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응이동훈련이 아동의 자세 불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 단일사례설계

        이정아 ( Jeong-a Lee ),김진철 ( Jin-cheol Kim ) 대한물리의학회 2019 대한물리의학회지 Vol.14 No.3

        PURPOSE: This study was examined the effects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CLT) on the postural imbalance and gait in children. METHODS: Four children were sampled as subjects. A single subject study (A-B-A’) was conducted by measuring the following: baseline five sessions;, intervention phase, 15 sessions;, and postline (A’) five sessions. The research period was eight weeks. The CLT program consisted of warming-up exercise, main exercise, and finishing exercise, and it was performed for one hour per day. A oneleg standing test (OLST) was performed determine the static balance. A functional reach test (FRT) was performed determine the reactionary balance. To determine the dynamic balance, the time up and go test (TUG) was performed. A 10m walking test (10 MW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walking ability. A statistical test was perform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o present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variation rate was compared using a visual analysis method with graphs. RESULTS: As a result of CLT application, all four subjects improved the OLST, FRT, TUG, and 10 MWT compared to the intervention period baseline, and postline period. CONCLUSION: CLT appeared to improve the posture imbalance and gait in children.

      • SCOPUSKCI등재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기능성 원료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 Resveratrol, trans-Scirpusin A의 분석법 개발 및 검증

        권진관(Jin Gwan Kwon),정연우(Yeon Woo Jung),최윤혁(Yun-Hyeok Choi),이지은(Ji Eun Lee),정원식(Wonsik Jeong),이정아(Jung A Lee),최춘환(Chun Whan Choi),안은경(Eun-Kyung Ahn),최용문(Yongmun Choi),홍성수(Seong Su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1 No.11

        본 연구는 HPLC를 이용하여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로 개발하기 위한 원료 표준화의 일환으로,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지표성분을 resveratrol과 trans-scirpusin A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HPLC 분석법을 확립하여 유효성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법 유효성 검증은 특이성, 직선성, 정확도, 정밀도,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등을 통해 분석법의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표준용액과 청가시덩굴 추출물 간의 HPLC 크로마토그램 및 UV spectrum의 일치 여부 등의 비교를 통해 다른 물질과 간섭 없이 피크가 분리된 것으로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준용액 검량선의 상관계수(R²)는 0.9999로 매우 우수한 직선성으로 관찰되어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검량선의 기울기 및 표준편차를 이용한 검출한계는 resveratrol이 0.98 μg/mL, trans-scirpusin A는 0.49 μg/mL였고 정량한계는 resveratrol이 2.98 μg/mL, trans-scirpusin A는 1.48 μg/mL로 각각 확인되었다. 청가시덩굴 추출물에 표준물질을 3개 농도 첨가하고 분석한 회수율은 resveratrol이 98.77~99.24%, trans-scirpusin A는 98.45~99.45%로 나타나 정확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조제 농도 2.2, 4.4 및 6.6 mg/mL에서 반복성은 resveratrol이 0.99~1.22%, trans-scirpusin A는 1.12~1.32%를, 실험실 내 정밀성에서는 일내 정밀성은 resveratrol이 0.67~0.87%, trans-scirpusin A는 1.18~1.33%로 나타났고 일간 정밀성은 resveratrol이 0.93~1.22%, trans-scirpusin A는 1.33~2.27%로 확인되어 본 분석법은 정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확립된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resveratrol과 trans-scirpusin A의 HPLC 분석법은 적합한 시험법으로 검증되었으며, 본 시험법은 향후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개발과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stablish an analytical metho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HPLC for the standard determination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as functional ingredients in Smilax sieboldii extract. We evaluated the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of various analytical methods for detecting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using HPLC. The specificity was confirmed by the chromatogram obtained using the HPLC analytical method. Also, the results of UV an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R²) obtained was 0.999, which confirmed that this was a suitable analysis with high linearity. The LOD was 0.98, 0.49 μg/mL, and LOQ was 2.98, 1.48 μg/mL, which was confirmed as a suitable limit level for the analysis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content in the S. sieboldii extract. The recovery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content was determined to be 98.77±0.73∼99.24±1.47% and 98.45±1.18∼99.45±1.66%, respectively, indicating high accuracy. The intra-day repeatability and the intra-laboratory precision of the daily repetition were confirmed to be 0.67∼0.87%, 1.18∼1.33% and 0.93∼1.22%, 1.33∼2.27%, respectively, for trans-scirpusin A, for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ported HPLC method is simple, reliable, and reproducible for the detection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in S. sieboldii extract.

      • KCI등재

        3T3-L1 지방세포에서 초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이정아 ( Jung A Lee ),박영진 ( Young Jin Park ),정원식 ( Wonsik Jeong ),홍성수 ( Seong Su Hong ),안은경 ( Eun-kyung Ahn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7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0 No.1

        본 연구에서는 초과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 연구를 통해 항비만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초과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 및 지방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3T3-L1지방전구세포에 분화를 유도하면서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고, 그 결과 초과 에탄올 추출물은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이 같은 활성에 대한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지방세포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PPARγ)와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C/EBPα), 그리고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활성을 확인해 보았다. 실험 결과 초과 에탄올 추출물은 PPARγ와 C/EBPα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adipogenesis marker 유전자들의 발현을 억제 시켰다. 따라서 초과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분화 및 adipogenesis 억제 활성을 통해 항비만 소재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momum tsao-ko used as a traditional oriental herbal medicine, is indigenous to several Asia countr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obesity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Amomum Taso-ko (A. tsao-ko). The ethanol extract of A. tsao-ko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using Oil Red O assay in 3T3-L1 cells. Inhibitory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of A. tsao-ko on adipogenesis was modulated by down-regulation adipogenic transcriptional factor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C/EBPα) and suppressed expression of fatty acid synthase, aP2, and resistin. We demonstrated that A. tsao-ko significantly inhibited adipogenesis and reduced PPARγ and C/EBPα expres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tsao-ko has an anti-obesity effect by inhibit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and adipocyte-specific genes in 3T3-L1 cells.

      • KCI등재

        몽골 우기누르 철-망간 부존 지역의 3차원 지질모델과 자력탐사 결과의 비교분석

        이정아,유재형,박계순,이범한,김인준,허철호,Lee, Jeong-a,Yu, Jaehyung,Park, Gyesoon,Lee, Bum han,Kim, In-Joon,Heo, Chul-H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5 자원환경지질 Vol.48 No.4

        본 연구는 몽골 아르항가이 주 남동부 지역에 위치하는 우기누르 철-망간 광화대에 대해 3차원 지질모델을 구축하고 자력탐사와 비교 분석하여 지질 내 광체의 분포 특성을 유추하였다. 단면도 구축, Surface 모델링, 엽리 모델링 및 솔리드 모델링의 4단계로 3차원 지질모델을 구축한 결과, 연구지역 1과 2는 북서방향의 단층을 경계로 서부에는 문군체층이 동부에는 야실층이 분포하며 지질암체 내 표현된 엽리의 주된 주향 방향은 북서방향을 보이며 이러한 경향성은 지질경계를 이루는 북서방향 단층과의 유사하다. 연구지역의 자력탐사 자료를 이상치 분포특성에 따라 살펴본 결과, 자화율의 임계값이 낮을수록 이상치 분포대가 수직적인 분포를 보이는 경향이 관찰되나 임계값이 높아짐에 따라 이상대의 분포가 점차 지표 및 이와 인접한 천부에 집중된다. 자력탐사 이상대의 분포와 지질분포를 3차원 상에서 비교분석한 결과, 연구지역 1에서 자력탐사 이상대의 분포가 주로 북서방향 단층의 서부에 분포하는 문군체층에 신장된 형태의 렌즈상으로 분포하나, 연구지역 2의 경우 문군체층과 야실층에 균등한 분포를 보인다. 3차원 지질모델과 자력탐사 분포 특성을 비교분석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본 연구지역에서는 실루리아기에 광화작용과 연관된 화산활동이 있었으며, 이 후 발생한 구조운동에 의해 광화대가 구조선을 따라 재배열 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constructed a 3D geological model for Uggi Nuur Fe-Mn mineralization zone in Mongolia, and the 3D geological distribution is cross-analyzed with magnetic anomaly distribution to figure out relationship between ore zone and subsurface geology. As a result of 4 step 3D modeling procedures including geological cross section, surface modeling, foliation modeling and solid modeling, the geology of the both study area is bordered by faults in NW direction with Munguntessj formation being located in the west side of the fault while Yashill formation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ault. Moreover, the strike direction of foliation in the both formation shows same directional pattern with the NW faults. The magnetic anomaly distribution reveals that higher anomaly values are concentrated to near the ground surface. The analyses of 3 dimensional distribution between subsurface geology and magnetic anomaly indicates that higher anomaly is mainly distributed over the Munguntessj formation as a elongated lens bodies whereas the magnetic anomaly is evenly found in the both of Munguntessj formation and Yashill formation in the study area 2. It infers that volcanic activities associated mineralization occurred during silurian period, and the mineralized zone is thought to be realigned along the geological structures caused by later stage tectonic activities.

      • KCI등재

        간 이식 환자에서 발생한 아스페르길루스 심내막염 1예

        홍경욱 ( Kyung Wook Hong ),이정아 ( Jeong A Lee ),박혜원 ( Hye Won Park ),권혜리 ( Hye Lee Kwon ),조성진 ( Seong Jin Cho ),김재석 ( Jae Seok Kim ),엄중식 ( Joong Sik Eom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1

        최근 장기 이식과 그 이후의 면역 억제제 복용에 의한 면역저하, 심장 수술, 후천성 면역 결핍증, 항암제, 장기간의 항생제 사용, 약물 남용 등의 선행 요인이 증가하면서 진균에 의한 심내막염의 빈도도 늘고 있다. 그러나 진균에 의한 심내막염은 혈액배양에서의 균 동정률이 낮아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간 이식을 받은 후 면역억제제 복용 중 심내막염을 진단 받았으나 경험적 항생제 요법에 호전되지 않아 인공판막 치환술을 시행한 뒤 사망한 환자에서, 증식편 배양검사 및 조직검사에서 아스페르길루스 감염이 의심되어서 증식편 조직에 있는 진균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Aspergillus fumigatus를 확인했던 아스페르길루스 심내막염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It is known that the incidence of fungal endocarditis is increasing as the precipitating factors, such as organ transplantation, use of immunosuppressive agents, previous cardiac surgery, AIDS, chemotherapy, and long-term antibiotic use are on the rise. However, the diagnosis and adequate treatment of fungal endocarditis is likely to be delayed as blood cultures are rarely positive. We report a case of native valve endocarditis in a patient who underwent liver transplantation and was taking immunosuppressive agents. Because of no improvement despite empirical antibiotic treatment, a mitral valve replacement was performed. Tissue culture and biopsy of the vegetations revealed Aspergillus spp., and A. fumigatus was identified by analysi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DNA sequences of the pathogenic fungus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Despite surgical intervention, she died of an acute cerebral infarction with cerebral edema. (Korean J Med 75:115-118, 2008)

      • KCI등재

        악골에서 발견된 multiple myeloma의 구강내 plasmacytoma 병소: 증례보고

        이정아,박지영,윤성훈,박민규,김창현,박재억,Lee, Jeong-A,Park, Ji-Young,Yun, Sung-Hun,Park, Min-Kyu,Kim, Chang-Hyun,Park, Je-Uk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7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9 No.1

        Plasma cell neoplasms are generally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multiple myeloma(MM), solitary plasmacytoma of the bone(SPB), plasma cell leukemias, and extramedullary plasmacytomas(EMP). These tumors may be further described as localized or diffuse in presentation. Localized plasma cell neoplasms are rare occurrences and include solitary plasmacytomas of the skeletal system, which account for 2-5% of all plasma cell neoplasms and extramedullary plasmacytomas of the soft tissue, which account for approximately 3% of all such neoplasms. A plasmacytoma is defined as any discrete, most likely solitary mass of neoplastic plasma cells either in the bone marrow or in various soft tissue sites. Diffuse lesions include the other two groups, multiple myeloma and plasma cell leukemi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processes has not yet been definitively characterized, but there appears to be a continuum in which both SPB and EMP often progress to MM. The patient was referred who had continuous deep throbbing bone pain and swelling on the left posterior gingival area of the mandible after extra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olar. The result of intraoperative excisional biopsy of the lesion was confirmed as a plasmacytoma. And it revealed systemic multiple myeloma through the further diagnostic work-up. It is worth to report because of a rare case of multiple myeloma found in oral cavity as a form of plasmacytoma.

      • SCOPUSKCI등재

        Volume-Controlled Mode의 기계환기시 동일환 I:E Ratio하에서 Inspiratory Pause가 기도압 몇 가스교환에 미치는 영향

        최원준,정성한,이정아,최강현,Choi, Won-Jun,Jung, Sung-Han,Lee, Jeong-A,Choe, Kang-Hyeon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199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45 No.5

        연구배경: Volume controlled ventilation(VCV)시 inspiratory pause의 사용은 흡기시간을 연장하여 평균기도압을 상승시키고 가스교환을 호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같은 흡기시간을 유지하더라도 inspiratory pause를 사용하였을 경우 평균기도압과 가스교환의 변화에 대하여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방 법: 저자들은 VCV으로 기계호흡을 받는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흡기산소농도, 상시호흡량, 호흡수 및 I : E ratio(1 : 3)는 변화시키지 않고 5%의 pause를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기도압 및 가스교환의 변화를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은 pause를 사용한 경우 $38.6{\pm}7.4$ mmHg로 시용하지 않은 경우의 $41.0{\pm}7.7$ mmHg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1). 동맥혈 산소분압은 pause를 사용한 경우 $94.4{\pm}23.2$ mmHg로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91.8{\pm}19.7$ mmHg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으나 (p=0.054), 폐포-동맥혈 산소분압차$(P(A-a)O_2)$는 pause 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185.3{\pm}86.5$ mmHg vs. $184.9{\pm}84.9$ mmHg, P=0.766). 평균기도압은 pause를 사용한 경우 $9.7{\pm}4.0\;cmH_2O$로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8.8{\pm}4.0\;cmH_2O$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1). Pause를 사용했을 때의 pause pressure와 pause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최고흡기압의 차이는 호흡기계의 저항과 역상관관계를 보였으나 (r=-0.777, p<0.01), pause가 없을 때의 최고흡기압에서 pause를 사용했을 때의 최고흡기압으로의 증가는 호흡기계의 저항과 정상관관계를 보여 (r=0.811, p<0.01), 평균기도압의 차이는 호흡기계의 저항과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다(r=0.681, p<0.05). 평균기도압의 변화는 $PaCO_2$의 변화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Volume control ventilation시 동일한 1:3 의 I:E ratio하에서라도 5%의 inspiratory pause를 사용하는 것이 평균기도압을 더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며 폐환기를 호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호흡기계의 저항이 증가되어 있을수록 평균기도압의 상승이 많았으나 평균기도압의 상승 정도는 폐환기의 변화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Background : In volume-controlled ventilation, the use of inspiratory pause increases the inspiratory time and thus increases mean airway pressure and improves ventilation. But under the same I : E ratio, the effects of inspiratory pause on mean airway pressure and gas exchange are not certain. Moreover, the effect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sistance of respiratory system. So we studied the effects of inspiratory pause on airway pressure and gas exchange under the same I : E ratio in volume-controlled ventilation. Methods: Airway pressure and arterial blood gases were evaluated in 12 patients under volume-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with and without inspiratory pause time 5%. The I : E ratio of 1 : 3, $FiO_2$, tidal volume, respiratory rate, and PEEP were kept constant. Results: $PaCO_2$ with inspiratory pause was lower than without inspiratory pause ($38.6{\pm}7.4$ mmHg vs. $41.0{\pm}7.7$ mmHg. p<0.01). P(A-a)$O_2$ was not different between ventilation with and without inspiratory pause $185.3{\pm}86.5$ mmHg vs. $184.9{\pm}84.9$ mmHg, p=0.766). Mean airway pressure with inspiratory pause was higher than without inspiratory pause ($9.7{\pm}4.0\;cmH_2O$ vs. $8.8{\pm}4.0\;cmH_2O$, p<0.01). The resistance of respiratory system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plateau pressure with pause and peak inspiratory pressure without pause (r=-0.777, p<0.l),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peak inspiratory pressure with pause and peak inspiratory pressure without pause (r=0.811, p<0.01). Thus the amount of increase in mean airway pressure with paus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resistance of respiratory system (r=0.681, p<0.05). However, the change of mean airway pressure did not correlated with the change of $PaCO_2$. Conclusion: In volume-controlled ventilation under the same I : E ratio of 1 : 3, inspiratory pause time of 5% increases mean airway pressure and improves ventilation. Although the higher resistance of respiratory system, the more increased mean airway pressure, the increase in mean airway pressure did not correlated with the change in $PaCO_2$.

      • SCOPUSKCI등재

        MgO 및 TiO<sub>2</sub>가 첨가된 알루미나의 치밀화와 입성장 거동

        이정아,김정주,Lee, Jung-A,Kim, Jeong-Joo 한국세라믹학회 2002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9 No.11

        Densification and grain growth behavior of MgO and .$TiO_2$-doped alumina ceramics were investigated. MgO was found to inhibit grain growth and to promote densification, but .$TiO_2$ acted to promote grain growth more than densification. The density which showed the maximum shrinkage rate was investigated in the plot of shrinkage rate versus density. The data suggests that the maximum shrinkage rate separates the two kinetic regimes, below the density of maximum shrinkage, the regime associated with densification and above the maxima, the regime associated with the grain growth. The plot exhibits a maximum which shifts to higher temperatures with MgO doping and to lower with .$TiO_2$ doping. 알루미나 세라믹스에 MgO와 $TiO_2$를 각각 단독으로 첨가했을 때의 치밀화와 소결 거동을 수축률-소결 밀도 관계를 통해 비교 조사하였다. MgO가 첨가되었을 때는 소결 전과정을 통해 입성장은 억제되고 치밀화는 촉진되었으나, $TiO_2$가 첨가되었을 때는 입성장은 촉진된 반면 치밀화는 떨어졌다. 또한 입자 크기, 밀도, 수축률등을 통해 수축률-소결 밀도 관계를 구하여 최대 수축률을 나타내는 밀도값(Density of Maximum Shrinkage Rate:${\rho}$J.S.R)을 조사해 보았다. 이때 최대 수축률을 나타내는 밀도값보다 낮은 밀도를 보이는 영역에서는 치밀화가 입성장보다 우세하게 진행되었으며 최대 수축률을 나타내는 밀도값보다 높은 밀도의 영역에서는 입성장이 보다 우세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때 최대 수축률을 나타내는 밀도값은 $TiO_2$가 첨가된 알루미나 < 순수 알루미나 < MgO가 첨가된 알루미나의 순서로 높은 값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