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영화의 세계성과 지역성, 또는 민족영화의 좌표

        이순진(Lee, Soon Jin) 동악어문학회 2012 동악어문학 Vol.59 No.-

        제국주의의 식민지 개척이 활발하던 19세기 말에 과학기술의 발전에 의해 탄생했던 영화는, 그 본질상 역사의 초창기부터 트랜스내셔널(transnational)한 매체였다. 국가 간, 인종 간 경계를 가로질러 유통되고 소비되었던 영화는 세계를 지배하는 권력이 교체되고 그에 따라 세계의 심상지리가 전변하는 그 시점에서 특히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했다. 2차대전 종전과 더불어 남한에 쏟아져들어온 미국영화들, 작품 편수는 많지 않았지만 미국영화보다 훨씬 더 많은 비평담론의 주목을 받았던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등의 유럽 영화들, 그리고 한국 땅에 결코 상륙할 수는 없었으나 식민지 경험을 통해 내면화된 취향 또는 구조로서 강력하게 남아 있던 일본영화들이 제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처럼 전변하는 세계상에 관여했다. 그렇게 구성된 세계상 안에서 한국(영화)인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정박시킬 장소를 찾고자 했으며, 출발점에 선 남한의 영화는 ‘한국영화’라는 민족영화(national cinema)의 구상을 마련해갔다. 이 글의 목표는 그와 같은 변화의 과정속에서, 그리고 그러한 변화의 일부로서 한국의 민족영화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민족이 근대가 만들어낸 상상의 구조물이라면, ‘민족영화’ 또한 타자와의 관계망 속에서만 존립할 수 있는 상대적이고 상상적인 문화적 구성물이라고 할 것이다. ‘한국영화’라는 민족영화는 한편으로는 식민지시대 영화 유산의 일부를 소환하여 자신의 기원으로 세우고, 다른 한편으로는 2차대전 종전과 함께 갱신된 세계 각국의 민족영화들과의 관계망 안에 자신을 자리매김함으로써 구성되었다. 이 글에서는 식민/탈식민이라는 하나의 축과, 동서 냉전의 세계구도안에서 받아들여지고 참조된 당대의 외국영화라는 또 다른 축을 교차시키면서 해방 이후에서 1950년대에 이르기까지 남한에서 민족영화가 어떻게 구성되어갔는지를 살펴본다. Cinema, a byproduct of the 19th century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the age of imperialism was transnational medium from its inception. It crossed the boundaries of nation, race and circulated and consumed by different social groups. Furthermore, cinema exerted powerful influence upon the minds of film viewers, especially during the critical junctures of history like shift of world-dominating power. During the volatile period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several national films arrived in Korea almost simultaneously to render the shifting world power and its implications onto the screen. This encompasses American films which became the most commonly available foreign films at the time and the European films of Italian, French and British origins, which attracted diverse critical discourse. Japanese films also enter the picture through its its absent structure; they had previously offered the ways in which the colonial experience became properly registered and internalized. Within this complex interplay of influence and input, Korean filmmakers and critics searched for the anchoring site of nation"s cultural identity; an endeavor that eventuated in the idea of Korean cinema as national cinema. The objectiv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is national film making. I situate Korea’s national cinema specifically within the context of these confluence and transformation. Nation has often been conceived as a imaginary construct, and such orientation compels us to approach national cinema also as a cultural construct of a particular kind, forged in relation to other cinemas. A national cinema called “Korean cinema” drew from the cultural legacy of the colonial cinema on the one hand and forged itself in relation to the onslaught of other national cinema after the liberation. This essay reflects a framework of the colonial and postcolonial dyad from the liberation period to the 1950s. Concurrently, it traces barrage of foreign films as a cultural network of the cold war geopolitics.

      • KCI등재

        1930년대 조선 영화문화의 변동과 조선인 영화상설관의 소멸 -당성사의 몰락 과정을 중심으로

        이순진 ( Soon Jin L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大東文化硏究 Vol.72 No.-

        1939년 당시 명치좌를 운영하고 있던 이시바시 료스케(石橋良介)는 단성사의 흥행권을 인수하여 대륙극장이라 개명하고 송죽 제2봉절과 양화를 상영하는 명치좌 자매관으로 삼았다. 이로써 경성부내에 유일하게 남아 있던 조선인 영화상설관 단성사는 40여 년의 역사를 마감했다. 본고는 조선인 영화상설관으로 독보적인 위상을 누려온 단성사가 1930년대 말이라는 특정한 시기에 왜 몰락할 수밖에 없었는가, 그것이 갖는 역사적 의미는 무엇인가, 또 그러한 공간을 근거지로 삼아서 이루어졌던 문화적 실천은 무엇이었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1918년 영화상설관으로 개관한 이래, 조선영화의 제작, 배급, 상영의 전 영역을 아우르며 전성기를 누렸던 단성사는 1920년대 말 전문 배급사의 등장, 1930년대 초 발성영화라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등장, 그리고 일제의 영화시장에 대한 전면적인 개입에 의해 견인된 1930년대 중반 이후의 흥행시장 재편이라는 상황을 맞으며 몰락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 1939년 단성사의 몰락은, 조선인 영화상설관이라는 종족 공간의 소멸인 동시에 영화 분야에서 조선인에 의해 이루어진 특정한 형태의 문화적 실천의 소멸이기도 했다. 조선인 극장의 몰락은 산업의 중앙집중화와 문화의 균질화가 획기적인 수준으로 진전되었던 1930년대 말 상황이 만들어낸 결과물로 이해될 수 있다. 그것의 의미는 조선이 제국의 시장으로 완전히, 즉 인종, 언어, 문화에 의한 차이를 생산하지 않고, 문자 그대로 완전히 편입되었다는 것, 그리고 의미 있는 차이를 생산해내는 실천으로서의 문화의 생산과 소비가 균질화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지방적 맥락과 제국의 호명 사이를 오가는 식민지 주민들을 균질적 ``대중/국민``으로 구성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In 1939, Ishibashi Ryoske, an entrepreneur of Myeongchijoa theater, procured the business rights of Danseongsa theater and renamed it Daeryuk Geugjang. Concurrently, he transformed his newly procured theater into a sister-theater of Myeongchijae, which primarily exhibited Japanese films from Shochiku Studios and foreign films. This business development marks not only the end of Danseongsa`s 40 year history in film business, but also the closure of the last surviving Korean movie theater in Korea. This essay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Danseongsa`s demise as the last surviving Korean movie theater by asking following questions: What factors and forces brought the end of the Korean movie theater at the end of 1930s? What i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is demise? What specific cultural practices were made in and around this theater space? Danseongsa opened in 1918 as a movie theater but quickly became the business center of Korean film practices, encompassing all area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exhibition. The theater has survived and thrived several phases of structural change and development in film industry, including the advent of distribution company in the late 1920s, and the spread of talkie film technologies in the 1930s. Yet, as the Japanese government made direct intervention into film industry in the mid 1930s, some fundamental reorganization of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commercial market ensued: the development which ultimately entailed detrimental consequences to Danseongsa. The downfall of Danseongsa in 1939 signals more than the formal closure of the Korean ethnic theater. It signifies the demise of particular ethnic cultural space where Koreans have actively involved in cultural activities and practices. The end of Danseongsa can also be understood, in a larger perspective, as an outcome of the intensified centralization of film industry and cultural homogenization of the late 1930s. During this period, the colonial Korea became increasingly and quickly integrated into the market of the Japanese empire, irrespective of its ethnic,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As cultural production and consumption became concurrently homogenized, the colonial subject, which shifted between local differences and empirical interlocution, transformed into homogenized mass/national subject accordingly.

      • KCI등재

        식민지시대 조선영화 남성 스타에 대한 연구

        이순진(Lee Soon Jin) 한국영화학회 2007 영화연구 Vol.0 No.34

        This work emphasizes three themes regarding film stardom in Korean cinema of the colonial period. Firstly, Chosun/Korean film stars were constructed historically in reference to star images of foreign films, particularly those of Hollywood films. Secondly, the study of star persona should to be examined in relation to industrial formation and sustenance of Chosun/Korean cinema. Thirdly, the meanings of star image must also be explored in, to borrow Im Hwa's terms, "close affiliation with neighboring cultural practices." In particular, this work pays close attention to the first them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 Un-gyu, arguably the first (male) star of Chosun cinema, and leading actors of Hollywood adventure films that were very popular in the colonial Korea. Na's so-called "picture personality" was strongly influenced by and drawn from such film character as Roleau, the strongman (played by Eddie Polo) in The Broken Coin (Francis Ford, 1915) and also from adventure film stars like Richard Talmadge and Douglas Fairbanks. Na became a film star by appropriating acrobatic and active performance of these American adventure film stars. That said, I contend that Na catapulted into the stardom because the dread of colonial reality was strongly projected upon the character he played. In his films, Na often ends up facing tragic fate, e.g., being imprisoned or exiled by performing the character of excessive "action." This tragic pattern reminded film viewers of the colonial reality. The accompanied Byunsa's oratory performance amplified the viewer's identification with the tragic character even more. However, Na's popularity faded. As foreign talkie films dominated theaters in the colonial Korea, the demand for new film aesthetics, acting method, and character types became pronounced. By early 1930s, the Korean silent film stars, including Na Un-gyu, often came under criticism for their out-dated "heroic performance." Instead, critics demanded more nuanced and subtle performance of acting. The times have changed, and more versatile and detailed performance for "ordinary" man became the preferred mode of acting. Kim Il-hae, who returned to Korea after playing actors in Japan, emerged as a new film star in the changing circumstances of film culture, aesthetics and acting style. His acting was regarded as "delicate," "rational," "obsessively versatile." And, Kim's stardom meant the replacement of "heroic acting" mode of silent Korea cinema. In short, the advent of talkie pictures in 1935 brought a definitive generational shift in acting in Korean cinema. Kim Il-hae's "rational" and "delicate" acting in films like Spring in Peninsula, Street Angles shows no traces of Na Un-gyu's histrionicity. Male star persona shifted from the agent who embodied passion for "revenge" and volatility for action to the sensitive man of imperial knowledge and professional expertise. Interestingly, however, the new male could not deal with the pressing social problems alone. For instance, the characters that Kim played, such as scenario writer Youngil in Spring in Peninsula and Pastor Bang in Street Angels, overcome the problems only by taking recourse to outside help. As such, this pattern reflects the masculine malaise and melancholia of the period. Kim Il-hae, the most renown film star of the late 1930s and early 40s, when Korean cinema quickly came under grips of the Japanese militarism, was the man of powerlessness, melancholia, and intellectual malaise on the screen.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냉전체제의 문화논리와 한국영화의 존재방식 -영화 <오발탄>의 검열과정을 중심으로

        이순진 ( Soon Jin Lee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3 기억과 전망 Vol.0 No.29

        이 글은 영화 <오발탄>에 대한 논의를 통해 냉전체제의 문화논리 안에서 한국영화가 존재해온 방식을 규명하고자 한다. <오발탄>은 4.19와 5.16, 그리고 1980년대에 이르기까지 기억할 만한 역사적 국면들에서 의미 있는 방식으로 자리매김되었다. 짧지 않은 시간 동안 <오발탄>이 지속적인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그것이 한국사회의 문화논리를 주조해온 조건들, 그리고 그로부터 생산된 지배적인 관념들과 교섭하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의미를 생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냉전체제야말로 그와 같은 조건들을 규정해온 가장 큰 틀이었으며, <오발탄>의 30여 년간에 걸친 여정은 바로 냉전체제하에서 한국영화가 요구 받았던 존재방식을 구현해온 것이라고 본다. 이 글에서는 <오발탄>의 문제를 냉전체제의 비가시화라고 하는 재현 수준의 기획과 관련해서 살펴보고, 상영금지에서 복권에 이르는 그것의 검열과정, 그리고 샌프란시스코영화제 출품까지의 과정을 1960년대 초 한국영화의 제도화와 연관 지어서 검토한다. 이를 통해 한국영화에서 냉전체제의 문화논리가 어떻게 구축될 수 있었는가가 드러날 것이다. This article traces the coordinates of South Korean cinema within cultural matrix of the Cold War through examination of the film “A Stray Bullet.” It has occupied a special place in history of Korean cinema, encompassing several historic events and junctures such as April Revolution of 1960, military coup in 1961 and democratization movement of the 1980s. I bring attention to the film`s prolonged reputation and critical merit. I contend that its canonical status derives from the film`s continuing dialogue with and relevance to the dominant social scenario and conditioning, which generated sedimented meanings over the years. In my view,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Cold is the most significance tenet of the protracted development. In other words, the success of “A Stray Bullet” represents the very condition of South Korean cinema caught in the various pressures of the Cold War conditionings. To substantiate my claim, I interrogate and flesh out the invisibility of the Cold War system as particular representational feature, and relates it to institutional forces and culture of the 1960s South Korean cinema. The article then advances to illustrate how South Korean cinema reflectively constructs the cultural rationale of the Cold War.

      • KCI등재

        1950년대 한국 영화산업과 미국의 원조-아시아재단의 정릉 촬영소 조성을 중심으로-

        이순진 ( Lee Soon-ji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3

        미국의 민간원조 기구인 아시아재단은 1953년부터 한국 영화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조사를 시작했다. 찰스 태너(Charles Tanner)는 1953년과 1954년에 각각 한국 영화산업에 대한 아시아재단의 지원 계획안을 작성했으며, 1955년에는 아시아재단 도쿄 사무소에서 영화를 담당하고 있던 존 밀러(John Miller)가 한국을 방문하여 산업의 현황을 조사하고 계획안을 제출했다. 찰스 태너와 존 밀러는 전후 한국의 영화산업이 직면한 가장 심각한 문제로서, 첫째, 영화를 제작할 물적 기반의 파괴, 둘째, 영화산업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지배를 지적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아시아재단은 민간의 비영리, 비정치 조직으로서 한국영화문화협회를 설립했다. 아시아재단이 총 50,000달러를 들여 마련한 영화 제작 장비를 맡아 운영하면서 한국영화문화협회는 1950년대 말 한국 영화산업이 활성화되는 데는 기여하였다. 하지만 정부가 영화를 지배하는 상황을 타개한다는 아시아재단의 애초 목표는 이루어지지 못했는데, 이는 공보와 선전의 수단으로 영화를 중시했던 한국 정부에 대규모의 원조가 이루어졌기 때문이었다. 이 글에서는 스탠포드 대학교 후버 인스티튜션 아카이브에 소장되어 있는 아시아재단의 영화 프로그램 관련 파일들을 검토하여 한국영화문화협회의 설립과 활동 과정을 재구성함으로써 전후 한국의 상황과 영화에 미친 미국의 구조적인 영향을 밝히고자 했다. The Asia Foundation, a private and non-government organization, began research to help support Korean film industry in 1953. Charles Tanner produced a draft of support plan consecutively in 1953 and 1954. In 1955, John Miller who was in charge of film division at Tokyo Office of the Asia Foundation visited Korea produced the report after a survey of the film industry. Both Tanner and Miller pointed out two major obstacles of the industry: the destruction of film production facilities and network, and the direct control of the state over the film industry. To initiate changes, The Asia Foundation set up Korean Motion Picture Cultural Association, a private, non-profit, non-political organization. KMPCA oversaw the film production equipment and facilities that the Asia Foundation donated, and in turn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Korean film industry in the late 1950s. However, the effort to overcome the state’s control over the industry was not successful, as such endeavor became completely eclipsed by the new development: the United States government’s enormous assistance and aids for Korea’s development of public information and propaganda filmmaking. This paper is based on the research on archival materials housed at Hoover Institute of Stanford University, and it aims to illuminate the formative influence that the United States and its cultural agencies performed in the post-war Korea.

      • KCI등재

        아시아재단의 한국에서의 문화사업-1954년~1959년 예산서류를 중심으로-

        이순진 ( Lee Soon-ji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0

        이 글에서는 스탠포드 대학교 후버 인스티튜션 아카이브에 보관되어 있는 아시아재단의 예산서류를 중심으로 미국의 민간 원조기구 아시아재단이 1950년대 한국에서 펼쳤던 문화사업을 개괄하고자 했다. 아시아재단의 전신인 자유아시아위원회는 공산 중국의 성립과 한국전쟁의 발발로 인해 아시아 지역에서 공산주의가 확산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팽배했던 1951년에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설립되었다. 자유아시아위원회의 설립과 운영에는 미 중앙정보국이 개입하고 있었으며 초기에 자유아시아위원회는 아시아 지역에서의 반공 선전 활동에 치중했다. 하지만 1954년 아시아재단으로의 재편을 계기로 직접적인 반공 선전보다는 아시아 사회를 “문명화”하는 것, 다시 말해 미국식 자유민주주의 체제로 재구조화하는 것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전환’했다. 1954년 아시아재단 서울 사무소의 개소는 이와 같은 방향 전환의 결과물로 볼 수 있는데, 자유아시아위원회에서 한국은 전쟁을 통해 더 이상의 반공 선전이 필요하지 않은 지역으로 간주되어왔기 때문이다. 아시아재단 서울 사무소는 직접적인 반공 선전보다는 문화예술계와 학계를 집중적으로 지원하면서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근간이 될 시민사회의 지도자들을 성장시키고자 했다. 이와 같은 1950년대의 사업기조는 1961년 군사쿠데타라는 외부의 충격으로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This treatise offers a survey of the cultural projects that the Asia Foundation carried out in the 1950s South Korea. The information is drawn from the foundation’s budget documents housed at Hoover Institution Archives of Stanford University. Committee for Free Asia, the former body of the Asia Foundation, was founded in California in 1951 when the spread of communism in East Asia caused great concerns for the United State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CIA)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committee in early years, which in turn facilitated the organization’s principal effort to promote the anti-communist ideology in the region. However, after re-structuring in 1954, the re-named Asia Foundation shows a shift in focus. Rather than the direct spread of the anti-communist mandate, the organization stressed the promulgation of “civilization”, i.e., American liberal democratic model, in East Asia. The change is also evident in the opening of Seoul branch office in 1954. The Committee for Free Asia had seen no compelling need for the propagation of anti-communist ideology in South Korea, as South Korea had already become the most draconic anti-communist state after Korean War. The Asia Foundation’s Seoul office focused on the programs for the leadership training in Korean academia and cultural fields. It envisioned that the leadership in civil society would be vital to the development of the liberal democratic state in South Korea. However, such vision confronts a major challenge in 1961, when the military coup reshapes the political contour and course of South Korea.

      • SCOPUSKCI등재

        Multidetector-row CT를 이용한 가상대장내시경과 가상대장조영술

        이순진 ( Soon Jin Lee )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8 No.4

        CT colonography is a promising technique that provides both multiplanar and endoluminal perspective of the air-filled, distended, cleaned colon. "Virtual colonoscopy" refers to computer-simulated 3D endoscopic visualization of the colonic mucosal surface. Unlike barium enema and conventional colonoscopy, CT colonography can give cross-sectional and endoluminal images of the colon and enables to image extracolic abnormality. CT colonography offers potential advantages over colonoscopy in that it causes little discomfort to the patient, and does not need sedation. It is more accurate in spatial location of lesions and creates no complication. To date, most studies assessing CT colonography have focused in technical development, less aggressive bowel preparation, and computer-aided diagnosis of polyp detection. In the future, CT colonography would be a diagnostic and screening tool for the colorectal polyp and cancer. (Korean J Gastroenterol 2006;48:233-24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