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치악산국립공원의 시각적 경관자원 인벤토리 구축 및 등급평가에 관한 연구

        이숙향,Lee, Sook-Hyang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4

        치악산국립공원을 형성하는 자연자원 및 인문자원을 대상으로 경관자원 인벤토리 구축 및 등급평가를 실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국립공원의 경관은 해양경관, 산악경관, 마을경관, 사찰 사적경관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7개 주요 탐방로에서 현장조사를 통해 총 120개소에 대한 목록을 작성하였다. 탐방로별 경관목록 비율은 구룡-비로봉 31%(37개소), 성남-남대봉 22%(26개소)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금대-남대봉 16%(19개소), 부곡-행구 16%(19개소), 황골-입석사 6%(8개소), 향로봉-남대봉 5%(6개소), 곧은재-원통골 4%(5개소)의 순으로 목록화되었다. 경관평가 항목은 조망성, 고유성, 이용성, 역사문화성, 자연성의 5가지 항목으로 구분하고, 상(4), 중(3), 하(2), 1의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각 경관유형별로 평가항목 점수에 따라 1차적으로 경관평가를 실시하였고, 추가적으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얻은 경관유형별 가중치를 반영하여 2차 경관평가를 실시하였다. 2차 경관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경관유형별로 3개의 경관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산악경관은I등급이 72개소, II등급 26개소, III등급 7개소, 사찰 사적경관은 I등급 4개소, II등급 7개소, III등급 4개소로 평가되었다. 산악경관의 등급은 조망성 및 자연성, 사찰 사적경관은 역사문화성, 자연성, 이용성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악경관에는 외부 경관자원이 포함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외부 경관자원이 포함된 곳은 등급이 높게 나타나, 이는 조망성과 관련이 있었다. 인벤토리 및 평가된 결과를 토대로 산악경관, 사찰 사적경관의 유형별로 등급이 매우 우수한 지역의 보전을 위한 경관관리가 필요하다. 향후 개선방안으로는 구룡-비로봉 구간의 산악 및 사찰경관이 조화로운 대표경관으로 판단되어 중점관리지역으로 보전해야할 것이다. 산악경관의 경우 조망점 유지를 위한 수목 전정 등의 정비 및 경관저해를 최소화한 목재전망대, 경관 해설 안내판 등을 설치하는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사찰 사적경관은 인공 시설물 설치 시 주변 경관과의 조화로운 소재 사용 및 시설 제한의 기준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 visual landscape resources inventory and grade assessment on natural resources and cultural resources of Chiaksan National Park. Landscapes of National Parks a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seascape, mountain landscape, village landscape, and temple historical landscape. Landscape lists were constructed for each district for a total of 120 lists through field research on 7 trails. The landscape list per trail has Guryong~Birobong(31%), Seungnam~Namdaebong(22%), Geumdae~Namdaebong(16%), Bugok~Hanenggu(165), Hwanggol~Ipseoksa(6%), Hyangrobong~Nandaebong(5%) and Godeunjae~Wontonggol(4%). Landscape Assessment items were divided into five characteristics of view, unique, use, history culture, natural reflected by item. Items were divided into three grades of landscape by 4, 3, 2, 1 for each item of the assessment criteria and Delphi survey. Mountain landscapes were assessed in I grade of 72 sites, II grade of 26 sites, III grade of 7 sites. Temple Historical landscapes were assessed in I grade of 4 sites, II grade of 7 sites, III grade of 4 sites.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mountain parks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managing the landscape of I grade site. The higher ratings of the Mountain landscapes are related to the view and natural score. Also, the grading of Temple Historical landscapes is related to the history cultural, natural and use score. In addition, the mountain landscape were identified as being included outside landscape resources, the place of landscape resources with outside ratings were higher and the view was related. Landscape management is needed for the conservation of Mountain landscape and Temple Historical landscape type rating as excellent area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inventory and assessment. For future improvement the Guryong-Birobong trail is judged as a harmonious representative landscape of the Mountain and Temple Historical landscape and will require conservation as a focus management area. In the case of Mountain landscape improvements, maintenance such as pruning trees, wood observatory and interpretation sign for a landscape with minimal inhibitory landscaping is needed. When installing artificial facilities in the Temple Historical landscapes, the use of materials harmonizing with the surroundings landscape must be considered as well as the standards of facilities limitation.

      • 한국인의 외국어 $/\int/$음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이숙향,강현숙,Lee Sook-hyang,Kang Hyunsook 대한음성학회 2000 말소리 Vol.40 No.-

        This paper investigated how $/\int/$ in English and German is perceived and interpreted in the loanwords in Korean. $/\int/$ in these languages does not show one-to-one correspondence in Korean: $/\int/$ in the coda position in English and German is perceived as [swi] in Korean while $/\int/$ in the onset position is perceived as [syu]. This paper examined phonetic characteristics of $/\int/$ in English and German through its acoustic analysis and attempted to figure out which factor could explain this surface distribution of [swi] and [syu]; phonological (onset vs. coda) or phonetic (coarticulation) factor. Two acoustic features of $/\int/$ in English and German were examined: duration and energy Peak frequency of the frication noise. German $/\int/$ Perceived as [swi] in Korean showed higher energy Peak frequency and longer duration than that perceived as [syu] in Korean. English iii perceived as [swi] also showed longer duration than that Perceived as [syu] in Korean but energy Peak frequency showed different behavior. English $/\int/$ showed coarticulation with the preceding vowel rather than being affected by its position in the syllable in English. This paper concludes that 1)Phonetic characteristics used are duration and energy Peak frequency of its frication noise when $/\int/$ in English and German are adopted in Korean, 2)duration is used prior to energy peak frequency, which can be used as an enhancing feature.

      • 뇌성마비 성인 발화의 운율특성

        이숙향,고현주,김수진,Lee, Sook-Hyang,Ko, Hyun-Ju,Kim, Soo-Jin 대한음성학회 2007 말소리 Vol.6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osodic characteristics in the speech of adults with cerebral palsy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speech of normal speakers. Ten speakers with cerebral palsy (6 males, 4 females) and 6 normal speakers (3 males, 3 females) served as subjects. The results revealed that, compared to normal speakers, speakers with cerebral palsy showed a slower speech rate, a larger number of intonational phrases(IPs) and pauses, a larger number of accentual phrases(APs) per IP, a longer duration of pauses, and more gradual slopes of [L +H] in APs. However, the two groups showed similar tone patterns in their APs. The results also showed mild to moderate correlations between speech intelligibility and the prosodic properties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uggesting that they could be important prosodic factors to predict speech intelligibility in the speech of adults with cerebral palsy.

      • 한국어 원거리 음성의 모음의 음향적 특성

        이숙향,김선희,Lee Sook-hyang,Kim Sunhee 대한음성학회 2005 말소리 Vol.55 No.-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acoustic effects of vowels produced in a distant-talking environment.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statistical method. The influence of gender and speakers on the variation was also examined. The speech data used in this study consist of 500 distant-talking words and 500 normal words of 10 speakers (5 males and 5 females). Acoustic features selected for the analysis were the duration, the formants (Fl and F2), the fundamental frequency and the total energ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uration, F0, F1 and the total energy increased in the distant-talking speech compared to normal speech; female speakers showed higher increase in all features except for the total energy and the fundamental frequency. In addition, speaker differences were observed.

      • 음성 코퍼스 구축을 위한 SiTEC 분절음.운율 레이블링 기준의 검토 및 제안

        이숙향,신지영,김봉완,이용주,Lee Sook-Hyang,Shin Jiyoung,Kim Bong-Wan,Lee Yong-Ju 대한음성학회 2003 말소리 Vol.46 No.-

        This paper presents segmental labeling conventions proposed by SiTEC (Speech Information Technology Engineering Center) 2002 and proposes a new directions of a revision for a simpler version. The paper also reviews one of the prosody labelling conventions for Korean, K-ToBI convention(ver. 3.1) and proposes a couple of modifications and suggestions.

      • KCI등재

        한국어 운율구조와 관련한 모음 및 음절 길이

        이숙향,Lee Sook-hyang 대한음성학회 1998 말소리 Vol.35 No.-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onal events and their related vowel and syllable duration in Korean. Two things were investigated: one is to see if there is a hierarchical relationship in prosodic unit-final-lengthening and the other is to see if accentual phrase initial high tone syllable gets lengthened. Generally, higher prosodic units show larger degree of lengthening of the final vowel and also final syllable duration than the lower ones except for accentual phrase: Mean duration of utterance-final or intonational-phrase-final syllable(and its vowels) was longer than that of accentual-phrase-final or word-final syllable(and its vowels). However, mean duration of accentual phrase final syllable was shorter than that of word final syllable. Mean vowel duration of accentual phrase initial high tone syllable was shorter than that of any other prosodic unit. Its mean syllable duration, however, was longer than that of accentual-phrase-final or word-final syllable, indicating that strong consonants(fortis and aspirated) frequently appear in the accentual phrase initial position and this position is a prosodically strong position showing longer duration as well as high tone.

      • KCI등재

        남해 가천마을 계단식 논의 경관보전에 대한 지역주민과 방문객의 인식 차이 비교연구

        이숙향,Lee, Sook-Hyang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2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n cognitions for conservation on the Rice Terraces landscape between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rew problems and implications through consideration about advanced studies and then carried out a survey of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alyzed five factors that are the components of cognition about the Rice Terraces landscape: production, policy, landscape, management, and revitalization. The Cognition of Rice Terraces landscape indicated that local residents had more positive evaluation than visitors did. In addition, there were indicated differences in most items. Particularly, the local residents had more positive evaluation than visitors did in production(rice paddy of fallow ground, form of traditional rice paddy, weeds), landscape(cultural value, footpath of rice field and stonewall), and revitalization(common program for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village revitalization from festival and event). Visitors had a more positive evaluation than local residents in terms of policy(designation of a place of scenic beauty, direct payment) and management(cooperation of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In consideration of these results, it needs to draw up measures that are able to build up a common cognition to overcome differences between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It is based on the knowledge and opinions that visitors and local residents had concerning history, traditions, cultures and production. 본 연구는 남해 가천마을의 계단식 논에 대해 지역주민과 방문객의 경관보전 인식을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문제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지역주민과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계단식 논 경관에 대한 인식의 구성요인은 '생산', '정책', '경관', '관리', '활성화' 5가지로 분류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보전에 대해 지역주민이 방문객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대부분의 항목에서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산', '경관', '활성화'의 항목에서 지역주민이 방문객보다 긍정적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체적으로 '생산'의 휴경지 논, 전통적인 논 형태, 잡초 베기, '경관'의 문화적 가치, 논두렁 및 석축, '활성화'의 행정과 주민의 공용프로그램, 축제나 행사로 인한 마을 활성화에 관한 항목에서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 '관리'의 항목에서는 방문객이 지역주민보다 긍정적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정책'의 명승지정, 직접지불제도, '관리'의 지역주민 및 방문객의 협동의 항목에서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로 볼 때 지역주민과 방문객 사이의 인식 차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역주민이 가지고 있는 계단식 논에 대한 역사 전통 문화 생산 등의 지식과 방문객의 의견을 활용하여 공통적 인식을 형성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고령 탐방객의 공원시설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이숙향(Lee, Sook-Hyang),이주희(Lee, Ju-Hee),심규원(Sim, Kyu-Won)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5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9 No.1

        & & 본 연구는 고령 탐방객의 탐방이용행태, 탐방시설 만족도, 불만족 요인 등을 파악하고, 향후 고령 탐방객의 지속적인 증가를 대비한 공원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북한산 214명, 설악산 186명, 월악산 142명 등 총54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 탐방객은 주로 가족과 함께 당일 일정으로 등산이나 경관감상을 목적으로 방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공원별 주요 탐방시설 만족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주차장, 야영장, 탐방지원센터, 화장실, 탐방로의 만족도가 공원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휴식공간과 전망대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차공간 부족, 탐방로 경사 및 계단 많음, 화장실 악취 및 공간부족, 휴식공간 부족, 전망대 편의시설 부족, 탐방지원센터의 정보제공 정도 등이 주요 불만족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다루어지지 않았던 고령 탐방객만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고령화 시대에 맞는 공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use pattern, level of satisfaction about national park facilities, and unsatisfied factors by senior national park visitors and to search for the appropriate park management plans to serve the increased number of senior park visitors. The data were collected 214 cases from Bukhansan national park, 186 cases from Soraksan national park, and 142 cases from Wolaksan national park, which were collected only from tge senior visitors who visited these 3 national parks. The outcomes of the analysis were followed: first, the major purpose of national park visit by seniors were participating day traking or sightseeing. Second, the satisfaction of parking lot, campgroud, information center, toilets, and trai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arks. Rest areas and observator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arks. Third, lack of parking spaces, steep slope trails, too many stairs, stinking restroom, lack of restrooms, lack of rest areas, convenience of observatory and information service by visitor center were indicated as unsatisfied factors. This study was meaningful since it was conducted only target the senior park visitor not covered by the existing park related studies and it will be considered to be useful basis for the park management for the future aging society.

      • KCI등재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on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ok-hyang Lee(이숙향),Kyung-hwa Lee(이경화)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8 Global Creative Leader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on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ascertain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empower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4 teachers working in day care center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sim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on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empower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level of empowerment was divided between upper and lower groups with a standard deviation (SD) according to the mean (M),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afterwards.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was found to affect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 the difference of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empower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higher when the level of empower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high .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it is expected that childcare, quality education services and the internal motiv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ll be enhanced through the empower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가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에 따라서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소재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04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가 교사효능감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임파워먼트 수준을 평균(M)을 기준으로 표준편차(SD)의 범위로 상, 하 집단으로 분류한 뒤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볼 때 유의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의 차이를 보면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이 상일 때 교사효능감 및 조직몰입이 통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보육교사가 임파워먼트를 가지게 된다면, 이로 인해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도 영향력을 가지게 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보육교사들과 원장들에게 임파워먼트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이 임파워먼트에 대해 잘 인식을 못하고 있으며 임파워먼트가 주어지지 않는 점에 대하여 재조명하고,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로 인하여 어린이집의 보육, 교육의 질적 서비스가 높아지고 보육교사의 내적동기를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제1분과 : 국립공원 ; 국립공원 주변지역 경관보전방안

        이숙향 ( Sook Hyang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지역은 자연생태계가 우수한 지역이거나 역사·문화적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국가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주변지역은 국립공원의 보전성과 가치를 공존하며 다른 지역에 비해 국립공원 지정구역과 밀접한 관계 및 영향력을 가진 잠재적인 지역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보전가치성이 높은 문화적 경관이 있는 지역은 경관구성요소를 파악하여 국립공원의 다양한 자연·인문자원가치와 연계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다른 지역과 차별성을 지닌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립공원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경관의 효율적인 보전 및 활용, 체계적 관리를 위해 향후 경관계획 수립과 가치평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주변지역의 문화적 경관의 보전 필요성과 경관가치의 공간분석 및 지역사회 협력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화적 경관 개념이 정립되어있는 일본과 아직 개념이 도입되지 않은 한국 문화적 경관을 대상으로 한 국내외 사례조사를 토대로 국립공원 주변지역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문제점 및 필요성을 파악하는 것을 주요 연구내용으로 하였다. 세계적으로 문화적 경관 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유네스코에서는 1987년 전원경관(Rural Landscape)의 개념이 확대되어 1992년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문화유산 카테고리의 하나로 문화적 경관이 정식으로 도입되었다 이러한 세계유산 분야에서 1995년 필리핀 코르디예라 계단식논이 유산으로 지정되면서 농림수산업에 관련된 문화적 경관이 주목 받게 되었다 또한 일본에서도 2004년 경관법제정 및 문화재보호법 개정과 함께 문화적 경관 개념이 도입되어 2013년 현재 35건이 중요 문화적 경관으로 선정되었다 유네스코에서 정의한 문화적 경관은 「인간사회 또는인간의 거주지가 자연환경에 의한 물리적 제약 속에서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인 내외의 힘에 계속적으로 영향을 받으면서 이러한 진화를 거쳐 온 것을 예증하는 것」이라고 한다 일본의 문화적 경관은 농산어촌지역의 자연 역사 문화를 배경으로 하여 전통적 산업 및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고 그 지역을 대표하는 독특한 토지이용의 형태 또는 고유의 풍토를 나타내는 경관으로 가치가 높은 것 으로 정의되어 있다 국립공원 주변지역에서도 이와 같은 의미를 가진 가치가 높은 문화적 경관이 산재하고 있으나 국립공원에 관한 선행연구 및 보고서에서는 이와 같은 관점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과 일본의 문화적 경관으로 대표할 수 있는 명승으로 지정된 계단식 논 2개 사례를 대상으로 현황, 공간구조, 경관구성요소, 법률, 제도, 보전활동에 대하여 비교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계단식 논이 분포하고 있는 농산촌 지역은 경제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농지가 도시적 토지이용으로 전용되고 도시로의 인구유출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계단식 논의 현황은 일본 오바스테의 경우 1970년대에서 2000년대까지 시계열적 토지변화를 분석한 결과, 논의 비율이 25%에서 19%로 약간 감소하였을 뿐이다. 그에 비해 한국 남해 가천마을 계단식 논의 경우는 19.2%에서 3.2%까지 현격하게 감소하였다. 한국의 경우, 계단식 논 경관은 북쪽으로 산을 등지고 남쪽으로 수계, 중앙에 취락이 입지하는 풍수지리사상에 의한 독특한 문화기반으로 형성된 공간구조를 가지고 한국의 문화적 경관을 형성하고 있지만, 생산여건이 불리하기 때문에 경작방치나 황폐가 심해지고 있으며 농업종사자의 고령화, 후계자 부족, 세대수 감소 등의 문제로 인해 심각한 일손 부족 상황에 처해있다. 이와 같이 계단식 논이 감소함으로 인해 그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급경사지에 형성되어 있는 계단식 논의 경우 집중호우 시 홍수의 유출시간을 조정하는 석축이나 수로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토사의 침식이나 유출로 표토 유실 및 산사태 등 자연재해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아져 국토보전 기능을 잃어버리게 될 뿐만 아니라 오랜 전통 및 독특한 농업환경인 문화적 경관을 소실하게 된다. 따라서 계단식 논 보전의 필요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 남해 가천마을의 계단식 논 보전정책은 정부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보전에 효과적인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비슷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던 일본의 경우 한국보다 감소율이 낮았던 이유는 계단식 논이 감소되어 가는 시점에 여러 가지 보전활동이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농림수산성에서 계단식 논의 보전및 활용을 위한 새로운 시책을 시작한 것에 호응하여 1995년 ‘센마이다’라 불리는 계단식 논이 소재하는 시정촌에서 수장이 중심이 된 ‘전국계단식논연락협의회’를 조직하여계단식 논 보전에 의한 지역 활성화를 지지하며 매년 ‘계단식논 서미트’를 개최하고 있다. 그리고 계단식 논의 황폐와 위기감을 느낀 도시민이 중심이 되어 ‘NPO 법인 계단식논 네트워크’를 만들어,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계단식논 농가)과 도움을 주고 싶은 사람(도시주민)을 연결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이들은 구체적으로 농작업체험, 원농활동, 계단식 논의 다면적 기능에 대한 보급활동 등을 실시하고 있다. 1999년에는 ‘계단식 논 학회’를 발족하였으며 이와 같은 3개 단체에 의해 일본 전국으로 계단식 논 보전활동을 넓혀가고 있다. 또한 정비된 계단식논에서는 지방공공단체가 주체가 되어 도시주민이 지역주민의 협력 하에 계단식 논을 빌려 농작체험을 할 수 있는 ‘오너제도’가 개시되어 도시와 농촌의 교류의 장으로써 계단식 논이 적극적으로 활용되도록 하고 있다. 1999년 농림수산성에서는 ‘일본의 계단식 논 백선’을 선정하여 국민에게 널리 알려, 많은 사람들이 계단식 논의 아름다운 풍경을 탐방하게 된 계기가 되어 각지의 계단식 논 방문 수요를 급증시키는 광고효과를 가져왔다. 이와 같이 정부, 지역주민, 시민 3 주체의 협력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일본이 한국보다 계단식 논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수 있다. 문화적 경관인 계단식 논 보전을 목표로 일본의 사례와 같이 국가에서 계단식 논의 황폐 위험성을 널리 알리고 보전에 관한 인식을 높여줄 정책을 실시하여야 하며 보전 및 활용을 위해 지역주민과 도시주민의 협력적인 조직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국가, 지역주민, 도시주민의 각 주체 조직체가 상호 연계하여 전국의 계단식 논을 보전하고 활용하는 체계를 만들어 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문화재 명승으로 지정된 문화적 경관 계단식논을 사례를 고려하여 국립공원 주변지역에 적용가능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립공원 주변지역에도 이러한 문화적 경관이라 볼 수 있는 요소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을 것이며 황폐화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 국립공원 지정구역의 생태계 및 문화보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문화적 경관으로서 보전가치가 높은 경관요소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국립공원 주변지역의 문화적 경관에 관한 조사연구의 방향성으로 학술적 지견에 기초하면서 그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일본 문화적 경관 사례의 카테고리와 같이 국립공원 주변지역의 문화적 경관 요소 분류 및 중요지역을 선정하고, 다음으로 사물-공간-시간의 시스템으로 서 객관적 공간분석을 통해 토지이용변화 파악 및 조닝지역을 구분하여 보전 및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초자료구축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지역 커뮤니티와 관련한 전통성 있는 행사나 활동을 파악하여 문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후계자 육성 및 교육의 장을 마련하는 체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