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도가 높은 촉성재배용 딸기 ‘하이베리’ 품종 육성

        이인하(In-Ha Lee),장원석(Won Suk Jang),김태일(Tae Il Kim),김현숙(Hyun Sook Kim),남명현(Myeong Hyeon Nam),이희철(Hee Chul Lee),이병주(Byung Joo Lee),오상근(Sang-Keun Oh) 한국원예학회 2021 원예과학기술지 Vol.39 No.6

        ‘하이베리’ 품종은 충남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에서 2018년도에 육성한 촉성재배용 신품종이다. 경도가 높아 과실 수출에 용이하고, 봄철 고온기에도 품질이 유지되는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경도가 높은 ‘NS071608’ 계통을 모본으로 하고 맛과 향이 좋은 ‘대왕’을 부본으로 하여 2013년에 인공교배를 실시하였다. 2014∼2017년 실생선발, 특성검정, 생산력검정을 거쳐 ‘논산12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18년에 ‘하이베리’로 명명하였다. ‘하이베리’ 품종은 초형이 직립형이고 초세가 왕성하다. 잎은 진한 녹색이며, 엽육 두께가 두껍고 엽형은 타원형이다. 과실의 과형은 원추형이고 과색은 선홍색을 띤다. 정화방의 화수는 13개이고 평균 과중이 16 g으로 대과형 품종이다. ‘하이베리’의 상품수량은 2,623 kg·10a<SUP>-1</SUP>으로 ‘설향’의 97% 수준이다. 화경장이 37 cm로 길며 화방이 기부에서 갈라지는 형태를 나타낸다. 과실 경도는 15.3 g·mm<SUP>-2</SUP>으로 ‘설향’의 11.7 g·mm<SUP>-2</SUP>보다 3.6g·mm<SUP>-2</SUP> 더 단단하고 봄철 늦게까지 수확이 가능하다. 당도는 10.1°Brix으로 ‘설향’의 9.5°Brix보다 0.6°Brix 높다. 병해충 저항성은 시들음병에 강하나 흰가루병과 점박이응애에 약한 편이다. A new strawberry (Fragaria×ananassa Duch.) cultivar ‘Highberry’ was developed by Strawberry Research Institute of Chungcheo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for forcing culture in 2018. In order to breed a new cultivar that is favorable to export with high fruit firmness and maintain the fruit quality during warm temperatures in the spring season, ‘Highberry’ originated from a cross between an unreleased selection ‘NS071608’ (female parent) with high firmness and ‘Daewang’ (male parent) with good taste and fragrance in 2013. In 2014-2017, it was originally named ‘Nonsan No. 12’ by conducting seedling selecti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trials in forcing culture, and it was renamed ‘Highberry’ in 2018. ‘Highberry’ shows an erect plant type and vigorous growth habit. The leaves are dark green and thick and the leaf shape is elliptic. Fruits are conical type; fruit color is red. The first cluster of ‘Highberry’ has 13 flowers, and it is a large fruit size cultivar with an average fruit weight of 16 g. The marketable yield of ‘Highberry’ was 2,623 kg·10a<SUP>-1</SUP>, which is 97% of that of ‘Sulhyang’. The flower stem length of ‘Highberry’ was 37 cm long and is divided into two stems from the bottom. Fruit firmness of ‘Highberry’ was 15.3 g·mm<SUP>-2</SUP>, which was 3.6 g·mm<SUP>-2</SUP> higher than 11.7 g·mm<SUP>-2</SUP> of ‘Sulhyang’ and can be harvested until late spring. The soluble solids content of ‘Highberry’ was 10.1°Brix, which was 0.6°Brix higher than that of ‘Sulhyang’. ‘Highberry’ is resistant to Fusarium wilt but susceptible to powdery mildew and two-spotted spider mites.

      • KCI등재

        양액의 중탄산 농도가 ‘설향’ 딸기의 생육, 자묘 발생 및 무기이온 흡수에 미치는 영향

        이희수(Hee Su Lee),최종명(Jong Myung Choi),김태일(Tae Il Kim),김현숙(Hyun Sook Kim),이인하(In Ha Lee)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2

        양액의 중탄산 농도가 ‘설향’ 딸기의 번식에서 모주의 생장과 생리장해 발현, 그리고 자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Hoagland 용액을 변형시켜 중탄산 농도가 60, 90(대조구), 120, 180 및 240mg・L<SUP>-1</SUP>가 되도록 용액을 조제하고, coir dust + perlite(7:3) 상토에 관비하였다. 중탄산 농도가 240mg・L<SUP>-1</SUP>인 처리에서는 처리 60일 후부터 모주에 Fe, Zn 및 B 결핍 증상이 발생하였다. 처리 90일 후에는 자묘를 포함한 모든 식물체로 증상이 확산되었다. 처리 126일 후 조사한 식물 생육에서 관개수의 중탄산 농도가 120mg・L<SUP>-1</SUP> 이상으로 높아질수록 엽수, 엽록소 함량 및 생체중 등 조사한 모든 생육지표에서 저조한 경향이었다. 처리 후 126일 동안 발생한 자묘수는 60mg・L<SUP>-1</SUP> 처리가 모주당 23개체였지만, 240mg・L<SUP>-1</SUP> 처리에서는 13개체로 적었다. 처리 126일 후 중탄산 농도를 60 및 90mg・L<SUP>-1</SUP>로 조절한 처리의 근권부 pH는 5.4와 5.8로 낮아졌지만, 120, 180 및 240mg・L<SUP>-1</SUP> 처리는 각각 7.3, 7.9 및 8.2로 상승하였다. 지상부 식물체의 무기물 함량에서 중 탄산 농도가 높을수록 Fe, Mn, Zn 및 Cu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양액의 중탄산 농도가 120mg・L<SUP>-1</SUP> 이상으로 높아질 경우 ‘설향’ 딸기의 모주 생육과 자묘 발생을 억제하였으며, 이를 중화시키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icarbonate (HCO₃-) concentrations in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disorders in mother plants and occurrence of daughter plants in propagation of ‘Seolhyang’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To achieve this, the mother plants were transplanted to coir dust + perlite (7:3, v/v) medium and Hoagland solution was modified to contain 60, 90 (control), 120, 180, and 240 mg・L <SUP>-1</SUP> of HCO₃- . The symptoms of Fe, Zn and B deficiencies appeared on the mother plants in the HCO₃- of 240 mg・L<SUP>-1</SUP> from the 60th day after treatment. The symptoms spread to all plants in the 240 mg・L<SUP>-1</SUP> HCO₃- including daughter plants at 90 days after treatment. The HCO₃- concentrations higher than 120 mg・L<SUP>-1</SUP> suppressed the growth of mother plants such as leaf number, chlorophyll content, fresh weight and other growth parameters. While the mother plants in 60 mg・L <SUP>-1</SUP> HCO₃- produced 23 daughter plants, while mother plants in 240 mg・L<SUP>-1</SUP> HCO₃- produced 13 daughter plants. The final pH 126 days after treatment in the HCO₃- of 60, 90, 120, 180 and 240 mg・L<SUP>-1</SUP> were 5.4, 5.8, 7.3, 7.9, and 8.3, respectively. The elevation of HCO₃- concentrations in nutrient solution resulted in the decrease of Fe, Mn, Zn and Cu contents of above ground tissue 126 days after treat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CO₃- concentrations higher than 120 mg・L <SUP>-1</SUP> inhibited the growth of mother plants and occurrence of daughter plants in vegetative propagation of ‘Seolhyang’ strawberry.

      • KCI등재

        관개수에 첨가되는 산 종류가 영양생장 중인 ‘설향’ 딸기의 중탄산 피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

        이희수(Hee Su Lee),최종명(Jong Myung Choi),김태일(Tae Il Kim),김현숙(Hyun Sook Kim),장원석(Won Suk Jang),이희철(Hee Chul Lee),이인하(In Ha Lee),남명현(Myeong Hyeon Nam) 한국원예학회 2016 원예과학기술지 Vol.34 No.4

        고농도 중탄산 피해경감을 위한 관개수의 산 혼합이 ‘설향’ 딸기의 영양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탄산(HCO₃-)농도가 240mg·L<SUP>-1</SUP> 또는 90mg·L<SUP>-1</SUP>인 Hoagland 용액을 조제하여 –대조구와 +대조구로 삼고, –대조구에 질산, 인산, 황산, 질산+인산, 및 살리실산을 혼합하여 중탄산 농도를 60mg·L<SUP>-1</SUP>으로 낮춘 처리용액을 만들었다. 이후 3엽기인 ‘설향’ 딸기를 정식하여 모주로 삼고 126일 동안 처리하면서 모주 생육과 자묘의 발생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주의 생체중은 –대조구가 관개수에 산을 혼합한 모든 처리나 +대조구 보다 가벼웠다. –대조구에서 모주당 발생한 자묘수는 13.0개였지만, 질산, 인산, 황산, 질산+인산 및 살리실산 처리구는 각각 19.4, 20.1, 18.6, 22.4, 및 18.9 개체였다. 산을 처리한 경우 –대조구에 비해 발생한 자묘수가 뚜렷하게 많았으며, 특히 질산+인산 처리가 다른 처리들 보다 유의하게 자묘수가 많았다. –대조구와 살리실산 처리구에서 처리 126일 후 근권부의 pH가 각각 8.2와 7.3으로 상승하였지만, 질산, 인산, 황산 및 질산+인산 처리구는 각각 5.5, 5.4, 5.3 및 5.5로 측정되었다. 수확 후 식물체내 Ca 및 Mg 함량은 +대조구, 질산, 인산, 황산, 질산+인산, 살리실산 처리구에서 유사하였지만, –대조구에서 가장 적게 분석되었다. 식물체내 Fe, Mn, Zn, 및 Cu의 함량은 산을 혼합한 처리구에서 비슷했고, –대조구에서는 가장 적었다. 이상의 결과는 관개수에 고농도의 중탄산이 존재하여 피해가 발생할 때 다양한 산을 처리하여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특히 질산+인산 처리가 영양번식 중인 ‘설향’ 딸기생장 및 자묘 발생에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kinds of acids added to irrigation water containing high levels of bicarbonate on the growth and daughter plant production during the propagation of ‘Seolhyang’ strawberry. Fertigation solution was prepared with equal concentrations of essential nutrients as found in Hoagland solution, plus 240 mg·L<SUP>-1</SUP> HCO₃<SUP>-</SUP>. The concentrations of HCO₃<SUP>-</SUP> in the treatment solution were decreased to 60 mg·L<SUP>-1</SUP> by the addition of HNO₃, H₃PO₄, H₂SO₄, HNO₃ + H₃PO₄, or salicylic acid. The mother plants transplanted to raised beds were treated with a specific treatment solution for 126 days and growth and daughter plant productions were monitored. The fresh weight of mother plants in the -control treatment (240 mg·L<SUP>-1</SUP> HCO₃<SUP>-</S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acid containing treatments. The number of daughter plants produced per mother plant was 13 in the -control treatment, but 19.4, 20.1, 18.6, 22.4, and 18.9 in the treatments of HNO₃, H₃PO₄, H₂SO₄, HNO₃ + H₃PO₄ and salicylic acid, respectively. The substrate pHs after 126 days of treatment were 8.2 and 7.3 in the -control and salicylic acid treatments, respectively, but 5.5, 5.4, 5.3, and 5.5 in the treatments of HNO₃, H₃PO₄, H₂SO₄, and HNO₃ + H₃PO₄ treatments, respectively. The tissue Ca and Mg contents of mother pla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ntrol (90 mg·L<SUP>-1</SUP> HCO₃<SUP>-</SUP>) and various acid blending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treatment. By contrast, Ca and Mg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with acids. The Fe, Mn, Zn, and Cu contents in plant tissue of –control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all other treatments.

      • KCI등재후보

        딸기탄저병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잠재감염주의 중요성 및 검출

        남명현(Myeong Hyeon Nam),이인하(In Ha Lee),권경학(Kyeong Hak Kwon),김홍기(Hong Gi Kim) 한국원예학회 2004 원예과학기술지 Vol.22 No.3

        딸기탄저병 1차 전염원으로서의 잠재감염주 역할을 조사하기 위해 2001년~2002년에 걸쳐 조직 배양된 건전묘와 병징이 없는 농가관행묘를 논산딸기시험장과 농가포장에서 재배하였다. 건전묘 가운데 탄저병 발생은 7월 10일(정식 후 98일)에 최초로 자묘에서 2.2% 발병한 반면 농가관행묘는 모주의 10%가 6월 10일(정식 후 68일)에 발병되었다. 2001년 8월과 2002년 9월에 농가포장의 탄저병 발생을 조사한 결과, 건전묘의 육묘포장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농가관행묘 포장에서는 5~60%까지 검출되었다. 딸기식물체에서 탄저병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Penz.) Penz. & Sacc.의 잠재감염을 빠르게 검출하기 위해 UV 조사 5분, 물 세척, paraquat(2.5㎖/L) 침지 30초, 70% 에탄올 침지 30초 처리하여 관찰하였다. C. gloeosporioides의 분생포자 형성은 UV, 물, paraquat, 에탄올 등의 처리에서 관찰되었으나 무처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paraquat처리는 C. gloeosporioides의 분생포자 형성이 가장 빨리 나타나 잠재감염주 검출에 효과적일 수 있다. To investigate the primary inoculum for latent infection on strawberry (Fragaria×ananassa Duch.), healthy plants (HP) derived from tissue culture and symptomless local farm plants (LFP) were grown in a strawberry nursery field in Nonsan Strawberry Experiment Station and local farms from 2001 to 2002. Among HP, occurrence of anthracnose was firstly detected in 2.2% of daughter plants on July 10th (98 days after planting). Meanwhile, among LFP, 10% of mother plants were wilted on June 10th (68 days after planting). In local farms, anthracnose did not occur in the nursery field where HPs were planted, but anthracnose incidence in LFP were detected from 5 to 60%, based on the survey in Aug. 2001 and Sept. 2002. To detect rapidly latent infection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Penz.) Penz. & Sacc. on strawberry, 5 min ultraviolet light (UV) radiation, water rinse, 30 sec herbicide paraquat (2.5mLㆍL⁻¹) treatment, and 30 sec 70% ethanol treatment were tested, respectively. Acervulus formation of C. gloeosporioides was observed on petioles treated with either UV, water, paraquat, or ethanol. However, acervulus formation were not detected in non-treatment samples. Paraquat treatment was faster than other treatments for developing acervulus of C. gloeosporioides. Rapid and accurate detection of latent infection on strawberry anthracnose should be possible effectively by paraquat treatment on petioles.

      • KCI등재

        딸기 영양번식을 통한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의 자묘 감염

        남명현(Myeong Hyeon Nam),강양제(Yang Jae Kang),이인하(In Ha Lee),김홍기(Hong Gi Kim),전창후(Changhoo Chun) 한국원예학회 2011 원예과학기술지 Vol.29 No.3

        딸기의 크라운과 뿌리를 갈변시키는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에 의한 시들음병은 국내 육묘포장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토양병해이다. 육묘기 영양번식을 통한 시들음병 전염 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금향’ 품종을 대상으로 시들 음병에 감염된 모주로부터 일시채묘 방식으로 자묘를 증식하여 시험에 이용하였다. 시들음병 감염묘와 건전묘간의 자묘생산량 비교에서는 접종 58일 후 감염묘의 러너 발생수는 비닐하우스와 인공광 이용형 육묘 모듈에서 각각 2.7개와 3.8개였으나 건전묘에서는 6.5개와 8.4개로 감염묘에 비해 자묘 생산이 2배 이상 되었다. 시들음병에 감염된 모주에서 영양번식을 통한 자묘의 감염율은 정식 58일 후 1차 러너의 상단부위(2-1)에서 100% 검출되었으나 그 이하 부위에서는 검출이 되지 않았다. 정식 90일 후에는 시들음병균이 1차 러너의 상, 중, 하단 부위(2-1, 2-2, 2-3) 모두에서 100% 검출되었으며, 1차 자묘에서도 60%의 검출율을 보였다. 반면 건전 묘에서는 정식 58일과 90일 후에도 시들음병균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딸기 시들음병은 토양 전염 외에 감염된 모주로부터 영양번식을 통한 자묘로의 전염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시들음병의 건전묘 생산방법으로 인공광 환경에서 생산된 1차 자묘를 육묘용 모주로 이용하는 것도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Fof), the causal agent of crown and root rot in strawberry, is the most serious soilborne disease of nursery plants in Korea. The possibility of infection by Fof through runner propagation from infected mother plants of strawberry cv. ‘Kumhyang’ was assessed in stolons and daughter plants hanging from raised beds. The number of daughter plants from an infected mother plant in plastic house and photosynthetic photon flux (PPF) system, 280 μ㏖ · m?² · s?¹ was 2.7 and 3.8 plants after 58 days, respectively. However, healthy mother plants produced 6.5 and 8.4 daughter plants, respectively. The pathogen was detected in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stolon after 58 days, but was not detected further down the stolon. After 90 days, it was detected in all portions of the stolon between mother and 1<SUP>st</SUP> daughter plant and in 60% of all 1<SUP>st</SUP> daughter plants. The pathogen was not detecte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non-infected controls. These results show that infected mother plants can transmit Fof to their daughter plant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oil and 1st daughter was used as mother plant in PPF system for propagating healthy plants.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