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관절 이형성증에서의 초음파의 사용 1부: 기술적 소개

        이순혁,Lee, Soon Hyuck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1 No.1

        초음파을 통하여 신생아 고관절의 형태와 안정성 여부를 관찰 할 수 있음이 알려진 이후 2개의 상반된 견해가 형성되었다. 신생아기에 관찰되는 관절 불안정이 치료를 필요로 하는 중요 병리라는 의견은 신생아기 비구이형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의견과 상충되어 왔다. Graf방법같이 신생아 비구이형성을 포함하여 치료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면 고관절 불안정성만을 기준으로 한 경우보다 치료와 추시를 하는 빈도가 훨씬 더 높았었다. 현재는 기술적 검사 방법의 발달과 질환의 적절한 이해로 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여겨지고 있어 여러 방법은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중요한 것은 방법의 선택이 아니라 표준화한 검사를 할 수 있는 충분한 경험과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관절 이형성증(DDH)의 진단에서의 여러 초음파 검사 방법과 의의, 치료시의 유용성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After the introduction of ultrasound enabling a detailed view of both neonatal hip instability and morphology, two different streams have developed: one arguing that neonatal hip instability is the major pathology warranting treatment, the other including acetabular dysplasia as an important feature. Graf's method including the acetabular dysplasia led to higher treatment and follow-up rate than that based upon neonatal hip instability only. Recent report suggested that improved examination techniques an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indings have enabled a more tailored approach, and no differences in treatment rates exist due to different ultrasound techniques. I'd like to emphasize that enough experiences and the understanding enabling standardized examination and high repeatbility is more important than the choice of different techniques. Here the mothods and meanings of different techniques of ultrasound and its usefulness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DDH is discussed.

      • 골연부조직 종양 전공자가 아닌 일반 정형외과 전문의에 의해 치료된 연부조직육종

        이순혁,박종훈,박상원,채인정,한승범,이석하,김호중,Lee, Soon-Hyuck,Park, Jong-Hoon,Park, Sang-Won,Choi, In-Chung,Han, Seung-Beom,Lee, Suk-Ha,Kim, Ho-Joo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2

        목적: 저자들은 골연부조직 종양 전공자가 아닌 타 분야의 경험 있는 수련병원의 정형외과 전문의에 의해 치료된 연부조직육종 환자의 치료과정을 분석하여 치료의 적절성 여부를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7월부터 2006년 9월까지 본원을 방문하여 연부조직육종으로 진단받은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초진 방법과 수술적 치료와 보조적 치료 그리고 추시 관찰의 적절성 유무를 종양 치료의 원칙에 따라 조사하였다. 결과: 남자는 16례 여자는 9례였으며 최종 수술 전 생검을 시행한 경우는 9례(36%)였다. 광범위 절제술이 시행된 경우는 13(52%)례 였으며, 조직검사 결과를 근거로 악성도를 판명할 수 있었던 12례 중 수술과 술 후 보조적 치료가 동시에 적절했던 경우는 총 4(33.3%)례에 불과했다. 한편 적절한 검사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 추시는 4례 (16%)였다. 결론: 예상외로 많은 수의 연부조직육종 환자들이 임상 경험이 풍부한 수련병원의 전문의들에게 조차 부적절한 치료를 받고 있다. 경험 많은 전문의를 포함한 모든 정형외과 전공자들에게 연부조직육종의 치료에 대한 전반적이고 강화된 교육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training hospital based treatment, we evaluated the soft tissue sarcoma treatments afforded by general orthopedic surgeon rather than orthopedic oncologist.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details of 25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soft tissue sarcoma who registered in our hospital between July 1997 and 2006 September. We evaluated initial diagnoses, the surgical treatment (including adjuvant therapy) and the follow up method used and related these to the principles of soft tissue sarcoma treatment. Results: The study cohort comprised 16 men and 9 women of mean age of 50.2 years. A diagnostic biopsy was performed in 9(36%) cases before definitive surgical treatment. Wide excision was performed in 13(52%) cases. For the 12 cases in which the grade of sarcoma was estimated, adequate surgical treatment with adjuvant therapy was performed only in 4(33.3%) cases. In addition, an adequate follow up schedule was adopted in only 4(16%) of the 25 study subjects. Conclusion: Unexpectedly, many cases of soft tissue sarcoma were treated inadequately even in a training hospital. An intensive education program on the treatment of soft tissue sarcoma is necessary for all orthopedic surgeons.

      • KCI등재

        Chondroblastoma in a Distal Phalanx of the Great Toe

        Soon-Hyuck Lee(이순혁),Dae-Hee Lee(이대희),Yeong-Seok Lee(이영석),Jong-Sang Choi(최종상)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5

        연골모세포종은 연골 형성 양성 종양으로 10세와 20세 사이 골성장기에 호발하며 전형적인 발생 부위는 상완골, 경골, 대퇴골과 같은 장골의 골단으로 족부에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족부에 발생한 경우는 대부분이 거골의 후방부위나 종골로 후족부에서 발생하며 지골에서 발생하는 예는 극히 드물다. 저자들은 82세 여자의 좌족부 제 1 원위지골에서 발생한 연골모세포종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단순 방사선 및 컴퓨터 촬영상 제 1 원위지골에서 피질골이 얇아지면서 팽창된 골용해성 병변이 보였고 내부는 거친 잔기둥형성 소견이 관찰되었다. 조직학적 검사에서 연골모세포종의 단핵세포는 S-100 단백에 양성반응을 보이고 레티쿨린 염색에서 종양세포를 둘러싼 레티쿨린 섬유를 보였다. A chondroblastoma is a relatively rare benign bone tumor that is typically encountered in the epiphysis. The authors describe a case of a chondroblastoma arising in the great toe. An 82-year-old woman presented with pain over her left great toe with a 1 year duration. The radiographs showed an expansile osteolytic lesion with cortical thinning and coarse trabeculation that replaced the distal phalanx of the left great toe. An incisional biopsy and curettage were performed. Histologically, the tumor consisted of uniform, round to polygonal cells with clear to slightly eosinophilic cytoplasm and round to ovoid nuclei, mimicking chondroblasts, intermingled with osteoclast-like giant cells.

      • KCI등재

        소아 상지 골절

        이순혁(Soon-Hyuck Lee),정웅교(Woong-Kyo Jeong),김현우(Hyun-woo Kim),송광순(Kwang-Soon Song),신현대(Hyun-Dae Shin),심종섭(Jong-Sup Shim),윤여헌(Yeo-Heon Yoon),조태준(Tae-Joon C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2

        목적: 소아 상지 골절의 일반적인 역학적 양상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국적으로 산개한 7개의 3차 의료기관에 1년간 상지 골절로 입원 치료받은 환아 589명을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골절을 유발한 외상의 정도는 경도, 중등도, 중도로 구분하였고, 각종 골절의 발생빈도와 함께 연령, 성별, 계절 등 역학적 인자들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7.8세였으며, 남아(8.5세)가 여아(6.4세)보다 높았고, 4세에서 7세 사이에서 가장 많이 발생(36%)하였다. 남아와 여아의 성비는 약 2.1:1로 남아에서 호발하였으며, 12세에서 16세 사이에 5.8 : 1로 가장 심하였다. 우측에 비해 좌측(56%)에 호발하였고,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연중 발생빈도는 5월(14.1%)과 8월(12.2%)에 많이 발생하였고, 계절에 따른 변화가 확연하였으며, 평균 기온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778). 골절의 빈도는 상완골 과상부(32.6%)가 가장 많았으며, 요골 원위부(18.2%), 상완골 외과(15.8%), 요, 척골 간부(8%), 쇄골(4.2%), 상완골 근위부(2.6%), 상완골 간부(2.4%)의 순이었다. 97%의 환아에서 경도 및 중등도의 외상으로 인하여 골절이 발생하였으며, 54%의 환아에서 수술적 치료가 시행되었고, 수술적 치료의 84.3%가 주관절 주위 손상에서 행하여졌다. 결론: 소아 상지 골절의 역학적 특징에 대하여 보고하였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general epidemiologic features of upper extremity fractures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The records of the 589 in-patient children treated for upper extremity fractures over a 1-year period at 7 different hospitals were collected prospectively and analyzed. The severity of trauma was classified as slight, moderate or severe. This study examined the incidence of various upper extremity fractures and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epidemiologic parameters including age, gender and season.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children was 7.8 years. The average age of boys (8.5 years) was older than girls (6.4 years). The majority of fractures occurred at between 4 and 7 years of age (36%).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approximately 2 : 1. The male predominance increased with age and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age group, 12-16 years (5.8 : 1). The left side was injured more frequently (56%),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s. The occurrence of fractures varied with the seasons with peaks in May (14.1%) and August (12.2%), and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temperature (r=0.778). The most common fractures were the supracondylar fractures of the humerus (32.6%), followed by distal radius fractures (18.2%), lateral condylar fractures (15.8%), radio-ulna shaft fractures (8%), clavicle fractures (4.2%), proximal humerus fractures (2.6%) and humerus shaft fractures (2.4%). Ninety seven percent of fractures were caused by a slight and moderate trauma. Fifty four percent of injured children underwent surgery, and 84% of operations were performed on the fractures around the elbow.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epidemiologic features of the upper extremity fractures in children.

      • KCI등재

        전위된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이순혁 ( Soon Hyuck Lee ),박상원 ( Sang Won Park ),정웅교 ( Woong Kyo Jeong ),이대희 ( Dae Hee Lee ),유순용 ( Soon Yong Yoo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4

        목적: 전위된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을 도수정복 및 K-강선 외측 고정 후 치료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3년 4월까지 내원한 모든 전위된 상완골 과상부 골절을 연속적으로 도수정복 및 K-강선 외측 고정을 하였고 이 중 1년 이상 추시 가능했던 총 6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운박각과 관절 운동 범위를 측정하여 Flynn에 의한 평가를 시행하였고, 방사선적 평가는 수술 직후 전후면 및 측면 방사선 사진에서 Baumann 각도, humerocapital 각도를 측정하여 정복의 적정성을 판단하였고, 고정력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술 직후와 K-강선 제거 후의 Baumann 각도, humerocapital 각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Flynn의 판정법에 의한 기준으로 최우수 55예 (80%), 우수 12예 (17%)였고 수술 직후와 K-강선 제거 뒤의 Baumann 각도와 humerocapital 각도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p=0.082, p=0.27). 수술 직후 Baumann 각도와 humerocapital 각도가 건측과 비교하여 10도 이상 차이 나는 경우가 각각 9예, 32예 있었으나 임상적 결과는 1예를 제외하고는 우수 이상이었다. 결론: 전위된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치료로 도수 정복 및 K-강선의 외측 고정 방법은 안정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치료 방법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의 결과 수술 중 운반각이 회복되고 골절 부위의 안정성이 얻어졌다면 회전 변형이나 골편의 과신전 등이 있었던 경우라도 임상 경과는 양호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after operative treatment of displaced supracondylar fractures in children with lateral K-wire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s: 69 displaced supracondylar fractures treated by clos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lateral K-wire fixa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arrying angle and range of motion were measured and graded by the Flynn criteria. To assess the accuracy of the reduction, Baumann angle and lateral humerocapital angles were compared to the contralateral side, and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fixation both measurements were taken immediately postoperatively and after K-wire removal. Results: 55 cases (80%) were categorized as excellent and 12 cases (17%) as good.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Baumann angle and lateral humerocapital angle between postoperative and K-wire removal. Although there were 9 cases that showed differences in Baumann angle and 32 cases in lateral humerocapital angle of more than 10 degrees compared to the opposite side at the immediate postoperative radiograph, 9 cases showed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Conclusion: Closed reduction and lateral K-wire fixation is considered as an acceptable modality of the treatment of displaced supracondylar fractures in children, and clinical outcome is more closely correlated with carrying angle and stability of fracture site rather than rotational deformity or hyperextension of fragment measured radiographical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