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안전문화의 인간공학적 연구방향

        이용희 대한인간공학회 2016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1

        본 논문에서는 인간공학회에서 각 분야에서 안전문화 문제로 제기되는 현안에 대해 논의한 결과를 통해 인간공학의 효과적인 접근방안과 과제의 중간 결과를 제시하였다. 근대 산업시대에서 인간공학은 다른 어떤 기술보다 안전을 확보하거나 기술을 혁신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다. 초기 시간동작 연구(time-and-motion study)로 대표되는 작업관리 시대는 물론, 운전석 및 HCI로 대표되는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해 인간공학은 스마트폰과 같은 첨단 인간-기계 체계의 혁신적인 발전에 기여해왔다. 특히 인간공학은 양립성 부족로 발생하는 인적오류 문제의 포착 및 안전문제 해결에 대표적 역할을 맡아왔다. 그러나 최근 ICT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안전문제의 성격도 급격하게 변화하여 안전문화가 새로운 유형의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회피(avoidance)와 태만(neglect) 등 귀차니즘형 오류(2012, 이용희)와 복잡한 성격을 드러내는 위반(violation)형 오류(2016, 강보라 외) 등은 전통적인 인적오류 기술로 다루지 못하여, 대부분의 분야에서 별도의 안전문화(safety culture) 현안으로 다루고 있다(2016, 이용희). 따라서 각 분야의 안전문화 현안 및 관련 활동 현황을 검토하고, 인적오류 3.0 개념과 같은 새로운 접근을 고려하여 안전문화와 관련된 시급한 인간공학적 과제를 도출하였다. 각 분야의 고유성과는 별개로 근본적 안전문화 현안에 대해 공통적인 연구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 인적오류3.0의 특징과 과제

        이용희 대한인간공학회 2016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1

        본 논문은 최근에 재부각된 인적오류(human error)의 효과적인 연구를 위하여 인적오류 및 연구개발 동향을 재검토하고 인적오류의 유형을 인적오류1.0~3.0으로 분류한 선행연구(2016, 이용희)를 기반으로, 새로운 과제로 부각되는 인적오류 3.0에 대한 특징 및 현안과 인간공학적 우선 과제를 제시하였다. 인적오류는 인간공학의 핵심과제이지만, 기술과 사회의 변화로 접근방법에 변화가 불가피하다. 특히 안전문화(safety culture) 문제로 모호하게 부각되고 있는 최근의 현안을 인간공학 분야에서 해결해야하는 인적오류3.0의 핵심과제로 논의하였다. 또한 그 대표적인 사례로 인적오류 후의 인적오류인 위반(violation) 오류를 중심으로 인적오류 3.0의 특징에 대한 검토 결과를 제시하고 관련된 연구개발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서전적 글쓰기를 통한 문학교육: 영미수필 수업사례

        이용희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18 영어영문학연구 Vol.60 No.1

        Are university students writing their own autobiographies in English Literature class? What is the use? They have not entered a society as a “true” member yet and there may be little accomplishment to write about. We assume that writing an autobiography is only for the greatest people and the elderly. However, as a kind of essay, autobiographical writing enables college students to generate many positive aspects such as speculation on their memory with the process of creating meaning out of the past through a student’s present perspective, increase in self-respect, improvement of expressive ability, self-reflection in a meaningful way, and the like. The data for this study gathered through two questionnaires of “before” and “after” classes have undergone frequency and correlation analyses.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writing an autobiography enhanced students’ class satisfaction, increased more interest in studying literature, helped students to experience literature as a genre interrelated with them and their lives, and ultimately, engendered various valuable outcomes for students’ growth. Therefore, writing an autobiography needs to be encouraged in a literature class setting.

      • KCI등재

        동맥류성 거미막밑출혈 후 발생한 뇌혈관 연축의 다중검출기 CT 혈관조영술: 골감산 및 표준기법의 CT 혈관조영술과 디지털감산혈관조영술의 비교

        이용희,최대섭,유재욱,유진종,최호철,김지은 대한영상의학회 201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5 No.4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multidetector-row CT angiography (MDCTA) for the diagnosis of cerebral vasospasm after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SAH) by comparison of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and to compare the bone subtraction CT angiography (BS-CTA) and standard CT angiography (S-CTA).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hree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intraarterial nimodipine infusion for the cerebral vasospasm after aneurysmal SAH were evaluated with MDCTA and DSA. BS-CTA images were reconstructed from the S-CTA and unenhanced CT source images. A total of 207 vascular segments were evaluated. A four-step scale for the degree of stenosis was applied for each segment. With DSA as the standard images, BS-CTA and S-CTA images were comparied. Results: On DSA, 56 segments (27%) presented vasospasm. Concordance between the DSA and S-CTA and between DSA and BS-CTA were 94.7% and 82.1%, respectively. Overestimation for the degree of stenosis was shown in 37 segments on BS-CTA and in 8 segments on S-CTA, but underestimated segments were only shown on S-CTA (n = 4). Conclusion: MDCTA with standard technique seems to be a useful imaging tool for the evaluation of the cerebral vasospasm after aneurysmal SAH. However, BS-CTA is not needed because of additional radiation and overestimation of the degree of stenosis. 목적: 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거미막밑출혈(이하 SAH) 후 발생한 뇌혈관연축을 진단하는 데 있어 디지털감산혈관조영술(이하 DSA)과 비교하여 다중검출기 CT 혈관조영술(MDCTA)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골감산기법의 CT 혈관조영술(이하 BS-CTA)과 표준기법의 CT 혈관조영술(이하 S-CTA)을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동맥류성 SAH에 의한 뇌혈관연축으로 동맥내 니모디핀 주입술을 시행한 3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S-CTA 원천영상에서 조영전 CT 원천영상을 감산하여 BS-CTA영상을 재구성하였다. 총 207개의 두개내 혈관분절을 분석하였으며 DSA영상을 표준으로 하여 S-CTA와 BS-CTA영상을 분석하였다. 혈관연축의 정도를 4단계로 구분하여 평가하였고, DSA와 S-CTA 및 DSA와 BS-CTA 결과의 일치도를 구하였다. 결과: DSA 결과에서 56개의 분절(27%)에서 혈관연축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협착정도의 평가에 있어 DSA와 S-CTA 및 BS-CTA 결과의 일치도는 각각 94.7%, 82.1%였다. 협착의 정도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는 BS-CTA에서는 37분절 모두에서 과대평가하였고, S-CTA에서는 8분절에서는 과대평가, 4분절에서는 과소평가하였다. 결론: MDCT를 이용한 S-CTA는 동맥류성 SAH에 의한 뇌혈관연축을 진단하는데 DSA와 필적할만한 비침습적인 검사로 생각된다. 그러나 BS-CTA는 협착의 정도를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고 추가적인 방사선 노출이 따르므로 불필요한 검사로 생각된다.

      • 신 규제기준에 따른 원전사면의 재해석 사례

        이용희,최원학,김석철 대한지질공학회 2016 대한지질공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16 No.1

        국내 산업계에서 사면안정성 평가기준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비탈면 설계기준에서는 안전율기준과 해석방법의 종류 및 안정해석 기준을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원자력시설물과 관계되는 사면의 경우 경수로형 원전 규제기준 및 규제지침을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으며,비탈면 설계기준과는 규정하고 있는 상세내용에 있어서는 일정부분 차이가 존재한다. 국내 원전 부지 내 사면의 안정성 평가방법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 경수로형 원전 규제기준 및 규제지침에서는 사면안정성 평가 시 사용되는 해석법 고유의 가정이 해석결과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미국의 SRP(Standard Review Plan) 2.5.5에서도 해석법 고유의 가정이 해석결과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모든 사면 평가에있어서 단일방법은 인정하지 않으며, 공공기관에서 발행된 관련 매뉴얼들(U.S. NavyDepartment, U.S. Army Corps of Engineers, U.S. Bereau of Reclamation과 같은)을 활용하여 해석되었는지를 확인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안정해석 방법론 중 한계평형해석법과 유한요소해석법에 국한하여 각각의 해석법이 가지는 고유의 가정이 해석결과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미 육군 공병단 자료를 중심으로 검토를 수행하고, 기 설계 및 시공이 완료된 ○○원전본부 배후사면을 대상으로 재해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한계평형해석 방법론의 경우 제한사항으로는 잠재적인 파괴면을 따라 안전계수가 일정하다는 가정과, 하중-변형(응력-변형률) 관계 및 사면내 초기응력 분포가 고려되지 않으며, 특정한 상황에서 비정상적으로 크거나 부의 수직력이 절편저부를 따라 계산될 수도 있으며, 특정한 경우에 있어서는 해가 수렴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특히 한계평형해석 방법론 중 정규절편법(일명 Fellinius 방법), 비숍의 간편법, 수정 스웨덴 방법은 정적 평형조건 모두만족시키지 않으나, 모건스턴과 프라이스 방법, 스펜서 방법은 모든 정적 평형조건을 만족시킨다. ○○원전본부 배후사면은 사면높이 45m, 사면의 경사 1:1.5, 매 10m 마다 4m의 소단, 사면 상부로부터 성토층, 풍화토층, 풍화암층, 연암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수위는 풍화암과 연암층 사이에 존재하고 있다. 최초 설계자료에 대한 Fellinius 방법, Bishop의 간편법, Janbu의 간평법, Mogernstern-Price 방법, Spencer의 방법으로 재해석한 결과 1.8044 ~ 1.8990의 안전계수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강도감소법을 이용한 유한요소 해석결과에서는 안전계수가 1.913으로 가장 크게 평가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