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제교육 학습경험이 유아교사의 경제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이종향(Lee, Jong-Hyang)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경제교육 학습경험이 유아교사의 경제이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남지역 G시와 T시의 유아교사 210명이었다. 연구방법은 검사지를 활용한 조사방법이며 연구도구는 전국 초 · 중 · 고등학생 경제이해도 조사의 문항을 기초로 수정 및 보완하여 총 20문제로 구성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t-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경제이해력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 경제교육 학습경험이 있는 유아교사가 그렇지 않은 유아교사보다 경제이해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직에서 교사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가 그렇지 않은 유아교사보다 경제이해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양성과정이나 현직 교사교육이 유아교사의 경제이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에 교사양성과정과 교육현장에서 경제교육을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conomic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study were 210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G city and T city, Gyeongsangnam-do. The research method in an investigation method using a test paper and the research tool was composed of a total of 20 questions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items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economic understanding survey. The analysis method we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a t-test using SPSS Statistic Program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economic understanding was generally low. Second, It show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Learning Experiences for econom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training courses had higher economic Literacy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Third, It show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Learning Experiences for econom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had higher economic Literacy levels than those who did not partake. In conclusion, 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mprove economic literacy. so economic education should be a core component in the 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wider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유아동작교육, 유아체육교육의 교과목 이수에 따른 유아교사의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조사

        이종향(Jong Hyang Lee),김나림(Na Rim Kim),김치곤(Chi Gon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유아동작교육, 유아체육교육의 교과목 이수에 따른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여 유아체육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유아체육활동 인식 및 실태 조사와 관련된 문헌을 분석한 후 전문가 협의를 통해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는 일반적 배경,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인식, 유아체육활동의 실태, 유아체육활동 활성화 방안으로 총 2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예비교사시절에 유아동작교육, 유아체육교육의 교과목 이수가 있고 현재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51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 또는 χ²-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동작교육과 유아체육교육의 교과목 이수에 따라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있어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teachers` completion of movement education or physic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paper discusses ways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After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 and research,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early childhood expert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21 questions related to “teachers` background”,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status of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activation plan for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51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ve completed movement education or physic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t-test and χ2-test. The result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partially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 in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 KCI등재

        탐구학습을 적용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과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종향(Jong Hyang L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탐구학습을 적용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과 공동체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거제시 J동에 위치한 H유치원 유아 21명을 실험집단으로, 같은 동에 위치한 S유치원 유아 22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총 8주였으며 실험집단에는 탐구학습을 적용한 경제교육활동을 실시한 반면 비교집단에는 문학접근법을 적용한 경제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유아의 경제개념과 공동체의식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 한 후 독립포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유아는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경제개념과 공동체의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탐구학습을 적용한 경제교육활동이 경제개념과 공동체의식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economic education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economic concepts and community spirit. Participants consisted of 43 five-year-olds, divided equally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mpare group. The experiment group underwent economic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inquiry learning twice a week for eight weeks for a total of sixteen sessions. The compare group did economic activities using a picture book the same number of times for the same period. The study found that economic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inquiry learning were useful in improving economic concepts and children`s community spirit.

      • 영유아 발달평가도구 개발

        이종향(Jong-Hyang Lee)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타당하고 신뢰로운 영유아 발달평가도구를 영역별로 개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영유아 발달평가 도구들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문헌 분석 후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문항시안을 완성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유아 432명이며 분석은 SPSS 26.0 및 AMO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영역별 변별도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 따르면 각 연령의 영역별 검사도구 모두 타당한 구인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인타당도도 모든 영역에서 적합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도구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infant development evaluation tool by area. To this end,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analyzing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evaluation tools. After analyzing the literature, the constituent factors were derived and the question draft was completed. In addi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were verified. The analysis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6.0 and AMOS 26.0 program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32 infants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s a result of the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discrimination levels for each developmental area were all significant. All age-specific test tools were found to have expanded their constructs to other field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tool can be seen as a reliable and valid tool.

      • KCI등재후보

        로봇 활용 수업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이종향(Jong-Hyang Lee),정재은(Jae-Eun Ju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로봇 활용 수업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로봇 활용 수업에 대한 교수방법과 로봇 활용 수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로봇을 사용하여 수업을 해본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6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반구조화된 심층면담과 교사의 저널쓰기를 통해 자료수집 및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로봇 활용 수업의 가능성으로 매력적인 교수매체, 보조교사의 역할, 또래와 교사의 관계증진 도구, 교사의 교수방법에 대한 자신감 부여로 인식하였다. 반면에 로봇 활용 수업의 한계로 로봇과 로봇 수업에 대한 이해가 필요, 기능적인 한계로 인해 로봇 활용 수업 회피, 로봇 콘텐츠의 질적문제, 소수의 유아에서 다수의 유아로 수업할 수 있는 환경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Robot Learning. The Subjects were 6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xperienced to use Robot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and teachers’ journals. The results showed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R-learning. As possibilities of R-learning, it was found that robot is am attractive teaching material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robot might be an assistant teacher. Third, robot helps children improving their social development. Fourth, teachers might get confident while using robots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of R-learning. First, teachers need to understand what R-learning means. Second, there are some functional problems of R-learning. Third, there are lack of qualitative contents of R-learning. Finally, robots need to be general to every children.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주말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이종향(Jong-Hyang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주말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주말활동에 대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찾고자 시행되었다. 이에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주말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분석 및 전문가 협의를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는 주말프로그램의 필요성, 주말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 주말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 등 총 1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210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χ²검증, 평균과 표준편차, t-검증,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주말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주말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 가족 간의 유대감을 증진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인식하였으며, 유아교육기관이 주말프로그램의 역할로 수요자에게 연결시켜줄 수 있는 연계센터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았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주말프로그램의 주관은 가족이라고 인식하였고, 주말프로그램의 운영자는 외부전문가나 예비유아교사가 했으면 좋겠다고 인식하였다. 주말프로그램의 내용으로는 자연탐구 및 체험관련 활동으로 구성되어져야 한다는 공통된 의견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유아교사들은 주말활동프로그램 참여비로 오천원에서 일만원이 적당하다는 보았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주말프로그램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주말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는 체험시설 확보가 시급하며 무엇보다 주말 프로그램이 유아교육기관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교사의 인식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way to stimulate the Weekend Activities Program, though survey and analysis of awareness about Weekend Activities Program which has been acting in kindergarten The questionnaire to figure out the real state and the awareness about Weekend Activities Program was made through discussion with professional and analysis of relevant literatur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5 questions which were categorized by the awareness on Weekend Activities Program, Weekend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0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at institu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verify the collected data for the study, χ² square,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partially of teacher’s awareness on Weekend Activities Program and real state of Weekend Activities Program,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코칭역량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이종임(Lee, Jong-Im),도미(Do, Mi-Hyang) 한국부모교육학회 2021 부모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코칭역량의 일반적 경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코칭역량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1∼2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린이집 어머니 233명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Pearson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코칭역량, 영아의 정서 지능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은 전체 평균이 보통 수준이었고, 코칭역량 수준과 영아의 정서지능 수준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코칭역량의 하위요인은 영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중 ‘부모 역할 수행에 대한 부담감’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코칭역량 중 ‘의사존중역량’과 ‘자기성장역량’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아의 정서지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코칭역량을 확인해 봄으로써 영아의 정서지능 발달을 위한 부모코칭프로그램의 개발과 양육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실천 방향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trend of mother s parenting stress and coaching competency and to find out how mother s parenting stress and coaching competency affec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3 mothers of daycare centers with infant children aged 1 to 2.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percentag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7.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trend of mother s parenting stress, coaching competency, and infant s emotional intelligence, the overall average of mother s parenting stress level was moderate, and the coaching competency level and infant s emotional intelligence level were moderate or higher.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mother s parenting stress and coaching competency were related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s.Third, when examined in detail through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burden on performing parental roles among mother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infant 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mother s coaching competency and self-growth competency ha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will be useful data for enhancing infants understanding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nfirming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oaching capabilities to develop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ek practical directions for reducing parenting stres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성현(Kim Seong Hyun),이종향(Lee Jong Hya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효능감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의 문제행동 및 교사 효능감 관련 문헌을 분석하고 유아교사, 전공교수와의 면담을 통해 구성요인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성 자료를 기반으로 구성요인을 추출하고 최종 문항에 대한 시안을 구성하였다. 최종 문항 시안은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통해 척도로 개발되었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456명(탐색적 요인분석 173명, 확인적 요인분석 283명)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효능감 척도는 문제행동 지도 및 관리기술(20문항), 개인적 효능감(6문항), 외부 영향요인(11문항)등 3개 요인의 3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요인들의 내적합치도(Cronbach ‘α)는 ,94에서 .98까지나타났으며, 전체 척도의 Cronbach ‘α 값은 .97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효능감 척도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Scale. To do this, literature on young children s problem behavior and teacher efficacy was analyzed, and related data on the components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ajor professors. Based on collected data, the constituent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 final draft was constructed. The final drafts were developed as evaluation scale through verification processe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477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made assessments[193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284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The early childhood teachers’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mposed of 37 questions following 3 primary factors: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nd guidance skills (20 questions), Personal Teaching Efficacy (6questions), External influences (11 questions). Th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α) of these factors ranged from .94 to .98, and the total value of Cronbach’ α was found to be .97.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valid and reliable tool.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양성평등의식과 양성평등 교직사회의 실천방안에 대한 인식

        박찬옥(Park, Chan 0k),이종향(Lee, Jong Hya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1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남녀가 서로 존중하며 살아가는 의식을 유아들이 형성할 수 있도록 교사들의 양성평등 의식을 파악할 뿐만 아니라 유아교사의 교직사회가 양성평등한 사회로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시에 위치한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양성평등의식은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육기관 유형과 경력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양성평등 교직사회의 실천방안으로 교사의 63.6%가 양성불평등 교직사회로 인식하고 있으며 양성평등한 교직사회를 실천하기 위한 방안으로 남자교사 할당제와 의무적 채용을 언급하였다. 그러나 연구대상의 여자교사들의 50%가 남자교사와 근무를 하지 않겠다고 응답하는데 원인이 유아교사의 직업에 대한 성고착화의 문제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 유아교사들은 양성평등의식은 높게 나타났으며 양성평등한 교직사회를 실천하기 위해서 남자교사와 근무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해주어야 하고 이는 양성평등 교직사회를 구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것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교사들은 올바른 양성평등의식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에게 양성평등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자질을 함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for children to grow up with a sense of respecting men and women each other, was supposed to examine the young children teachers’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s well as investigate the Practical Method for Gender Equality teaching community. To do this, 220 young children teachers who working i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are located at S city are surveyed and analyzed the results. Study results of teacher’s Gender Equality perception showed a higher than average, especially in type of institution and teacher’s position, there were differences. That is,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were higher than kindergarten teachers, and a teacher who in charge of a class showed the highest awareness on the Gender Equality. At the results about teaching community, 63.6 percents of the teachers recognized teaching social inequalities in their teaching community. They are also answered one of the solving methods, the male teacher quota system(34.1%)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However, 50% of teachers answered they don’t want to work with male teachers. Through these researches, female teachers are required to correct their recognition about male teachers. Also, in order to form the Gender Equality teaching community, solving methods with a variety of approaches are required to explore.

      • KCI등재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동시활동이 4세 유아의 음운인식과 단어재인에 미치는 효과

        김영실(Kim Young-Sil),이종향(Lee Jong-Hyang),현은자(Hyen Eun-Ja),박현경(Park Hyun-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동시활동이 유아의 음운인식과 단어재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4세 유아로 실험집단 16명, 비교집단 16명이다.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동시활동을,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컴퓨터를 활용한 동시활동을 주 2회씩 4주에 걸쳐 총 8회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동시활동이 유아의 음소 및 음절 인식, 그리고 단어재인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음소인식의 하위과제인 음소변별과 음소탈락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효과가 없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poetr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d recognit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 children aged four, who were equal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poetry activities using an intelligent robot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four weeks for a total of eight sessions. For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poetry activities by using a computer were conducted the same number of times for the same period. Through this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poetry activities using an intelligent robot were useful in improving children's phonemic and syllabic awareness as well as their word recognition. However, they produced no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concerning the low-level tasks of phonemic detection and dele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