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사회ㆍ시민운동의 정치관여 방식에 관한 연구

        이영제(Lee Young-je)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6 사회과학연구 Vol.13 No.1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mode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civil movement and political empowerment of the social movement. The social movement and civil movement have changed the mode of the political involvem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 After democratization, the civil movement occupies the position in Korea to a alternative politics force. The politics involvement of the civil movement was recognized the justice, but it was the object of the criticism due to the personality as a power surveillance on the other side. In contrast with the civil movement, the social movement propelled the political empowerment in critical situation like a labor market flexibility enlargement. The democracy Labor Party was achieved empowerment in the general election in 2004, but it have the assessment to have the limit as a few party. The development of the democracy had an influence on the social movement and civil movement. The social movement have been faced with a development requirement as the universality interests group according to this. The civil movement escapes from the growth to be the quantitative and have been requested the growth to be the qualitative.

      • KCI등재후보

        외화 제목 번역 양상의 변천에 관한 연구 - 1970년대~2010년대 영미권 외화를 중심으로

        이영제 ( Lee Young Je ) 영주어문학회 2016 영주어문 Vol.34 No.-

        본고는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국내 개봉된 영미권 외화 제목을 대상으로 한국어 번역 양상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를 문법적으로 분석하여 그것이 함의하는 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대별로 외화 흥행 순위 상위 100편씩 총 500편을 선별하여 제목을 분석하였고, 외화 제목을 ① 직역/의역한 제목과 ② 단순 음차한 한글 제목으로 구별하였다. 시대별로 흐름에 따라 비교·분석하여 통사적 구성의 특징에 따른 언어적 분석을 시도하는 한편, 외화 제목의 번역 방식에 함의 되어 있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국내 개봉 외화들의 제목은 외국어를 단순 음차한 명사류를 나열하는 구성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한국어로 번역된 제목의 수가 통계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이는 언어 사용자들의 인식과 태도가 외국어를 선호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단순 음차되어 한글로 표기된 외국어는 일종의 명사류처럼 인식된다. 이는 영화 원제의 의미를 잘 드러내는 직역/의역 등의 번역 방식보다 단순음차한 명사류를 나열하여 ‘낯설게 하기’의 효과를 얻기 위함이고, 제목으로 하여금 간결하고 명료한 느낌을 주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경우에 따라 외국어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원제의 뜻을 해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외국어의 남용으로 이어져 교육적으로 문제가 되므로 향후 개선이 요구된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changing aspects of translation of English film titles into Korean that made from the 1970s to the 2010s. The English film titles translated into Korean were selected by the English film box office ranking top 100 in the 1970s and then to the 2010s. I distinguished the 500 pieces of film titles between literal/liberal translation titles and transliteration titles. I focused on analyzing syntactic constructions of the film titles translated into Korean and then revealing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that are implicated in. The English film titles in Korean are being gradually transliterated in Korean. It is estimated that because users prefer to go in the direction of a foreign language and seems to be related to the tendency to prefer a nominal element rather than a clause. Moreover, the number of literal/liberal translation titles declines decade by decade. The titles composed to nominal elements by transliteration into Hangeul give us a feeling of simplicity and clarity. In some cases, users prefer the titles transliterated into Hangeul in order to prevent problems in advance because literal/liberal translation titles sometimes differ from the original titl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a foreign language. This trend leads to the abuse of language and make problems in terms of native tongue education. So the next improvement is required.

      • KCI등재

        구적 관용어의 통사적 구성과 의미 -NV형 관용어를 중심으로

        이영제 ( Young Je Lee ) 민족어문학회 2009 어문논집 Vol.- No.60

        본고는 구적 관용어의 성분 구조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구적 관용어가 생성되는 원리를 형상 구조와 성분 의미를 중심으로 살필 것이다. 구적 관용어는 표면구조상 일반적인 구구성의 특성을 보인다. 일반적인 어휘적 관용어가 단어 형성 후 통사적 기능을 상실하는 것과 달리 구적 관용어는 단어 형성 후에도 일부 통사적인 기능을 유지한다. 특히 `명사+용언형` 구적 관용어가 그러한 특성을 보이는데 이는 통사 구조와 의미 구조가 서로 비대칭적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이러한 구적 관용어의 비대칭적 구조를 대칭적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설명하였기 때문에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었다. 본고에서는 구적 관용어의 의미는 성분 구조에서부터 비롯된다는 전제 하에 `명사+용언형` 구적 관용어의 특성을 통사 구조와 의미 구조 간의 비대칭적 특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이를 설명하기 위한 성분 구조 분석을 제안한다. 그리고 구적 관용어는 의미적 외심 구조를 이루지만 구성 성분의 분포는 내심적 구조를 띠고 있고, 이를 통사적 내심 구조로 설명할 수 있는 이차원적(二次元的) 성분 구조 분석이 필요함을 주장할 것이다. 이는 성분 구조와 성분 의미, 결합 의미 간의 비대칭성을 보일 수 있는 계층적 형상 구조이다. 이를 통해 구적 관용어의 비대칭적인 구조가 하나의 어휘 단위에 내재된 것임을 설명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적 특성이 통사적 표상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constituents structures of the phrasal idioms. For the purpose I investigate the formational conditions of the phrasal idioms which are focusing on the configurational structures and meanings of the constituents. The syntactic representations of the phrasal idioms are not the same as lexical idioms but the same as general syntactic structures. The phrasal idioms have syntactic functions, while the lexical idioms lost their syntactic functions. So the functions of the phrasal idioms, especially `N+V` type phrasal idioms, are different from the functions of the lexical idioms. It is motivated by the asymmetries between the syntactic structures and the semantic structures. But the preceding proposals have some conflicts because they are not focused on the asymmetries and they almost explain the phrasal idioms by the general configurational structures. I explored the meanings of the phrasal idioms are made from the constituents structures which can be separated into the two different kinds of the levels of the configurational structures.

      • KCI등재

        ‘갈림길’형 복합명사의 ‘갈림’류에 관한 재론

        이영제(Lee, Young-Je) 한국어학회 2021 한국어학 Vol.91 No.-

        ‘갈림길’형 복합명사는 ‘갈림’의 문법적 특성에 대한 논의와 ‘갈림’의 ‘-음’을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에 관한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져 왔다. 본고는 ‘갈림길’형 복합명사의 ‘갈림’류가 하나의 문법 단위이자 어근으로 쓰이는 최근 신어의 예를 통하여 ‘갈림’류의 문법 단위들이 통사 구성의 특성과 형태 구성의 특성을 복합적으로 지니는 것으로 보고 이때의 ‘-음’을 두 차원의 복합적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문법 단위로 처리해야 함을 주장한다. 한편, ‘-음’의 정체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통사부에서 관여하는 단어 형성 절차가 필요함도 논의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갈림길’형 복합명사뿐만 아니라 최근 형성된 신어 중 ‘멋짐병’, ‘달림질’, ‘목맴사’ 같은 ‘V/A+-음+N<SUP>0</SUP>’형 신어들이나 ‘설렘설렘(하다)’ 같은 중첩어 신어까지 연구 대상에 포함되며 이들의 구조적 특징을 근거로 ‘-음’의 정체를 밝히고자 하였다. The ‘Gallimgil’-type compound nouns in Korean have been interpreted in some ways as to the the grammatical properties of ‘Gallim’-type and how to analyze the status of ‘-eum’ in the ‘Gallim’-type word. In this paper, I argue that grammatical properties such as the ‘Gallim’-type word have both the characteristics of syntactic construction and morphological construction. This argument is based on a recent example of a neology in which the ‘gallim’-type word of the ‘gallimgil’-type compound noun is used as a constituent element. In addition, we will discuss the need for a word formation procedure involved in the syntactic process to determine whether ‘-eum’ is an suffix or ending.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examples of the ‘Gallimgil’-type compound noun and the ‘Gallim’-type word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and examples of the neology of ‘V/A+-eum+N<SUP>0</SUP>’-type compound nouns such as ‘Mokmaemsa’, ‘Seollemseollem’ and to explain the grammatical status of ‘-eum’ on the basis that they have the characteristic of suffixes in a syntax and morphology interface.

      • KCI등재

        공간명사의 의존 용법과 규정 기능

        이영제(Lee, Young-je)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8 No.-

        본고는 양식적 공간명사의 의존 용법을 자립 용법과 구별하여 범주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양식적 공간명사의 의존 용법은 의존명사와 마찬가지로 통사적 의존성을 특징으로 한다. 의존명사의 개념을 통사적 의존성의 명사로 확대하고자 한 일련의 선행연구들의 주장에 따르면 의존 용법의 양식적 공간명사도 확대된 의존명사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의존 용법의 양식적 공간명사들은 선행 성분을 규정(規定)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것은 기능요소에 대비되는 문법적 특성이며, 의미도 [상황], [조건], [환경]이나 [결과], [(특정) 범위] 등 의존명사처럼 관계적이고 추상/형식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통사적으로 의존적이고 기능요소적인 특성으로 볼 때 의존 용법의 양식적 공간명사는 자립명사로부터 구별하여 의존명사와 관련시켜 설명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at we need to categorize each bound/dependent usage and free/independent usage in relation to modal spatial nouns. The bound usage of the modal spatial nouns same as bound nouns are characteristic of syntactic boundness. Furthermore, they have relational and notional/formal meanings. In terms of grammatical description, we have to categorize these modal spatial nouns in relation to the bound nouns.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might support for the arguments of the previous studies as for the expansion of an extent of the bound noun. Meanwhile, the modal spatial nouns which included to dependent usage of nouns have functions as post-nominal modifiers. These functions are equal to the syntactic properties of the functional elements. The semantics of these nouns are included with [circumstance], [condition], [background], [resultative] and [(specific) extent] which are related to the relational, notional and formal meanings of the bound nouns. These properties of the modal spatial nouns as like functional elements need to b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bound nouns.

      • KCI등재

        수 분류사 구성과 파생접사 결합형의 구조와 기능

        이영제(Young Je Lee) 한국어학회 2011 한국어학 Vol.53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tructure and the function of the numeral classifier construction which is included with the derivational suffix in Korean. In addition to that, this paper will exhibi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umeral classifier constructions with derivational suffixes by the syntactic process and those by the norphological process. Most previous studies focused en describing the types of suffixes that can be added to the numeral classifiers, or the properties of those suffixes. This paper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combinations of numeral classifier constructions and derivational suffixes. Usually the derivational suffix undergoes the derivation by morphological process, in fact, however, we can conclude that the majority of the numeral classifier constructions with derivational suffixes are related to syntactic affixations by syntactic process. Thai is, the derivational suffixes arc added to the constructions of the numeral classifiers: ``-karyang(假量), -yong(用), and -jeom(店)``. Nevertheless, a minority of the numeral classifier constructions with derivational suffixes are related to morphological derivations: the constructions with ``-seng(生), -san(産), and -seung(昇)``. Differences between syntactic construction and morphological construction are suggested whether the empty category(slot) of the head noun can be established in the numeral classifier construction with a derivational suffix or net: the syntactic construction consists of the empty category of head noun in the numeral classifier construction, whereas the morphological construction does not.

      • KCI우수등재

        비전형적 명사류 연구의 현황과 쟁점

        이영제 ( Lee¸ Young-je ) 국어학회 2021 국어학 Vol.- No.99

        명사는 개체를 지시하는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분포적으로 관형어의 수식을 받고 격조사와 결합할 수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은 명사의 분포적 특성을 명사 범주 설정의 기준으로 삼아 이에 부합하는 전형적 명사류와 비전형적 명사류로 나누어 주로 후자의 문법적 특성을 고찰할 것이다. 분포적 특성을 기준으로 할 때 전형적 명사에서 벗어나는 명사류들은 지금까지 소위 관형명사와 통사적 어근, 어근적 단어 등의 개념으로 연구된 부류와 수식 불허 명사, 통사적 의존성의 (의존)명사 등의 부류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에 관한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최근까지 이루어진 논의의 쟁점을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이론적 논의로 명사류의 명사성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의 문제와 역문법화의 일종으로 논의되고 있는 자립명사화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관련 연구의 현황과 쟁점을 짚어보고자 한다. Nouns refer to objects. Nouns are modified by adnominals and can be followed by a case particle. This paper will use the distributional properties of nouns as a criterion for the noun category. Nominals are divided into typical nominals that match this criterion and atypical nominals that do not. We will mainly deal with the grammatical properties of the latter. Distributionally atypical nouns have been studied with the concepts of so-called adnominal nouns, syntactic roots, and root words, or with the concepts of non-modifiable nouns and bound nouns of syntactic dependency. In this paper, we will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them and the issues of discussion up to now. In addition, in terms of theoretical approaches,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related research, focusing on the issue of how to define the nominality and the issue of nominalization to independent noun which is discussed as a type of degrammaticalization.

      • KCI등재

        고빈도 명사 공기어를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이영제 ( Young Je Lee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4 언어와 정보 사회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an approach using high frequency co-occurring nouns(HFCNs) for a target word to learn Noun Vocabula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more effectively. This approach can help the learners of Korean as foreign languages clearly identify word meanings. Specifically, this paper propose the approach of using Choe & Lee(2014)``s corpus analysis tool. It can extract HFCNs list which consists of more than 20 co-occurring nouns. The approach using this list is, firstly, corresponded with the Spreading Activation Model of connectionist approach. Secondly, For using explaining words of dictionary and related synset of WordNet we cannot learn frequently used words used with target word. However, the approach using HFCNs can give us resolution for learning frequently used co-occurring words with a target word.

      • KCI등재

        한국어의 두음어화 연구

        이영제(Lee, Young-je) 한국어학회 2015 한국어학 Vol.69 No.-

        Acronym means a word created from the first letters of each word in a series of words. Acronym in Korean consists of the first sound of each word which is word-initial syllable in most cases. As for the process extracting word-initial syllables or consonants we can call it acronymization which is related with neologism. Recently, we face much more acronyms in virtue of developing of world wide web, mobile internet platforms and social media. This study aims first to discuss about definition of acronym(ization) in Korean and second to compare acronymization with blending and third to discover why the speakers select a form of acronym instead of an original form in a state of syntactic construction. Generally, researchers said that for selecting acronyms is due to the effect of language contact and socio-linguistic motivation. Furthermore, we can explain why the speakers select acronyms in terms of psychological reality. First, in lexicon, acronyms are not only connected to original forms but also connected to other acronyms. For example, "emchina" is connected to "emchinttal", "pwuchinnam", "wachinnam" and so on. Second, acronym which has idiomaticity is one of the forms of idiomatization. The form of idiomatization is (1) the original form as syntactic construction, (2) the selecting one of the constituents by semantic focusing, (3) acronymization or blending.

      • KCI등재

        기능동사 개념의 의의와 기능요소적 특성에 의한 단어 분류

        이영제 ( Lee Young-je ) 국어학회 2017 국어학 Vol.84 No.-

        본고는 기능동사(support verb) 개념이 서구 이론으로부터 도입된 것이기는 하지만 그 이전에 이미 국어학계의 내재적 동인에 의해 필요성이 인식된바 있으므로 연구사적으로 내재적 동인에 속하는 연구 성과들이 함께 논의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한편 기능동사와 같이 형태·통사적으로 의존적이면서 의미가 비실질적인 요소들은 동사뿐만 아니라 다른 단어 범주에서도 발견된다. 이와 같은 의존성과 비실질성은 기능요소적 특성과 연관되기도 하는데, 본고는 동사 외에 다른 품사에서도 이와 유사한 부류들이 있음을 확인하고 이들의 특성을 일반화하거나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동사, 형용사, 명사, 관형사, 부사의 하위분류 시 분류 체계를 어휘적 범주, 어휘기능적 범주, 기능적 범주로 나누어 보고자 하였다. 이는 단어의 기능요소적 특성을 고려한 품사의 하위분류 체계가 될 수 있으며, 종전의 의미 기준 하위분류 체계에서는 실제 문장 내에서 특정한 문법 현상을 보이는 단어들이 잘 드러나지 않았던 데 비해 이 체계에서는 그간 문법적으로 예외적이고 특수한 경우로 처리되던 단어들을 하나의 문법 단위로 묶음으로써 각 단어들이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문법 현상의 중요성을 더 부각시킬 수 있다. In this paper, although the concept of support verb is perceived to have been introduced externally, the need for intrinsic motivation of Korean researchers has already been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functional elements that are both morphologically and syntactically dependent and non-substantial meaning, such as functional verbs, are found not only in verbs but also in other word categories.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at the words showing these functional elemental characteristics are in other parts of speech besides the verb, and generalize or systematize their characteristics. First, I tried to divide the subclassification of verbs, adjectives, nouns, adnominals, and adverbs into lexical category, lexico- functional category, and functional category. This can be a sub- classification of word category considering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words. In the previous sub-classification by semantic standard, words that show specific grammatical phenomena in actual sentences were not revealed. In contrast, in this system, words that are treated as exceptional and special cases are regarded as a significant grammatical category, and the importance of the grammatical phenomena that characterize each word can be more emphas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