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역수문모형과 빈도해석을 이용한 충주댐 상류유역 지하수 개발가능량의 평가

        이정은,김남원,정일문,이정우,Lee, Jeong-Eun,Kim, Nam-Won,Chung, Il-Moon,Lee, Jeong-Wo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8 자원환경지질 Vol.41 No.4

        지하수 함양은 수문학적으로 복잡한 프로세스로서 강우의 빈도, 강도, 지속시간, 계절적 분포 뿐 아니라 온도, 습도, 풍속과 같은 기상인자, 그리고 지하수위 상부에 존재하는 토양 및 암반층의 특성과 깊이, 지표의 지형과 식생분포 및 토지이용과도 관련된다(Memon, 1995). 이러한 지하수 함양량의 영향요소를 반영하기 위해 연속 유역수문모형인 SWAT-K를 이용하여 충주댐 상류 유역의 지하수 함양량을 계산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0년 빈도 갈수시 강수량에 함양계수를 곱하여 지역별 개발가능량을 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빈도해석을 통한 10년 빈도 갈수시의 함양량을 추정, 이를 기존 개발가능량 값과 비교, 검토하는 방식으로 충주댐 상류유역의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평가하였으며, 이같은 계산 절차를 통해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산정하는 기존 절차의 문제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Memon(1995) pointed out that the groundwater recharge from the precipitation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occurrence, intensity, duration,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rainfall; air temperature, humidity, and wind velocity; the character and thickness of the soil layer above the water table; vegetated cover, soil moisture content, depth to the water table, topography; and land use. To reflect above factors, groundwater recharge in Chungju basin is computed by using the SWAT-K which is a longterm continuous watershed hydrologic model. Frequency analysis is adopted to evaluate the existing values of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which is made by the 10 year drought frequency rainfall multiplied by recharge coefficient. In this work, the recharge rates of 10 year drought frequency in subbains were computed and compared with the existing values of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This process could point out the problems of existing precesses used for computing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 KCI등재

        평창 두타산 산림식생의 군집유형과 입지환경요인의 상관관계

        이정은,신재권,김동갑,윤충원,Lee, Jeong Eun,Shin, Jae Kwon,Kim, Dong Gap,Yun, Chung Weon 한국산림과학회 2017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6 No.3

        본 연구는 두타산 일대 산림식생구조를 밝히고, 식생유형분류와 입지환경인자와의 상관관계 파악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6년 6월부터 10월까지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의해 식생조사를 수행하여 총 46개소의 식생자료를 획득하였고, 이 자료를 토대로 식생분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상위 수준에서 신갈나무군락군으로 분류되었으며, 신갈나무군락군은 철쭉군락과 거제수나무군락의 2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철쭉군락은 동자꽃군과 철쭉전형군 2개의 군으로 세분되었고 동자꽃군은 박새소군과 동자꽃전형소군 2개의 소군으로 세분되었다. 거제수나무군락은 들메나무군과 박달나무군 2개 군으로 세분되었다. 들메나무군은 병꽃나무소군과 승마소군 2개 소군으로 세분되었다. 두타산 일대 산림식생은 총 6개의 식생단위, 14개의 종군단위, 2쌍의 대별종군으로 분류되었다. 수관층위구조의 분석결과, 식생단위별로 임관의 계층이 서로 겹치지 않는 단조로운 구조인 박새소군(식생단위 1), 동자꽃전형소군(식생단위 2), 병꽃나무소군(식생단위 4)과 겹치는 복잡한 구조인 철쭉전형군(식생단위 3) 승마소군(식생단위 5), 박달나무군(식생단위 6)이 나타났다. 승마소군(식생단위 5)의 수직적 계층구조가 가장 발달하였으며, 박달나무군(식생단위 6)은 초본층 식피율이 가장 낮았다. 일치법에 의한 식생단위와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해발 1,100 m, 사면 중부, 경사 $20^{\circ}$, 암석노출도 20%, 교목층 DBH 30 cm를 기준으로 철쭉군락(식생단위 1~3)과 거제수나무군락(식생단위 4~6)이 분류되었다. CCA 분석 결과 철쭉군락(식생단위 1~3)은 해발, 지형과 정의 상관관계, 거제수나무군락(식생단위 4~6)은 부의 상관관계 분포경향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orest vegetation type classificat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type and environment factor in Mt. Dutasan. Data were collected by total of forty six plots using Z-M phytosociological method from June to October, 2016, and analyzed by vegetation classification, canopy layer structure and relationships between vegetation unit and environment factor using coincidence methods. As a result of vegetation type classification,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was classified at a top level of vegetation hierarchy that was classified into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y and Betula costata community. R. schlippenbachii community was divided into Lychnis cognata group and R. schlippenbachii typical group. L. cognata group was subdivided into Veratrum oxysepalum subgroup and L. cognata typical subgroup. B. costata community was divided into Fraxinus mandshurica group and Betula schmidtii group. F. mandshurica group was subdivided into Weigela subsessilis subgroup and Cimicifuga heracleifolia subgroup. Therefore the forest vegetation was composed of six vegetation units with two kinds of bisected species groups and fourteen species groups. As the result of an analysis of canopy layer structure, there were two kinds of structures with monotonous structures V. oxysepalum subgroup (vegetation units 1), L. cognata typical subgroup (vegetation units 2), W. subsessilis subgroup (vegetation units 4) and complicated structures R. schlippenbachii typical group (vegetation units 3), C. heracleifolia subgroup (vegetation units 5), Betula schmidtii group (vegetation units 6). The vertical layer structure of vegetation unit 5 was the most developed and vegetation unit 6 had the lowest coverage of herb layer.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vegetation unit and environmental factor, R. schlippenbachii community (vegetation units 1~3) and B. costata community (vegetation units 4~6) were classified based on 1,100 m of altitude, middle slope, twenty of slope degree, twenty percents of bare rock and thirty centimeters of DBH in tree layer. R. schlippenbachii community (vegetation units 1~3)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ltitude, topography and B. costata community (vegetation units 4~6)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endency with them.

      • KCI우수등재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한 진주지역의 지하수 개발가능량 추정

        이정은(Lee, Jeong Eun),정일문(Chung, Il-Moon),이정우(Lee, Jeongwoo),김민규(Kim, Min Gyu) 대한토목학회 202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1 No.6

        본 연구에서는 진주지역의 지속가능한 지하수 공급을 위한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추정하고자 한다. 토지이용, 토양분포 등을 고려한 분포형 함양량을 산정하기 위해 통합수문해석 모형인 SWAT-MODFLOW를 사용하였다. 모형의 검보정 결과 관측유량과 모의유량치와 모의치의 결정계수가 0.75 ~ 0.80으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계산된 지하수 함양량은 시공간적 분포를 나타내며 겨울과 봄에 걸쳐 낮은 함양량을 나타내나 여름과 가을에는 함양량이 강수량의 패턴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계산된 연평균 함양량을 자연유량의 기저유출 분리법을 이용한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편차는 3 %내로 적게 나타나 추정된 함양량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하수 개발가능량은 10년빈도 갈수시의 함양량으로 규정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통계학적 빈도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10년빈도 갈수시의 함양량을 산정한 결과 연 강수량의 14.2 %가 개발가능한 양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exploitable groundwater for the sustainable supply of groundwater in the Jinju region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As an integrated hydrologic analysis model, SWAT-MODFLOW was used to estimate the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in consideration of land use and soil distribution. As a result of calibration of the model,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between the observed flow and the simulated flow was 0.75-0.80, which was good. The simulated groundwater recharge rate showed a spatio-temporal distribution due to heterogeneous watershed characteristics. The amount of groundwater recharge shows lower values over winter and spring, but it increases according to the pattern of precipitation in summer and autumn. The calculated average annual groundwater recharge was compared with the result using the baseflow separation method of natural flow, and the deviation of both results was small, within 3 %,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estimated groundwater recharge. Exploitable groundwater is defined as the amount of recharge corresponding to low flow with 10 years of return period. Therefore, in this study, 14.2 % of the annual precipitation was found to be exploitable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recharge at a 10-year frequency using a statistical frequency analysis technique.

      • 생물다양성 및 외래 양서·파충류에 대한 대중 인식에 관한 연구

        이정은 ( Jung-eun Lee ),주귀암 ( Gwui-am Ju ),이세형 ( Se-hyung Lee ),박승민 ( Seoung-min Park ),함충호 ( Chung-ho Ham ),김지원 ( Ji-won Kim ),최재혁 ( Jae-hyeaok Choi ),성하철 ( Ha-chea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2

        다양한 생물들이 상호작용하여 안정성이 유지되는 생태계는 기후변화, 서식지 훼손, 외래생물 유입 등의 변화에 따라 생태계 안정성이 크게 변화하게 된다. 최근 교통 수단 발달 및 국가간 교류 증가에 따라 외래생물 유입이 증가 되었으며, 이로 인해 생태계의 안정성이 위협되고 있다. 또한 외래생물의 유입은 생물다양성 감소, 질병 전이 및 생태계 교란, 경제적 손실까지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중의 올바른 인식 및 환경 태도 함양이 중요하다. 생태계 생물 구성 요소 중 양서·파충류는 생태계 지표종으로 기후 및 환경적 변화에 민감하여 생물다양성 감소에 높은 위협을 받는 생물 분류군에 해당한다. 따라서 외래 양서·파충류 유입은 생물다양성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과거 우리나라 또한 양식 또는 식용으로 외래 양서류 황소개구리를 유입하여 생태계 교란 및 파괴에 심각한 문제가 나타난 바 있다. 이러한 외래 양서·파충류 유입에 의한 생물다양성 감소, 생태계 교란, 위해성 등의 환경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중의 인식 개선 및 환경적 소양을 함양 통해 친환경적인 행동수행을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대중들의 외래 양서·파충류에 대한 올바른 환경적 소양 함양을 위해 생물다양성 및 외래 양서·파충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다양성: 양서·파충류’, ‘양서·파충류’, ‘외래 양서·파충류’의 총 3개 분야 55개 문항에 대한 대중들의 인지 및 정의 측면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인식 조사 결과 각 분야의 평균 점수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외래 양서·파충류’ 분야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각 분야에 대한 인식의 상관 계수를 도출한 결과, ‘생물다양성: 양서·파충류’와 ‘양서·파충류’ 분야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Male=.805, Female=.740 Total=.740), 생물다양성의 인식이 높을수록 양서·파충류에 대한 인식도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각 세부 문항별 응답 분석 결과 가장 높은 인식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생물다양성: 양서·파충류’ 분야의 경우 인지적 인식에서 생물다양성의 의미 중 ‘생태계다양성 의미(M=.946, SD=.227)’, 정의적 인식에서 생물다양성 가치 중 ‘윤리적 가치(M=4.225 SD=.841)’로 나타났으며, ‘양서·파충류’ 분야에서는 인지적 인식에서 양서·파충류 지식 중 ‘생태 지위(양서류)(M=.628, SD=0.485)’, 정의적 인식에서 양서·파충류 감소 원인 중 ‘서식지 파괴(M=3.961 SD=0.887)’로 나타났다. ‘외래 양서·파충류’ 분야의 경우 인지적 인식에서 외래 양서·파충류 인식 중 ‘간접적 인식(M=.713, SD=.454)’, 정의적 인식에서 양서·파충류 관리 방안 중 ‘토종 보호(M=3.879, SD=0.984)’ 항목에서 가장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중들의 생물다양성 및 외래 양서·파충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한 것으로 생물다양성 및 외래 양서·파충류에 대해 대중들이 올바르게 인식하는 항목과 미흡하게 인식하는 항목 및 인식의 정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중들의 생물다양성 및 외래 양서·파충류에 대한 인식 개선 자료, 시민 교육 자료 개발 등에 기초 자료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봉화 선달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산림식생 유형

        이정은 ( Jeong Eun Lee ),이철호 ( Cheul Ho Lee ),윤충원 ( Chung Weon Yu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1

        본 연구는 봉화 선달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을 대상으로 산림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2018년 6월부터 10월까지총 137개의 조사구에서 식생조사를 수행하였다.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식생유형을 분류하고 각 식생단위별 중요치와 종다양도를 산출하였다. 군락군 수준에서 산림 식생유형은 신갈나무군락군으로 구분되었으며, 군락수준에서는 신갈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속단군락, 소나무군락, 신갈나무전형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군수준에서는 층층나무군락의 하위단위로 함박꽃나무군과 담쟁이덩굴군, 소나무군락의 하위단위로 산앵도나무군, 굴참나무군, 소나무전형군으로 구분되었다. 소군수준에서 함박꽃나무군은 구성종의 차이에 의해 복장나무소군과 함박꽃나무전형소군으로, 담쟁이덩굴군이 일본잎갈나무소군, 잣나무소군, 담쟁이덩굴전형소군으로, 산앵도나무군이 꼬리진달래소군과 산앵도나무전형소군으로 다시 구분되었다. 중요치 분석 결과, 교목층에서 층층나무,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신갈나무, 고로쇠나무, 소나무, 굴참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분석 결과, 선달산 유전자원보호구역의 종다양도는 1.969으로 다른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비해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Seondalsan, Bongwha-gun, was analyzed.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in 137 quadrat plots using the Z-M phytosociological method from June to October 2018. These data wereanalyzed using vegetation classification, importance value,and species diversity. Consequently, vegetation was classified as a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that was divided into four communities: Cornus controversa, Phlomis umbrosa, Pinus densiflora, and Q. mongolica communities. The C. controversa community was subdivided into Magnolia sieboldii and Parthenocissus tricuspidata groups; the P. densiflora community was divided into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Quercus variabilis, and P. densiflora groups. In the C. controversa community, the M. sieboldii group was divided into the Acer mandshuricum and M. sieboldii subgroups, whereas the P. tricuspidata group was divided into the Larix kaempferi, Pinus koraiensis, and P. tricuspidata subgroups. In the P. densiflora community, the V. hirtum var. koreanum group was divided into the Rhododendron micranthum and V. hirtum var. koreanum subgroups. According to importance value analysis, C. controversa, L. kaempferi, P. koraiensis, Q. mongolica, Acer pictum subsp. mono, P. densiflora, and Q. variabilis were mainly indicated to have high value in the tree layer. The species diversity of Mt. Seondalsan was 1.969, which was greater than that of another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 KCI등재

        Didymella sp.에 의한 고사리 신규 마름병 발생 보고

        이정은(Jung Eun Lee),김기범(Ki Beom Kim),박주은(Ju Eun Park),김다운(Da-Woon Kim),신유경(Yoo-Kyoung Shin),윤성환(Sung-Hwan Yun),정영륜(Young-Ryun Chung) 한국식물병리학회 2019 식물병연구 Vol.25 No.3

        An outbreak of new disease with leaf and stem blight symptom occurred at bracken-growing fields in Namhae-gun, Gyeongsangnam-do, Korea during the last 4 years. This new disease caused significant yield losses on bracken production in this area. We have collected diseased leaves and stems showing the blight symptom in May, July, and October 2018 to investigate causal pathogens. A total of 92 fungal isolates were obtained from the diseased samples and their pathogenicity was tested on healthy bracken leaves. From the total isolates, 22 isolates were able to produce the leaf blight symptom similar to the original one found in the fields. To identify two fungal pathogens which showed higher virulence levels compared to other pathogenic isolates, we constructed phylogenetic trees using the nucleotide sequences of genes for ribosomal RNA, RNA polymerase beta subunit, beta tubulin, and internal transcribed region. Most phylogenetic trees constructed indicate that both isolates, which are identical to each other, reside in a clade of the genus Didymella and possibly similar to D. rumicicola or D. acetosellae. Nevertheless, the exact identification of these pathogens at the species level needs further investigation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 blight disease on bracken by Didymella sp.

      • KCI등재

        제주도 남동사면의 산림식생구조와 해발고별 산림군집 및 개체군 분포 특성

        이정은 ( Jeong Eun Lee ),윤충원 ( Chung Weon Yu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2

        본 연구는 한라산 남동사면을 대상으로 해발에 따라 변화하는 산림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해발 16m부터 1,565 m까지 100 m 간격으로 총 59개의 조사구에서 식생조사를 수행하고, 클러스터 분석으로 군집유형을 분류하였으며, 해발고별 수종 구성과 종다양도를 분석하였다. 군집유형은 유형1 졸참나무군집(Quercus serrata community), 유형2 개서어나무군집(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유형3 서어나무군집(Carpinus laxiflora community), 유형4 소나무군집(Pinus densiflora community), 유형5 구상나무군집(Abies koreana community), 유형6 구실잣밤나무군집(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유형7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community)로 분류되었다. 해발고별 교목층의 중요치 분석 결과 100-600 m 까지는 구실잣밤나무와 붉가시나무, 700-800 m에서 서어나무, 졸참나무, 개서어나무, 1,100-1,200 m에서 소나무, 1,500-1,600 m 구간에서 구상나무의 중요치가 각각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의 경우 해발 700-800 m, 1,200-1,300 m, 1,400-1,500 m에서 종다양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생태계의 추이대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The change in vegetation structure along elevational gradients on the southeastern part of Mt. Hallasan was studied.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with 59 quadrates located from 16 to 1,565 m with 100 m intervals. Community types were classified using cluster analysis, and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were analyzed along elevational gradients. The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seven, namely, type 1 Quercus serrata community, type 2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type 3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type 4 Pinus densiflora community, type 5 Abies koreana community, type 6 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and type 7 Quercus acuta community. The species with a high importance value in tree layer in each elevational zone were C. sieboldii and Q. acuta at 100-600 m; C. laxiflora, Q. serrata, and C. tschonoskii at 700-800 m; P. densiflora at 1,100-1,200 m; and Abies koreana at 1,500-1,600 m. The species diversity indicated higher value at 700-800 m, 1,200-1,300 m and 1,400-1,500 m than at the other elevation.

      • KCI등재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기반 초등 영어과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창의적 인성 및 학습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은(Lee, Jung Eun),정혜영(Chung, Hye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4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based elementary English language program on not only the speaking ability but also the creative personality that defines the creativity from affective aspects, and the learning flow that is a prerequisite for the emergence of creativity. The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highlighted the following. First, the proposed flipped learning-based elementary English language program exe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learners English speaking ability. Also, the program did not exer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upper-level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rea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program scores in the middle and lower levels in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the program exe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enhancement of elementary English learners’creative personality. In the experimental clas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all domains except independence. Also, the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upper, middle and lower levels of English speaking skills in the experimental class. Third, the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betterment of learners’ learning flow. Among the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clas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all sub-domain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across the upper, middle and lower levels of English skills in the experimental clas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e flipped learning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in English subject, and warrant further studies on how to develop the flipped learning-based elementary English language program as a method of enhancing futuristic core competencies. 본 연구는 플립러닝 기반 초등 영어과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창의적 인성 및 학습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서울시 소재 Y초등학교 6학년 학생 88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업은 2016년 10월부터 12월까지 3개월간 18차시로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그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러닝 기반 초등 영어과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능력에 효과가 있었다. 특히 실험반의 중 집단과 하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본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창의적 인성 함양에 효과가 있었다. 특히 실험반은 창의적 인성의 6가지 하위영역 중 ‘독립성’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영어 말하기 수준별 세 집단 모두 유의미한차이를 보였다. 셋째, 본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학습몰입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실험반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영어 말하기 수준별세 집단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플립러닝방법이 초등 영어과에서의 말하기 능력 및 창의력 신장을 위한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장폐쇄에서 나타나는 장점막 손상의 진단에서 내독소의 유용성

        이정은(Jeong-Eun Lee),염차경(Cha-Kyong Yom),박재정(Jae-Jung Park),한기환(Ki-Hwan Han),허정원(Jung-Won Huh),성순희(Sun-Hee Sung),정구용(Ku-Yong Chung) 대한외과학회 2008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74 No.2

        Purpose: The treatment outcome of an intestinal obstruction depends on the early recognition and emergent operation of a strangulated intestinal obstruction. Endotoxin is a lipopolysaccharide component of the cell wall of gram negative bacteria that normally exist in the intestinal lumen. When a strangulated obstruction occurs, the endotoxin passes transluminally into the peritoneal cavity and blood stream. A disruption of the mucosal barrier is an important putative cause in this pathogenes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dotoxin level and progress of an intestinal obstruction to a strangulated obstruction. Methods: 25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200∼250 g) were divided into 3 groups, the control group, simple obstruction group, and closed loop obstruction group. An intestinal obstruction was induced using a silk tie. Blood samples and obstructed bowel wall specimens were obtained at 24, 48 and 72 hours after surgery. The endotoxin and IL-6 levels were examined, and all specimens were reviewed by a pathologist for mucosal damage after H-E staining. Results: In the obstruction groups, dilated bowel loops at the proximal end of the obstruction site was identified but there were no ischemic changes. The endotoxin and IL-6 levels were similar regardless of the obstruction types and time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he degree of mucosal damage. However, according to the endotoxin level, the groups with an endotoxin level <0.2 EU/㎖ showed mild mucosal damage. The severity of mucosal damage increased with increasing endotoxin level. Conclusion: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r2=0.673, P-value=0.002) between the endotoxin level and mucosal damage.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sing endotoxin as a predictive factor for the detection of mucosal injury in an intestinal obstruction. However, a larger scale will be needed to confir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