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절된 천식 소아에서 약제 중단 후 외래용 간이 폐활량계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평가한 기도가역성 지표의 변화: 예비 연구

        이의준 ( Eui Jun Lee ),김경훈 ( Kyung Hoon Kim ),이주경 ( Ju Kyung Lee ),송준혁 ( Jun Hyuk Song ),박준동 ( June Dong Park ),고영률 ( Young Yull Koh ),서동인 ( Dong In Suh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2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2 No.4

        목 적 : 잘 조절된 천식 소아에서 조절 약제의 사용 중단후, 폐 기능 지표를 외래용 간이 폐활량계로 측정하여 그 변화 양상을 관찰하고 호흡기 증상 악화 여부와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방 법 : 예비 연구로서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여 지속성 천식으로 확진 받고 조절제를 사용 중인 학동기 소아로, 3개월 이상 잘 조절된 상태가 유지되는 소아 20명을 대상으로 조절제를 중단하고 12주 동안 추적 관찰하였다. 조절제 중단 당일, 2주, 6주, 12주 차에 외래에 내원하여 천식 조절 상태에 대한 설문과 이학적 검진을 시행하고, 휴대용 폐활량계로 기관지 확장제 흡입 전후의 폐 기능지표를 측정하여 그 추이를 관찰하고 임상 소견과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 총 13명(65%)의 소아가 조절 상태를 유지한 채추적 관찰을 완료하였는데, 이들에서 기관지 확장제 반응(BDRFEV1, BDRPEFR)은 방문 시기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각 관찰 시기별로 천식 증상을 보였거나 천명음을 청진할 수 있었던 증상 악화군과 나머지 안정군은 기관지 확장제 반응 뿐 아니라 폐 기능 검사 지표 (FEV1, PEFR)에 있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모든 측정 시점에서 측정된 BDRFEV1과 BDRPEFR은 동일 소아에서 반복 측정된 영향을 보정하여 산출 시, 좋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 론: 잘 조절된 천식 소아에서 조절제 사용 중단 시 다수에서 천식 악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외래용 간이 폐활량계를 이용하여 평가한 폐 기능 지표가 호흡기 증상 악화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규명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약제 중단후 천식 상태의 평가에서 외래용 간이 폐활량계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향후 보다 큰 규모의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It is important to assess the level of control in asthmatic children who were well-controlled and thus discontinued controller medications. Office spirometry has been regarded to provide objective measures. We aimed to see time changes in lung function indices measured by the office spirometry and their relationship to clues for asthma exacerbation after discontinuation of controller medications. Methods : As a pilot study, a total of 20 well-controlled children with persistent asthma were included. After discontinuing controller medications, each made follow-up visits at the 2nd, 6th, and 12th week. At each visit, spirometric values before and after bronchodilators were evaluated by the office-based spirometer. Time changes and their relationship to clues for asthma exacerbation were assessed. Results : Among 20 children, 13 (65%) were successfully followed-up for 12 weeks with asthma kept stable. They presented similar spirometric values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peak expiratory flow rate [PEFR], bronchodilator responses [BDRs] based on the FEV1 and PEFR) across all time-points. No differences in spirometric values were found between those who were stable and those who exhibited clues for asthma exacerbation. BDRs calculated from FEV1 values (BDRFEV1) correlated well with those calculated from PEFR values (BDRPEFR). Conclusion : When controller medications were discontinued in children with well-controlled asthma, many of them were able to maintain the stable condition. Since the spirometric measures including BDR failed to differentiate clues for asthma exacerbation, the usefulness of office spirometry needs to be reevaluated by the larger population of children with controlled asthma after discontinuing medications.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12;22:336-343]

      • KCI등재

        ASTER 분광분석을 통한 해남지역 강고령토변질 암석의 식별

        이홍진,의준,문동혁,Lee, Hong-Jin,Kim, Eui-Jun,Moon, Dong-Hyeo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1 자원환경지질 Vol.44 No.6

        해남 천열수 광화대는 우리나라 남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저유황계 천열수 금-은 광상(은산-모이산)과 점토광상(옥매산, 성산, 춘산)을 배태하고 있다. 백악기 화산활동과 관련된 천열수 광상과 이와 함께 수반되는 열수변질작용은 열수변질광물들로 구성된 대규모의 대상분포를 야기 시켰다. 명반석-석영, 명반석-딕카이트-석영, 딕카이트-카올리나이트-석영의 광물조합을 갖는 강고령토변질작용으로 변질된 암석들은 옥매산, 성산, 춘산지역에 노출되어 있다. 세 개의 가시근적외선 밴드, 여섯 개의 단파장적외선 밴드, 다섯 개의 열적외선 밴드로 구성된 Advanced Spaceborne Thermal Emission and Reflection Radiometer (ASTER)는 해남 천열수 광화대 내 강고령토변질작용을 받은 암석들을 식별하는데 사용되었다. 열수변질광물들의 특정한 분광특성들은 연구지역내 변질 받지 않은 암석들로부터 강고령 토변질작용을 받은 암석들의 식별을 가능하게 한다. 연구지역 내 강고령토변질작용을 받은 암석들을 주로 구성하는 명반석, 딕카이트, 카올리나이트는 대표적인 함 Al-O-H 광물로 $2.20{\mu}m$에서 강한 흡수특성을 갖는다. ASTER 밴드조합 및 밴드비 변환은 강고령토변질작용을 받은 암석과 비변질 암석으로부터 획득된 DN 값의 차이를 증가시킨다. 옥매산, 성산, 춘산지역으로부터 강고령토변질작용을 받은 암석들 내 명반석과 딕카이트-카올리나이트는 각각 1.523과 1.737의 평균 DN 값을 갖는다. 이러한 DN 값은 비변질 지역으로부터 획득된 DN (각각 평균 1.211과 1.308)값에 비해 훨씬 높다. ASTER 영상은 지표환경에서 열수변질광물의 분포특성을 원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ASTER 분광분석과 야외지질조사 결과의 좋은 상관성은 ASTER 분광분석이 광물자원탐사의 초기 단계에서 유용한 탐사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The Haenam epithermal mineralized zone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South Korea, and hosts low sulfidation epithermal Au-Ag deposit (Eunsan-Moisan) and clay quarries (Okmaesan, Seongsan, and Chunsan). Epithermal deposits and accompanying hydrothermal alteration related to Cretaceous volcanism caused large zoned assemblages of hydrothermal alteration minerals. Advanced argillic-altered rocks with mineral assemblages of alunite-quartz, alunite-dickite-quartz, and dickite-kaolinite-quartz exposed on the Okmaesan, Seongsan, and Chunsan area. Advanced Spaceborne Thermal Emission and Reflection Radiometer (ASTER), with three visible and near infrared bands, six shortwave infrared bands, and five thermal infrared bands, was used to identify advanced argillic-altered rocks within the Haenam epithermal mineralized zone. The distinct spectral features of hydrothermal minerals allow discrimination of advanced argillic-altered rocks from non-altered rocks within the study area. Because alunite, dickite, and kaolinite, consisting of advanced argillic-altered rocks within the study area are characterized by Al-O-H-bearing minerals, these acid hydrothermal minerals have a strong absorption feature at $2.20{\mu}m$. The band combination and band ratio transformation cause increasing differences of DN values between advanced argillic-altered rock and non-altered rock. The alunite and dickite-kaolinite of advanced argillic-altered rocks from the Okmaesan, Seongsan, and Chunsan have average DN values of 1.523 and 1.737, respectively. These values are much higher than those (1.211 and 1.308, respectively) of non-altered area. ASTER images can remotely provide the distribution of hydrothermal minerals on the surface. In this way good relation between ASTER spectra analysis and field data suggests that ASTER spectral analysis can be useful tool in the initial steps of mineral exploration.

      • KCI등재

        Landsat과 ASTER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한 광물자원탐사로의 적용 가능성을 위한 예비연구

        이홍진,박맹언,의준,Lee, Hong-Jin,Park, Maeng-Eon,Kim, Eui-J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0 자원환경지질 Vol.43 No.5

        Landsat과 ASTER 위성영상을 이용한 암상구분은 반건조-건조 지역을 대상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진 바 있으며, 미국 네바다 금속광화대 지역을 중심으로 광물자원탐사를 위한 초기 단계에서 유용한 방법으로서의 가능성에 관한 검증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 지역인 중앙, 삼성, 경주, 내남 납석광산이 위치하고 있는 경상분지 남동부의 지질은 주로 백악기 하양층군에 속하는 진동층을 기저로 하여 유천층군에 해당하는 중성질 화산암류, 정각산층, 건천리층, 산성 화산암류와 후기에 이들 층을 관입하는 불국사 화강암류들로 구성되어 있다. 위성영상으로부터 납석광상을 추출하기 위한 비연산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서, 중앙납석광산으로부터 채취된 응회암질 모암과 열수변질작용에 의해 형성된 납석을 대상으로 이들의 분광반사률을 측정하였다. 이들 분광반사률을 Landsat 영상과 ASTER 영상의 밴드별 분광반사율 곡선을 이용하여 재배열한 결과, Landsat 영상에 대해서는 밴드 5번에서 강한 반사 특성을 보이고, 밴드 7번에서 강한 흡수 특성을 보였다. ASTER 영상에서는 밴드 5와 8번에서 강한 흡수 특성을 밴드 4와 7번에서 반사특성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Landsat 위성영상의 DN (Digital Number) 값을 이용한 $Py_{Landsat}$ 모델을 적용한 결과, 열수변질대 지역은 1.94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이는데 반해서 이외의 지역은 1.19~1.49 사이의 낮은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y_{ASTER}$ 모델의 적용결과 납석광산과 다른 대상물간의 치는 콘크리트와 0.472, 나대지와 0.399로, $OHI_b$과, PAK모델의 적용결과 0.452, 0.371과 0.365, 0.311로 보다 큰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 제안한 $Py_{ASTER}$ 모델은 납석광상을 보다 더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Landsat and ASTER data have been used in mineralogical and lithological studies, and they have also proved to be useful tool in the initial steps for mineral exploration throughout Nevada mining district, US. Huge pyrophyllite quarry mines, including Jungang, Samsung, Kyeongju, and Naenam loc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Gyeongsang Basin. The geology of study area consists mainly of Cretaceous volcanic rocks, which belong into Cretaceous Hayang and Jindong Group. They were intruded by Bulgugsa granites, so called Sannae-Eonyang granites. To extraction of Ratio model for pyrophyllite deposits, tuffaceous rock and pyrophyllite ores from the Jungang mine used in reflectance spectral analysis and these results were re-sampled to Landsat and ASTER bandpass. As a result of these processes, the pyrophyllite ores spectral features show strong reflectance at band 5, whereas strong absorption at band 7 in Landsat data. In the ASTER data, the pyrophyllite ores spectral features show strong absorption at band 5 and 8, whereas strong reflectance at band 4 and 7. Based on these spectral features, as a result of application of $Py_{Landsat}$ model to hydrothermal alteration zone and other exposed sites, the DN values of two different areas are 1.94 and 1.19 to 1.49,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values between pyrophyllite deposits and concrete-barren area are 0.472 and 0.399 for $Py_{ASTER}$ model, 0.452 and 0.371 for OHIb model, 0.365 and 0.311 for PAK model, respectively. Thus, $Py_{ASTER}$ and $Py_{Landsat}$ model proposed from this study proved to be more useful tool for the extraction of pyrophyllite deposits relative to previous models.

      • KCI등재

        스마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건설 자재 관리

        이광표,이현수,박문서,의준,Lee, Kwang-Pyo,Lee, Hyun-Soo,Park, Moon-Seo,Kim, Eui-J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2 No.4

        최근 건설 공사가 대형화, 복잡화되어 감에 따라 건설 산업에서는 Information Technology (IT) 기술의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며, 보다 효율적인 건설 관리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다양한 종류의 건설 관리시스템 (Project Management System)이 도입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Bar Cod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Web Camera 등의 다양한 IT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들은 실시간 정보처리 기술의 부족, 건설 현장과 관리 오피스의 이원화 등으로 인하여 정보의 재작업 및 비효율성을 초래하여, 데이터의 저장 및 데이터베이스 (Database) 기능을 제외한 부분에서는 오히려 건설 생산성을 저해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기존 관리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요구사항 분석을 통하여 기능을 도출함으로써 건설 자재 관리 부문에 있어 건설 현장 내 적용성이 뛰어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건설 자재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정보의 자동 입력, 자재 정보의 실시간 처리 및 확인, 조달 자재 위치 확인을 가능하게 하여 건설 현장과 관리 오피스 간의 이원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최신 IT 디바이스 (Device)인 스마트폰의 건설 현장 내 도입 가능성 및 적용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Construction works have become larger and more complex, improving productivity by introducing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pursued. In this circumstance, many different kinds of project management system is being introduced, and various IT technologies are applied such as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Bar Cod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Web Camera, and so on. However, these kinds of technologies might cause reprocessing of information and ineffectiveness of project because of lack of real time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or separation between construction sites and management office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pplication that can be applied efficiently for construction material management, by understanding problems of former management system with questionnaires and extracting functions with analysis of requirements. This will be possible to input information automatically, to process and check material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to identify the location of necessary material. Then, the problem of separation between construction sites and management offices are solved, and as a result,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materials in construction sites will become possible.

      • 천식 소아에서 아토피 유무가 기관지확장제 반응에 미치는 영향

        서동인 ( Dong In Suh ),이의준 ( Eui Jun Lee ),이지원 ( Ji Won Lee ),이주경 ( Ju Kyung Lee ),고영률 ( Young Yull Koh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1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1 No.1

        목적: 천식 소아에서 진단 및 천식 상태 평가의 도구로 사용되는 기관지확장제 반응이 아토피 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보이는 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여 천식을 확진 받은 6-16세의 환자 207명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은 천식 진단을 위해 자세한 병력청취와 혈액검사, 피부단자시험, 기관지 유발시험을 시행받았고, 이후 기관지확장제 반응을 측정받았다. 피부단자시험 결과로 판정한 아토피 유무에 따라 환자들을 두 군으로 나누어 천식 진단시 시행한 기관지확장제 반응의 값을 비교했으며,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지확장제 반응과 호산구 염증 지표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계 검정하였다. 결과: 기관지확장제 흡입 전 FEV1은 두 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아토피성 천식군에서 기관지확장제 반응이 비아토피성 천식군보다 더 크게 관찰되었다(9.12±5.69 % vs. 6.93±3.80%, P=0.03). 또한 천식 환자 전체에서 기관지확장제 반응은 혈청 총 IgE (r=0.192, P=0.01), 호산구 수(r=0.192, P=0.01) 및 호산구 양이온 단백(r=0.200, P<0.01)과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천식 소아는 진단 초기 안정상태에서 기도가역성 평가시 아토피 유무에 따라 기관지확장제 반응에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진단 초기 천식 소아에서 천식 상태의 평가 및 대처방안 결정에 있어 기관지확장제 반응을 참고할 경우 아토피 여부에 대한 고려가 함께 필요하다. Purpose: The bronchodilator response (BDR) is frequently measured to assess the severity of asthma and to help facilitate therapeutic decisions, as well as to confirm the diagnosis. Few reports are available on the impact of atopy, one of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s for childhood asthma, on the BDR.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207 asthmatic children (174 with atopic asthma and 33 with non-atopic asthma)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t the time of asthma diagnosis, the subjects underwent blood tests, bronchial provocation tests, and spirometry before and 15 minutes after inhalation of 4 puffs of salbutamol. We compared the mean BDR levels between the children with atopic and non-atopic asthma, then deter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BDR and serum markers of eosinophilic inflammation. Results: While the mean pre-bronchodilator FEV1 was not different between children with atopic and non-atopic asthma, atopic asthmatics had a higher mean BDR than non-atopic asthmatics (9.12±5.69% vs. 6.93±3.80%, P=0.03). There were weak, but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BDR and the serum markers of eosinophilic inflammation (total immunoglobulin E, r=0.192, P=0.01; total eosinophil count, r=0.192, P=0.01; eosinophil cationic protein, r=0.200, P<0.01). Conclusion: Asthmatic children had different mean levels of BDR based on atopic status at the time of asthma diagnosis. When the BDR was assessed to aid therapeutic decisions, the presence of atop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children with asthma.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11;21:39-4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