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동물체 탐색을 위한 터넬다이오드 백여믹서

        이종각,심수보,윤현보,Lee, Jong-Gak,Sim, Su-Bo,Yun, Hyeon-Bo 대한전자공학회 1974 전자공학회지 Vol.11 No.1

        티넬다이오드를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기로 동작시키면서 출력이 복사되어 이동물체에서 반사할때 변화신호를 티넬다이오드에 주입하여 부성저항영역에서 혼합시키는 경우 이동물체를 포함하는 전체계의 임퍼턴스와 발진조건, 주파수 변환 이론을 고찰했다. 터넬다이오드름 2.035GHz, 0.1mw로 발진시키고 이동물체반사신호와 등가인 신호발생기는 125MHz 낮게 발광시켰다. 입연신호크기에 따른 변환손실은 대신호주입 경우 약 67db였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self-excited mixer using tunnel diode oscillator operated as a microwave source and Doppler signal detector. The system impedance, the oscillation condition and the frequency conversion theory including moving target are investigated. The oscillating frequency and the output of tunnel diode oscillator are 2.035 GHz and 0.1 mW. The input signal frequency which is equivalent to Doppler signal is lower than tunnel diode oscillator frequency by 125 MHz. TDe conversion loss has been investigated as a functicn of input signal level. This loss is greater than 67 db for the large pump mode.

      • 영어 진행상의 의미 연구

        이종각 혜전대학 1997 論文集 Vol.15 No.-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general semantic interpretation scheme of progressive aspect in English within the framework of cognitive grammar of Langacker (1982a, 1982b, 1987, 1991). I propose that the progressive aspect form, "be + V-ing" has meaniung, and the present participle morpheme 'V-ing' focuses attention on a single, arbitrarily selected internal point relative to a process. As an auxiliary element, 'V-ing' is restricted to perfective predicates and is always accompanied by 'be'. 'V-ing' stativizes the trajectory by restricting to s single, arbitrarily selected internal point; it defines a state relative and internal to the perfective process. BE(ING(RUN)) describes the continuation through an indefinite time span of the location of the subject somewhere within the trajectory defined by the perfective predicate RUN. The meaning BE(ING(RUN)) is expressed as a schema. I have observed and described that the prototype, the basic meaning and the extended meaning construct a network of the meaning schema. The prototype is a schematized representation of the typical instance. The protype of the progressive aspect form. "be + V-ing" has the meaning, which stativized the temporal characterics on a point in the middle part of the perfective process, and the verb 'be' extends the stativity by 'V-ing'. The progressive aspect expresses the basic meaning of continuity, incompleteness, and duration. The basic meaning of the progressive aspect extend to the meaning of the future, the repetitive, the momentary, the temporary, and the metaphorical. These are regarded as the extended meaning of the progressive aspect. The relationship of the meanings can be shown in a schema of the prototype, the basic meaning and the extened meaning.

      • KCI등재

        학부모 역할 증가와 민주적 교육발전의 길 그리고 학부모 학문전략 - 교육시민에 대한 지원 전략 -

        이종각(Lee, Jong-Gak)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4

        본고는 학부모의 교육시민적 역할 강화를 위한 전략을 논의한다. 이 논의는 후기관료주의시대에 학부모역할 증가가 시대적 흐름일 뿐만 아니라 향후 민주적 교육발전의 길로도 연결되어 있으므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급변하는 사회에서 교육의 상대적 낙후성 문제로 학부모의 불신과 불만은 높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학부모는 비난 받고, 소외되는 ‘존재감 없음’의 상태에 처해 있다. 존재감 없음의 상태는 학부모를 피동적으로 ‘말해지는 존재’로 남겨지게 만들고, 나아가 학부모가 주체적 역할을 정상적으로 할 수가 없게 한다. 이에 대한 심층원인을 학부모의 ‘낮은 담론적 지위’로 진단하고 그 대응 전략을 2가지로 논의한다. 리브랜딩과 학문전략이다. 먼저 인정투쟁을 위한 리브랜딩으로 ‘학부모 즉 교육시민’을 제안하고, 그 장점을 논의한다. 둘째로 학부모 학문전략은 크게 ➀ 학부모를 새롭게 질문하고 바로알기: 가치재산정, ② 리브랜딩을 통한 인정투쟁과 학부모의 존재감 확보 ③ 학부모 적대적 교육문화에 대한 분석과 저항 ④ 학부모 입장에서 교육보기와 ‘말하는 학부모’로의 전환 등 4가지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학부모 학문전략은 단순히 학부모 역할강화를 추구하는 것이 이상의 확장적 의미가 있다. 지속가능한 민주적 교육발전 모형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과 정부는 교원과 학부모 사이에서 중립을 유지하면서 중재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This paper discusses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parents educational civic roles. This discussion is significant because the increase in the parental role in the post-bureaucratic era is not only a trend of the times, but is also connected to the path of future democratic education development.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despite the high level of distrust and dissatisfaction among parents due to the relative backwardness of education, parents are in a state of non-existence , where they are criticized and marginalized. The state of non-existence leaves parents passively spoken beings , and furthermore, the parents are unable to play an active role normally. The in-depth cause of this is diagnosed as the low discursive status of parents , and the counter strategy is discussed in two ways: rebranding and academic strategy. First, as a rebranding for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parents, that is, educational citizens’ are proposed and the merits are discussed. Second, the academic strategies for parents are largely ➀ Asking parents anew and getting to know them rightly: reevaluating the value of parents, ② Struggle for recognition through rebranding and securing the significance of parents ③ Analysis and resistance to the hostile culture towards parents ④ Viewing education from a parent’s point of view and the transition to a speaking parent . The academic strategies for parents have expanded meanings beyond simply pursuing the reinforcement of parental roles. They emphasize that they are pursuing a sustainable and democratic educational development model and that the government should play a mediating role while maintaining neutrality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 Role of Recreation in Adolescence Culture

        이종각(Lee Jong Gak) 한국체육교육학회 199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4 No.1

        이 논문의 내용은 청소년(靑少年)선도(善導)와 理解라는 측면에서 여가 활동이 담당해야 할 역할과 과제가 무엇인가를 제기해 보자는 것이다그 동안 청소년에 관한 모임에 여러 번 참석한 일이 있다. 그 중심 주제들은 정연한 논리와 체계를 갖춘, 매우 설득력이 강한 것들이었다.그런데 그 논의와 견해가 어찌 된 일인지 날마다 청소년을 대면하고 그들과 함께 살아가는 입장에서 볼 때 다소 아쉬운 감이 없지 않았던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청소년들의 실존의 세계에서 겪게 되는 아픔이나 괴로움이나 욕구에 근접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없었다는 것이다.여기서 발표자는 극히 기본적인 틀 안에서 그 동안의 경험을 통해서 어설프게나마 청소년의 실체를 파악하고, 그들의 욕구라 할 수 있는 여가 활동에 관해서 생각해 보자는 것이다.이 논문은 대략 3가지 측면에서 구성해 보았다.첫째, 청소년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이다. 즉, 청소년에 대한 바른 이해의 시각을 제기해 보자는 것이고, 둘째, 청소년 생활의식과 그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부진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가를 분석하여, 마지막으로 여가 활동이 담당해야 할 역할의 과제가 어디에 있는가를 새악해 보자는 것이다.

      • 일본인과 『징비록』

        이종각 ( Lee Jong Gak ) 서애학회 2020 서애연구 Vol.1 No.-

        류성룡의 임진왜란 회고록 『징비록』은 조선통신사 수행 역관에 의해 일본에 밀반출되어1695년 교토에서 번역본 『조선징비록』이 처음 간행된 이래 현대에 이르기까지 일본인에 의해 최저30여종의 번역, 영인본이 간행되었다. 『징비록』은 수백 년간 임진왜란과 관련한 일본의 역사서 등에 기본사료로서 인용되는 한편 서민층에는 임란 관련 소설류인 조선군기물(朝鮮軍記物) 등을 통해 그 내용이 널리 소개되면서, 일본에서는 임란에 관한 가장 뛰어난 ‘실록’, ‘명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에도시대 중기에는 『징비록』과 아무 관련이 없는 책 이름에 『징비록』을 붙이는가 하면, 류성룡이 등장하는 전통극이 공연되는 등의 『징비록』 현상이 일어나기도 했다. 『조선징비록』은 후일 청나라에 전해지고, 19세기 후반에는 일본주재 영국외교관이 사상 처음 『징비록』 을 영어로 번역, 임진왜란을 다룬 영문저술에 상당부분 인용한다. 이처럼 에도시대 이래 일본에서 『징비록』이 널리 읽히면서 저자인 류성룡과 함께 『징비록』에 비교적 자세히 서술된 이순신의 활약상 등도 일본인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근현대에 들어와 일본인들로부터 류성룡은 ‘조선의 명재상’, ‘현상(賢相)’ ‘역사가’ 등으로, 이순신은 ‘조선 구국의 영웅’, ‘세계제일의 해장(海將)’ 등으로 평가받고 있다. 해방전까지 국내에서 간행된 『징비록』은 수종(4종 추정)에 불과한데 비해 ‘옛 적국’인 일본에서 수배 내지, 십수배 가까이 더 간행된,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가 되는 기현상이 일어난 것이다. 오늘의, 그리고 미래의 한국인들은 『징비록』이 간행된 후 수 백년간 조선, 한국에서보다 일본에서 더 높이 평가받으며, 더 많이 읽힌 아이러니의 함의(含意)를 제대로 인식하지 않으면 안된다. Ryu Seong-ryong’s memoir, the Jingbirok, was smuggled out to Japan by an interpreter who accompanied the Joseon correspondent group. It was first translated into the Joseon Jingbirok in 1695; thereafter, more than thirty different versions of translations were published in Japan. Because it was initially introduced to Japanese society through literary works, the Jingbirok has been highly esteemed as one of the most prominent historical records or masterpieces among the ordinary people of Japan. We may say that a Jingbirok syndrome took place in Japan. For example, even some books unrelated to the Jingbirok bore the same title. Traditional dramas on Ryu Seong-ryong had been staged in Japan. Because of the Jingbirok syndrome, the Chosun Jingbirok even reached Qing (1644-1911) China.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it was translated into English for the first time by a British diplomat based in Japan, and would be cited many times in other English books. Since the Edo period (1603-1868), as the Jingbirok was widely read in Japan, Yi Sunshin (1545-1598) who was described in detail was made known to the Japanese. Ryu Seong-ryong was respected by the Japanese as Joseon’s famous chancellor and historian, and Yi Sunshin as the national hero or the best navy admiral in world history. The Jingbirok was published in Korea four times before the National Liberation in 1945 in stark contrast to Japan where its several hundred versions had been published and widely circulated. It is an interesting irony that the Japanese avidly read the Jingbirok whereas the Koreans simply neglected it.

      • 근·현대 영국·일본인 역사가들이 본 『징비록』

        이종각 ( Lee Jong Gak ) 서애학회 2020 서애연구 Vol.2 No.-

        임진왜란(1592∼98년) 7년 동안 전시재상으로 미증유의 국난을 헤쳐나간 서애 류성룡(西厓 柳成龍)의 임란 회고록 『징비록(懲毖錄)』 은 조선에서 처음 간행(1647∼48년 경)된 뒤 조선통신사를 수행하는 역관에 의해 일본에 전해져 1695년, 교토(京都)에서 『조선징비록(朝鮮懲毖錄)』이란 이름의 번역본으로 간행되었다. 이후 『징비록』은 현대에 이르기까지 약 3백년간 일본과 일제강점기 서울에서 번역, 영인본 등으로 최소 30여종 이상 발간되는,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가 되었다. 이처럼 『징비록』이 ‘옛 적국’인 일본에 전해진 이래 수 백년간 널리 읽혀지며 임진왜란에 관해 ‘이보다 더 나은 사서(史書)는 드물다’는 평가를 받는 가운데 『조선징비록』은 19세기 말 일본에 체류하던 중국인 학자에 의해 청나라에 전해지고, 메이지(明治)시대(1868∼1912년) 초기에는 주일 영국외교관(W. G. Aston)이 『징비록』의 내용을 사상 처음 영어로 번역, 대폭 인용한 영문저술이 간행되었다. 또한 일제강점기 이래 현대에 이르기까지 일본인 역사가들은 류성룡 및 『징비록』에 대한 치밀한 학문적인 분석, 검증을 통해 『징비록』에 대해 입을 모아 임진왜란에 관한 가장 뛰어난 ‘명저’, ‘실록’이라고 절찬하면서, 류성룡을 명재상일뿐 아니라 ‘역사가’로서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이는 『징비록』이 동ㆍ서양, 시대를 넘어 임진왜란에 관한 ‘불멸의 기록’임을 입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필자는 그동안 한국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주일 영국외교관의 영문저술과 근.현대 일본인 역사가들의 『징비록』 및 류성룡 관련 연구논문 4편 등 5편의 자료를 발굴, 전문을 번역(원문 첨부)하여 최근 자료집으로 간행하면서, 이에 그 의미와 주요내용을 소개하는 바이다. 특히 근.현대 일본인 역사가들의 실증적인 학술 논문은 류성룡 및 『징비록』에 대한 국내연구가 전무했던, 해방 이전의 공백을 보완해 주는 측면도 있는 만큼 참고로 삼을만 하다. 이 자료집이 향후 『징비록』 및 류성룡, 나아가 임진왜란 연구에 작은 기여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Jingbirok, Ryu Seong-ryong’s memoirs, was transmitted to Japan by a Joseon embassy and published in 1695 under the title Joseon Jingbirok in Kyoto. Ever since the Jingbirok has remained a steady bestseller in various forms for the three centuries. Highly acclaimed as the best history of the Imjin War, the Joseon Jingbirok has reached numerous readers in Japan. Toward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Joseon Jingbirok was brought to Qing China by a Chinese scholar. In the early Meiji Era, W. G. Aston, then British diplomat to Japan, translated it into English, which led to a corpos of scholarly works. Japanese scholars from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have produced a large corpus of solid scholarly works on Ryu Seong-ryong and his book. In these works, Japanese scholars have praised Ryu not only as a great minister but a great historian, which attests to the immortality of the Jingbirok as historical record. I have recently compiled into a source book hitherto unexplored English language publications by British diplomats, five pieces of primary documents, including four academic articles by modern Japanese historians. This paper introduces those sources, their general contents and significance. Particularly, evidential researches by modern Japanese historians will supplement the weaknesses of Korean scholarship, hoping that this source book will be a meaningful addition to our understanding of Ryu Seong-ryong, the Jingbirok, and, ultimately, the Imjin War.

      • 류성룡의 일본 인식

        이종각 ( Lee Jong Gak ) 서애학회 2021 서애연구 Vol.3 No.-

        임진왜란(1592-98) 중 전시 재상으로 정무와 군무를 총괄했던 류성룡은 일본과 일본인에 대해서는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었던가? 류성룡은 일본인을 교활, 신뢰할 수 없다고 인식하면서도, 일본과는 사대교린이란 조선의 외교방침에 따라 임진왜란 이전에는 일본과의 화친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임진왜란 직전 일본 정세 파악을 겸한 조선통신사 파견이 필요하다고 판단, 이를 성사시킨다. 전쟁 발발 후 류성룡은 일본군의 진법, 용병, 축성 등의 장단점을 파악해 진관제 부활, 부교 개설, 훈련도감 설치 등을 건의, 실시하는 한편 명나라 측에는 강화가 아닌, 일본과의 결전을 촉구한다. 명과 일본은 전쟁 중 조선을 철저히 배제시킨 채 강화교섭을 진행했으나 결렬되어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조선 재침을 명령해 정유재란(1597)이 발발했다. 히데요시가 병사함에 따라 전쟁이 끝나갈 무렵인 1598년 후반 류성룡은 정적들이 일본과의 화친을 주장하여 나라를 그르쳤다는, 이른바 ‘주화오국(主和誤國)’의 죄명으로 탄핵 당함으로써 영의정에서 파직되어 낙향한다. 임진왜란이 발생한 원인은 여러 가지지만, 조선 측에서 보자면, 성종-선조대 조선 위정자들의 일본에의 통신사 파견 무시 등 일본과의 화친의 중요성 간과, 조총으로 무장한 당시 세계최강의 군대를 보유한 일본의 내침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조선 정부의 대외 정세 무지, 건국 후 2백 년간 계속된 태평무드 속의 국방태세 소홀 등이 주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류성룡은 전쟁 전 일본과의 대화를 강조하는 한편, 조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전쟁 중에는 일본군의 진법, 수성, 무기 체계 등을 나름대로 파악하고 있었음은 특기할 만하다고 하겠다. 이 같은 류성룡의 일본 인식은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임진왜란이 끝난 뒤 에도시대 조ㆍ일 양국은 조선통신사 왕래(1607-1811, 총 12차례)가 상징하듯이 평화ㆍ우호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일본에 정한론이 일어나는 가운데 자율적인 근대화에 실패한 조선은 아시아 국가 중 서구식 근대화(메이지유신)를 가장 먼저 추진한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고 말았다. 현재도 마찬가지다. “죽창”, “의병” 운운이 아니라 강력한 국력을 바탕으로 일본과의 친선ㆍ협력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긴요하다. How did Ryu Seong-ryong, the wartime prime minister who was in charge of administrative and military management, think of Japan and the Japanese people? Ryu thought of the Japanese as being sly, untrustworthy; however, before the Imjin War (1592-1598) he was in favor of conciliatory policy toward the Japanese, following the long-standing policy of the Joseon diplomacy, encapsulated in the phrase, "to respect the great and to keep peace with neighboring states." Right before the Imjin War, he played a major role in terms of sending Joseon envoys to Japan because he thought it was necessary to know its political conditions. After the outbreak of the war, Ryu established the military training directorate, restored the garrison-command structure, and constructed floating bridges based on his knowledge of Japan's military organization, military strategies, and its fortress construction methods. At the same time, he request that the Ming troops fight the Japanese troops rather than make peace with them. Ming China and Wae negotiated the peace terms with the complete exclusion of Joseon; however, when their peace treaty fell out, Toyotomi Hideyoshi decided to invade Joseon once again. When Hideyoshi died, Ryu was dismissed from prime ministership and banished to his hometown on a false accusation that he misled the country with his conciliatory policy. There were many reasons why the Imjin War had to occur. In Joseon's perspective, we can enumerate such reasons as: the Joseon statesmen's neglect of Ryu's proposal to send envoys to Japan; Ryu's pre-war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making peace with Japan, the Joseon court's ignorance of Japan's military power, and the unpreparedness of the Joseon military following the preceding two hundred years of peace. It is noteworthy that Ryu was aware of the importance of muskets before the war, and tried to negotiate peace terms with Japan. After the Imjin War, Joseon and Japan maintained peace as demonstrated by the continuous exchange of envoys, twelve times during the period from 1607 and 1811. Toward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when the Japanese discussed the invasion of Korea, the Joseon court failed to modernize by itself, and became the first colony of Japan. We should learn the lessons of history: instead of using anti-Japanese rhetoric for political purposes, Korea should maintain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Japan based on solid national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