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노트 : 포도 추출물로부터 C/EBP 전사인자 활성 비교

        이시림 ( Si Rim Lee ),박철홍 ( Chul Hong Park ),권은영 ( Eun Young Kuan ),루옌칭 ( Yan Qing Lu ),김홍 ( Hong Kim ),김기찬 ( Ki Chan Kim ),손형우 ( Hyeong U Son ),이현진 ( Hyun Jin Lee ),허진철 ( Jin Chul Heo ),이상한 ( Sang Han L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1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8 No.1

        In order to compare what kinds of transcription factors are associated with the inhibition of preadipocyte cell proliferation, we prepared several grape extracts and tested the expression patterns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s a result, 50% ethanol extract of Campbell early seed inhibited adipogenesis derived from the MDI solution. Extract of Campbell early seed was significantly inhibited lipid droplet formation and expression of molecular factors C/EBP-alpha and delta in 3T3-L1 cells. It is suggested that grape extracts of fractions would be a good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skin fat modulator.

      • KCI등재

        한국 아이돌, 그들은 어떻게 살아남는가?: 한국 아이돌 산업 생태계의 생존과 성공 요인

        이시림(Silim Lee),이수현(Suhyeon Lee)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4 No.2

        본 연구는 한국 아이돌 생태계 내 경쟁과 생존의 역학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대중문화와 문화산업을 깊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이돌 산업은 산업 그 자체의 확장만 아니라 팬덤 및 소비문화를 포괄하여 대중문화를 구성하면서 한국 대중문화산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성장과 함께 아이돌산업 생태계 안의 경쟁은 점차 심화 되고 있다. 특히 아이돌은 아이돌이 되는 것에서 시작해 데뷔 후 생존하는 것까지 다층적인 경쟁을 필연적으로 경험한다. 그렇다면 아이돌 산업 내에서 그들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서 출발하여 조직생태학 이론을 통해 한국 아이돌 생태계 내 조직들의 생존과 사멸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한국 아이돌 그룹은 소속사의 규모가 클수록, 소속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그룹원이 저작권을 보유한 경우에 더욱 생존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현재의 아이돌 산업 생태계는 매우 경쟁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생태계 내 수용 가능 영역이 남아 있고, 산업 특성상 자원분할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대형 소속사와 중소형 소속사 모두가 동일한 생태지위를 두고 계속해서 경쟁하게 될 것으로 예측한다. 따라서 이 생태계가 장기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아이돌 그룹이 활동영역을 확장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더욱 다양한 소비자층을 확보함으로써 조직의 생태지위 자체를 넓힐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to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Korean popular culture and cultural industry by looking at the dynamics of competition and survival within the Korean idol ecosystem. The idol industry is an important part of Korean popular culture and the economic impact power of idol has become very large. With this growth, competition within the ecosystem of the idol industry is becoming more and deepening Idol is in a competitive situation, from debuting to surviving in the market So what factors influence their survival within the idol industry? Starting with these questions, this study looked at the survival and death of organizations in the Korean idol ecosystem with the theory of organizational ecolog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gency is larger, the longer the agency is run, the more copyrighted group members have the survival rate of idol groups be higher. In addition, both large and medium-sized agencies are expected to continue to compete for the same ecological status. Because the current idol industry ecosystem seems highly competitive, but organizational density has yet to reach the top due to the remaining soluble areas in this ecosystem, and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industry, no resource division is achieved.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Korean Idol ecosystem needs to expand the organization’s ecological status itself by securing a wider range of consumers by expanding the area of activity, and so on a long-term basis.

      • KCI등재

        코로나 19 이후 한국 아이돌 팬덤의 온라인 공연 경험과 문화적 결속력 변화에 관한 연구

        이시림(Lee, Si Lim),이수현(Lee, Su Hyeon) 한국문화산업학회 2022 문화산업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코로나 19 이후 온라인 공연을 소비한 경험사례를 중심으로, 온라인 콘서트의 도입이 아이돌 팬덤의 소비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사이에 발생하는 문화적 결속력의 변화에 대해 심층 면담을 통해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결과, 온라인 콘서트는 온라인의 특성상 관람자가 원하는 시간과 공간에서 콘서트를 관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고,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 더 많은 사람이 콘서트를 경험하게 되어 이 경험이 추후 오프라인 콘서트 소비로 이어질 가능성을 확인했다. 하지만 콘서트가 오프라인으로 열리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현장감과 더불어 그 현장에서만 느낄 수 있던 이용자 집단 즉 팬들 간의 동질감과 연대감을 느낄 수 없다는 한계는 극복되지 못하고 있다. 팬덤의 소비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지면서 자연스럽게 이들이 한 공간에 모일 수 없게 되었다. 이로 인해 소속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사라졌고 따라서 이러한 상황이 장기화하면 향후 팬덤의 문화적 결속력에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온라인 콘서트를 통해 기존에 존재했던 콘서트 경험 유무의 격차는 줄어들 수 있지만, 팬덤 내에 존재하던 다양한 층위는 오히려 양극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팬덤의 구성원들은 대부분 온라인보다 오프라인의 경험에 더 많은 가치를 두고 있고, 지난 2년간 대면에 대한 욕구가 증가했지만 코로나 19로 인해 축소된 규모로 진행되는 오프라인 행사에 참여 가능한 인원 수는 줄어들어 이에 참여하기 위한 경쟁이 증가했다. 따라서 향후 오프라인과 온라인이 병행될 경우, 오프라인 콘서트에 참여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함으로써 경제적 자원에 따른 계층화가 심화하며 팬덤 내 양극화 및 문화적 결속력 약화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online concerts on the consumption of idol fandoms,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consuming online performances after COVID-19, and analyzing the changes in cultural solidarity that occur between them. As a result, due to the nature of the online concert, it has the advantage of watching the concert at the time and space desired by the audience. However,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feel the sense of solidarity and solidarity between fans is the group of users that can only be felt at the site, along with the sense of realism that occurs when the concert is held offline has not been overcome. In addition, as the consumption of fandoms shifted from offline to online, they could not naturally gather in one place. As a result, the opportunity to feel a sense of belonging has disappeared, and if this situation continues for a long time, it is expected that changes will occur in the cultural cohesion of the fandom in the future. Also, through online concerts, the gap between existing concert experiences can be reduced, but the various levels within the fandom tend to be polarized.Most members of the fandom value offline experiences more than online ones. Therefore, the cost to participate in offline concerts will increase, and as stratification deepens according to economic resources, the fandom’s polarization is expected to progress.

      • KCI등재

        한국 대중음악산업의 과점화와 그 영향력에 대한 연구

        이수현(Lee, Su-hyeon),이시림(Lee, Si-lim) 한국문화산업학회 2018 문화산업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한국 대중음악산업 내 아이돌산업을 중심으로 문화산업의 과점모델이 해당 문화 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다각에서는 아이돌산업에서의 성공과 실패가 아티스트의 실력이나 생산물의 경쟁력이 아닌, 소속사의 시장 내 규모와 지위, 또한 그로 인한 미디어 노출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여 한국 아이돌산업 내 과점화현상을 사례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또한 이러한 과점구조가 실제로 산업 내 생산물들의 성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재 국내 대중음악산업은 상위 9개 기업을 중심으로 하는 과점 모델을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이 중 일부 기업은 배급망과 방송사, 온라인 플랫폼 등을 소유함으로써 수직적 통합 구조를 구축해 나가고 있어, 한국 아이돌산업의 다이아몬드 내 주체들이 수평적 관계성을 갖기 어려운 구조가 되고 있다. 또한 실제 과점기업들의 기업 규모와 미디어에의 노출 여부가 아이돌 스스로가 보유하는 작사 · 작곡 능력과 같은 요인보다 아이돌의 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 아이돌산업 내 산업 구조의 변화가 음악의 다양성, 혁신과 같은 문화 생태계의 자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의미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시장 내 주체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행동하기 때문에 현재의 과점화가 곧 한국대중음악의 단일화 또는 산업 내 주체들 간의 위계관계로 인한 갈등을 가져올 것으로 단언할 수는 없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 아이돌 산업 및 대중음악산업 전반을 주지하면서 향후의 시기적 변화에 대해서도 지속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The study aims to identify how the oligopoly model of the cultural industry, centered on the idol industry in the Korean pop music industry, is affecting the cultural ecology. In recent years, success and failure in the idol industry are no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artist’s skills or competitiveness, but to the size and status of the company and the resulting media exposure. This study focused on this phenomenon to confirm the oligopoly in the Korean idol industry through case analysis, and also confirmed whether this oligopoly structure actually affects the success or failure of products in the industry. According to the study, the domestic pop music industry is currently forming an oligopolistic model centered around the top nine companies, some of which are vertically owned by distribution networks, broadcasters and online platforms. It also confirmed that the size of the oligopoly and whether or not they are exposed to the media are having a greater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he idol rather than the ability of the idol themselves. This is important in that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in the Korean idol industry can affect the resources of cultural ecosystems such as diversity and innovation. However, since the actors in the market interact each other, the current oligopoly can not be guaranteed to bring about the unification of Korean pop music or conflicts among actors. Therefore, we recommend continuous research on the changing timing of the future,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entire Korean idol industry and pop music industry. 본 연구는 한국 대중음악산업 내 아이돌산업을 중심으로 문화산업의 과점모델이 해당 문화 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다각에서는 아이돌산업에서의 성공과 실패가 아티스트의 실력이나 생산물의 경쟁력이 아닌, 소속사의 시장 내 규모와 지위, 또한 그로 인한 미디어 노출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여 한국 아이돌산업 내 과점화현상을 사례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또한 이러한 과점구조가 실제로 산업 내 생산물들의 성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재 국내 대중음악산업은 상위 9개 기업을 중심으로 하는 과점 모델을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이 중 일부 기업은 배급망과 방송사, 온라인 플랫폼 등을 소유함으로써 수직적 통합 구조를 구축해 나가고 있어, 한국 아이돌산업의 다이아몬드 내 주체들이 수평적 관계성을 갖기 어려운 구조가 되고 있다. 또한 실제 과점기업들의 기업 규모와 미디어에의 노출 여부가 아이돌 스스로가 보유하는 작사 · 작곡 능력과 같은 요인보다 아이돌의 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 아이돌산업 내 산업 구조의 변화가 음악의 다양성, 혁신과 같은 문화 생태계의 자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의미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시장 내 주체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행동하기 때문에 현재의 과점화가 곧 한국대중음악의 단일화 또는 산업 내 주체들 간의 위계관계로 인한 갈등을 가져올 것으로 단언할 수는 없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 아이돌 산업 및 대중음악산업 전반을 주지하면서 향후의 시기적 변화에 대해서도 지속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The study aims to identify how the oligopoly model of the cultural industry, centered on the idol industry in the Korean pop music industry, is affecting the cultural ecology. In recent years, success and failure in the idol industry are no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artist’s skills or competitiveness, but to the size and status of the company and the resulting media exposure. This study focused on this phenomenon to confirm the oligopoly in the Korean idol industry through case analysis, and also confirmed whether this oligopoly structure actually affects the success or failure of products in the industry. According to the study, the domestic pop music industry is currently forming an oligopolistic model centered around the top nine companies, some of which are vertically owned by distribution networks, broadcasters and online platforms. It also confirmed that the size of the oligopoly and whether or not they are exposed to the media are having a greater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he idol rather than the ability of the idol themselves. This is important in that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in the Korean idol industry can affect the resources of cultural ecosystems such as diversity and innovation. However, since the actors in the market interact each other, the current oligopoly can not be guaranteed to bring about the unification of Korean pop music or conflicts among actors. Therefore, we recommend continuous research on the changing timing of the future,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entire Korean idol industry and pop music indust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예술 지원 경로에 따른 예술인 삶의 질 효과분석

        김소연(Soyeon Kim),주익현(Ik Hyun Joo),이시림(Si Lim Lee) 한국문화경제학회 2022 문화경제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조사한 2015년 예술인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예술인들의 삶의 질을 사회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에서 중층적으로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예술정책만족도에 대해서는 공공기관으로부터 지원금을 수혜받는집단일수록, 지원금액은 많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술활동만족도에 있어서는 공공기관 수혜집단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와 비교해, 중앙부처나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정부지원금을 수혜받거나, 기업후원금을 지원받은 집단일수록, 예술활동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현재 예술계 지원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좋은 편으로 평가받는 수도권일수록, 예술인들의 예술정책만족도는 오히려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핵심적으로 예술인들의 예술활동만족도를 증가시키는데 있어 통계적(statistical)인효과는 정부지원금이 크지만, 응답자들의 예술활동만족도에 실질적(practical)으로 미치는가시적인 효과는 기업지원금이 더 큰 편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술인들이 사회적 차원에 대해 인식하는 예술정책만족도와, 예술경력 등 개인적 차원에서의 인식 결과로서 예술활동만족도가 실증적으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예술인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정책을 위해서는예술인 집단에 보다 특화된 이해와 연구가 필요하다. Analyzing the data of the 2015 Survey Report on Artists & Activities conduc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this research delves into the quality of artistic lives at a social and personal level. The analysis first unveils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arts policy appears to be high amongst artists who receive grants from public institutions such as Arts Council Korea, Korean Artist Welfare Foundation, and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Moreover, the satisfaction level also rises in proportion to the grants they receive. Moreover, artists in performing, visual and popular arts tend to be more content with arts policy than those working in literature. Second,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of the artists who receive grants from public institutions, no meaningful correlation is discovered between the grants and artistic satisfaction in arts activities. In comparison,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art activities is manifested by the artists who are given governmental funding from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 bodies or corporate grants such as arts funding from Korea Mecenat Association. Meanwhile, artists from the metropolitan area, which is deemed to have a well-established infrastructure for artistic support, show negative attitudes towards arts policy. Such results indicate the potential disparity between artists’ perception of their satisfaction with arts policy and their real satisfaction through individual art activities. Thus, this study proposes that an in-depth analysis of artists be designed more sophisticatedly with multi-layered approach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