities are raising creative and sympathetic talents that the new epoch requires, while emphasizing innov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onvergence network that crosses the boundaries between science and industry. Celebrating its 40th anniversary,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KNIT) is focusing on establishing a customer-focused capacity-enhancing system to adapt to changing education and social environments, with the main goal of talent generation required by local industries. This design study has brought together the competence and achievements of KNIT. To raise the pride of its members, help students develop creative ideas, and plan an exhibition hall where they can exchange and communicate to realize a converged network between university members and local industries. (Metho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basic conditions such as contents, viewing targets, and target space were investigated to analyze the role and expected effects that the idea factory will play. In addition, through place branding, the experience method of the exhibition space in the university was specified, and the application plan of exhibition planning was derived by researching similar cases at home and abroad. In addition, a space for smooth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tween visitors and visitors was presented. (Result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user analysis, and analysis of the shared spaces of KN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a factory were defined as exhibition halls, repositories, and creative establishments. Also, by applying three characteristics to the core keywords of four aspects: content, exhibition technique, operation method, and branding, which were discovered through similar case studies at home and abroad, a plan for applying exhibition planning was derived. The exhibition area is divided into ‘Be Famed’, which means to increase the honor of the kit, ‘Be Alive’, which means to make a live kit, and ‘Be Smart’, which means to enjoy an infinite kit. Be Famed’ displays the results of capabilities and achievements along with the monumental symbolic effect, and ‘Be Alive’ is a variable space structure, and the symbolic image and research results found in ‘Be Famed’ are differentiated ideas through lounge type space ‘Be Smart’ introduced the award winning works of international invention competitions. (Conclusions) As a collection of exhibition halls, repositories, and creative establishments, the Idea Factory can add value when the connec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industries is activated externally and the continuous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members is added internally. To this complet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dditional operating programs, and it should be accompanied by constant search for sustainability, such as periodic and regular contents updates.

      • KCI등재

        기록관의 사용자 중심 전시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박진호 ( Park Jinho ),이주형 ( Yi Jooh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1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기록관리의 발전 정도는 민주주의 국가의 모습을 가늠하는 하나의 척도이다. 2006년에 개관한 외교 사교관은 일반인에게 최초로 공개한 특수기록관으로서 외교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에서 직접 외교활동을 학습할 수 있다는 경쟁력이 있다. 하지만 시설개선이 없이 운영되고 있어 전시시설의 낙후, 연출방식의 진부화로 현재 운영하는 교육프로그램의 질과 보유하고 있는 외교 사료의 가치에 비해 낮은 수준의 전시 서비스가 제공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외교사료관의 시설개선안을 제안하는 것을 시작으로 기록관 설립과 운영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현황분석으로 외교사료관 운영방식과 문화활동 제공의 공간 범위를 명확히 하고, 최근 건립되고 있는 정부 부처 및 공공기관의 기록관 사례분석을 통해 대중적 인식을 높이며 다른 기록관을 선도할 수 있는 활동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외교사료관의 실정에 맞는 공간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시설 개편에 적용하였다. (결과)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을 연계하는 '이용확장서비스’의 제공으로 문화적 활동을 다각화하여 사용자 중심 기관으로 시설을 전환한다. 이를 위한 모델로 라키비움을 제안하였다. 외교사교관이 보유한 기능과 자원을 연계하여 관람객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개방형 서고와 체험실, 기획전시실을 신설하고, 일반 관람객이 이용 가능한 공간 범위를 지하 1층과 지상 2층의 일부 영역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1단계, 지하 1층에 청소년 타겟 체험시설과 기획전시실을 구축하고, 2단계로 지상 1층의 상설전시실을 전면개편, 공용공간을 재정비하며, 마지막 3단계에서 지상 2층에 개방형 서고를 구축하여 시설 통합 견학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전시영역, 열람영역, 교육영역, 체험영역, 수장영역, 공용영역으로 명확히 구분되는 시설의 구획에서 벗어나 공간 위계의 변화로 서비스 제공의 범위가 확대될 것을 기대하였다. 체험실은 청소년에게 외교의 꿈과 비전을 심어주는 곳을 목표로 국제회의 가상체험을 할 수 있는 ‘국제회의장’을 연출하였다. 상설전시실은 외교 역사뿐만 아니라 외교부의 업무와 최신 이슈 등 외교부 활동의 가치를 포괄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개편하여 외교사료관의 성격을 구체화하였다. (결론) 이처럼 기록관의 활동프로그램을 사용자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은 한 장소에서 다양한 정보물을 제공받으려는 최근 문화정보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다종다양한 사설 기록관이 건립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록관의 건립 방향성과 전시계획에 본 활동프로그램 제시안이 가이드라인으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Public interest in functional and eco-friendly architecture is rapidly increasing, and accordingly, the introduction of an atrium in sustainable aspects of architecture for various purposes is gaining popularity. An atriu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pace in an environment-friendly way, bringing in natural light, serving as a buffer between indoor and outdoor spaces, and helping with natural ventilation. Based on these sustainable functions, the atrium offers comfort to indoor spaces and plays an active and controllable role for external natural elements. However, if in the initial stage of volume design, the size of the atrium is disarranged, it could give rise to a number of problems such as extreme overheating in the summer, increased cooling load, and condensation. Nevertheless, in order to address these issues, if steps are taken to control the inflow of light and solar energy by installing shades or blinds, it does not realize the benefits of the atrium, while the cost of installing additional devices increases. Studies on atrium volume design are relatively incomple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sign guidelines as basic research data on ways to improve the cooling load and lighting energy by adjusting them so as to increase the benefits of the atrium by bringing in proper lighting through the adjustment of atrium volumes. (Method) Taking into consideration previous studies, the study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atrium, definition of terms, analysis of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and through the Ecotect program, the performance simulation of light collection is conducted and the guidelines are proposed. (Results) It is desirable to plan for the readjustment of the atrium in order for it to become efficient and to bring in as much light as possible into the room, while the long-range atrium on the inter-Korean axis has little effect on light inflow if it is less than 1:6 and the long-sided atrium should have a ratio of more than 6 meters. If the opening area is 1-36 m2, the 6-meter-high atrium, which reduces the average value of DF to the lowest, is the most efficient plan. If the height of the long atrium on the east and west axes is lower, light inflow is reduced by an average of about 3 percent. Lower height and a longer atrium are favorable for proper light inflow. A long atrium helps in easier light inflow than the north and south axes, while a higher atrium on the north and west axes does not affect light in flow. (Conclusions) Through simulation results of this study, the guidelines of the early planning phase of the atrium volume design are presented, thus provided basic data for guid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