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発音に関するビリ-フ -因子分析を中心に-

        李玧兒(Lee, Yun-A) 대한일어일문학회 2020 일어일문학 Vol.88 No.-

        In order to clarify the beliefs about Japanese pronunciation of learners,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and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even factors: Factor 1 Lack of confidence when reading Japanese; Factor 2 Satisfaction with one"s pronunciation; Factor 3 Necessity of Japanese instructors; Factor 4 High motivation to improve pronunciation; Factor 5 Importance of pronunciation; Factor 6 Interest in Japanese; Factor 7 Difficulty in learning Japanese. We had predicted that gender and the length of stay in Japan would affect these factors, and a t-test found that the first factor for gender was "lack of confidence when reading Japanese" and the third factor was "teaching Japane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Factor 7 "difficulty of learning Japanese". In both cases, it was found that men were more strongly influenced, and the thought that it was difficult to learn Japanese led to a lack of confidence in reading as well as teaching Japanese. It was confirmed that he wanted a professor who would do it.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length of stay in Japan found that it affects the first factor "lack of confidence when reading Japanese", the second factor "satisfaction with one"s pronunciation", the fourth factor "high motivation to improve pronunciation", and the sixth factor "Japa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factor of "interest in words". It was revealed that those who have stayed in Japan for more than 6 months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pronunciation than those who have not, and are more motivated to improve their pronunciation and have a stronger interest in Japanese.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have lived in Japan for less than 6 months are less confident when reading Japanese than those who do not. The results above can help professors who teach Japanese find out and address the fundamental reasons why learners find it difficult to learn Japanese. This is probably because it has become clear that interest in Japanese also led to a desire to improve pronunciation. In addition, by recognizing accurate pronunciation, one will become more confident when reading Japanese, and one should be able to continue studying alone after class. If the learner continues to study without being able to distinguish the correct pronunciation, communication may become difficult and interest in Japanese itself may be lost.

      • 위상 광자 결정을 이용한 Whispering Gallery Mode 공진기 설계

        이윤아 ( Yun A Lee ),이창원 ( Chang Won Lee ),박연상 ( Yeonsang Park )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2022 충남과학연구지 Vol.39 No.1

        Topological photonic crystals are photonic versions of electronic topological crystals that show a topological property in electronic band structure. At the interface between two different topological photonic crystals, a topologically protected localized edge state can be formed. Using this edge state, we can make a stable waveguide mode that is robust to crystal defects caused by a fabrication error. Here, we calculate a topological whispering gallery mode with 1.3 ㎛ wavelength by connecting the waveguide mode, and show numerically by finite-difference time-domain simulation that this mode is robust in crystal defects.

      • KCI등재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구과학(지권) 영역에 대한 종적 연계성 분석과 미국 차세대과학기준과의 비교

        이윤아 ( Yun A Lee ),이효녕 ( Hyonyong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6 중등교육연구 Vol.6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지권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내 종적 연계성을 분석하고 미국 차세대 과학기준(NGSS) 과의 비교를 통하여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종적 연계성 분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미국의 교육과정 내 지권 영역의 내용을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권 영역의 연계성 결여 내용을 중복, 격차, 지도시기 역전의 세 가지로 분석하였다. NGSS의 주요한 핵심개념에 대한 종적 연계성을 분석하였고 우리나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권영역 내 연계성이 결여된 부분은 총 16곳으로 중복 12 건, 격차 3 건, 지도시기가 역전된 부분은 1 건이다. NGSS는 연계성이 결여된 부분을 찾아보기 힘들고 유치원에서 고등학교까지 내용이 심화되어 있고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초등학교 2학년까지는 교육과정 상에 과학이 명시된 바가 없고 연계성 결여 부분이 분석되었다.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은 NGSS와 비교하여 종적 연계성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체계성이 부족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articulation in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cused on the unit of ‘geosphere’ and to compare its findings of articulation with NGSS. The articulation, such as repetition and disparity, was analyzed by using terms extracted from the curriculum. The results indicated that lack of articulation includes 12 repetitions, 3 disparities and 1 reversal of content introduction order.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the NGSS is deepened and extended systematically from pre-school through to high school level. However, there is currently no clear science curriculum in place for students in pre-school through to second grade elementary in Korea. There are cases where the scientific notions go beyond the level of the targeted students. In comparison with NGSS, there is a lack of systemization and articulation in the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사회자본이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윤아(Yun-A Lee),김동주(Dong-Joo Kim) 한국보건복지학회 2018 보건과 복지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사회자본이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종사자의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효율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직업재활시설 56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수거된 180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사회자본의 차이는 대학원에 재학중이거나 졸업한 종사자의 사회자본이 대체로 많으며 직위와 월 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사회자본이 많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남성이 여성보다 직무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위와 직무역량은 비례하였고, 학력이 높을수록 직무역량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나 비례하지는 않았다. 셋째, 사회자본 중 결속성, 연계성은 직무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교류성, 호혜성, 신뢰성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재활시설에서는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종사자들이 각종 네트워크와 업무 외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야 한다. 또한 직업재활시설 종사자들의 직무특성에 맞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훈련 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practitioners on the job competency and seek the effective way to increase the job competenc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practitioners based on the result. A survey was carried out in 562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handicapped for the research objective and 180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social capital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 was not out of proportion but practitioners who are in attendance or graduated at graduate school has more social capital generally. And the higher position and average monthly income, the more social capital as well. Second, Male was found to have higher job competency than female and the position was proportional to job competency. And the higher education background, the higher job competency but it was not directly proportional. Third, the solidarity and connectivity in social capitals had significant influence in job competency but exchange, reciprocity, trust did not. Consequently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re required to take long term view and support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network and local community exchange. And the opportunity for systematic and effective training is required and it needs to be appropriate and suitable for job characteristic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practitioners.

      • KCI등재

        문화와 예술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이윤아(Lee Yun-A) 대한철학회 2003 哲學硏究 Vol.87 No.-

        문화와 예술의 상관성을 해명하고자 하는 이 연구는 먼저 '문화'와 '예술'이라는 개념의 말뜻과 본질특징을 개관하고 '문화예술'이라는 말이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 것이며 그것이 개념적으로 성립될 수 있는가를 살펴본 뒤 문화와 예술 사이에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가를 구명하는 순서로 전개된다. 이 연구에서 취하는 기본적인 입장은 존재론이며, 문화와 예술의 제반 현상분석을 통하여 그 본질에 도달하는 연구방식을 따른다. 문화와 예술 양자가 모두 정신적 존재라는 측면에서 이 연구는 문화와 예술에 대한 정신철학적 해명이라고 할 수도 있다. 문화는 명사라기보다는 동사에 가까운 개념이다. 문화는 인간의 일상생활에 있어서 다양한 행동 양식과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그것은 변화의 과정자체로 파악된다. 따라서 문화는 인간들이 만들어가는 인위의 작용으로서 생성 변천하는 것이며, 이미 만들어진 전통으로서 인간이 그것을 물려받아 살아가는 삶 그 자체이며 삶의 터전이 된다. 예술의 목적은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추구한다는 데 있으며, 예술작품은 그러한 목적에서 인위적으로 창작된 것이다. 예술만이 인간에게 기쁨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예술이 주는 기분은 본질적으로 무한하면서도 강제하지 않는 기쁨이다. 그런 의미에서 예술은 예술 이외의 다른 인위와 구별이 된다. 예술 또한 문화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삶의 전 영역에 침투하여 있음으로써 인간의 삶의 터전이 되며, 인간의 예술적 삶이야말로 인간으로 하여금 다른 모든 존재보다 우위에 서도록 하는 것이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문화예술인'이라는 개념은 성립 가능한 개념이다. 그것은 물론 모든 예술인을 당연히 포함하면서, 나아가 직접적인 예술가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그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추가하여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러니까 문화예술은 '예술을 포함하는 전문적인 문화 분야'나 흑은 '상당한 전문성을 가진 문화예술분야'라고 하여야 한다. 문화예술은 예술을 포함하면서 예술보다는 넓고 문화보다는 좁은 개념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된다. 문화와 예술은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다. 예술은 문화의 아들이면서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아버지이기도 하다. 예술이 문화의 아들이면서 동시에 아버지가 될 수 있는 것은 문화와 예술이 가지는 부분적인 외연의 일치 즉, 유사성과 차별성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lucidation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ar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of all, examines the meaning an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culture' and 'art' and then investigates what is the real meaning of 'culture-art' and whether this conception can be possible at all, and lastly elucidate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art. The basic standpoint of this study is the ontology, and the method of the study is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general phenomena of the culture and art because this analysis is expected to lead us to the essence of that phenomena Both culture and art being spiritual being, this study also can be seen as the spirit-philosophical elucidation of culture and art. 'Culture' is the concept which is akin to verb rather than to noun. It is organically related to the patterns of behavior in man's everyday life, and could be understood as the very process of change. Therefore the culture is what comes to being and is changing as the action which human being is making. And also as the tradition which is already made, it is the life itself and the basic grounds of life which human being has taken over. The purpose of the art is to pursuit of beauty and joyfulness, and the work of art is created artificially in that purpose. Though not only the art can give us joys but it is different from others in that it is essentially infinite and the joy which is not forced. In that aspect, art could be differed from any artificial thing other than art. The art in the same way as the culture, through infiltrating all the sphere of the human being's life could become human beings basic ground of life, and the artistic life of human being makes him superior than any other beings. 'Cultural-artist' which is used generally today is the possible conception which comprises properly all the artist and additionally every men who are not an artist proper but participate in that fields. Therefore we could understand 'culture-art' as the field of the special culture which contains art, or as the field of culture-art which has speciality in some degree. 'Culture-art', comprising art, is the concept which is wider than 'art', but narrower than 'culture'. Culture and art have an relation which affects on each other. Art is a son of the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a father of the culture who creates new one. That is possible because culture and art could have partly common realm in its denotation, i.e. they could have a similarity and distinction.

      • KCI등재

        日本語の発音指導の授業における学習者の行動と考え方の分析 -授業参加観察とインタビューを通して-

        李玧兒(LEE YUN A) 동아시아일본학회 2020 일본문화연구 Vol.0 No.74

        본 연구는, 수업참가관찰과 인터뷰를 통해 일본어 발음지도 수업을 듣는 학습자의 행동과 생각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필자가 반년간 발음지도 수업에 참가자로서, 수업을 관찰함과 동시에 특정의 학습자들의 행동을 중점적으로 참관했다. 또한, 수업이 종료되는 시점에, 필자의 관찰기록과 함께 인터뷰를 하여 학습자들이 어떠한 생각으로 수업에 임했는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1) 발음지도 수업에 대한 집중도가 낮고, 태도가 좋지 않다고 해서 일본어 발음에 대한 의식이 낮은 것이 아니다. (2) 발음지도 수업을 항상 열심히 듣는다고 해서 일본어 발음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아니다. (3) 발음에 대한 의식이 높을수록 자신의 발음과 지도자의 부재에 불안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렇기 때문에 지도자는 학습자의 모습만으로 판단을 해서는 안 되고, 학습자의 사고도 중요하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학습자가 발음에 대한 불안을 느끼지 않도록 정확한 발음 지도나 자기모니터 등의 방법을 지도하는 등의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behavior and thinking that KS shows in order to take classes in pronunciation instruction in Japanese. As a result, (1) The lower the concentration of pronunciation instruction classes and the poor attitude are not because the awareness of Japanese pronunciation is not low (2) the more awareness of pronunciation is not that Japanese pronunciation is important because it is always enthusiastic about pronunciation instruction classes. (3) The higher the awareness of pronunciation, the more likely the anxiety is raised in the absence of pronunciation or leadership. From the above,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person who was in class did not judge it at all, and that the learning person should think about what and what it is important., It is also required to be devised such as teaching accurate pronunciation instruction and self-monitoring methods so that the anxiety about the pronunciation of the learner can be resolved.

      • KCI등재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発音の変化

        이윤아 ( Lee Yun A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20 日本語敎育 Vol.0 No.91

        In this study, the change of pronunciation before and after the pronunciation guidance was analyzed for Korean Japanese learners who received the pronunciation guidance in Japanese at Korean universities compared with native pronunci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peed of speech was approaching the native pronunciation after receiving pronunciation guidance.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number of learners who have been instructed by pronunciation is more accurate than the percentage of learners who have been instructed to pronunciate, but often it is worse or worse.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reading of the words that were incorrectly settled before receiving pronunciation guidance would not change unless they were conscious of the exact pronunciation even if they were instruct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GIS 와 RS 를 이용한 비점원오염 모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김성준(Seong Joon Kim),이윤아(Yun A Lee),이남호(Nam Ho Lee),윤광식(Kwang Sik Yoon),홍성구(Seong Gu Hong) 한국지리정보학회 2000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GIS와 RS(Landsat TM, KOMPSAT EOC) 데이터를 이용한 ANGPS(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모형의 적용성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ANGPS 모형은 잘 알려진 분포형 강우사상 모형으로써 이 모형은 발의 시비수준과 crtksshd가의 오염 부하 수준을 적용할 수 있어 이를 요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평가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유역은 경기도 안성군 고산면(정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ANGPS(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model using RS data; Landsat TM merged by KOMPSAT EOC and GIS data. ANGPS model which is well-known distribute nonponint source pollution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