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동성 변화와 장기억성을 구분하는 CUSUM 검정통계량에 대한 실증분석

        이영선,이태욱,Lee, Youngsun,Lee, Taewook 한국통계학회 2014 응용통계연구 Vol.27 No.2

        금융시계열 자료의 변동성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현상 중에 지속성(persistence)이 있는데,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IGARCH 모형이 주로 사용된다. 최근에 변동성의 지속성은 변동성 변화와 장기억성에 기인한다는 사실이 많은 연구 결과에서 발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억성은 변동성 변화로, 변동성 변화는 장기억성으로 보이게 되는 현상이 빈번히 나타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변동성의 지속성, 장기억성 및 변동성 변화를 구분하는 통계적인 방법론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GARCH 모형 잔차를 기반으로 하는 CUSUM 통계량을 도입하여, size 왜곡(distortion) 현상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검정력을 얻을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한편 변동성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 변화점 추정이 중요해 지는데, 이를 위해 GARCH 모형을 기반으로 한 AIC 방법과 BIC 방법을 비교하였다. 다양한 모의실험과 실증자료를 분석하여 우리가 제안하는 잔차 기반의 CUSUM 통계량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Persistence is one of the typical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the volatility of financial time series. According to the recent researches, the volatility persistence may be due to either volatility shifts or long-range dependence. In this paper, we consider residual-based CUSUM tests to distinguish volatility persistence, long-range dependence and volatility shifts in GARCH models. It is observed that this test procedure achieve reasonable powers without a size distortion. Moreover, we employ AIC and BIC criteria to estimate the change points and the number of change points in volatility. We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residual-based CUSUM tests on various Monte Carlo simulations and empirical data analysis.

      • KCI등재

        이중적 어려움 : 다문화가정 그리고 장애

        이영선(Lee, Youngsun),김금희(Kim, GumHee),민기연(Min, Ki-Yeon),박미숙(Park, MiSuk),박순덕(Park, Soonduk),방현희(Bang, Hyunhee),선곡유화(Seongok, Yuhoa),이석란(Lee, Sokran),전경미(Chun, Kyungmi),팜티휀짱(Pham, Thi Huyen Trang),이설희(L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5 특수교육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낯선 환경과 문화권에서 장애자녀를 양육하며 이중적 소외를 경험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부모, 특히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을 시작으로 장애 자녀의 양육, 특수교육 및 지원프로그램 참여 등 장애가정으로서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장애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부모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서울, 경기, 인천, 경북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의 부모 2쌍(필리핀, 베트남 출신의 여성 및 그들의 한국인 남편)과 여성결혼이민자 9명(필리핀인 2명, 중국인 3명, 베트남인 2명, 일본인 2명)을 포함한 총 1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심층인터뷰는 개별로 이루어졌고 면대면 또는 전화인터뷰로 진행되었다. 분석 자료는 전사 작업을 통해 요인별, 영역별로 정리하여 범주화 되었으며, 이 결과는 “다문화가정 그리고 장애자녀의 부모”, “학교라는 높은 벽 그리고 작은 나”라고 하는 2개의 대주제와 5개의 하위 주제로 정리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자녀를 둔 여성결혼이민자 및 다문화가정이 직면한 어려움에 대한 이해와 특수교육 현장에서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describes the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ving a child with disability in Korea. Using purposive sampl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 sets of parents and nin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translated verbatim and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wo main themes regarding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s were derived from the data: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families; multicultural family and a parent of a child with disability; and their experiences and needs as working with professional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and practice regarding serving multicultural families in special education system were discussed. It is also suggested that more cultural studies focusing on diverse population with specific needs should be conducted in further studies.

      • KCI등재

        시각장애 대학생의 고등교육 참여와 성과 증진을 위한 지원의 실제 : 한국과 미국의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이영선 ( Lee Youngsun ),박은혜 ( Park Eunhye ),김원호 ( Kim Won-ho ),표윤희 ( Pyo Yun Hui ),홍성계 ( Sunggye H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교육기관에 재학하고 있는 시각장애 대학생들을 위한 지원의 현황을 살피고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원을 위한 체제와 구성요소를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시각장애 대학생을 위한 대학에서의 지원의 정책적 기반과 지원 현황에 대해 살피고, 미국의 시각장애 대학생 지원을 위한 정책과 지원의 체계, 주요 지원 사례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고등교육 기관에서의 시각장애 학생의 의미있는 참여를 위한 지원 내용과 정책, 지원절차와 요소 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시각장애 대학생의 성공적인 고등교육 참여와 성과 증진을 위한 지원의 실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1) 국가 및 정책적 차원에서 필수적인 지원에 대한 의무화와 국가차원의 정책연구를 통한 체계적 계획의 수립, (2) 기관 차원의 전담부서 전문화 및 역할의 확대, (3) 개별 학습자 차원의 역량강화 및 개별 프로그램 차원의 실효성 증진.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support for colleg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ttend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suggest basic premi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crete and practical support. The study examined the support policies and systems of Korean universities for such students in comparison with the corresponding policies and systems in American universities, along with certain notable support cases. In this way, the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current support policies, procedures, and key elements that encourage the meaningful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ccordingly, it recommends the following further support to help such students successfully participate in higher education and improve their academic performance: (1) establishment of systemic plans through mandatory provision of essential support and policy research at the national level; (2)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specialized department and expansion of its role at the institutional level; and (3) enhancement of competency at the individual level and promotion of effectiveness at the program level.

      • KCI등재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참여방법에 따른 학습동기, 자아효능감, 네트워크 분석

        이영선(Lee, Youngs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점은행제 사이버학습과 면대면 학습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들 간의 학습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함으로써 학습방법에 따른 자아효능감의 차이를 밝히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학점은행제가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상생하며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있다. 이에 학점은행제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의 사이버학습과 면대면 학습자들을 비교 대상군으로 하여 질적 연구방법으로 학습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일과 학업을 병행해야 하는 상황과 다양한 동기에 의해 학점은행제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동기는 학습의 필요성, 진학의 의지, 촉발된 고양감, 성취의 기쁨 등에 의하여 내재적 지속동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효능감은 감시와 통제의 기능, 동료학습자의 역할모델, 서로의 격려나 소통 등의 요인에 의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자아효능감에서는 면대면 학습자의 효능감(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학습만족도)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셋째, 네트워크에서는 면대면 학습 참여자가 커뮤니케이션과 사회활동 영역에서 즉각 피드백, 동료와의 소통 그리고 넓어진 인맥 등의 영향으로 사이버학습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본 연구자는 첫째, 학점은행제에 커뮤니케이션 기능과 자기조절의 역량을 강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둘째, 인터넷의 활용과 장소 및 시간의 한계를 극복한 사이버학습과 커뮤니케이션의 장점을 가진 면대면 학습의 장점을 취합한 블랜디드 러닝 학습방법의 적극 활용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whether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can possibly be improved in a mutually beneficial way of online and offline method by analyzing the difference of self efficacy in each method through comparing participants in the credit bank system of cyber study and face to face study process. The study used a qualitative studying method of comparing adult students in cyber and face to face studying in credit bank sys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participants were to join in the credit bank system under the condition of both working and studying at the same time, with a variety of reasons and they showed inherent, persist motivation of enthusiastic studying, a strong longing for knowledge, highly motivated way of behavior, and pleasure of achievement. Second, the research found that the face to face group showed better self efficacy (in self confidence, self control efficacy, preference of difficult projects, and study satisfaction) which is influenced by vigilance and control, role model of co-student, and encouragement an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ird, the face to face group showed better networking through the influence of instant feedback, communication with co-workers, and extended personal connection in the area of social activity and communication. Through this research, this study suggests that other research on the communication functions and reinforcement of self control ability in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needs to be done. It also recommends the merit of both easy and better communication in face to face method and free access through internet in cyber studying has to be combined with the blended learning method.

      •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풍탁과 풍판

        이영선(Lee Youngsun) 동국대학교 박물관 2022 佛敎美術 Vol.33 No.-

        A bell hanging on the eaves of a temple building or pagoda is called a Wind Chime(pungtak). It was produced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and has been used until now, changing various shapes and designs in various ways. It seems that the unique shape and pure sound of wind chime made a deep impression on many people.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Joseon Dynasty, more than 100 pieces of wind chime remain, including artifacts e×cavated from e×cavations and items handed down. E×isting research revealed that there were forms or designs that were popular by era as they were produced for a long time. Even today, the bell-shaped wind chime is still in its early form. Until the Goryeo Dynasty, most of them had curves at the bottom, but from the Joseon Dynasty, cylindrical and conical shapes with no curves at the bottom were mainly made. The shape of the wind chime with a curved lower part and a trapezoidal elevation is a form popular during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dynasties. In particular, it seems to have been favored by the people of the Goryeo Dynasty, and many of the designs of Buddhism Crafts of the same period were borrowed, showing the free-spirited aspect of the maker. Inside the wind chime, a sound was made using a rod-shaped connecting element and a ring, and a wind plate was hung, and since the Goryeo Dynasty, a method of making sound by fi×ing a chisel to the connecting element was developed. The wind chime plate hung under the wind chime was also made in various shapes such as semi-circle, oval, cloud-shaped, triangle, heart-shaped, and fish-shaped. Among them, semicircle and oval are the shapes that appear from the beginning, and the fish-shape seems to have started to be produced from the Joseon Dynasty. This article intends to e×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period of Dongguk University Museum collections based on e×isting research. Dongguk University Museum has 7 wind chimes and wind chime plates. It is in good condition,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1 wind chime from the Goryeo Dynasty, 1 wind chime from the Goryeo to Early Joseon Dynasty, 3 wind chimes from the Joseon Dynasty, and 1 wind chime plate from the Joseon Dynasty. Also, in the course of the study, the bronze wind chime (Dongguk University 398) was able to newly confirm the material that was presumed to be in its original form. Until now, studies on wind chimes have focused on the period from the unification of Silla to the Goryeo period, and studies on wind chimes from the Joseon Dynasty have not been conducted in depth. This was because wind chime in the Joseon Dynasty had limitations in that the quantity was small and the e×cavation site was not clear. It is hoped that the study on wind chime and wind chime plate in Dongguk University Museum’s collection revealed in this article will be helpful for future studies on wind chime.

      • KCI등재

        고용 관련 환경에서의 AAC 사용자들에 관한 문헌 분석: 1996-2007년의 국외 연구를 중심으로

        이영선(Youngsun Lee),성유진(Youjin Seong) 한국직업재활학회 2008 職業再活硏究 Vol.18 No.1

        본 연구는 보완ㆍ대체의사소통과 고용에 관련된 연구들을 종합 분석하여 현재까지의 연구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6년부터 2007년까지 영문으로 발간되는 학술지에 게재된 16편의 논문들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연구 형태, 주제, 대상자 및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용관련 환경에서의 AAC 사용에 관련된 논문은 크게 기술 연구(descriptive study)와 중재 연구(intervention study)로 나뉘었으며, 조사 연구는 AAC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고용 경험에 관련된 연구와 AAC 사용자들의 고용주와 동료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적 통합 및 고용 경험에 관한 연구들로 정리되었으며, 중재 연구는 직업 준비 및 고용 관련 중재와 의사 소동 중심의 중재로 분류되어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AAC 사용자들의 직업 및 고용 환경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음과 같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1) 다양한 요구를 지닌 AAC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 (2)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의 질적 향상을 위한 환경 분석을 통한 기술 교수의 필요성, (3) AAC 사용자의 대화 상대자들을 위한 교수 및 지원 제공의 필요성. 또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국내 고용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AAC 활용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 있다: (1) 국내 고용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AAC 도구 및 체계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 그리고 (2) AAC 활용의 전환 및 고용환경으로의 연계.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wo folds: (1) to review and analyze current research on employment an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users with disabilities and (2) to provide direc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16 research on AAC users from peer-reviewed journals, published in English between 1996 to 2007, were chosen for an analytic review. Those studie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1) descriptive and (2) intervention. Subcategory of descriptive research was employment experiences of AAC users and those of co-workers and employers who worked or currently work with AAC users. Intervention studies were analyzed with two subcategories, job preparation program and communication-based intervention.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tic review, implications for practices and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including (1) needs of study to investigate diverse AAC users needs and job-related experiences, (2) needs of instructions enhancing social integration and quality of communication based on an environmental analysis, and (3) needs of supports and training for communication partners. Furthermore, implications for using AAC at employment-related circumstances in Korea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습자 중심의 온라인 토의 기반 수업에서 학습주체들의 상호작용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영선(Lee, Youngs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육을 온라인 토의 기반 수업에 적용하여 설계하고 운영한 교수자의 관점과 그 수업을 체험한 학습자의 관점, 그리고 이 상호작용 속에서 이들의 변화와 성장의 경험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의 설계로 학습자들의 수업체험을 상호주관적 환원의 해석으로 탐구한 경험적 현상학적 체험연구와, 교수자의 체험을 자아론적 환원의 반성으로 탐구한 현상학적 셀프연구를 결합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에는 현상학적 환원, 태도변경과 판단중지, 해석학적 순환 등이 활용되었고, 연구결과로는 총 세 가지 범주, 여섯 가지의 주제모음과 열여섯 가지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부담스러움, 재미, 몰입감, 유능감, 친밀감 등의 감정을 포함한 수업 체험을 그들의 언어를 기반으로 생생하게 그려냈을 뿐 아니라, 그 과정에서 언어로 표현되지 않았던 교수자의 내적 긴장을 자아론적 환원의 반성을 통해 탐색하였다. 또한 이러한 학습주체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교수자와 학습자들의 변화와 성장경험을 깊이 있게 표현하였다. 학습자 중심 교육 실천을 위한 현장연구인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문화적 측면에 중점을 둔 접근, 교수자의 성찰의 중요성, 학습자의 깊은 변화(deep change)과정을 돕는 개인준비도(individual readiness)기반의 접근이 강조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erspective of an instructor who designed and operated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by applying it to an online discussion-based course, the perspectives of the learners who experienced the course, and the experiences of change and growth in their interactions. The design of the study for this was combined with an empirical phenomenological study that explored learners experience with the intersubjective reduction, and a phenomenological self-study that explored the instructor s experience with egological reduction. Hermeneutic circle, analyses of themes, changes of attitudes, and epoche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categories, six themes and sixteen sub-themes were identified. This study not only vividly depicts learners learning experiences, including emotions such as psychological burdens, fun, immersion, competence, and intimacy, based on their language, but also explored the inner tensions of the instructor with the reflection of egological reduction. In addition, the change and growth experience of the instructor and learners were deeply expressed in the interaction of these learning subjec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 field study for the practice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emphasized an approach that focuses on cultural aspects, the importance of the instructor s reflection, and individual readiness that helps the learner s deep change process.

      • KCI등재

        자폐성장애 검사도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이순행(Lee, Soon Hang),김소윤(Kim, So Yoon),이영선(Lee, Youngsun),이효정(Lee, Hyo Jung) 한국자폐학회 2022 자폐성 장애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국내 검사도구들을 검색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발표된 자폐성장애 검사도구 연구들을 정리하고, 이들 평가도구들의 검사체계와 심리측정 및 문화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80년~2021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여 선정기준에 따라 총 18편의 논문(16개의 도구)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 개발된 검사도구가 5개, 국외에서 개발되어 국내에서 타당화가 이루어진 검사도구는 11개였으며, 대부분 조기 선별을 목적으로 하는 검사로서 부모나 교사에 의한 체크리스트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DSM-IV 진단체계에서 제시된 것과 유사한 구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둘째, 본 리뷰에 포함된 연구들은 집단별 평균점수 차이 또는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또는 음성예측도, 내적신뢰도를 기반으로 검사도구의 적절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보고하였다. 셋째, 국외에서 개발된 도구를 국내에서 타당화한 연구 중 5개의 연구에서 국내 참여자를 대상으로 원본과는 다른 절단점을 산출하였고, 국내에서 개발된 도구 중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문항을 직접적으로 보고한 연구는 소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다양한 제안들이 논의되었다. This literature review study systematically identified and analyzed instruments used to diagnose or screen autism spectrum disorder in South Korea. This review synthesized the studies that developed, standardized, or validated autism assessment instruments for Koreans and examined their psychometr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fter searching for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80 and 2021, we identified 18 studies that met our inclusion criteria. First, five instruments were developed in South Korea, and 11 were developed abroad and validated in South Korea. Constructs of the majority of the instruments resembled those of DSM-IV, and instruments could be applied to a wide age range from young toddlers to adults. Second, studies demonstrated that the majority of the instruments have appropriate validity and reliability by reporting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and internal reliability. Third, among the instruments developed abroad and validated in South Korea, five studies newly calculated or examined the cut-off point, and very few examine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articipants.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 variou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utism assessment instruments in South Korea.

      • KCI등재

        학급 차원의 기능기반 중재 팀 적용 연구 동향 및 프로그램 특성 고찰

        이소라(Lee, Sora),이영선(Lee, Youngsun)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학급 차원의 기능기반 중재 팀(CW-FIT) 프로그램을 적용한 국외연구 동향과 프로그램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영문으로 발행된 논문 검색을 통해 선정 및 제외기준에 따라 총 16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일반적 특성(발표 연도, 연구대상, 연구 방법) 분석을 통해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으며 지원 차원(1차 지원, 2차 지원)별 프로그램의 특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외연구에서 CW-FIT 프로그램은 대부분 초등학교 일반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다수의 연구에서 반전설계를 통해 빈도기록법, 시간표집법으로 1차 지원의 실행을 통한 학급과제수행행동을 측정하였다. 둘째, CW-FIT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요소인 사회적 기술 교수와 집단강화를 통해 행동 문제를 나타내는 학생의 과제수행행동과 방해행동, 학급과제수행행동 그리고 교사의 칭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1차 지원보다 1․2차 지원이 보다 효과적이었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의 방향과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rends and the program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research applied to the class-wide function-related intervention team (CW-FIT). In total, 16 paper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rough the search of articles published in English from 2010 to 2020. Research trends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s(publication year,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of the stud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by support level (primary support, secondary support) were analyzed in detai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foreign studies, most of the CW-FIT programs were conducted in general elementary school classes, and in a number of studies, class task performance behavior was measur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primary support using frequency recording method and time sampling method through reversal design. Second, positive results were showed in the student s task performance behavior and disturbance behavior, class task performance behavior, and teacher s praise, which represent behavioral problems through social skills teaching and group reinforcement,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CW-FIT program. Third, it was shown that the primary and secondary suppor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primary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 and plans for appli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