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치운동을 이용한 정밀 다위치 정렬기법 개발

        이정신,Lee, Jung-Shin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0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3 No.4

        In Strapdown Inertial Navigation System, alignment accurac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navigation. However by an existing self-alignment method, it takes a long time to acquire the alignment accuracy that we want. So, to attain the desired alignment accuracy in as little as $\bigcirc$ minutes, we have developed the precise multi-position alignment method. In this paper, it is proposed a inertial measurement matching transfer alignment method among alignment methods to minimize the alignment error in a short time. It is based on a mixed velocity-DCM matching method be suitable to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vertical launching system. The compensation methods to reduce misalign error, especially azimuth angle error incurred by measurement time-delay error and body flexure error are analyzed and evaluated with simulation. This simulation results are finally confirmed by experimentations using FMS(Flight Motion Simulator) in Lab and the integration test to follow the fire control mission.

      • KCI등재

        고려시대 기와생산체제와 그 변화

        이정신(Lee Jung-shin) 고려사학회 2007 한국사학보 Vol.- No.29

        기와는 양질의 점토를 재료로 일정한 모양으로 만든 다음에 가마 속에서 높은 온도로 구워내어 만든 건축자재로서 건물의 부식을 막기 위해 이미 삼국시대 이전부터 사용되었다. 고려시대의 기와는 도읍지인 개성을 비롯하여 평양과 경주 그리고 전국각지의 절터에서 많이 출토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생산실태는 제대로 알려진 바가 없다. 특히 고려시대에는 기와에 청자유약을 입힌 청자기와까지 사용되고 있어 기와의 발전이 고려청자와 연계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기와는 일반인의 수요보다는 주로 궁전이나 사원 건축에 사용되었으므로 그 생산 또한 국가적인 조영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되었다. 기와 생산에는 가마를 만들고, 기와를 빚어 불을 때는 등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치게 됨으로서 일정한 조직체가 필요하다. 따라서 고려 또한 각지에 와소를 두어 국가의 필요에 따라 정기적으로 공납하게 하였다고 판단된다. 기와를 생산한 지역은 전국적으로 나타나지만 고려시대 와소로서 알려져 있는 것은 永同郡의 栗谷瓦所가 유일하다. 그러나 그 외에 대전 구완동 요지도 와소에 포함시켜도 될 것 같다. 구완동 요지는 그 위치로 보아 촌개소 · 복수소 중 하나일 가능성이 높다. 고려의 와소 또한 후기에 들어서서 소의 해체와 더불어 사라져 갔다. 이에 따라 원 간섭기에 들어서서는 私匠들이 개인적으로 기와를 생산하여 판매하였다. 그러나 궁궐이나 사찰 등 정교한 조각이 필요한 기와는 국가 차원에서 생산할 필요성을 느껴 조선시대에 들어서서는 瓦署를 설치하였으며 이 외에 기와를 민간에까지 보급하기 위해 별와요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조선왕조는 와장의 부역에 대한 대가를 제대로 지불하지 않아 생산의욕이 저하되어 품질은 날로 조악해졌다. 또한 기와생산에 필수적인 나무의 공급은 선군이 담당하여 선군의 부담이 날로 가중되어 이탈하는 자가 늘어났다. 이에 조선왕조는 수차례 별와요의 치폐를 거듭하였고 그 과정에서 관요는 자연히 그 기능을 상실하여 국가차원에서의 기와생산은 사라져갔다. A Korean traditional tile was made by good clay. The processing of making tile was molding tile, firing it at a kiln. Because of it's usefulness against a corrosion, this tile had been used since the three Kingdom dynasty. The tile of the Koryo dynasty was found in big city such as Kaesung(the capital of Koryo dynasty), Kyungju (Shilla's capital) and many Buddhist temples. However there is no obvious evidence on the system of making tile. We presume that these system closely connected with the making of the celadon porcelain in Kroyo. A tile was useful of the construction of the palace and Buddhist temples and the making of tile was supervised by the Koryo state. Moreover it is need that the organization for the purpose of the processing of making tile. Therefore the Kroyo state organized the place of making tile which was called Waso. Waso means the place of making tile. The relics of Waso is located at Yulkok, Youngdong Kun and Daejun. Following the disorganization of So, the Waso also was vanished since the late Koryo dynasty. So the private makers of tile sold these items. However there was the demand of superior tiles for the palace and temples. The Choson dynasty re-built the Waso for state and Bulwaso for the need of people. Even though the state strove to increase the yield of tile, there was some problems for making tile. These were the encouragement of tile labors, the supple of the fuel for the kiln and so on. Moreover, the person who gather wood for fuel leave the Waso because of the labor strength. So the making tile of state was vanished.

      • KCI등재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발생한 혈소판 기능 장애

        이정신 ( Jung Shin Lee ),이대호 ( Dae Ho Lee ),지현숙 ( Hyun Sook Chi ),서철원 ( Cheol Won Suh ),최준석 ( Jun Seok Choi ),박진욱 ( Jin Wook Park ),나수영 ( Soo Young Na )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3 No.6

        Multiple myeloma is a monoclonal plasma cell proliferation disorder with various symptoms and signs caused by paraproteinemias. Among these signs, a bleeding tendency is one of the major fatal causes. However, significant severe bleeding is rare in most cases. In this study, we report a case of multiple myeloma in a patient who had a severe recurrent bleeding tendency due to platelet dysfunction caused by paraproteins. After being treated with therapeutic plasma exchange and chemotherapy, the patient`s monoclonal protein level decreased and the bleeding stopped. (Korean J Med 2012;83:823-827)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공민왕의 죽음과 국내외정세

        이정신(Lee, Jung-Shin) 고려사학회 2017 한국사학보 Vol.- No.67

        고려시대에서 굴곡적인 삶과 죽음을 겪은 인물로서 공민왕을 손꼽을 수 있다. 그는 궁정 내부의 치정문제에 휩쓸려 환관과 측근 관원들에게 시해당했다고 하나 사실은 친원파 관원들의 친명정책에 대한 불만, 국왕과 권문세가와의 갈등 등이 그가 죽음에 이르게 된 중요한 요인이라고 논의되어 왔다. 1274년 공민왕 시해에 참여한 인물은 환관 최만생과 홍륜 등 자제위 소속 관원들이었다. 공민왕 대의 환관들의 행적을 살펴보면 최만생을 제외하고는 왕의 시해에 가담한 흔적이 보이지 않으므로 공민왕 시해의 주역은 홍륜 등 자제위 인사라고 생각된다. 그럼에도 관원들이 공민왕의 죽음을 핑계삼아 비판한 대상은 자제위 소속 권문세가의 자손이 아니라 환관세력이었다. 공민왕은 자제위를 설치하여 고위 관직자의 자제를 배속시키고 代言金興慶으로 하여금 총괄하게 했다. 자제위는 국왕 측근세력의 양성과 국왕의 신변보호가 주요 목적이라고 판단되는데 특히 국왕의 신변보호 기능이 매우 중시되었다. 공민왕대 고려는 정치적으로는 원의 지배에서 벗어났으나 100년 가까이 원 영향력아래 있었던 흔적은 없앨 수 없었다. 명이 대도를 함락시킨 즉시 친명으로 돌아선 공민왕의 정책은 명의 고려에 대한 강압책과 맞물려 친원세력에게 불안감을 가져다 주었다. 공민왕으로서도 무조건 이들을 배척할 수 없는 상황이었으니 그 원인은 명에 있었다. 명은 요양행성평장 유익이 명에 귀부한 이후 고려에 위압적 태도를 취할 뿐 아니라 지나치게 많은 말을 요구하였다. 고려 지배층은 원을 계승했다고 하여 명이 원대에 준해서 고려에 고압적이고 수탈적인 태도를 취한다면 고려의 친명정책은 재고되어야만 하는 문제로 인식하였다. 이에 관원들은 친명책의 보루인 공민왕의 존재에 대해 회의하게 되었다. 홍륜 등이 국왕을 시해할 수 있었던 것은 이같은 고려내의 분위기를 파악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명에 쫓기던 원의 관원들 중에는 초원지대로 돌아가기 보다는 脫脫不花를 고려왕으로 내세워 고려에 들어올 계획을 세웠던 것 같다. 이는 공민왕의 강경대응으로 실패했지만 친원파 관원들의 분위기는 동요하게 되었다. 명 또한 공민왕의 죽음과 무관하지 않다. 명은 요동을 폐쇄할 뿐 아니라 고려에 말 2000필을 요구하였다. 이에 최영은 말의 공납을 거부하는 제주목호를 치기위해 군대를 이끌고 제주도로 갔는데 이 틈을 타서 공민왕이 시해되었던 것이다. 요컨대 자제위 관원, 脫脫不花를 내세운 원 뿐 아니라 명 또한 공민왕의 죽음에 간접적이나마 일정한 역할을 하였음을 보여준다. King Gongmin of Goryo Dynasty had ups and downs in his life. Historians have contended that he was assassinated by eunuchs and his close aides officials due to the illicit sex scandal related to the queen. In fact, the important factors causing his death included the discontent pro-Yuan officials who opposed King Gongmin’s pro-Ming policy, and king’s conflict with the powerful nobilities. The assassins were Choi Man Saeng, a eunuch, and some officials who worked for the Jajewi such as Hong Ryun. Rest of eunuchs did not participate in the assassination. Yet the royal officials criticized the eunuchs rather than the sons of the powerful nobilities for the assassination. King Gongmin established the Jajewi, the Royal Guards, comprising the sons of high-rank officials supervised by Chancelor Kim Heung Gyong to guard the king. The Jajewi also served to expand his close political forces. Though Goryo under King Gongmin was freed from the political influence of Yuan, the trace of Yuan’s rule over Goryo was still intact. King’s turning toward Ming after Ming’s falling of Dadu, the winter capital city of Yuan, made the pro-Yuan officials group uneasy. However, King Gongmin could not exclude them from the politics as Ming was also too demanding as Ming put pressure on Goryo and demanded too many horses as tribute after Liaoyang commander Yu Ik surrendered to Ming. The leaders of Goryo recognized that Goryo’s pro-Ming policy should be reconsidered if Ming was coercive and exploitative. The Goryo officials were suspicious of King Gongmin as he upheld pro-Ming policy. Hong Ryun, the key assassin, recognized and took advantage of such political situation so as that he could assassinate the king. Some Yuan officials seemed to plan to enter Goryo by making Tuotuobuhua(Toktoghan, 1314-1355) as the king of Goryo. The plan failed as King Gongmin reacted resolutely, and the pro-Yuan officials group became unrest. Ming also contributed to the death of King Gongmin. Ming blocked Liaotung and demanded Goryo to tribute 2,000 horses. When the viceroy of Jeju refused to tribute the horses, General Choi Young’s army invaded Jeju and King Gongmin was assassinated during the expedition. The death of King Gongmin was caused by personal resentment of some officials as well as pro-Yuan officials’ discontent toward King Gongmin’s pro-Ming policy escalated by Ming’s threats and excessive demands. In sum, the officials of the Jajewi, the Yuan officials enthroning Tuotuobuhua, and Ming played certain roles in the death of King Gongmin.

      • KCI등재후보

        원 간섭기 원종·충렬왕의 정치적 행적 : 김방경의 삼별초 정벌 일본원정을 중심으로

        이정신(Lee Jung-Shin) 한국인물사연구소 2008 한국인물사연구 Vol.10 No.-

        고려왕조는 원 간섭기 이전까지는 황제국으로 칭하고 요, 송, 금과의 외교에서도 조금도 굽힘이 없는 당당함을 지닌 국가였다. 그러나 몽고가 침략하여 강화를 맺으면서 상황은 달라져 고려는 복속국의 형태로 들어가게 되었다. 이때의 고려국왕은 원종과 충렬왕이었다. 원종 은 고려가 몽고와의 전쟁을 끝맺고 원 간섭기에 들어선 이후 최초의 군주이다. 그는 1235년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1259년 강화를 요청하러 몽고에 갔다가 고종의 죽음으로 이듬 해 귀국해 즉위하였다. 1260년에는 아들 諶을 태자에 책봉하여 몽고에 보내는 등 원활하게 국교를 수립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원종의 정책은 당시 무신집정자 임연의 반대에 부딪혀 폐위당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그는 원의 도움으로 임유무를 제거하고 개경환도를 실현하였다. 이에 고려가 원의 속국으로 전락하는 데에 삼별초가 반발했으나 3년 만에 진압하였다. 그는 재위 중에 무신집정자들의 전횡을 벗어났으며, 삼별초의 항쟁을 진압하였지만 모두 몽고의 힘을 빌렸다. 이로서 원종은 봉고의 군사력으로 왕권을 지탱함으로서 원 복속의 시발점이 되었다. 그래도 원종대가 강압적이며 외면적인 지배를 당했다면 충렬왕대에는 부마국이 되어 일본정벌에 동참하는 과정을 통해 원의 복속이 더욱 강화되어 갔다. 그 뒤를 이은 충렬왕대에는 일본정벌에 필요한 제반 경비와 인원을 부담해야 했다. 몽고의 1차 東征 목표는 일본이라기 보다 고려의 군사력을 약화시키려는 것이었지만 고려는 그대로 따르지 않을 수 없었다. 이어서 2차 東征도 충렬왕이 앞장서서 주도하였는데 기왕 함께 정벌 할 것이라면 적극 나섬으로서 원의 전폭적인 지지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몽고의 1·2차 일본정벌은 비록 실패했지만 고려가 원의 정책에 적극 호응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원의 고려간섭을 보다 유연하게 하였으며 왕권을 강화시켰다. 충렬왕은 부마지위를 이용하여 국왕측근세력과 재추 및 일부 신진관료들을 기반으로 왕권을 확립하였으며, 원은고려 왕을 견제하기 위해 책봉권을 강화하였다. 충렬왕 이후 고려는 원에 의존하는 자세가 더욱 심화되어 갔으며 김방경 등 고려 관원 또한 이에 대한 저항의식은 보여지지 않는다. 고려는 이제 내재적으로까지 원 지배하에 들어가게 되었던 것이다. Koryŏ Dynasty had been the kingdom which, claiming to empire, had continued its unyielding stances toward the northern dynasties of Khitan Liao, Chinese Sung and Jurchen Kum. With the formation of 'harmonious relation' with invading Mongolian empire, however, Koryŏ kingdom got subordinated to the empire and remained so under the reign of Koryŏ Wŏnjong and Chungryŏrwang. Wŏnjong was the king who concluded the war with Mongolian empire, resulting in the subordination of his own kingdom to the empire. He earned the title of prince in the year of 1235. Five years later, he went to Mongo to form the new, harmonious relation with Mongolian empire only to, next year, come back to his country because of the death of reigning Kojong. In 1260, right after his enthronement, Wŏnjong, bestowing the princeship upon his son Shim, dispatched the prince to Mongolian empire to establish the formal dynastic relation with the empire. This police let the king face his humiliating dethronement forced by contemporary military governor Yim Yŏn. In this situation, Wŏnjong, getting rid of powering general Yim Yu-mu with the aid from Mongolian empire, recovered his throne and moved the capital city back to Kaesŏng. Also, he quelled the upnsmg of Sambyŏlch'o which remained opposed to and fighting, for three years, against the subordination of Koryŏ dynasty to Mongolian empire. Then he succeeded in recovering his kingly power from military hands with great miliary helps from the empire, leading to the subordination of his own kingdom to the empire. In the reigning years of succeeding Ch'ungryŏrwang, Koryŏ became Pumaguk meaning son-in-law kingdom, subordinating itself to Mongolian empire more than ever. Koryŏ had, to bear almost all the burdens required for Mongolian subjugation of Japanese kingdom. The first campaign was aimed at the attrition of Koryŏ military potentials rather than the conquering of Japan. Despite this, Koryŏ had to engage itself in the first campaign. The second campaign was initiated by Ch'ungryŏrwang with the expectation that his active engagement in the forced war would benefit him with the full support from Mongolian empire. Setting apart the progress of the campaigns which ended with the ultimate failure, the active engagements of Koryŏ dynasty eased the Mongolian grip on the dynasty while strengthening Ch'ungryŏrwang's royal power and authority. The king took the advantage of his matrimonial relation with Mongolian royal family to establish his own power and authority which was supported by his near relations and figures, top-rank officials, and a few of young officials. This domestic progress was checked by the Mongolian authoritative power for granting the royal title or Ch'aekbonggwŏn in Korean. This resulted in the increasing dependency of Koryŏ kingdom after Ch'ungryŏrwang upon Mongolian empire. Now the kingdom, including its officials such as Kim Pang-kyŏng and others, showed no opposition to not only Mongolian empire but also the contemporary situation. This tells us that Koryŏ kingdom after Chungryŏrwang came to be internally mastered by Mongolian empire unlike Koryŏ before the king such as the Koryŏ reigned by Wŏnjong where the kingdom got under the forced but external controls by Mongolian emp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