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반정육면체 알고리즘 및 단결성 성장로의 열해석에의 응용

        이승복,정진수,고상근,Lee, Seung-Bok,Jeong, Jin-Su,Go, Sang, Geun 대한기계학회 1998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2 No.7

        View factor determination is very important in thermal analysis problems with surface radiation but it is very difficult to determine view factors for complex geometries. Exact calculation of view factors for crystal growth furnace is essential due to not only its high surface temperature but the radiation shield, complicated heating system. In this study, view factor calculation algorithm is introduced and applied to cylindrical crystal growth furnace. This algorithm is based on the Hemi-Cube Algorithm and the results obtained with this algorithm show good agreements with those of analytical solution. As an application of this algorithm, temperature profiles and heating value distributions for various furnaces are calculated and the shape criteria for better furnace are suggested.

      • KCI등재

        <동유가>의 서술방식과 작가의식

        이승복 ( Lee Seung-bo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2 고전문학과 교육 Vol.23 No.-

        이 글은 금강산 유람 체험을 다루고 있는 기행가사인 <동유가>를 대상으로 작자와 창작 배경, 서술방식, 그리고 작가의식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동유가>는 옥국재 이운영의 진외현손인 홍정유에 의해 1862년경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다시 조사한 결과 작자를 홍정유로 확정해도 무방하다. 홍정유는 병자호란 때 순절한 홍익한의 봉사손이고,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치적을 남겨 조정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박규수ㆍ김윤식과 인척 관계에 있던 경화사족이었다. 홍정유가 가사를 창작하게 된 데에는 어릴 적 옥국재 가사를 익히도록 한 할머니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동유가>는 일기 형식을 통해 금강산을 오가는 여정과 견문에 대한 서술을 대폭 확대하였다. 유산 체험은 경물과 경물 사이의 시간이나 여정의 단절을 최소화하여 작자가 둘러본 모든 곳을 다소 빠른 호흡으로 제시하다가 인상적인 경물을 만나면 호흡을 늦추면서 그 모습이나 느낌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방식으로 서술되고 있다. 또 경물의 제시에 있어서는 감흥이나 주관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대체로 경물과 객관적인 거리를 유지하면서 그것의 묘사와 설명에 치중하고 있다. <동유가>에는 유교 이념이 탈색되어 있는데 이는 유자가 갖춰야 할 덕과 기상의 배양보다는 금강산에 대한 탐승 욕구와 낯선 곳에 대한 호기심이 여행의 동기였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러한 욕망과 호기심으로 인해 작자는 산수유기를 염두에 두고 일기 형식 속에 자기의 여행 체험을 모두 기술하려 하였는데 산수유기가 아닌 가사를 선택한 것은 다채로운 경험을 자유롭게 서술하고, 또 집안의 부녀자들이 읽도록 하기 위해서였던 것으로 보인다. 작자가 이념적 환기를 거부하고, 경물과 객관적 거리를 유지하면서 그것을 묘사ㆍ설명하려 한 것은 김창협과 그 문하에서 비롯된 사경적 사실주의 산수관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또 눈에 비친 모든 대상을 치밀하게 관찰하여 제시하려는 서술 태도는 주자학적 의리ㆍ명분론 일변도에서 벗어나 사회 현실을 직시하거나 모든 사물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본원과 이치를 궁구하고 해석하는 방향으로 학문적 관심의 폭을 확대했던 경화사족의 학문적 분위기와도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narrative methods and writer's consciousness of Dongyuga, the Travel Gasa of Mt. Geumgang. This work was written by Hong, Jeong-yu in the mid 19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Hong, Jeong-yu is the descendant of Lee, Un-yeong who wrote the six pieces of Gasa in the 18th century. The writer narrates all the experiences of the travel by taking the diary form. He presents the most of natural features at a little fast speed. But when he encounters the very impressive sceneries, he represents them concretely at low speed. Mostly the natural features are described objectively. In this work the new literary view on the nature attaching importance to objective description is reflected. And this work was written in the inclination of knowledge concerned about social problems and the reasons of all things. I anticipat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scertain the natures of Dongyuga and the aspects of Travel Gasa written in the 19th century of Joseon Dynasty.

      • 옥국재 이운영에 대한 전기적 고찰

        李昇馥 ( Lee Seung-bo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4 고전문학과 교육 Vol.7 No.-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life of Okgukjae Lee, Un-Yeong who wrote six pieces of Gasa and lots of Sino-poems in 18th century of Joseon Dynasty. He was born and grew up in the Family belonged to Noron, one of the political, ideological, and scholarly parties. However it seems that he did not take part in political or scholarly debate particularly. He took interest in visiting the places of natural beauty with writing poems, and enjoyed playing paduk. Besides he kept company with the persons having same tastes.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 he pursued the unworldly life. I anticipate the deep study of Okgukjae to connect his literature with his lif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계축일기>에 나타난 갈등의 층위와 제시 방

        이승복 ( Lee Seung-bo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4 No.-

        이 글에서는 <계축일기>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기 위해 작품의 역사적 맥락과 작품에 제시된 갈등의 층위, 그리고 갈등의 제시 방식 등을 검토하였다. 작자는 내인들의 갈등과 수난을 상당한 비중을 두어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이는 작자가 그것을 단순히 광해군과 인목대비의 갈등에서 파생된 부수적인 문제로 파악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고, 따라서 광해군과 인목대비에 초점을 맞춰 이 작품을 이해하는 것이 작품의 실상과 거리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작품에서는 대화를 빈번하게 교체 인용하여 갈등의 첨예함과 심각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갈등을 매개하는 인물을 형상화하여 사람의 욕망이 갈등을 어떻게 확대ㆍ심화시키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삽화를 나열하여 갈등의 상대방에 대한 비판과 자기들이 겪어야 하는 고통의 부당함을 강조하고 있다. 요컨대 작자는 갈등이 사람들 사이의 문제이고, 사람의 욕망이나 부정적 성격으로 인해 그것이 야기되고, 또 심화되기도 한다는 입장에서 광해군과 인목대비 양측의 갈등을 바라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흔히 광해군의 성격과 당시의 역사적 사건을 허구적으로 왜곡ㆍ과장한 점을 이 작품의 문제점, 혹은 이 작품을 소설로 보아야 하는 근거로 제시한다. 하지만 그것은 먼저 작자가 당시 상황을 정치나 역사의 관점이 아니라 사람에 초점을 맞춰 파악한 결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작품의 문학적 성격과 가치도 그러한 점에서 찾아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ayers of conflicts and the methods of presenting conflicts in Gyechugilgi written by court ladies in the middle of the Choseon Dynasty. The authors deal with court ladies' conflicts and trials with great seriousness. This means that they did not regard these struggles as problems derived from conflicts between King Kwanghae and Queen dowager Inmok. Gyechugilgi represents conflicts by quoting conversations, showing characters meditating conflicts, and describing episodes. Consequently the authors recognized the conflicts in this text as human problems that result from personal desires rather than political problems, and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is text can be found in this point. This study ascertains the characteristics of Gyechugilgi from various viewpoints.

      • KCI등재

        <정주가(定州歌)>의 구조와 작가의식

        이승복 ( Lee Seung-bo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6 고전문학과 교육 Vol.11 No.-

        Jeongjuga is a work of Gasa written by Lee, Hi-hyeon in the early part of 19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It deals with Hong, Gyeong-rae's rebellion risen in 1811.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structure and author's consciousness of Jeongjuga. In Jeongjuga Hong, Gyeong-rae's rebellion is narrated from rising to being suppressed in order of time. But in this work the author did not pursue the detailed descriptions and organic relations of events and scenes. Instead of that the partial events and scenes are extended as occasion calls, and the related persons' attitudes or behaviors are represented critically. In this way it is revealed that the government officials are to blame for Hong, Gyeong-rae's rebellion. Of course the author reproached the leaders of the rebellion and their troops. But immediately after the suppression of the rebellion the author manifested that not only the leaders of the rebellion but also the government officials were responsible for the pain and calamity of war, in spite of his social status belonging to the governing class. This author's consciousness provides Jeongjuga with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I anticipate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scertain the natures of Jeongjuga and the aspects of Gasa in 19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