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전도 기반의 Spider Chart와 딥러닝을 활용한 일상생활 잡기 손동작 분류

        이성문,피승훈,한승호,조용운,오도창,Lee, Seong Mun,Pi, Sheung Hoon,Han, Seung Ho,Jo, Yong Un,Oh, Do Chang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22 의공학회지 Vol.43 No.5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e-processing method that converts to Spider Chart image data for classification of gripping movement using EMG (electromyography) sensors and Convolution Neural Networks (CNN) deep learning. First, raw data for six hand gestures are extracted from five test subjects using an 8-channel armband and converted into Spider Chart data of octagonal shapes, which are divided into several sliding windows and are learned. In classifying six hand gestures,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is compared with the proposed pre-processing method and the existing methods. Deep learning was performed on the dataset by dividing 70% of the total into training, 15% as testing, and 15% as validation. For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five cross-validations were applied by dividing 80% of the entire dataset by training and 20% by testing. The proposed method generates 97% and 94.54% in cross-validation and general tests, respectively, using the Spider Chart preprocessing, which was better results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 KCI등재

        찻잎 살청 및 분쇄방법에 따른 제주지역 가루녹차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송인관(In-Kwan Song),이성문(Seong-Mun Lee),윤정희(Jeong-Hee Yoon) 한국차학회 2020 한국차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식재료용 가루녹차의 살청 및 가공방법이 가루녹차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차 가공은 마이크로파 살청, 증제 살청, 덖음 살청 3가지 방법을 달리하여 수행하였다. 2차 가공은 에어 밀, 스텐레스 볼, 세라믹 볼, 임펠러, 일반 분쇄방법으로 분쇄하여 각각 시료에 대하여 가루녹차의 상품성에 미치는 입도 및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가루녹차의 입도는 스텐레스 볼 14.9 μm < 세라믹 볼 15.1 μm < 에어 밀 19.5 μm < 임펠러 86.3 μm < 일반 분쇄기 273 μm 순으로 스텐레스 볼과 세라믹 볼 방법이 가장 미세하였다. 가루녹차의 색도 G*값은 살청방법에 따라 덖음 살청 33.4 보다 마이크로파 살청 38.6과 증제 살청 39.3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총 질소, 아미노산, 테아닌, 카페인, 조섬유, 탄닌 및 카테킨 성분 등은 살청 방법 및 분쇄방법에 따른 영향은 거의 없었다. 따라서 고품질의 가루녹차 생산을 위해서는 녹색도가 높은 증제 살청과 입도가 미세한 스텐레스 분쇄방법이 효율적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on-oxidation and crushing methods of processing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wdered green tea from the Jeju area as food material. The primary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three different methods: microwaving, steaming, and steaming non-oxidation. Secondary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an air mill, a stainless steel ball, a ceramic ball, an impeller, and general mill methods to analyze the particle size and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for the commercial utility of powdered green tea. In summary, the particle size of powdered green tea tended to be higher in order of using a stainless steel ball 14.9 μm < a ceramic ball 15.1 μm < an air mill 19.5 μm < an impeller 86.3 μm < a general mill 273 μm. The finest particle size was obtained when a stainless steel ball or a ceramic ball method was employed. The chromaticity G* value of powdered green tea tended to be lower in order of a stainless steel ball 36.7 ≥ a ceramic ball 34.3 ≥ an air mill 32.5 > an impeller 28.4 > a general mill 24.6, and the salting method was the lowest. Therefore, the finer the grain size, the higher the greenness tended to be during the processing of powdered green tea. However, the effect of the particle size of green tea on other components, such as amino acids, was very low.

      • KCI등재

        온도구배 비닐터널의 30% 차광재배에서 금설 및 야부키타 품종의 수확기 및 생육단계별 아미노산 및 카테킨 함량의 변화

        문두경(Doo-Gyung Moon),이소진(So Jin Lee),권용희(Yong Hee Kwon),강수영(Su Young Kang),이성문(Seong-Mun Lee) 한국차학회 2020 한국차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는 차나무 생엽의 품질과 기능적 성분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인 아미노산 및 테아닌 함량과 카테킨 함량을 온도구배터널에서 30% 차광재배한 후 첫물차부터 네물차까지 생육단계별로 금설과 야부키타 품종을 갖고 최적의 수확시기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금설 및 야부키타 품종의 아미노산 및 테아닌 함량은 첫물차 > 두물차 > 네물차 및 세물차 순으로 높았다. 야부키타 품종의 아미노산 함량은 금설 보다 첫물차에서 1.2∼1.4배높았다. 첫물차, 두물차 및 네물차에서 1아 1엽부터 1아 3엽까지는 테아닌 함량이 높아지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다. EGCG 및 ECG 함량은 첫물차가 두물차, 세물차 및 네물차보다 낮았다. 첫물차의 EGCG 함량을 보면, 금설및 야부키타 품종 모두 1아 1엽부터 1아 3엽까지 높아지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다. ECG 함량은 첫물차의 금설 품종이 야부키타 품종보다 1.7~4.0배 정도 높았다. 금설 품종은 야부키타 품종보다 테아닌 함량은 낮고 ECG 함량은 높았다. 따라서 녹차 용도(잎차 및 가루차)로 활용하기 위한 최적의 수확 시기는 맛의 품질을 미치는 테아닌등 아미노산 함량이 높고, 떫은맛과 쓴맛을 내는 EGCG 및 ECG 함량이 낮은 시기에 수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해서, 녹차용 찻잎이 최적의 잎 채취 시기는 첫물차로 1아 3엽까지라고 판단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amino acid, theanine and catechins contents to evaluate the quality and function of tea fresh leaf during harvesting seasons (from the first harvesting time to the fourth harvesting time) and developmental stage (from 1 bud 1 leaf to 1 bud 5 leaves) in 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 cv. ‘Kemsull’ and ‘Yabukita’ grown under 30% shading condition in the temperature gradient plastic film tunnel. The amino acid and theanine contents of ‘Kemsull’ and ‘Yabukita’ cultivars were higher in the order of the first harvesting time > the second harvesting time > the fourth and the third harvesting time. It was 1.2∼1.4 times higher in ‘Yabukita’ compared with ‘Kemsull’ at the first harvesting time. The theanine content was increased to 1 bud 3 leaves from 1 bud 1 leaf and after that decreased to 1 bud 5 leaves at the first harvesting season. The EGCG ((-)-epigallocatechin-3-gallate) and ECG ((-)-epicatechin-3-gallate) contents were the lowest in first harvesting time compared with other harvesting time. The EGCG content in the first harvesting time was increased to 1 bud 3 leaves from 1 bud l leaf, and after that time decreased. The ECG content was 1.7~4.0 times higher in the ‘Kemsull’ compared to ‘Yabukita’ at the first harvesting time. Also, ‘Kemsull’ had lower theanine content and higher ECG content compared with ‘Yabukita’. Therefore, the harvesting season for the optimal green tea was the first harvesting time because the amino acid and theanine contents were the highest and the EGCG and ECG contents the lowest. It is recommended that using 1 bud 3 leaves from 1 bud 1 leaf of the first harvesting season for the optimum harvest of green tea.

      • KCI등재

        일본 차나무 품종의 찻잎 위조 시간에 따른 아미노산과 카테킨 함량의 변화

        강지형(Jee-Hyung Kang),오은의(Eun Ui Oh),이성문(Seong-Mun Lee),송관정(Kwan Jeong Song) 한국차학회 2021 한국차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찻잎의 위조과정에서 수분함량 및 주요 성분들의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여 발효차 제다과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제주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일본 품종 야부기타(Yabukita)와 후??(Fushun)을이용하였으며, 1아3-4엽으로 채엽한 1번차를 대상으로 채반과 선반을 이용한 실내 자연위조 방식으로 30시간까지위조시간을 설정하고 6시간마다 수분 및 주요 성분을 분석하였다. 찻잎의 수분함량은 채엽 후 77.2% 내외이었으며, 위조시간이 경과함에 점차 감소하였으며, 위조 30시간 후 59.7-63.6% 내외가 되었다. 총 아미노산과 카페인의함량은 각각 채엽 후 2.8-6.7% 및 1.7-2.0%에서 위조 30시간 후 4.2-8.1% 및 1.9-2.2%로 증가하였다. 개별 아미노산분석에서는 테아닌, 아스파라트산, 아르기닌, 세린, 글루타민산, 및 메티오닌이 주요 성분으로 나타났으며 테아닌과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은 감소하였지만 나머지 아미노산들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총 폴리페놀과 단백질의 함량은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대부분의 카테킨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없었다. 본 연구결과 찻잎의 수분함량을 고려할 때 실내 자연위조의 경우 24시간 내외가 요구되며, 위조과정에서아미노산과 카페인은 민감하게 반응하여 함량 변화가 큰 편이었으나, 폴리페놀, 카테킨 및 단백질의 함량 변화는매우 적은 편이었으며, 이들 반응의 정도에 있어서도 품종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changes of moisture and major component contents in plucked tea leaves at different withering times. In particular, the analysis aimed to collect preliminary data utilized in the manufacturing of oxidation teas such as black tea. ‘Yabukita’ and ‘Fushun’ of Japanese tea cultivars, widely cultivated in Jeju and were released b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ere used. The first flush was plucked in three or four, and a bud was withered by 30 hours on perforated plastic trays and shelves using the indoor natural withering method. Simultaneously, the contents of moisture and major components in tea leaves were analyzed every 6 hours. The moisture content of tea leaves was gradually decreased from 77.2% after plucking to 59.7-63.6% after withering for 30 hours. The content of total amino acids and caffeine was increased from 2.8-6.7% and 1.7-2.0% after plucking to 4.2-8.1% and 1.9-2.2% after withering for 30 hours, respectively. Theanine, aspartic acid, serine, glutamic acid, methionine, and arginine were major amino acids. The contents of theanine, aspartic acid, and arginine were decreased, whereas the other amino acids tended to be significantly increased. Total polyphenol and protein contents did not show any distinctive changes. The contents of most catechins tended to decrea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The study indicated that indoor natural withering requires around 24 hours based on moisture content, and amino acids and caffeine are components with large changes from the sensitive response. Polyphenols, catechin, and protein are components with a very small change in content during withering, and this withering response might be different from that of cultiv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