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계적 소성 각인 기반 연속 고속 나노패터닝 시스템 개발

        이승조(Seungjo Lee),오동교(Dong Kyo Oh),박재규(Jaekyu Park),김정대(Jeong Dae Kim),이재혁(Jae Hyuk Lee),옥종걸(Jong G. Ok) 대한기계학회 2016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6 No.12

        We develop a high-throughput nanopatterning system which enables continuous mechanical nanopattern inscribing on flexible substrates by using a rigid grating mold edge. We perform the conceptual design of process principle, specific modeling, and buildup of a real prototype of the system. Several important issues related to processing and controlling, covering precision motion, alignment, heating, and sensing, are carefully addressed to achieve successful nanopatterning in a continuous and high-speed fashion. By tuning the mold shape, temperature, force, and substrate material, various functional nanopatterns can be created with the desired profiles towards many potential applications involving electronics, photonics, displays, light sources, and sensors, particularly requiring large-area and flexible configurations.

      • KCI등재
      • KCI등재

        마약퇴치 광고의 표적 집단 활용을 위한 동기 활성화의 타당도 조사

        이승조(Seungjo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연구는 동기 활성화의 개인 성향이 마약 이용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작용하는지와 개별 감성과 상호작용하며 마약퇴치 광고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동기 활성화는 식량과 같이 생존에 필요한 요소들을 성취하기 위한 동기(접근 동기), 혹은 천적과 같이 위협적인 요소들을 회피하려는 동기(회피 동기)가 발현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개별 감성은 기쁨, 슬픔, 공포를 유도하는 광고 방식의 차이를 의미한다. 실험은 자가 보고와 생리적 반응을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총 80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접근 동기의 활성화는 마약 이용을 예측하고, 방어 동기의 활성화는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약퇴치 광고의 시청에서 접근 동기의 활성화는 자가 보고 반응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생리적 반응에서 차이를 발현시켰고, 방어 동기의 활성화 성향은 자가 보고, 생리적 반응 전부에서 차별적 반응을 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접근 동기의 활성화가 높은 개인들을 마약퇴치 광고의 표적으로 삼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긍정적 감성을 유도하는 방식이 중요하다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individual variation in motivational activation would predict the drug-use and interacts with discrete emotions to influence the responses to anti-drug advertisements. Motivational activation tendency indicates an individual’s level to approach life-sustaining elements and defend life-threatening stimuli. Discrete emotion represents joy, sadness, and fear elicited by the advertisements. The experiment proceeded using both self-reports and physiological responses with 80 subjects. Results showed that approach motivation activation can be a target for anti-drug advertisements and in order to target individuals higher in approach activation, it is necessary to use appeal type to elicit positive emotions such as joy.

      • KCI등재

        돕기 메시지의 전달에서 이성적 소구의 활용을 위한 제언

        이승조(Seungjo Lee) 한국언론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3 No.1

        이 논문은 전통적으로 감성적 호소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온 돕기를 촉구하는 메시지의 구성에서 이성적 호소의 활용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감성적 소구에 지나치게 편향된 메시지 설계는 수용자를 둔감하게 만들고, 도움을 받는 대상에 대한 부정적 사고를 조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돕기 영역에서 수행된 감성적/이성적 요인과 연관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돕기 행위의 촉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호혜적/공감적 소구를 제안하였다. 호혜적 소구는 돕기 행위가 이웃, 사회, 넓게는 인류까지 자신을 포함하는 공동체를 위한 것이며, 이것은 결국 자신의 생존에 도움이 된다고 호소하는 방식이다. 공감적 소구는 타인 중심적인 공감적 반응, 즉 불쌍한 마음과 연민을 불러일으켜 돕기행위의 촉구에서 감성적 호소를 최적화한 방식이다. 호혜적/공감적 소구의 활용을 제시하는 것은 어떤 유형의 일반적인 우위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상황에 적절한 호소 방식을 찾기 위한 것이다. 돕기 메시지의 전달에 관한 연구에서 호혜적/공감적 소구의 이용은 이론적 심화와 실용적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a way that can strengthen the use of rational appeal in constructing messages to advocate helping behaviors that traditionally have emphasized importance of emotional appeal. It is because the tendency to focus on emotional appeal can make the audience desensitized and encourage the biased thoughts towards the beneficiaries.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arguments related to the rational/emotional factor addressed in the realm of helping, this work suggests reciprocal/empathic appeal thought to be suitable for seeking aid. A reciprocal appeal presents the recipients that helping behaviors are for neighbors, society, and further human beings, which ultimately helps for their own survival. An empathic appeal represents an optimized emotional appeal in seeking aid by arousing other-oriented empathic reactions such as compassion and sympathy. Utilization of reciprocal/empathic appeal is to find appropriate persuasive methods for given situations rather than trying to confirm which type has advantage in general. The research of reciprocal/empathetic appeal is expected to produce more deepened theoretical understandings and practical benefits in delivering messages for helping.

      • KCI등재

        돕기 캠페인에서 공감적 관심과 소구 유형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

        이승조 ( Seungjo Lee ),정다운 ( Daun Jeong ) 한국감성과학회 2014 감성과학 Vol.17 No.2

        본 연구는 장애인 돕기 캠페인에 대한 반응에 공감적 관심과 소구 유형(이성적/감성적)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공감적 관심은 이타적 동기를 활성화하는 감성적 개인 성향을 지칭한다. 실험은 2단계로 구성하였는데, 1단계에서는 피험자들의 공감적 관심의 정도를 측정하고 2단계에서는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로 차별화된 캠페인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전체 실험은 공감적 관심(2) × 이성적/감성적 유형(2)으로 설계되었다. 그 결과, 돕기 태도와 행위 의도의 측정에서 공감적 관심과 소구 유형의 상호작용이 도출되었다. 이성적 소구에서 공감적 관심이 높은 개인들이 낮은 개인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호의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감성적 소구에서는 공감적 관심이 높고 낮음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로부터 이타적 성향인 공감적 관심이 높은 개인들에게 이성적 소구가 더 유용하다는 해석이 가능하여, 감성적 소구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과거 돕기 캠페인 연구의 내용과 차별화된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s of empathic concern, as a personal trait, and rational/emotional appeal on responses over the campaigns to help the disabled. Empathic concern is an emotional personality known as strongly activating altruistic motivations. The experiment proceeded at two stages that in the first stage, the personal disposition was measured and in the second stage, the condition of appeal type was presented. Thus, the whole experimental design was empathic concern(2) × appeal type(2) on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 Individuals high in empathic concern showed higher ratings, compared to people low, on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 in the condition of rational appeal. The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empathic concern in the condition of emotional appeal was small.

      • KCI우수등재
      • KCI등재

        Impacts of Altruistic Disposition and Framing on Persuasion to Help Distant Others in Need

        Seungjo Lee(이승조)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는 개인의 이타적 성향과 메시지 프레이밍의 상호작용이 국제기아 돕기 캠페인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타적 성향은 고통 받는 타인에게 연민을 느끼고, 관심을 갖는 정도를 나타내는 공감적 관심을 선정하였고, 프레이밍은 도움을 주었을 때의 긍정적 결과 혹은 도움을 주지 않았을 때의 부정적 결과를 강조하는 대비 방식을 이용하였다. 실험은 175명을 대상으로 실행되었으며, 2단계로 나누어서 실행되었다. 1단계에서는 참여자들의 이타적 성향과 관여도에 관한 설문을 진행하였고, 2단계에서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유형화된 메시지를 제시한 후 나타나는 반응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 프레이밍에서 공감적 관심이 높은 사람들이 낮은 사람들에 비하여 더 높은 행위 의도와 친밀감을 보여주었고, 부정적 프레이밍은 차별적 반응을 이끌어 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된 친밀감은 행위 의도에 대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interaction between dispositional empathic concern (DEC) and message framing on effects of the international aid campaign. DEC refers to a trait with which people tend to sympathize with and be concerned about others in need. Message framing is differentiated by positive or negative type. The results supported the prediction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DEC and framing would have an effect on responses to messages advocating international relief activities. The overall findings show that the interaction was mainly the result of positive framing eliciting more favorable responses (behavioral intention and perceived relationship closeness) from higher DEC individuals than lower ones. The interaction effect on behavioral interaction was mediated by perceived relationship closeness.

      • KCI등재

        성별과 프레이밍의 상호작용에 따른 돕기 캠페인 수용 태도의 차이

        이승조(Seungjo Lee) SBS 2016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4 No.1

        본 연구는 국제기아 돕기 캠페인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라 긍·부정 프레이밍의 소구력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긍정적 프레이밍은 돕기 행위를 통한 생명 구제를, 부정적 프레이밍은 돕기 행위를 하지 않아 발생하는 생명 손실을 강조하는 표현 구성을 의미한다. 124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돕기를 촉구하는 영상 캠페인을 보여주고, 성별과 긍·부정 프레이밍을 집단 간 변인으로 교차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국제기아 돕기에 대한 태도와 행위 의도에서 성별과 긍·부정 프레이밍의 상호작용이 도출되었다. 상호작용은 주로 여성에게 긍정적 프레이밍보다 부정적 프레이밍이 더 효과적으로 작용한 결과에서 기인하였다. 남성은 긍·부정 프레이밍에 차별적으로 반응하지 않았다. 그리고 성별과 긍·부정 프레이밍의 상호작용은 공감 반응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별과 메시지 프레이밍의 조화에 관한 탐구를 돕기 영역으로 확대하고,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친 공감 반응에 관하여 조명한 측면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ether the relative effects of positive/negative framing depend on gender for responses over an international relief campaign. Positive framing appeals to the recipients with the expressions of saving life through helping and negative framing emphasizes the loss of life without helping. One hundred and twenty four participants were shown the video campaign advocating international aid in the experiments with the factorial design of framing by gender. The significant interactions were found in the results of topic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 Negative framing was more effective to the female participants than positive framing. Male participants did not respond differently to the message framing. And it was also found that empathic reaction mediated the interaction of gender and framing.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