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항인지질항체 증후군을 동반한 복합 교원성 질환

        이제경 ( Je Kyung Lee ),정성수 ( Sung Soo Jung ),유태석 ( Tae Seok Yoo ),장대국 ( Dae Kook Chang ),심승철 ( Seung Chul Shim ),고희관 ( Hee Kwan Koh ),김태환 ( Tae Hwan Kim ),전재범 ( Jae Bum Jun ),이인홍,배상철 ( Sang Cheol Bae ) 대한류마티스학회 1998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5 No.2

        The presence of antiphospholipid antibodies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and the primary antiphospholipid antibody syndrome(APS) are well-known risk factors for thrombosis. However, aCL associated with rheumatic diseases other than SLE or primary APS tend to be in low prevalence and low titer, and unassociated with clinical complications. We experienced a 31-year-old female patient with painful swelling, purpura, and intermittent claudication of both lower extremities, moderate thrombocytopenia, and persistent positive antiphospholipid antibodies(43 GPL of aCL, positive LAC). Four years prior to admission, she had been diagnosed at our hospital as a mixed connective tissue disease because of positive anti-nRNP, Raynaud`s phenomenon, swollen hands, polyarthritis, sclerodactyly. After anticoagulant therapy, she experienced remarkable symptomatic improvement. We report an unusual case of antiphospholipid antibody syndrome in mixed connective tissue dise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예기치 않은 전환’을 겪은 한부모여성의 일 경험과 진로적응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송명숙(Myeong-Sook Song), 이제경(Je-Ky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는 예기치 않은 전환을 겪은 한부모여성의 일 경험과 진로적응에 대해 내러티브 탐구로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한부모여성의 진로상담 및 사회적 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예기치 않은 전환을 겪은 한부모여성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심층 인터뷰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2년 7월부터 2022년 12월까지이며 2명의 연구 참여자와 예비인터뷰를 실시하고 연구 참여자마다 3회의 면담과 추가인터뷰를 실시하였다.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절차에 따라 연구 참여자의 전환 경험, 일 경험과 진로적응은 어떠했는지 핵심주제를 범주화하고 자료 분석을 실시하여 내러티브를 재구성하였다. 결과 예기치 않은 전환을 겪은 한부모여성으로서 일 경험과 진로적응에 대한 내러티브는 ‘거꾸로 강을 거슬러 오르는 연어처럼’ 극복해야하는 이야기를 통해 변곡점이 된 시간이었으며, 미처 의미부여하지 못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애쓰는 시간이었고, 이를 통해 스스로가 주인공이 되어 ‘내가 만든 울퉁불퉁한 길’을 걸어가는 여정이었다. 결론 예기치 않은 전환을 겪은 한부모여성의 일 경험과 진로적응에 대한 내러티브의 개인적 정당성은 일을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고 삶의 의미를 새롭게 인식하게 된 것이다. 실제적 정당성은 일에 대한 의미부여와 진로적응의 중요성을 깨닫고 이를 통해 내적 또는 개인적 성장을 이루게 된 것이다. 사회적 정당성은 한부모여성의 일과 자녀양육 환경이 더 나아질 수 있도록 인식개선과 이를 위한 제도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work experience and career adjustment experience of single-parent women who experienced an unanticipated transition through narrative explorat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for single-parent women. Methods Three single parent women who underwent an unexpected transitio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a narrative inquiry metho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ly 2022 to December 2022, and preliminar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research participants, followed by three interviews and additional interviews with each research participant. According to Connelly's (2000) narrative inquiry procedure, the research participants' transition experience, work experience, and career adjustment were categorized into key themes and analyzed to reconstruct the narrative. Results As a single parent woman who underwent an unexpected turn, the narrative about work experience and career adjustment was a turning point through the story of overcoming ‘like a salmon going upside down in a river’, and the time of struggling ‘in search of lost time’ that had not yet been given meaning. It was a journey through which he became the main character and walked the ‘rugged road I made’. Conclusions The personal justification of the narrative about the work experience and career adaptation of single parent women who underwent an unanticipated transition is that they form a new identity and newly recognize the meaning of life through work, and the practical justification is that giving meaning to work and career adaptation are important, and through this to achieve inner or personal growth. The social justification is that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and take an institutional approach to improve the working and child-rearing environment of single-parent women.

      • KCI등재

        학교상담에서 고3 수험생을 위한 언어적 상담기술 연구

        이명희(Lee Myeong?Hee),이제경(Lee Je?Ky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고3 수험생을 위한 언어적 상담기술의 특징과 참여자의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학교상담의 대안을 탐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진로저널 프로그램 참여자인 고3 수험생 49명의 설문 반응과 상담자가 글로 피드백을 제공한 자료를 빈도분석과 사례추출의 방법으로 자료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 모두가 문자언어를 사용한 상담자 피드백에 만족하였으며, 참여자들의 반응은 11가지의 긍정적 반응과 4가지의 부정적 반응으로 나타났다. 언어적 상담기술의 특징은 12가지 유목 중 ‘승인과 확신’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환경의 제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상담의 현실을 극복하고 학교상담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시사점 및 제언을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alternative avenues of research on the subject of school counseling for 3rd-year high school students by analyzing the nature of verbal helping skills on the part of counselors and various reactions of participant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49 high school senior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areer- journal program as respondents. The study analyzes their reactions to the survey. Furthermore, it also includes an analysis of the counselors’ written language feedback to students by conducting both frequency analysis and extraction of example metho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s that participants are satisfied with counselors use of written language feedback. Our conclusions are that the reactions of participants in the survey can be classified into 11 positive reactions and 4 negative reactions. In addition, ‘approval and reassurance’ were the most noticeable characters among the 12 categories of verbal helping skills analyzed. Based on these results and the data harvested, this study addresse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ith regard to using written language feedback for school counseling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the existing constraints of counseling in school, and revitalizing school counseling.

      • KCI등재

        전문대 재학생이 지각한 직업기초능력과 진로결정수준, 구직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김민희(Kim, Min Hee),이제경(Lee, Je Kyu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전문대 재학생이 지각한 직업기초능력, 진로결정수준, 구직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충청․경상지역 8개 전문대학의 368명을 대상으로 본인이 스스로 지각한 직업기초능력, 진로결정수준, 구직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측정변인들의 관계를 살펴본 뒤 구조 모형을 설정하여 적합도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직업기초능력과 구직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진로결정수준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업기초능력은 구직효능감을 통하여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진로결정수준은 진로준비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지만 구직효능감을 매개하면 부적 영향이 줄어들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전문대 재학생의 진로지도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교육적 접근으로는 직업기초능력의 지각 수준을 높이는데 영향을 주는 직업교육의 강화가 필요하고, 둘째, 상담적 접근으로는 구직의 목표를 확고히 하고, 구직하고자 하는 동기를 강화시키는 등 구직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진로결정수준이 높더라도 구체적인 진로 준비 활동을 하지 않는 전문대 재학생들에게는 구직효능감 향상 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진로준비행동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structure relationship among self-perceived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career decision level, job searching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junior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structural model was set and analyzed, and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within the model were identified.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students in junior college. A total of 368 surveys was used for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self-perceived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career decision level, job searching efficacy of junior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Second, self-perceived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and job searching efficacy had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Job searching efficacy had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career decision level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job searching efficacy had an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perceived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th, job searching efficacy had an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n order to raise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junior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self-perceived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and the sense of job searching efficacy. In addition, there are cases where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is not performed even if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is high. Therefore, it is an effective career guidance direction of the college to encourage job searching efficacy and to help achieve the career goal.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백정기(Jung-Ki, baek),이제경(Je-Kyung, l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지역 4개 대학 542명을 대상으로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적응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적응성 사이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자의 경우 부분 매개역할을, 여자의 경우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대학생들의 진로적응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해 주는 것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를 통해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성별에 따라 개입전략이 달라야 함을 보인 것으로서 이에 대한 기초자를 제공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the career adaptability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measured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perceived by 542 college students of four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of Korea. Data analysis was done by SPSS 21.0 and AMOS 2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the career adaptability was partially mediating influenced b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gender difference was influencing to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men it was partially mediated, while in women it was fully mediated. These results make a confirmation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a significant factor in the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and in addition, strategies for improving career adaptability are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 KCI등재
      • KCI등재

        중년전환기 기혼직장여성의 진로구성에 관한 연구

        안후남(Hu Nam Ahn),이제경(Je Ky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사 연구방법을 통해 중년전환기 기혼여성의 진로구성과정과 그 의미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년전환기 기혼여성 7명을 대상으로 내러티브인터뷰를 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Mandelbaum(1973)의 분석단위(차원, 전환, 적응)로 구성하고, Lieblich, Tuval-Mashiach, & Zilber(1998)의 총체적 내용접근으로 코딩 및 범주화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선택과 진로구성과정에 영향을 준 제도적 요인은 ‘IMF 경제위기’, ‘IT산업의 발달’, ‘비정규직법’이었다. 둘째, 삶의 차원은 ‘가족: 알파걸에서 수퍼우먼으로’, ‘일터: 투명인간에서 인간’으로, ‘SNS공간: 카페인 세상 속에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구성과정은 ‘관계’안에서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며 ‘자아’를 실현해 내는 과정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현재 한국사회 중년전환기 여성들의 진로구성 과정에서 외부적 맥락과 중년전환기 여성의 심리내적인 요인들을 이해하는 하나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meaning of career construction and life changes of women in their mid-life transition based on their career life histor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women in their mid-life transition. This study constructed a timeline by analytic unit(dimension, turning point , adaptation of Madelbaum(1973). through Lieblich, Tuval-Mashiach, & Zilber(199) s holistic content approach. The specific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it follows, The specific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it follows, first, the prominent external contexts of ‘IMF economic crisis’, ‘IT industries , ‘the protection of non-regular workers . Second, life dimensions is ‘family :alpha-girl to super-woman’, ‘workplace :the invisible man to visible man , ‘SNS world’. Thrid, career construction is the meaning of a ‘given role to lead ‘relationship’ acquires while realizing the nature of the process. The results of this paper could be that a women turn to understand the career construction in their mid-life transition through analysing external context and experiences of it. This study discussed and mad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대학생의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 내러티브 탐구: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서진희(Jin-Hee Suh),이제경(Je-Kyung L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자신의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그 경험에 대해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지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로 공학 계열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 세 명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을 위한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5월부터 2018년 9월까지이며 참여자당 5-6회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험을 연구하는 관점이자 방법론인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하는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러티브 탐구 결과, 직업가치 발달에 있어서 부모는 내 자녀의 이야기와 생각에 집중할 필요가 있었다. 부모와 자녀가 자유롭게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하고, 자녀가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들어주고, 자녀의 의견을 지지하고 자율성을 부여해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였다. 연구 참여자 김주영의 부모와의 경험은 어머니와의 소통단절과 갈등, 아버지의 지지로 요약된다. 김주영이 지닌 협동, 공유, 영향력 발휘 등의 직업가치는 이러한 긴장관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김성준은 진심으로 존경하는 아버지처럼 유능하지 못하다는 생각에 부모님께 죄송스럽다. 김성준에게는 미안한 마음과 더불어 위축감을 느끼게 하는 아버지가 있었고, 소통이 잘 되는 어머니가 있었다. 이는 김성준이 인정, 발전성, 전문성이라는 직업가치를 갖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김소희의 부모와의 경험은 아버지, 어머니와의 의사소통과 지지로 요약된다. 김소희가 지닌 전문성, 성취, 영향력 등의 직업가치는 이러한 관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내러티브 탐구과정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과 함께 도출해낸 대학생의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의 의미는 ‘부모와 함께하는 직업가치 발달’, ‘부모가 바라는 자녀의 직업가치’, ‘보답, 부모에게 전하는 마음’, ‘독립, 자녀의 갈망이 담긴 가치’의 4가지 주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직업가치 발달에 관한 부모와의 경험과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의 맥락에서 상담에 대한 제언점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 과제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college students perceive their experiences with parents about their work value development and what they mean for those experience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engineer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for in-depth interviews is from May 2016 to September 2018, and 5-6 interviews were conducted per participan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narrative inquiry method, which is a perspective and methodology for studying experiences,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2000). As a result of narrative inquiry, parents needed to focus on my child"s stories and thoughts. It was of utmost importance that parents and children communicate freely and openly, listen to what their children really want, support their opinions and give them autonomy. Kim"s experience with parents is summarized as disconnection and conflict with mother and father"s support. Work value such as co-operation, sharing and influence of Kim Joo-young was interpreted as being influenced by this tension. Kim Sung-jun is sorry to his parents that he can not be competent like his sincere and respectful father. Kim Sung-jun had a father who felt depressed with a sorry heart, and there was a mother who communicated well. This has become a background in which Kim Sung - joon has the work value of recognition, development, and professionalism. Kim So-hee"s experience with parents about work value development is summarized as communication and support with father and mother. Kim So-hee"s work value, achievement, influence, etc. Were interpreted as influenced by this relationship.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with parent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work values of college students, derived together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process, appeared in four themes. ‘Development of work value with parents’, ‘The work value of the child"s parents want", ‘Repayment, a heart to convey to parents’, ‘Independence, values that contain children"s longing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counseling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experiences with parents, personal legitimacy, practical legitimacy, and social legitimacy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work value of college student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projects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