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투석 환자에서 ABI (Ankle Brachial Index)와 말초혈관질환의 위험인자

        이영숙 ( Lee Yeong Sug ),오희정 ( O Hui Jeong ),강덕희 ( Kang Deog Hui ),윤견일 ( Yun Gyeon Il ),최규복 ( Choe Gyu Bog )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6

        배 경 : 말초혈관질환은 관상동백 질환, 뇌혈관 질환, 당뇨, 고혈압 등의 위험 지표로 알려졌으며,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말초혈관질환이 증가되어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Ankle Brachial Index (ABI)의 측정을 통해 유지 혈액투석 및 복막투석 환자에서 말초혈관질환의 빈도와 경증을 알아보고, 말초혈관질환에 영향을 주는 위험 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방 법 : 이화의료원에서 현재 유지 투석 중인 환자 85명 (혈액투석 50명, 복막투석 35명)과 대조군 73명에서 도플러 혈압 측정기를 이용해 ABI를 측정하였으며, ABI에 의한 말초혈관질환 유무를 정상 (>0.9), 중등도 (中等度) (0.5-0.9) 및 중증 (重症) (<0.5)으로 분류하였고, 투석 환자군에서 여러 임상 지표를 비교하였다. 결 과 : 말초혈관질환의 빈도는 복막투석군 48.6%, 혈액투석군 58.0%로 대조군의 15.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01). ABI는 전체 투석 환자군에서 0.85±0.23으로 대조군의 1.08±0.19 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p<0.001), 혈액투석의 ABI는 0.80±0.24로 복막투석군의 0.94±0.18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1). 대조군과 복막투석군에서는 중증 (重症) 말초혈관질환이 없었으나, 혈액투석군에서는 중증 말초혈관질환이 14%로 유의하게 많았다 (p<0.05), 전체 투석 환자군에서 ABI는 나이 (r=-0.220, p<0.05), 55세 이상의 고령 (r=-0.236, p<0.05), 혈액투석 (r=-0.309, p<0.01), 투석기간 (r=-0.303,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ABI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을 때, 혈액투석 방식이 유일하게 ABI를 감소시키는 인자로 작용하였다 (adjusted R²=0.216, β=-0.117, p<0.01). 혈액투석군에서 내조군과 복막투석군에 비해 체질량지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혈액투석군과 복막투석군에서 흡연여부와 흡연자들의 흡연량, 당뇨병과 고혈압의 빈도 및 투석기간은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에서는 투석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말초혈관질환의 인도 및 중증도가 높았으며, 혈액투석군에서 복막투석군에 비해 중증 말초혈관질환이 증가되어 있었다. 이러한 차이의 위험인자를 분석하였을 때, 투석 방식이 투석 환자에서 말초현관질환의 빈도와 중증도에 연관되어질 수 있다고 추측되어졌다. Background : PVD is a risk marker for coronary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and many other conditions. One of the simplest, noninvasive and most useful parameters to objectively assess PVD is the ankle-brachial index (ABI). The aim of our study was to explore the frequency, severity and the risk factors of peripheral vascular disease in dialysis patients, especially according to dialysis modality. Methods : We studied 85 maintenance dialysis patients (HD 50 patients, PD 35 patients) and control (n=73) who has normal serum creatinine without DM, hypertension. ABI was tested during about 2 hrs into the hemodialysis by doppler ultrasono (Smartdop 30, HADECO, Japan). The severity of PVD was stratified into 3 groups based upon ABI [normal (0.9≤ABI<1.5), moderate (0.5≤ABI<0.8), severe (ABI<0.5)]. Results : ABI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dialysis patients than control (0.85±0.23 vs 1.13±0.25, p<0.001). HD patients had lower ABI (0.80±0.24 vs 0.94±0.18, p<0.01) and lower BMI (corrected by PD dialysate weight; 21.9±3.6 vs 24.0±3.3, p<0.05) compared with PD patients. DM pts (%), hypertension pts (%), age, duration of dialysis and smoking amount were not different between HD and PD pts. The patients number of major PV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D than PD (14% vs 0%, p<0.01). Univariate regression analysis in dialysis pts demonstrated that old age (≥55 yrs), duration of dialysis and HD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BI : r=-0.309; p<0.01 for HD modal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HD modality (than PD) predicted ABI with an adjusted R²=0.206 and p<0.01.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AB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D pts than PD pts. The frequency of severe PV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D pts than PD p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alysis modality may be related to the severity of PVD and nutrition factors, inflammation markers and dialysis- or uremia-related factors in maintenance dialysis patients. (Korean J Nephrol 2003;22(6):722-730)

      • SCOPUSKCI등재

        유지투석 환자에서 말초혈관질환과 hsCRP와의 상관성

        이영숙 ( Lee Yeong Sug ),최규복 ( Choe Gyu Bog ) 대한신장학회 2004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3 No.2

        배 경 : 만초혈관질환은 관상동맥 질환, 뇌혈관계 질환, 당뇨, 고혈압 등의 위험 지표이며,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심혈관계 질환 위험도가 종가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Ankle Brachial Index (ABI)의 측정을 통해 유지 복막투석과 혈액투석 환자에서 말초혈관질환의 분포와 hsCRP의 측정을 통한 만성염증과의 관계와 영향을 주는 위험 인자를 갖고자 하였다. 방 법 : 말기 신부전으로 최소 3개월 이상 유지투석 증인 환자 130명 (혈액투석 86명, 복막투석 44명)에서 도플러 혈압 측정기를 이용하여 ABI를 측정하였으며, ABI에 의한 말초혈관질환의 중증도틀 분류하였고, 전신염증반응의 지표인 hsCRP와 여러 임상 지표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복막투석군에서 혈액투석군에 비해 체질량지수가 높았으나, 6개월간의 혈청 알부민 농도와 혈청 요소질소가 감소되어 있었다. ABI가 0.9 미만을 기준으로 말초혈관질환의 빈도는 복막투석군 45.5%)과 혈액투석군 (47.5%)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ABI값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혈액투석군의 ABI가 복막투석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0.95±0.21 vs 0.85±0.30, p<0.05). 복막투석군에서 hsCRP의 평균값이 혈액투석군에 비해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0.31±0.35 vs 0.47±0.85, p=0.147). 전체투석군에서 말초혈관질환의 중증도 (정상, 경증, 중중)가 심할수록 hsCRP의 중앙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0.06 vs 0.31 vs 0.80, p=0.000), 복막투석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0.08 vs 0.20. p=0.515), 혈액투석군에서는 중증도가 심할수록 hsCRP의 중앙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0.06 vs 0.40 vs 0.80, p=0.000). 상위 사분인수 hsCRP군일수록 말초혈관질환의 빈도와 중증 말초혈관질환이 유의하게 많았고, ABI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말초혈관질환이 있는 군에서 hsCRP의 중앙값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 나이가 많았고, 투석기간이 길었으며, 당뇨병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전체 투석 환자에서 ABI에 영향을 주는 인자 분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hsCRP가 증가하고, 당뇨병이 있으며, 나이와 투석기간이 많을수록 ABI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R²=0.488, p=0.000). 혈액투석군에서는 hsCRP가 증가하고, 당뇨병이 있으며, 나이와 투석기간이 많을수록 ABI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R²=0.585, p=0.000), 복막투석군에서는 ABI는 유일하게 나이가 많을수록 감소하였다. (R²=0.119, p=0.022). 결 론 : 혈액투석군에서 복막투석군에 비해 중증 말초혈관질환이 증가되어 있었다. 혈액투석군에서는 hsCRP, 나이, 투석기간, 당뇨와 관상동맥 질환의 동반 여부가 ABI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고, 복막투석군에서는 유일하게 나이가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다. 따라서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환자에서 말초혈관질환에 작용하는 주 위험 인자들이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같은 위험 인자일지라도 말초혈관질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고 추측되어졌다. Background : Pheripheral vascular disease (PVD) is a risk marker for coronary artery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and many other diseases. The cardiovascular mortality rate in dialysis patients is greater than that in general population. The aim of our study was to explore the distribution, risk factors of PVD by anklebrachial index (ABI) and the relationship with inflammation by measurement of hsCRP in maintenance dialysis patients. Methods : We measured ABI by doppler ultrasono in 130 maintenance dialysis patients (HD 86 patients, PD 44 patients) who undergoing dialysis for at least three months. Also, we classified the severity of PVD based upon ABI levels and compared the relation with systemic inflammation marker-hsCRP and many other clinical parameters. Results : PD pati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BMI with lower mean erum albumin for 6 months and serum BUN compared with HD patients. The frequency of PVD (ABI <0.9) was not diferent between the groups but ABI was significantly lower in HD patients than PD patients (0.95±0.21 vs 0.85±0.30, p<0.05). The mean of hsCRP tended to be lower in PD patients than in HD patients but did not reach stastical significance (0.31±0.35 vs 0.47±0.85, p=0.147). More severe PVD had higher mean hsCRP in whole dialysis patients and HD patients but PD patients didn`t. The higher quartiles had older age, increased frequency and severity of PVD and significantly decreased ABI. The group with PVD(ABI<0.9) had a higher mean of hsCRP, older age, longer dialysis duration and diabet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hsCRP, diabetes, age, dialysis duration predicted ABI with R²=0.488 and p=0.000 in whole dialysis patients. hsCRP, age, dialyis duration, the presence of diabetes and coronary artery disease predicted ABI in HD patients. But only age predicted ABI in PD patients.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the risk factors of PVD may be different between the PD patients and HD patients. And the pathophysiologic implication on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of same risk factors may be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Korean J Nephrol 2004;23(2):287-299)

      • KCI등재
      • KCI등재

        병원행정직의 전자메일 사용의 영향요인 및 조직효과성 관계 연구

        이영숙 ( Lee Yeong Sug ),서영준 ( Seo Yeong Jun ),정애숙 ( Jeong Ae Sug ) 한국병원경영학회 2003 병원경영학회지 Vol.8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e-mail use and its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spital administrative workers. Data were collected from 147 administrative workers at 2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e-mail for business purpose in terms of the gender, age, status, and education level. Workers who are men, over 30s, high status, and highly educated were more likely to use the e-mail. As for the private us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erms of the age level. 2. The more job characteristics need to use e-mail, the more workers have computer skills, and the more favorable the organizational culture is to using the e-mail, the more frequently the workers use the e-mail for both business and private purposes. 3. Job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omputer skills have significant Wsitive effects on the use of e-mad for business purpose. Eiowever, for the private purpose, only personal computer skill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 of e-mail. 4. The level of the e-maul use for the business purpos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ork productivity,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while the level of the e-mail use for the private purpose has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for hospital administrator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