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5세 누리과정과 2009개정 초등학교 1-2학년군 교육과정의 생태교육 연계성 분석

        이일주(Yil Ju Lee),장인영(In Young J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생태교육의 유아·초등 연계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5세 누리과정과 2009개정 초등학교 1-2학년군 통합교과의 교사용 지도서를 대상으로 생태교육 내용과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주제와 초등학교 1-2학년군 통합교과 주제 성취기준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는 생태교육 관련 누리과정의 68개의 소주제 중에서 25개(36·8%)가 초등학교 1-2학년군과 연계되어 생태교육 내용의 연계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유치원과 초등학교 1-2학년군의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 공동 개발, 지역교육지원청 단위 생태유아교육 자료 및 교육기관 공유, 유치원과 초등학교 1, 2학년 담당교사 생태교육 공동연수 등의 방안으로 생태교육의 유아·초등교육 연계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To provide basic data for articulation of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in ecological education, we analyzed the articulation of a teacher``s guidebook in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olds and for the 1st-2nd grade unified course of elementary school revised in 2009.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olds out of 582 activities, 244 activities(41.9%) were ‘nature inquiry section’, 131(22.5%) were ‘communication’, 86(14.8%) were ‘art experience’, 66(11.3%) were ‘social relation’, 55(9.5%) were ‘body exercise.health’. Also, out of 271 activities for ecological education 77 activities (28.4%) included of ‘animal.plant and nature’, 77(28.4%) were ‘spring.summer.autumn.winter’, 73(27.0%) were ‘environment and life’. Analysis of the activity pattern showed that 150 activities(55.1%) were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y’, 109(40.1%) were ‘free choice activities, and 13(4.8%) were ‘outdoor activities’. Analysis for activities in the teacher``s guidebook for 1st-2nd grade unified course of elementary school, 37 activities (31.9%) were ‘pleasant life’, 37(31.9%) were ‘wise life’, and 25(21.5%) were ‘righteous life’. By the subjects of the unified course, out of 108 activities of ecological education 41 activities(38.0%) were ‘spring’, 32(29.7%) were ‘summer’, 15(13.9%) were ‘autumn’ and 14(13.0%) were ‘winter’.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sis for the articulation of subjects accomplishment standard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olds and the 1st-2nd grade unified course,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olds out of 68 sub-subjects for ecological education, 25(36.8%) were accomplished. The analysis shows low articulation between both curriculu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articulation of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in ecological education by the cooperation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teacher``s guidebooks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city.province office of education, sharing education materials and education institutes in regional units, and co-training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bout ecological education.

      • 유치원 소방안전교육 진단 준거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이일주(Yil Ju Lee),정은주(Eun Ju Jeoung)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5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유치원 소방안전교육 진단 준거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를 위해 유아교육학과 교수, 유아교육현장 전문가로 대표되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원장 원감, 교사 등으로 전문가 패널 집단을 구성하여 가장 현실성이 있는 대안을 찾고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안전교육은 누가 실시해야 하는가? 에는 1순위에는 담임교사와 소방안전교육사로 나타났다. 둘째, 소방안전교육은 언제 실시해야 하는가? 에는 1순위에는 ‘한 달에 한 번, 주기적으로, 불시에’로 나타났다. 소방안전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실시해야 하는가? 에는 1순위에는 현장학습(실제대피훈련)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방안전교육은 어디에서 실시해야 하는가? 에는 1순위에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생활공간으로 나타났다. 소방안전교육은 왜 실시해야 하는가? 에는 1순위로 ‘현장에서 대응할 수 있게’로 나타났다. 넷째, 소방안전교육은 무슨 내용을 실시해야 하는가? 에는 1순위로 화재예방과 대피요령 및 대처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basic research for the diagnosis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vided conforms kindergarten fire safety education and teach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school and child care center director, represented by field experts, vi-director, teachers and most realistic alternative to configure the expert panel group, etc. looking for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o must be carried for the fire safety education? 1 ranking is a teacher and Fire Safety Educator. Second, when should fire safety education be carried out? The first priority was to periodically by surprise with one month . Does the fire safety education must be carried out in any way? The first priority was to field trips (actual evacuation drills). Third, where the fire safety education must be carried out? The first priority was in the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that has living space. Why do you need to conduct safety training room? Number one were to as able to respond in the field. Fourth, what should fire safety education be carried out? The fire prevention and evacuation tips are appeared to respond in 1 ranking.

      • 어린이집에서 경험하는 원장의 고충 및 대처 방법 이해

        이일주(Yil Ju Lee),고은혜(Eun Hye Go)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4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효과적인 어린이집을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원장 149명을 대상으로 어린이집에서 경험하는 원장 고충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원장의 변인배경과 개인적 배경에 따른 고충 정도를 분석하므로 시설유형, 재직유형, 재원 원아 수, 경력에 따라 고충이 있었고, 원장의 역할 영역에도 그 고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원장의 역할 영역인 변인배경에 따른 원장의 고충은 교직원 관리가 모든 원장의 개인적 배경에서 고충으로 분석되었다. 원장의 개인적 배경에서 시설유형으로는 가정어린이집이, 민간어린이집, 사회복지법인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법인 단체 등 어린이집 순으로 교직원에 대한 고충을 공통적으로 느끼고 있었다. 재직유형별로는 설립원장이, 재원 원아수로는 20인 이하가, 원장경력으로는 5년 미만이 고충이 제일 높다고 인식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a basis for recognition research analyzes the distress between the grievance in accordance with the grievance of the director of experience in the child care center in background variables and personal background of the director wanted to operate effectively. For this study three kinds, war, 149 people were enrolled in the director to operate a child care center in the Chungcheong Province.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the frequency, mean, and analyzed using the anova by spss ver.18 program.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stress of the director in accordance with the role of director Area of background variables were analyzed with all the distress in the personal background of the director and staff management. Second, the personal background of the director r type to have a home child care center facilities, private child care centers, social welfare corporation Nurseries, Nursery workplace,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centers, corporate organizations and distress about the staff felt as Nurseries net. Served in this establishment director type, the number is 20 or fewer financial resources kindergartener, director career is less than five years were the most high recognition distress. The survey was show with the variance analysis of the director background and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in this study facilities director type, tenure type, number of kindergarten funding, depending on experience was the distress, even though the role of the director areas that could be seen that this grievance.

      • KCI등재

        유아교육 재정 배분 방식 전환에 따른 지방 유아교육 예산 변화

        이일주(Lee Yil-Ju),이신경(Lee Shin-G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2008년부터 유아교육 재정 배분방식이 지방교육재정교부금으로 전환하기 시작함에 착안, 최근 2년간의 예산을 분석하여 16개 시ㆍ도별 유아교육재정의 변화 실태를 분석하였다. 지방유아교육예산 변화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고보조금사업과 특별교부금 사업으로 집행된 2007년과 유아교육 지원 사업이 지방교육재정교부금사업으로 전환된 2008 회계년도의 16개 시ㆍ도 교육청의 유아교육 예산자료를 분석한 결과 유아교육재정의 확보는 유아교육법과 지방교육 재정교부금법에 유아교육비 항목을 포함하고 있어 안정성을 도모하고 있으나 시ㆍ도간 실제 예산 편차가 심하다. 또한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에 의한 기준재정 수요액의 산정기준에서 사립유치원을 제외하고 있는 점에서 볼 때 공정성이 결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2008년부터 유아교육재정이 지방으로 이양되는 시점에서 지역 간 재정 균등화를 위한 정책이 요구된다. 향후에는 저출산 현상에 대비하는 획기적인 유아교육 재정수요 대처 및 유아교육 공교육 체제 기반 확립을 위한 공·사립유치원 재정지원의 구체적인 방안의 실천이 요구된다.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budget distribution changed into financial grants for local education starting from 2008, this study analyzed recent 2 years’ budgets to track chang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udget of 16 cities and provinces. To analyze the lo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budget distribution and its changes in 2008,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budget of 16 cities and provinces of year 2007 and 2008 were used. In 2007, early childhood education support project was with Government grants project and financial grants for special grant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budget is quite stable enough, as the budget includes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t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and financial grants for local education law. Meanwhile, private kindergartens' budget was excluded in estimating the standard financial demand by financial grants for local education, which implies the lack of justice. Also, policies regarding finance equality among local areas are required since the regulations related to local government's educational financing mostly focus on elementary and junior-high schools. Now it is time to come up with specific plans of action to financially suppor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to establish early childhood public education foundation and to deal with early childhood financial demand for the low birth rate era. At a time when local governments have their own leeway about the early childhood budget in 2008,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edium- and a long-term plan at the national level until the basic framework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akes a firm root. That is becaus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licies and financial investment, specialis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per teachers and administrative attention are of the utmost importance.

      • 유아교사의 좋은 수업을 위환 평가지표 구성요소 개발

        이일주(Yil Ju Lee),우서경(Woo Seo Kyeong)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5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좋은 수업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요구도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자기 평가지표 구성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D광역시에 근무하고 았는 전문가 집단 32명을 선정하였고 연구를 분석하기 위해 SPSS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유아교육 전문가 32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개방형 설문조사를 1차로 실시하였으며 2차 텔파이 연구는 문헌분석과 1차 설문조사를 통해서 도출된 31개의 예비문항으로 ‘유아가 즐거워하는 수업(6)’, ‘유아가 중심이 되는 수업(9)’, ‘유아의 발달특성에는 수업(3)’, ‘준비된 교사의 수업(6)’, ‘교육신념이 있는 교사의 수업(7)’ 선정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 변이계수를 구하고 변이계수가 30 이하인 경우 문항이 전문가 집단의 합의도가 없는 것으로 하여 제외 시켰으며, 이를 교수 2인과 박사 2인의 내용 타당도를 거쳐 구성하였다. 델파이 분석 결과 좋은 수업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요구는 ‘유아가 즐거워하는 수업(3)’, ‘유아가 중심이 되는 수업(6)’, ‘유아의 발달특성에 맞는 수업(2)’, ‘준비된 교사의 수업(3)’, ‘교육신념이 있는 교사의 수업(4)’의 5개 범주, 18개 요소가 도출되었다. This study SPSS statistical program in order to select the experts 32 people who worked on the D City to derive a self- evaluation index components accordingly recognize the needs of the expert group on good class to take advantage of the Delphi technique was analyzed research analyz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ionals 32 open questionnaire consisting of persons targeted one was carried out by two car Delphi study literature analysis and primary survey with 31 spare items derived through Lessons to toddlers delight (6) , Class children are the center (9) , Classes meet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3) , Class of prepared teachers (6) , Educational beliefs class teacher (7) we were selected. Second Delphi Survey stylized excluded that there is no consensus in the case to obtain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question coefficient of variation coefficient of variation of less than 0.30 are experts also question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which Professor 2, Dr. causal 2 It was constructed through a phosphorus content validity. Delphi analysis of the needs of experts for the good lessons, Lessons to toddlers fun (3) , Class children are the center (6) , Classes mee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2) , Class prepared teacher (3) , Educational beliefs teacher of the class (4) of the five categories 18 elements were derived.

      • 유아체험교육기관의 효과적인 체험교육 운영 방안에 대한 연구 - 경기도유아체험교육원을 중심으로 -

        이일주(Lee, Yil-Ju),이신경(Lee, Shin-Gyung)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전국 최초로 설립․운영하고 있는 경기도유아체험교육원을 중심으로 유아체험교육기관의 효과적인 체험교육 운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 하였다. 체험교육 운영에 대하여 유아의 개인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체험교육 활동에 대한 유아의 선호도는 어떠한가, 만족도 및 필요성에 대한 교원의 인식은 어떠한가에 대하여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공통적으로 교통안전놀이인 전동자동차에 가장 많은 선호 도를 보이고 있으며 유치원에서 쉽게 접해 볼 수 없는 교구와 환경, 유아들 만의 전용 체험 공간, 체험활동 실행을 위한 사전준비 철저, 유아발달에 맞는 다양한 체험활동, 즐거움을 유발하여 놀이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 제공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누리과정 도입에 따른 어린이집 유아들의 체험교육원 시설 이용에 대하여는 유아중심의 공공 체험시설은 누구나 차별 없이 이용해야 하나 유치원아의 요구 충족이 부족한 현실에서는 ‘유아체험교육원의 확대 운영’이 필요하다에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 전기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놀이기구 선정 시 재생 또는 지속가능 에너지를 활용한 체험교육 활동 프로그램의 설치, 지속적인 시설보완 및 평가 환류를 통한 내실 있는 운영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seek effective experience education operation plan for early childhood experience institution focusing on Gyeongi-do, the nation’s first institution to be established and operated.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questionnaire which asked if there is difference among personal variables toward experience education operation, the preference of preschoolers toward experience activities, and teacher’s awareness of satisfaction and necessity. The analysis shows that electric motor car which is related to traffic safety play was preferred in common, and it was satisfying toward teaching aids and environment that cannot be easily seen in kindergarten, preschooler specific experience area, thorough advance preparation for experience activity, various experience activities fo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offer of environment in which preschoolers can concentrate on play by arousing pleasure. For the question regarding nursery school preschooler’s experience institution facility usage as “Nuri” curriculum is introduced, it was supported that anyone should be able to use early childhood centered public experience facilities, but in reality where kindergartner’s demand satisfaction is deficient, it was most responded that ‘enlarged early childhood experience institution operation’ is necessary. When play equipment that requires much electricity energy are selected, experience education activity program that employs recycling or sustainable energy should be established, and through the continuous facility supplementation and reflux of evaluation, fruitful operation should be accomplished.

      • KCI등재

        유아교육연구에서 생태교육 관련 용어 통일을 위한 기초 연구

        이일주(Lee, Yil-Ju),장인영(Jang, In-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6

        본 연구는 유아교육연구 중 생태교육연구에서 용어 통일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1997년부터 2012년 2월까지 발표된 유아교육 연구 분야의 생태, 자연교육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 233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생태교육 용어는 크게 생태유아교육, 자연친화?자연체험?자연교육, 생태중심?생태지향?생태주의, 생명교육, 숲유치원, 생태+교과목, 기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된 용어는 자연친화?자연체험?자연교육 66편(28.3%), 생태유아교육 52편(22.3%), 기타 47편(20.2%), 생태+교과목 37편(15.9%), 생태중심?생태지향?생태주의 교육이 16편(6.0%), 숲유치원 9편(3.9%), 생명교육 6편(2.6%) 순이었다. 한편 생태교육 관련 용어에 따른 논문의 발표연도, 논문유형, 연구유형, 연구내용, 연구대상, 연구자 전공에서는 논문유형을 제외하고 모두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 유아교육연구에서 생태교육 관련 연구의 특징은 생태유아교육, 자연친화교육, 자연체험교육, 생태지향 교육, 생태중심 교육, 생태주의 교육, 생태체험교육 등 유사한 용어들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 없이 다양하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논문 제목에 사용된 용어와 본문에 사용된 용어가 불일치하는 연구도 많았는데 이런 현상은 연구자들도 생태관련 용어들에 관하여 개념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유아교육연구에서 생태교육 관련 용어를 사용할 때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용어 정의 분류에 따라 그 의미를 통일시켜 나아감으로써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for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ies in ecology education, we analyzed 233 theses of masters and doctors degree on ecology education from 1997 to 2012 (Feb.) in Korea. The Terminologies for ecology education in the theses were classified as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nature-friendly, nature experience, nature education’, ‘ecology centered, ecology oriented, ecological education’, ‘life education’, ‘forest-kindergarten’, ‘ecology + a subject’ and the others. The most frequently used terms were ‘nature-friendly, nature experience, nature education’(28.3%), ‘eco-early childhood education’(22.3%), ‘ecology + a subject’(15.9%), ‘ecology centered, ecology oriented, ecological education’(6.0%), ‘forest-kindergarten’(3.9%), ‘life education’(2.6%), and the others(20.2%). In case of ecology centered and ecology oriented education, regardless of using the terms in the title, the word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mostly used in the text, and follow the ideals of education and contents of it. The correlation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year, research type, research contents, research objects and researcher"s major except for thesis type. Like this, it tends to use the terms having similar meaning without verification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nature-friendly education and nature experience education, etc. Some theses were found not to correspond with the title and the text in terminology. It derived from the not-clear terminology. Further studies are needed on the cognition of ecology education specialists and on-site teachers for standardization of the terminologies in the future.

      • KCI등재

        유아 대상 생태교육 관련 용어에 대한 교원의 인식

        이일주(Lee, Yil-Ju),장인영(Jang, In-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유아 대상 생태교육 관련 용어 통일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근무하는 원장 및 교사 302명을 대상으로 생태교육 관련 용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 ‘자연’이란 용어는 동양적 가치관인 일원론적인 자연관에 근거한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환경’이란 용어는 ‘자연친화로서의 환경’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 외에 ‘생태’, ‘생명’이라는 용어는 서양적 가치관인 이원론적인 자연관에 근거한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생태교육’ 의미를 ‘자연과의 교감을 통하여 인간이 자연 속의 모든 생명체와 공존하며 살아감을 알려주는 교육’이라는 응답 277명(91.7%)로 가장 높게 나왔다. 생태교육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용어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응답은 ‘자연친화 유아교육’ 100명(33.1%), ‘유아생태교육’ 73명(24.2%), ‘생태유아교육’ 40명(13.2%), ‘숲체험유아교육’ 38명(12.6%), ‘생명존중교육’ 20명(6.6%), ‘생태중심 유아교육’ 16명(5.3%), ‘환경친화유아교육’ 12명(4.%), 기타 3명(1.0%)순이었다. 이 결과는 생태교육 관련 학위논문 제목을 분석하여 ‘자연친화유아교육’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고 한 선행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특이한 점은 학위논문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던 ‘유아생태교육’이라는 용어에 대해서 유아교육현장의 교원들은 들어본 경험이 가장 많았으며, 생태교육 관련 용어로 적합한 용어 선호도에 있어서도 두 번째로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원들은 생태교육 관련 용어마다 혼돈된 자연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약간의 선호도 차이가 있을 뿐 여전히 생태교육 관련 용어의 개념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향후 유아대상의 생태교육 관련 용어에 대한 정의와 의미를 통일시켜 나아감으로써 유아 대상 생태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for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ies, we surveyed the awareness of 302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ccording to the survey, the teachers perceived the terms “nature” and “environment” as representing a monistic view of nature by oriental values. They perceived the terms “ecology” and “life” as representing a dualistic view of nature according to Western values. The greatest consensus (91.7%) concerned the meaning of ecology education as being one that taught the coexistence of human beings with all living organisms in nature through communication with nature. Regarding the appropriate terminology for ecology education, the teachers most highly responded to “nature-friendly early childhood education” (33.1%), followed by “early childhood ecology education” (24.2%),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13.2%), “forest experience early childhood education” (12.6%), “life respect education” (6.6%), “ecology 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5.3%), and “environment-friendly early childhood education” (4.0%). This supports earlier research that found the most frequently used term was “nature-friendl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ses and dissertations in Korea. Interestingly,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eard most often “early childhood ecology education”, and secondly preferred as appropriate terminology for ecology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y recognized the program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on ecology education that utilized different terminologies. This stems from the use of terminologies on ecology education that are in vague. Therefore, a standardization of the terminology is needed regarding ecolog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유아식생활 연구 동향 분석

        이일주(Lee, Yil Ju),정선희(Jedng, Seon Hui)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7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하는데 기본이 되는 유아기 식생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유아기에 올바른 식생활을 습관화 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9년 식생활교육지원법 제정 이전과 이후의 석·박사 학위 논문을 연도별 연구동향,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 연구자 동향을 분석하여 2009년을 기준으로 유아식생활 연구 동향 분석 연구를 비교하여 유아식생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학문적 의의를 갖고자 한다. 2009년 이전의 유아식생활 연구 동향분석 결과 연구대상으로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조사, 실험연구 등의 양적연구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내용은 식생활태도, 인식, 요구도 관련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학위 논문 연구자를 분석해 본결과 유아교육 전공자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영양학 관련 전공자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hildren s dietary habits to grow into a healthy adult and habitat proper habits during childhood.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research contents, and researcher trends in each year through the thesis of master and doctoral prior and after to enactment of the Dietary Education Support Act of 2009 and presented the direction of research by comparing the research trend analysis of children s dietary life in 2009. As a result of analyzing trends of children s dietary life research before 2009, the research subject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the study of children and the research methods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quantitative research such as research and experimental study. Also, the contents of research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attitude of dietary life, recognition, and demand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eses researchers, most students we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llowed by a lot of students were majoring nutrition-rel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