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림책, 『거울속으로』에 나타난 자아형성 탐구

        김수영(Kim, Soo-young),이우학(Lee, Woo-hak)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3 스토리&이미지텔링 Vol.6 No.-

        본고에서는 이수지가 명명한 “현실과 환상의 경계 그림책 3부작” 중 첫 번째 작품인 『거울속으로』에 내포된 은유와 상징이 주인공의 자아형성 과정을 얼마나 함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거울속으로』에 드러난 자아형성 과정은 세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첫 번째는 이상적 자아형성 단계로, 거울에 비친 자기 모습을 통해 자아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작가는 세로로 길게 제본된 책의 맨 아래 한 귀퉁이에 왜소한 아이를 배치함으로써 원초적 불안감에 휩싸인 거울단계 진입 직전의 주체를 상징적으로 잘 표현하고 있다. 데칼코마니의 대칭적 구도를 지닌 그림들은 다른 한쪽 면을 거울로 인식하도록 설정되었고, 점층적으로 커져가는 꽃무늬는 거울상을 통해 자아를 인식하는 아이의 환희를 나타낸다. 또 제본 선을 기준으로 아이와 거울상이 함께 빨려 들어가는 이미지는 주체와 이상적 자아와의 동일시를 보여주고 있다. 두 번째는 자아/타자 간 경쟁단계로, 조각난 신체라는 파편화된 느낌에 시달리는 아이와 통일되고 완전한 이미지의 이상적 자아 사이의 경쟁단계이다. 작가는 아이가 두 가지 포즈를 취하는 동안 거울에 비친 이미지는 세 가지 동작을 표현하게 함으로써 아이에게 완전한 신체상으로 인식된 이상적 자아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 세 번째는 자아/타자 간 분리단계로, ‘나’의 존재를 잊은 채 거울상(타자)에 몰입하던 아이가 타자를 타자로 인식하게 됨으로써 공격성을 드러내는 단계이다. 이 단계를 거쳐 자아와 타자(타자에 동일시된 이상적 자아) 간의 분리가 이루어져야 아이는 상징계로의 진입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림책에서는 아이가 거울상(이상적 자아)을 밀어 깨뜨림으로써 둘 사이가 분리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모든 예술작품은 심리적 행위의 결과물이고, 따라서 심리적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수지의 그림책 ?거울속으로?를 정신분석적 관점으로 분석해봄으로써 글 없이 간결한 그림만으로 표현된 그림책을 통해서도 인간의 심층심리를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This paper looks at the ways in which Suzy Lee’s Mirror (the first picture book of the so-called “trilogy of borders between reality and fantasy”) implicitly shows the heroine’s self-construction process. The self-construction process revealed in Mirror is carried out in three stages. The first is the ideal self-forming stage, in which the infant constructs its self though the image reflected in the mirror. The author symbolically represents the anxious self by positioning the diminutive child at the bottom corner of the vertically long page. The girl and her mirrored image are represented symmetrically using the decalcomania technique. The enlarging flower patterns reflect the growing awareness of self and the joy of the child. The child and her mirror image are bound together by the center binding line, showing the identific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ideal self. The second is the stage of competition between the child stricken with the feeling of fragmented body and the unified ideal self. Showing three images of movements when the child poses in two different ways, the artist represents the free movement of the ideal self, through which the child recognizes herself as a perfect whole body. The third is the stage of separation of the self and other in which the child forgets the presence of “I” while immersed in the mirror image (other) and expresses aggressiveness by recognizing the other as the other. Through the separation between self and other(ideal self), the child is able to attempt access into the symbolic world. The picture book successfully depicts the girl breaking the mirror image (ideal self) and experiencing separation between the two selves. All art is the result of psychological behavior, and thus may be subject to psychological research. This paper interprets Lee’s picture book Mirror from a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in order to show how psychological depth can be represented by a series of wordless pictures.

      • KCI등재

        담론으로서의 폭파 - 콘라드의 『 밀정 』 ( The Secret Agent )

        이우학(Woo Hak Lee)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1999 현대영미소설 Vol.6 No.1

        This study argues that Conrad exploits the motif of `detonation` in The Secret Agent as a discourse act which challenges and questions the order of society. The narrator`s persistent inquiry into the Greenwich bomb affair is contrasted to the police investigation which suppresses the voices of anarchists. Conrad criticizes the dominant forces of the police. the press and the public for their collective efforts at silencing the outlawed and suppressed voices. The novel as Conrad`s own investigation of The Greenwich Outrage includes voices which are muted. Isolated. and regulated by the official voices of the time. The narrator seeks to restore the voices of revolutionaries, anarchists and terrorists which are classified as dangerous, contagious, and abnormal elements of society by the forces of law and order and allows them to speak. However, Conrad also warns of the monologic tendencies of the challenging voices which employ the same discourse strategies of official voices. The overall investigation concludes that the voices of law and order, ignoring the discourse implications of the detonation, dismiss it as a mere act of madness or despair. Placing various social discourses within narrative discourses of an ironic voice, Conrad scrutinises the ways in which discourses are exploited to shape the order of things in the modern capitalist society. The Secret Agent discussed in this study invites his reader to participate in an open ended inquiry into the natures of the institutionalised ideas of such as the law and order, the justice and security of society which nullify questions raised by the detonation.

      • KCI등재

        미국 아동문학과 검열

        이우학 ( Woo Hak Lee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0 동화와 번역 Vol.20 No.-

        검열은 미국아동문학사에서 가장 민감한 사안 중의 하나이다. 도덕적, 종교적, 정치적 견해를 달리하는 단체들은 `논란이 되는` 아동도서, 특히 아동문학 작품에 대해 이의제기를 한다. 미국에서의 아동도서의 검열문제가 왜 이토록 민감한 사안이 되는지를 검열의 표적이 된 아동문학 작가와 작품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아동도서 특히 미국 내의 아동문학 작품에 대한 검열의 대표적 사례를 조사하여 아동문학 작품에 대한 검열의 문제가 지닌 사회문화적 함의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아동도서 검열의 주요 사례를 소개함과 동시에 각 시대별로 미국의 사회적 변화에 따라 검열의 성격이 어떻게 바뀌어 왔는지를 알 수 있다. 미국 내에서의 검열 논쟁은 아동도서가 다양한 이유로 쉽사리 검열의 표적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동문학이 금서목록과 이의제기 도서 목록에 나타난 검열의 이유는 여성, 인종, 종교에 대한 차별과 편견, 성과 외설, 상스런 언어사용, 폭력성 등 다양하다. 이는 어린이 문학의 소재나 주제의 성격이 존재하지 않는 듯 보인다. 문제제기 된 내용을 공개하고, 분석하고 평가하는 일은 의미가 있다. 어린이 책은 지금까지 어른의 감시 속에 존재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통제 될 것이다. 검열에 대한 논쟁과 이에 대한 연구는 어린이들이 읽을 내용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할 것이며, 검열자들의 지적 통찰력과 사회적 감수성을 지속적으로 반영할 것이다. Censorship is one of the most sensitive issues regarding children`s literature in the United States. Groups that have different moral, religious, political values attack children`s books, particularly stories for children. This paper is a survey of how the issue of censorship has developed in the American society in different periods according to political climates and social changes. Als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ifferent positions groups hold toward censorship of children`s books. The reasons of censorship as shown on the ALA lists of banned and challenged books are various. The issues concerning censorship are `sexual explicit(language), offensive languages, discrimination against sex, race and religion, violence and etc. It seems that there is no safe-heaven for children`s literature. It is meaningful to expose the cases of challenged children`s books; it is more important to analyse and evaluate them. Children`s books remain to be under the adults` surveillance and control. Studying the censorship debates equips us with a more balanced perspective on reading materials for children. They reflect censors` intellectual insights into the social concerns and sensitivity of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레슬리 마몬 실코의 『이야기꾼』: 이야기꾼의 역할

        이우학 ( Woo Hak Lee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11 동화와 번역 Vol.22 No.-

        미대륙의 원주민들에게 스토리텔링이 그들의 삶과 문화의 중심에 있다. 전통적구전서사방식을 현대적으로 가장 잘 구현하고 있는 작가 중 하나로 실코를 꼽을 수 있다. 글쓰기가 중심이 되어 있는 서구의 스토리텔링 방식이 자신이 성장한 문화와 스토리텔링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장르적 경계를 넘어서는 혼성적 글쓰기를 단편집 『이야기꾼』에서 시도한다. 본 고에서는 이단편집에서 실코가 아메리카 원주민의 전통적 스토리텔링의 방식을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이야기꾼의 공동체에서의 역할 회복이 원주민의 문화적정체성 확립에 어떻게 기여하는 지 그녀의 저작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삶의 터전에서 쫓겨나고 ``인디언 보호구역``으로 강제 이주를 겪은 아메리카원주민들에게 이야기는 마지막 남은 유산이다. 이야기는 처음부터 개인의 소유는 아니다. 서구의 저작권과 원작자의 개념과는 달리 미원주민들에게 이야기는 이야기꾼 개인에게 속한 것이 아니라 공동체가 함께 공유해야하는 체험이며 전파해야하는 지혜인 것이다. 『이야기꾼』은 미원주민의 이야기들이 서로 연결되고 새로운 이야기와 결합하는 방식을 잘 드러내 보여준다. 실코의 이야기꾼은 자신의 이야기를 공동체적 맥락에서 볼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이야기가 지닌 서사적 진실성을 변경하거나 왜곡시켜서는 안된다는 점을 명확히 한다. 이는 이야기와 스토리텔링에 구현된 집단적 정체성을 파괴하려는 세력에 맞서 다음 세대의 이야기꾼에 계승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For Native Americans, storytelling lies at the center of culture and life. Leslie Marmon Silko is an author who embodies the traditional oral narrative into a contemporary representation. Her belief that the Western style of written narrative is inadequate to represent the culture that she grew up in causes her to attempt "mixed-style writing" in Storyteller which crosses the Western boundaries of genres. This study shows that Silko manifests the traditional Native American style of storytelling in her written work, and aims to show how her work contributes to establishing the cultural identity of Native Americans through recovering the role of the storyteller within the community. Stories are the last remaining heritage for Native Americans who have been driven from their lands into the Indian Reservation. For Silko, stories are not the property of an individual. In contrast to the Western concept of authorship, Native Americans believe stories are ``properties`` to be shared by the community, and also a communal wisdom which the community passes down to the next generation. Storyteller demonstrates how Native American stories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how they link to new ones. Silko`s Storyteller clearly shows that stories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that stories should not alter or distort the narrative truth within them. Her way of storytelling faces the forces that attempt to destroy the narrative identity of the community, and passes down the role of storyteller to the next generations.

      • KCI등재
      • KCI등재

        『앨리스』의 언어유희를 통한 전복의 미학과 주체화 -토끼굴로 내려가 새로운 언어의 세계에서 놀다-

        윤소영 ( So Young Yoon ),이우학 ( Woo Hak Lee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10 동화와 번역 Vol.19 No.-

        ??앨리스??에서 가장 특징적인 문학적, 언어적 요소는 언어유희이다. 언어유희가 발생하는 것은 소리음의 유사성으로 인해 생기는 청자의 오인이 주된 것이다. 이 현상에 착안해, 소리음(기표)의 유사성이 초래하는 새로운 기의의 대두가 색다른 기표를 발생시킨다는 것의 의미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즉 언어유희가 발생할 때 기표가 부재하게 된다. 언어유희는 언어를 아버지와 접목시킬 때 기표의 부재가 갖는 의미를 아버지의 부재라는 주제와 결부해 살펴볼 수 있다. 언어유희를 경험하는 것은 아버지가 부재하고 있는 환상공간에서 아버지의 언어를 전복하는 놀이를 통해 새로운 언어에 대한 통제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는 주체로서 언어를 획득하는 과정이 말장난이 발생하는 상황과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언어유희와 주체화의 관계를 기표의 부재라는 틀로 조망해 봄으로써 그 의미와 양상을 분석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또한 말장난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과연 언어적 권력이 존재하고, 언어의 주도권이 이동하는지를 살펴봄과 동시에 언어적 권력의 주도권이 누구에게 있는가에 따라 어떠한 양상의 말장난이 일어날 수 있는가를 설명할 수 있다. 환상의 공간에서 만나게 되는 다양한 존재들과 소통하는 앨리스는 색다른 언어의 세계 즉 언어유희를 통해, 아버지/ 언어의 세계를 전복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부연하면 언어를 아버지의 세계라 할 때 앨리스가 대화하고 유희하는 세계는 바로 말장난의 세상이다. 환상공간에서 펼쳐지는 언어세계는 기표의 증식과 대체 및 기의의 미끄러짐 등 언어의 놀이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기표의 부재와 재생산에 걸친 제반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앨리스??를 언어/ 아버지의 의미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더불어 앨리스가 경험하는 환상세계의 언어가 앨리스의 주체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가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It is well known that Alice in Wonderland(1865) by Lewis Carroll is filled with a variety of wordplay. It is a salient text to investigate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wordplay. Among diverse functions of wordpla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play and subjectification.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s on the meaning of absent fa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language, and how Alice accomplishes subjectification as a speaking subject. When wordplay occurs, speakers’ signifiers are replaced with listener’s different words with similar sound effects. In so doing, after the former signifiers became absent, the latter different signifiers are newly expressed. If wordplay includes absence of signifiers, absent signifiers can be referred to as absent father. Also, it can be seen the possibility that the spot wordplay occurs can be a place of hegemonic shift of language power between characters. In this respect, wordplay functions as a tool for subversion of language power. Diverse characters in Wonderland, such as a caterpillar, Griffon and Mad hatter, play important roles for Alice to learn new rules and order in the fantastic place through their own languages. In particular, subjectification of Alice as a speaking subject can be achieved through experiencing a variety of wordplay and managing to digest tricky phrases. In conclusion, wordplay in Wonderland is so-called play on words, thus carrying a vehicle to try to subvert father’s language in fantastic space. Like playing with words down the rabbit hole, Alice can achieve subjectification through playing with words in Wonderland.

      • KCI등재

        폴 고불(Paul Goble)의 『야생마를 사랑한 소녀』와 『들소가 된 인디언』을 통해본 생태학과 에코페미니즘

        이영준 ( Young Zun Lee ),이우학 ( Woo Hak Lee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4 동화와 번역 Vol.28 No.-

        『야생마를 사랑한 소녀』 와 『들소가 된 인디언』은 인디언과 말과 들소와 같은 동물들 사이의 매우 특별한 친인척 관계에 대한 이야기이다. 고불은 북아메리카 전역에 살고 있는 인디언 전설과 전통문화를 그림책에 담아왔으며 인디언, 자연 그리고 동물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인디언의 전통적 생활 방식과 문화를 재현시킨다. 『야생마를 사랑한 소녀』 에서 인디언 소녀는 자연 속에서 말을 돌보며 친자연적으로 살다가 결국은 말이 되어버린 이야기이다. 그녀는 말과 교류를 통하여 생명의 원천인 자연의 의미를 채득한 듯하다. 이 그림책이 보여주는 자연과의 조화로운 관계는 사람들로 하여금 생태중심적인 사고로의 전환할 것을 촉구한다. 『들소가 된 인디언』에서는 인디언 청년이 들소가 변한 여성을 만나게 되고 이 여인과결혼을 하게 된다. 그의 친척들이 이 여자를 미워하여 추방하자 그녀는 들소나라로 되돌아가게 된다. 부인을 사랑한 남편은 들소 왕국까지 따라가 여러 가지 어려움을 이겨낸 남성은 결국 아내와 아이와 함께 들소가 되어 살게 된다. 이 그림책들에는 생태적인 이야기뿐만 아니라 여성이 남성을 자연 속으로 이끄는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에코페미니즘적인 비전이 담겨져 있다. 특히 『들소가 된 인디언』은 남성인 주인공을 자연의 세계로 동화시키는 여성의 주도적인 역할을 통하여 인간과 자연, 남성과 여성이 서로 평등한 관계를 맺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인간중심적인 삶이 아니라 자연중심적인 발상을 통하여 자연이 인간과 더불어 상생할 수 있는 생태공동체가 삶의 터전임을 보여준다. The Girl Who Loved Wild Horses and Buffalo Woman are about how the Indians become close relatives with horses and buffalos. Goble tries to reestablish the native cultures of the Indians who had long lived in eco-friendly ways. His work is to creatively redefine an ‘eco-community’ made both of the Indian’s traditional life and nature. In The Girl Who Loved Wild Horses, a Indian girl enjoys her taking care of horses. She becomes one of wild horses. She comes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significance of nature. This picturebook urges us to have an eco-centered consciousness. In Buffalo Woman, a young Indian man meets a woman, an incarnation of a Buffalo, falling in love with and marring her. One day, she is expelled by those Indian relatives who hate her. As she returns to the Buffalo Kingdom, her Indian husband follows her to her kingdom, turning himself into a buffalo. Goble’s picturebooks are about not only a s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but also an eco-feministic story that women can have a leading role in terms of eco-revolution. These picturebooks indicate that the ecological balance between human and nature is crucial for our living on the earth. Moreover, Buffalo Woman shows us the essential role of a woman’s guiding a man to ecological relationships with nature. This is an ecological vision of eco-feminism in which human and nature, man and woman, etc, should live together in harmony under woman``s eco-centered leadership.

      • KCI등재

        사회적 담론으로서의 파트나호 스캔들 : 『로드 짐』에 나타난 낭만적 주체의 구축과 해체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of the Romantic Subject

        이우학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01 현대영미소설 Vol.8 No.1

        This study pesupposes Conrad's narrative work responds to various social discourses of his time. His novels are a rich corpus of social discourses.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s of Conrad's narratives is the narratars' obsession with social discourses. In Lord Jim, Marlow is on Jim's trail, following gossip, rumours and myth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mantic" hero who is driven by the scandal of the Patna incident. This study claims that the gossip of the Patna scandal in Lord Jim drives Jim to pursue an adventure of constructing an ideal romantic subject in the land of others. It argues that Marlow's narrative quest for discourses about the romantic hero, particularly his personal investigation of the gossip, offers an opportunity to scrutinise the organising principles of the romantic subject which Jim seeks to construct. This reading finds that the apparent romantic adventure of the hero is more than a personal quest, it is part of the late nineteenth century European class and racial consciousness. Of many social discourses about Jim, the gossip of the Patna scandal plays an impartant role in supporting and challenging the image of the romantic subject whose dominance over other races and classes is romanticised by the colonial discourse. Marlow's representation of discourses about and of Jim exposes the constitutive nature of the romantic subject which is a social construction, a fiction composed of the shadowy ideals of colonialism. Thus the tragedy of the romantic hero's suicidal death is compounded by his sheer fidelity to the disillusionment of the ideals. Placing various social discourses within narrative discourses, Conrad scrutinises the ways in which discourses are exploited to shape the follies and illusions of dominant ideologies of his time. The narrative text discussed in this study invites his reader to participate in an open ended dialogue with their contemporary ideologies, such as romanticism and coloni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