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영재의 독립연구능력 향상을 위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이신동(Sin Dong Lee),김소연(So Yeon Kim)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 분야에서 시대적 변화에 따라 미래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반영하되, 영재의 심리적 특성에 적합한 STEAM 프로그램을 개발 · 적용하여, 독립연구능력 향상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재들에게 적합한 교수전략인 독립연구를 Ewha-STEAM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STEAM 프로그램은 5명의 초등영재들을 대상으로 소집단 단일대상연구 방법으로 적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영재의 독립연구능력 향상을 위한 STEAM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는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 분석결과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차가 큰 영재집단에게 적합한 소집단 단일대상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을 중재한 결과 관찰자간 신뢰도와 중재 충실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프로그램은 초등영재의 독립연구능력 중 목표기술인 연구주제 정하기, 자료수집 및 분석, 산출물 계획하기 기술에서 효과적인 향상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 본 연구는 영재들의 심리적 특성을 반영한 STEAM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개인차가 큰 영재집단에 적합한 단일대상연구 방식에 대한 시도에 연구의 의의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STEAM program proper to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f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improving independent research skills. This program also aims to develop the core competence for the future according to social demands. For this purpose, we develop STEAM program based on Ewha-STEAM convergence model for improving independent research skills. We applied this STEAM program on 5 gifted elementary students by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as valid which developing procedures of the STEAM program for improving independent research skills by analyzing of contents validity from expert group. Second the reliability of observers and fidelity of intervention was high as results of applying program by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s proper to gifted having a big individual difference. Third this program improved target skills of independent research skills effectively. This results suggest that a effective ways of developing STEAM programs based on gifted learn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 good attempt of single subject research in gifted education fields.

      • KCI등재

        영재판별을 위한 지능검사의 타당성 고찰

        이신동(Lee Sin dong),안수경(Ahn Soo Ky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1

          지능검사는 영재판별을 위한 도구로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지능검사가 영재판별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것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판별을 위한 도구로서 사용되고 있는 지능검사들의 요인과 특징을 살펴보고 이들이 영재판별을 위한 도구로 얼마나 타당한가를 검토하는 것이다.<BR>  본 연구는 영재판별을 위해 가장 기초가 되는 영재성의 정의와 판별의 기준을 검토하였고, 이어서 영재판별을 위해 지금까지 많이 사용되어 온 스텐포드-비네 지능검사, WISC-Ⅲ, WPPSI, K-ABC, K-RPM, 그림지능검사(PTI) 등 총 6가지 지능검사의 측정요인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영재판별을 위한 검사 점수들을 종합하는 5가지 방법인 매트릭스법, 표준점수법, 다중합격선법, 총제적인 사례연구법 중다회귀법 등을 소개하였고, 마지막으로 영재판별의 방법론적 과제를 검토하였다.<BR>  결론과 제언에서 연구자는 영재판별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영재성의 개념이 명확하게 확립되어야 하며, 이를 타당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타당한 측정도구가 있어야 하는데 아직까지 지능검사만큼 영재성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도구는 찾기 어렵다고 결론짓고 있다.   An Intelligence Scale has long been used as a tool to identify the gifted. But there are recently many criticism identifying the gifted by intelligence scale. With the consequence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intelligence scale and how they were valid to identify the gifted.<BR>  First of al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finition of giftedness and the identification methods as basic standard to identify the gifted. Second, in this study, 6 intelligence scales(Standford-Binet intelligence scale, WISC-Ⅲ, WPPSI, K -ABC, K -RPM, PCI) which have been widely used to judge the gifted child were examined. Thirdly, 5 score summing methods (matrix method, average score method, multi-cut off Method, Case Study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 used to idetify the gifted were introduced. And The last, the methodological tasks for the gifted discernment were examined.<BR>  In conclusion and ultimatum, the researcher proposed strongly that clear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giftedness and valid test to increase test validity for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be demanded but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 better instruments than the intelligence scale up to the present.

      • KCI등재

        영재와 일반학생의 학습 유형 및 비판적 사고력 비교

        이신동(Sin-Dong Lee),박지희(Ji-Hee Park),이예경(Yea-Kyong Lee)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6 No.-

        본 연구는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 유형과 비판적 사고력 기능 및 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고, 영재 유형(인문영재, 과학영재, 수학영재) 간의 학습 유형과 비판적 사고력의 기능 및 성향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의 B초등학교 일반학생43명, N초등학교와 B중학교수학영재 63명, Y초등학교와 D초등학교 과학영재 53명, 교육청 소속 S대학교 인문영재 교육원 인문영재 50명을 선정하여 8주에 걸쳐 검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학습 유형 검사지는 Kolb가 1999년에 새롭게 개작한 자기보고식 학습 유형 검사를 이신동(2005)이 번역한 자료를 바탕으로 원재권(2006)이 사용한 검사 도구이며, 비판적 사고력 검사는 비판적 사고 기능 검사와 비판적 사고 성향 검사로 이루어져 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 학습 유형에 차이가 있었다. 일반학생은 조절적 학습자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영재학생은 수렴적 학습자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둘째, 인문영재와 과학ㆍ수학 영재 간의 학습 유형에는 차이가 있지만, 수학 영재와 과학 영재의 학습 유형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은 비판적 사고력 기능과 성향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비판적 사고력 기능의 하위 요소인 '어떤 진술에 숨겨진 의미와 가정 확인하기'와 성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영재 유형(인문영재, 과학영재, 수학영재) 간의 비판적 사고력 기능과 성향에는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학습 유형에 따른 비판적 사고력 기능 및 성향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learning style and critical thinking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It addresses any inter-group differences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as well as intra-group differences among gifted students.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 43 non-gifted students from B elementary school in Cheonan, Chungchengnam-do; 63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from N elementary school and B middle school in Cheonan; 53 gifted students in science from Y elementary school in Cheonan and D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50 gifted students in literature from the gifted education center of S University in Asan. For the learning style test in this study, Learning Style Inventory(LSI),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Kolb in 1976 and revised in 1999, was used. Critical thinking ability was measured as it was divided into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or critical thinking skills, the test developed by Jung-Hee Yu, Kyung-Hee Kim and Sang-Ho Park(2002) was used. Fo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test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used.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test responses was tested through a confidence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ANOVA, and Scheffe test was used for a follow-up test.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collected data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ypes of learning style between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It was shown that a large portion of gifted students were convergent learners, while non-gifted students were accommodative learners in general. Second, the gifted in literature and the gifted in mathematics and in science had different learning styl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learning style of the gifted in science and the gifted in mathematic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 between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This was especially apparent from a subcategory of thinking skills, "Assuming the Hidden Meaning in a Statement," and a subcategory of disposition, "Systematization". Fourth, there was no signig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 among gifted students in each area of literature, science and mathematics. Finally, there was no distinc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 by learning styl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국가수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소연(Kim, So Yeon),이신동(Lee, Sin Do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3

        국가적 차원의 영재교육 도입기에서 발전기로 향하는 과도기적인 시점에서 영재관련 연구기관과 학회에서는 국가수준의 영재기관 평가연구와 효과성 분석 연구, 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효과분석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내의 영재교육은 양적증가와 하드웨어적 체제의 기틀은 마련되었으나, 질적 향상을 위한 모범적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사례와 연구가 요구되었다. 같은 맥락에서 ‘국가수준영재교육 프로그램의 방향과 기준 설정’에 대한 요구가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수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의 선행사례인 ‘NAGC의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Gifted Program Standards)’을 소개하고,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기준 개발의 가능성을 탐색하여, 그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첫째, ‘NAGC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을 분석하고, 국내 영재교육 평가기준과 비교하였다. 둘째, 국내 영재교육 평가연구를 바탕으로 영재교육 프로그램 현황, 문제점․전망을 분석하였다. 셋째, NAGC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과 국내의 영재교육 평가연구에서 요구되는 강조점을 바탕으로 국가수준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전망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넷째, 이에 따른 후속연구로 국가수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에 대한 영역범주, 수행수준, 기준원칙, 적용방법에 대한 질적⋅양적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status of national gifted education is on a transitional period passing by introduction of gifted education toward developmental stages. Recently researches evaluating effectiveness of national gifted education and reporting practical management of gifted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been increasing at the national level by KEDI and gifted education institutes. Needs of establishing standards and directions for national gifted education program have been suggested through these researches. This study is to introduce 'Gifted Education Program Standards of NAGC' as a preceding example of national gifted education program standard development and suggest directions and considerations for the standards. First, this study analyzed 'Gifted Education Program Standards of NAGC' and compared to the standards of evaluating Korean national gifted education. Second, this study inquired national gifted education status, issues and prospects based on gifted education researches. Third, this study suggested directions and considerations of national gifted education program standards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ison NAGC standards to Korean national evaluation standards. Fourth, study propos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ost researches of categories, performance levels, standards principles and application methods related to national gifted education program standard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교육경험 여부에 따른 영재와 영재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 차이

        성영화(Young Hwa Sung),이신동(Sin Dong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영재 및 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일반적인 인식 및 다문화가정 유아 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는 카이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는 일반영재로, 잠재된 능력과 성취가 불일치한 영재로 보았다. 특히,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지닌 영재특성은 특정 분야에서의 탁월한 재능을 뽑았고, 부정적 특성으로는 사회적 불안 및 소외감과 언어발달 지연이 있었으며 이는 교사의 다문화가정 유아 교육경험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를 판별할 때 창의성 및 사고력 검사를 실시해야 하며, 만 3세 이후가 되면 판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셋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이 필요하며, 이에 대해 다문화가정 유아를 교육해본 교사가 그렇지않은 교사에 비해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의 목적은 잠재력 계발 및 소외영재로 발굴 가능성 증진에 있고, 사회성 및 정서 발달에 대한 교육내용을 바탕으로 놀이를 통해 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다차원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보 았다. 이 중에서 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에 대해서는 교사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넷째,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은 학기 중 평일을 이용하여 개인수준에 따라 횟수를 정해서실시하고, 1~5명으로 구성된 집단으로 영재교육담당 공교육기관에서 영재교사에 의해실시되어야 한다고 교사들은 인식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사의 인식을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을 위한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of teachers' general perceptions about gif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y teachers' education experience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270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hi-square test.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generally gifted, and mismatched between achievement and potential ability. In particular, teachers perceived outstanding talent in a particular field as a characteristic of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a negative characteristic, teacher responded social unrest and alienation, delays in language development and it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Second, teachers responded that creativity and thinking skills tests must be carried out to determine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gifted young children can be classified after three years old. Third, teachers perceived the need of gif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teachers with educational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ighly responded on the need of the gifted education. Also, teachers responded that purpose of education for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to increase potential development and excavation possibility of disadvantaged and gifted young children. Moreover, the contents of gifted education should focus on social and emotion development, and it should be implemented as play-based, and the measurements should be a multidimensional. Among them,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th, teachers responded that gif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need to be conducted during weekdays of the education year depending on the individual level as a group of 1-5 young children and the education needs to be implemented in public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by gifted teacher. And it's perception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suggestions were provided about the direction for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 이해중심 게임모형의 수업 효과

        조한무(Cho Han-Moo),이신동(Lee Sin-Dong)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03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7 No.1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instructional effects of understanding-centered game model which is emphasizing whole skills, correcting part by part.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two classes of 6th Grade of H elementary school. One class was utilized as experimental group, in which instruction of understanding-centered game model was applied. The other group was utilized as control group. Instructional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 behavior, and game performance were measured to analyze.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BR>  First, the participant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nteraction among themselves.<BR>  Second, the participants in experimental group spent more time in listening to explanation and game observation. More practical feedbacks were given to the participants, which led to more motivation-provoking reinforcement.<BR>  Third, the participant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target-oriented behavior pattern, which was caused by meeting for strategies, more interests, and more interactions among students.<BR>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understanding-centered game instruction made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necessities of parts in whole skills for participa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