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미디어아트교육의 기초과정에 관한 연구

        이원곤 ( Won Kon Y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미디어아트를 전공으로 교육할 때, 그 기초과정을 어떤 관점에서 설계하여야 할 것인지, 그 인식의 지평을 열고자 하는 것이다. 20세기의 ``예술과 공학의 만남``이라는 화두는 두 분야의 소통과 협업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예술이 태어나게 하였으나, 미디어아트를 견인해 왔던 많은 기관, 아트센터, 학교 등에서는 아직도 어떤 방식으로 소통과 협업을 촉진할 것인지, 그리고 미디어아트를 교육하는 현장에서 기초과정을 어떻게 설정하여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혼란과 노선의 차이 혹은 철학의 차이가 존재한다. 각 영역의 융합과 통섭이 요구되고 있는 오늘날, 예술, 과학, 기술, 인문학, 산업 등 관련된 모든 분야의 통합을 지향하고, 새로운 비전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20세기 초의 바우하우스가 그랬던 것처럼, 대학에서 다양한 영역의 통섭에 의한 새로운 예술을 교육할 수 있는 ``기초과정``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아트의 최전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아트센터, 교육현장을 방문조사, 전문가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기초과정``에 대한 기본적인 철학과 실천방안의 도출을 시도해 보았다. 미디어아트는 그것을 첨단적인 실험예술로 보거나, 혹은 미디어콘텐츠개발을 위한 분야로 보느냐에 따른 태도의 차이도 있고, ``자기주도형 학습 vs 파일업 방식의 수련`` 중에 어느쪽을 중시하는가 하는 교육철학에도 많은 차이가 있어, 일정한 시야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힘들었다. 그러나 예술문화사를 포함한 인문학적 이해, 컴퓨터를 사용한 가시화, 피지컬 컴퓨팅, 작업사례연구, 기초 프로그래밍, 협업을 장려하는 프로젝트 실기, 최신기술에 대한 이해를 돕는 워크샵 등의 수업이 기초과정 혹은 핵심과정으로 부과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조사대상이 된 대학 등에서 공유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ew way of thinking to approach for basic course of media art education. The vision of ``the encounter of art & technology`` have been enabled to create various aspect of new art, but there are so much opinion differences. As well as various directions and the way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each other, and educate new generation in art school, especially in the theme what should be the basic course of media art education. Today, the words such as ``convergence`` and ``consilience`` represent the ``zeitgeist`` or new vision to the future, Art school`s education needs new spectrum of knowledge and interdisciplinary practice. In common with Bauhaus in Weimar had map out the basic course for art students. By means of visit research and interview, this study examined and speculated the fundamental philosophy and curriculum. As the final outcome, we could ascertained the existence of various viewpoint, media art as a highend experimental art or contents producing field. But also, there is a common need for ``understanding liberal art & media culture``, ``visualization through computer, ``physical computing``, ``media art work case study``, ``basic programming``, ``cooperating project`` and workshop in new technologies as a basic or core course of media art education.

      • KCI등재

        기초조형의 관점에서 본 "실재공간과 가상공간"의 구성

        이원곤 ( Won Kon Y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이 연구는 증강현실(AR)처럼 ``실재공간과 가상공간을 하나의 시야에 통합하는 기술``과, 그 두 개의 공간을 연결, 구성하는 새로운 조형원리의 기본성을 기초조형의 관점에서 논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가상공간은 르네상스기의 원근법에 의해 처음으로 구체적이고 명증된 공간으로서의 정합성을 획득했고, 이어서 입체이미지, 파노라마, 가상현실 등이 이미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가상과 실재 사이의 위상을 변화시켜 왔으며, 디지털정보에 의해 생성, 유통, 소비되고 있는 현대에 이르러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다. 이전부터 기계에 의해 생산된 이미지를 연결-합성하는 방법과 미학은 사진, 영화의 꼴라주/몽타주, 특수영화 등에서 꾸준히 탐구되어 왔으며, 특히 미디어아트에서는 영상설치작품을 중심으로 ``실재와 가상공간의 관계와 상호간의 다양한 위상과 조형방식``을 탐구해 왔었고, 최근의 증강현실과 복합현실(MR)은 사용자의 시야에 실재와 가상공간의 정보를 적절하게 정합시키는 기술을 추구하고 있다. 이처럼 이미지, 사운드, 조형물, 퍼포먼스 등의 요소를 병치 또는 합성하는 방법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가능성을 탐구하여 왔던 창조적 조형활동이 최근에 ``실재공간과 가상공간의 구성``이라는 새로운 미션과 만나게 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위치정합, 시선정합 등 다양한 기법으로 실재의 장소와 이미지를 중첩시키는 작품들의 예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험들이 근대 이래의 도시에서 소멸되어가는 장소성을 부활시키고, 그곳의 역사적, 문화적 함의를 재발견하거나 활용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기초조형``의 미션은 이공간(異空間)들 사이의 구성의 원리와 이중적 공간에 의한 새로운 리얼리티의 구성방안, 그리고 기술적 응용과 디자인의 기본성에 대한 연구에 까지 미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speculate the new theme of ``basic design and art`` in which the technology to combine & composite ``actual/virtual space`` and the plastic art in the same. In media art, especially video installation and so on, have been exploring various topology and style of actual/virtual relationship. Moreover recently developing AR(augmented reality) or MR(mixed reality) technology aim to match digital image and actual scene in the user`s view. If we can go by history, The origin of virtual space is the linear perspective that invented in 15th century`s Renaissance. And it created the virtual worl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ctual, then the two disparate space encounter each other by frame. From the origin of this primitive type, the topology between the two spaces have changed in various way throughout the years. For example, by stereoscope, the virtual space intrude to the other side, while the panorama view immersed the viewer toward in totally virtual space so that the viewers apt to forget where he(she) actually is. We can see that media art had been concentrated just the same theme for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virtual space/reality have been most outstandingly developed field during last 4 decades, by means of media technology. As a necessity, AR & MR technologies try to combine or amalgamate in to one the actual/virtual space. The diversity that could be derive from the composition of actual/virtual space, and its application to design, art, cultural research, education, sightseeing and industry et cetera, will be a new vision of Basic Design & Art.

      • KCI등재

        야마구치 카츠히로(山口勝弘)의 <電腦影繪遊戱-夢遊桃源圖> 연구

        이원곤 ( Won Kon Y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현대일본의 미디어아티스트 야마구치 카츠히로(山口勝弘)가 조선의 화가 안견의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의 원화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작한 싱글채널비디오 [電腦影繪遊戱-夢遊桃源圖](1999)의 작품분석을 통해, 이 작가가 1950년대 이래로 전개해 왔던 실험예술가/미디어아티스트의 미학과 안견의 작품과의 접점을 규명한 것이다. 안견의 원작은 도원으로 향하는 길의 골짜기와 산봉우리들을 삼원법(三遠法)의 평원, 심원을 고원과 대비시키는 방법으로 강조하였음에 비해, 야마구치 카츠히로의 작품에서는 시종일관 비행을 통해 봉우리들을 오르골처럼 훑어 지나감으로써 새로운 경관이 만들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구름을 이용해 풍경들 사이에 단락을 만들어가는 방법은 일본화의 ``낙중낙외도``에서 널리 쓰던 기법으로서, 당시에 교토를 이상향으로 간주하였던 점과 안평대군의 시대에 도원을 ``성정을 도야하기 위한 은자의 거처``로 보았던 사실이 대비되지만 어느 쪽도도원을 접근이 불가능한 장소라고 생각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작가에게는 시공간을 자유롭게 오가는 현대의 정보환경, 혹은 빛으로 가득한 야경을 지닌 현대의 도심이야말로 도원경의 새로운 모습이었다. 이와 같은 비전은 그가 총합프로듀서로서 오사카만국박람회장 미쓰이그룹관에서 연출했던 <창조의 낙원>(1970)에서 잘나타나 있으며, 여기서 관객은 ``우주와 창조의 여행``을 체험하도록 했었으며, 그것은 창조적퍼포먼스로서의 유(遊)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그의 이미지내리엄 구상으로 이어지는 것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link between Ahn Gyon`s famous landscape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1447) in Chosun period and the single channel video [Dreaming Journey of Togen Topia](1999) by Japanese contemporary media artist Katsuhiro Yamaguchi . First of all, K. Yamaguchi`s work that had using Ahn Gyon`s original images, showing floating perspective (or ``creative performance``) that origined from his 1950`s work ``Vitrine``. These two artists perspectives has similarity in producing continuously new scenery. In Ahn Gyon`s case, it was formed by 3 kind of perspectives(三遠法) or "the angle of totality", and for K. Yamaguchi, it was produced through the scanning among mountains by free and unstable flying vision - the eye of orgel. Secondly, there are the similarity between Ahn Gyon`s ``Peach Blossom Land`` that is based on Tao Yuanming`s famous story "Peach Blossom Spring" (桃花源記) surrounded by cliffhanging precipice with rocks of fantastic shape, shrouded by dense clouds and mist, and night sight of multimedia theme land just like contemporary metropolis that is full of light, image and sound. This kind of K. Yamaguchi`s vision, floating perspective in imaginarium, was performed at the total theater ``Creation of Paradise``(Mitsui Pavillion at EXPO ``70 in Osaka)

      • KCI등재

        영상테크놀러지와 예술의 리얼리티

        이원곤 ( Won Kon Yi ) 한국미학예술학회 2002 美學·藝術學硏究 Vol.16 No.-

        `Young-Sang(映像)` is a translated word of `optical image`, but it means `mechanical image` since 1930`s. And the history of image media, like as photography, cinema and video, was the process of its digitizing. CG was its final step. Digital images offered the way to the new kind of reality in artistic expression. Moreover, through interactivities, we have encountered some new kinds of realities, such as `interspace` that layered between real and vitual space, users `double consciousness` that coincidently connecting to two distinctly different fields of reality, augumented realities, and autonomous & responsive artificial lives in virtual space.

      • KCI등재

        CRT(Cathode Ray Tube : 음극선관)와 미디어아트 -백남준의 < 음악의 전시-전자 텔레비전 >(1963)을 중심으로-

        이원곤 ( Won Kon Y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6

        이 연구는 음극선관(陰極線管, cathode-ray tube : CRT)이 1950-60년대에 예술을 위한 미디어로 수용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CRT의 특성과 이에 대한 당시의 미학적 관심이 초기 미디어아트의 형성에 끼친 영향을 규명하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먼저 CRT기술이 확립되어가는 과정과 화상신호처리 및 표시방식의 특성, 50년대에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를 이용한 B. 라포스키(Benjamin F. Laposky)의 ‘전자추상‘(Electronic Abstractions.1952-), TV수상기를 최초로 화랑에 전시한 백남준의 ≪음악의 전시≫(1963)로 이어지는 흐름과 그 미학적 관심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백남준의 이 전시에 나타난 여러 작품들에 사용된 기술에 대한 분석, 나아가 ‘장치된 TV’가 스승존 케이지의 ‘장치된 피아노’와 헨리 코웰((Henry Cowell)의 ‘스트링 피아노’로 이어지는 ‘기성미디어에 대한 해킹에 의한 새로운 표현법의 개발’이라는 맥락을 살폈다. 그리고 <달은 가장 오래된 TV>(1965)의 초기버전이 현재 전시되고 있는 것들과 다른 성격의 작품인 점, 나아가 현재에는 그 초기버전에 대한 기억조차 부정확하다는 사실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하여 ‘CRT-전자영상을 이용한 초기의 일렉트로닉 아트’가 만들어낸 성과가 70년에 전개되는 ’비디오 아트’의 비전을 확립하는 바탕이 되었음을 규명하였다. 요약하자면 ‘전자예술’, ‘TV아트‘, ‘비디오아트’ 등 50-70년대 미디어아트의 제(諸)양상들은 CRT라는 하나의 기계기술의 기반 위에 성립된 것이며, 그것을 통한 다양한 전자적 실험이 초기 미디어아트 혹은 비디오아트의 미학적 지향성을 결정짓는 요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CRT(cathode-ray tube) and early media art, through the trace of its process of adaptation to the media art, in the 1950-70``s. And this paper aim to clarify it’s influence to the birth of video art and contemporary aesthetic attention of media art in general. As the first step to that end, this study will give an overview of the characteristics in the history of image signal processing and display system CRT technology, and its trail-blazing pioneers activities, ‘Electronic Abstractions’ of B. F. Laposky using an oscilloscope in the 1950s, and < Exhibition of Music >(1963, by Paik) where TV set was first exhibited.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echnology that was used in the works of the exhibition, this study clarify the continuing intentionality among ‘prepared TV’, ‘prepared piano’ of J. Cage, as well as ‘string piano’ of Henry Cowell. We can understand that these artists found their new creative ways by means of hacking the pre-existing machine. And finally,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concrete details of the technique of first version of N. J. Paik’s famous video installation < Moon is the oldest TV >(1965~) that had been actually existed in two separate ways owing to too fast evolution of media technolog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