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임상 간호사의 역할과 부담과 기본간호 술 수행 시의 무균술 이행의 관계

        이선옥 ( Sun Ok Lee ),박경연 ( Kyung Yeon Park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1

        본 연구는 2차 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역할과부담 정도와 기본간호술의 무균술 이행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여 병원감염 률 감소를 위한 임상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대상지들의 역할과부담은 9.85접으로 5점 만점에서 3.28점인 것으로 나타나 중정도 이상의 역할과부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같은 도구를 이 용하여 간호사들의 역할과부담을 측정한 Lee 등(2002)의 연구 결과인 3.41점보다 조금 낮았는데, 이는 본 연구는 2차 병원 간 호사만을 대상으로 한데 반해 Lee 등(2002)의 연구는 3차 병원이 포함되어 연구 대상 병원별 업무의 특성이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체 대상지들의 병원감염과 관련된 기본간호술 이행 시의 무균술 이행 정도는 유치도뇨관 삽입 시가 42.72점으로 5점 만점으로 4.27점9로 나타나 Lee와 Kim (2002)이 중환자실 간호사 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병원감염 예방에 대한 유치도뇨관 관리 의 수행도 3.61/5점이나 응급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한 Park, Shin, Lee와 Kim (2008)의 4.01점보다 높은 것이다. Lee와 Kim (2002)의 연구 및 Park 등(2008)의 연구는 유치도뇨관 삽입 이후의 관리가 조사내용의 주를 이루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도뇨관 삽입절차 중의 간호사들의 무균술 이행정도를 조사한 것임을 생각할 때 삽입 절차 중의 무균술 이행이 삽입 후 관리 에서의 무균술 이행보다 더 잘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수액주업용 정맥관 삽입 시의 무균술 이행정도는 40.11점으로 5점 만점에서 3.65점인 것으로 나타나, 임상간호사의 병원감염 관리 중 투약관리 영역이 4.4/5점(Kim & Chun, 2002)이었던 선행연구보다는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선행연구에서 기본간 호술 이행 중의 무균술 이행을 측정한 연구는 찾기 힘들었고 대 병원감염관련 무균술 연구는 유치 후의 관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단순 비교는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본 연구 결 과와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감염관리에 대한 선행 보고 는 임상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도 조사(Choi & Park, 2002; Kim & Chun, 2002), 감염관리 간호사들의 감염관리 업무,(Oh & Yi, 2005) 등 감염관리 전반에 대한 젓이 주를 이루어 간호술을 포함한 의료숨기 개별 행위절치마다의 무균적용에 대한 평가와 검토는 간과된 측면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이들 부분은 의료인의 양심에 따른 것으로 치부하고 있었으나 잘못 인지하고 있는 것은 없는지, 인지하고 있는 것을 정 확하게 이행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연구보고를 통해 더 구체적 인 감염불이행의 영역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자료의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병원감염률감소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젓이라고 본다. 대부분의 간호사들은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감염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시숨을 분명하게 알지 못하고 있다는 보고는(Hallett,2000) 이를 뒷받침하는 결과라고 본다. 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발생의 주요 원인의 하나가 도뇨관 삽입 절차 중의 무균술 불이행이며 도뇨관 삽입의 대부분이 간호 사에 의해 이루어지므로(Bissett,2005) 기본간호술 이행 중에 발생하는 오염발생에 대한추후반복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대상자들의 연령, 결혼상태, 교육정도, 밤 근무 유무, 근무장 소,직위별로는 역할과부담 및 무균술 이행수준 모두에서 유의 한 차이기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병원감염예방에 대한 수 행도에서 연령, 결흔상태,교육정도, 직위에서 유의한 차이기 없었다는 Lee와 Kim (2002)의 연구와는 같은 결과를 보인 젓 이지만 연령이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36세 이 상,10년 이상의 근무경력을 가진 간호사의 관리에 대한 중요 성을 피력하고 있는 Park 등(2008)의 연구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추후 반복연구를 통해 재규명해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역할과부담 및 무균술 이행수준 측정 도구가 낮은 Cronbach`s alpha 값을 보이고 있으므로 결과의 해석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역할과부단과 기본간호술 이행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치도뇨관 삽입 시 무균술 이행수준과 수액주입용 정맥관 삽입 시의 무균술 이행수준 모두가 역할과부담과 유의한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응급실 간호사들의 감염관리 이행이 업무의 많고 적음과는 관계가 없었다는 Park 등(2008)의 결과와 같은 것이다. 그러나 표준화된 투약지침의 불이행은 간호사의 과 중한 업무량 등에서 초래될 수 있다는 Santell, Hicks, McMee-kin과 Cousins (2003)의 보고와 차이가 나는 것이다. 이는 Santell 등(2003)의 연구에서 표준화된 투약지침은 투약을 위 한 five right과 전반적 절차 모두에 중점을 두어 시간적 소요가 있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간호술의 전제 절차 중 감염관련 부분 만을 측정한 결과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역할과부담이 손씻기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던 Lee와 Kim (2002)의 연구 결과와도 차이가 나는 것인데 이는 손씻기가 본래의 간호 업무 수행의 전과 후에 시행되는, 추기되는 행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호시간이 추가되는 것인데 반해 유치도뇨관 삽입이나 수 액요법을 위한 정맥관 삽입에 따른 절차 중의 무균술 적용은 본래의 간호업무 그 자체 절차 중의 하나로 유치도뇨관 혹은 정맥 관을 삽입 시 무균술 적용을 위해 더 많은 시간을 요구하기보다 는 간호사가 의식을 집중하는 주의의무를 요구하는 측면이기 때 문이라 생각된다. 즉, 역할과부담에서 가지는 시간적 제약이나 업무부담감 등을 직접적으로 요구하지는 않는데서 기인된 결과가 아닌가 생각된다- 이로써 오히려 전제 절치 중 병원감염관리를 위한 간호술기 수행은 별도의 인력 보충없이 개개인의 노력으로 실천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각 변수별 상관관계에서는 유지도뇨관 삽입 시의 무균술이 행수준이 높을수콕 수액주입용 정맥관 삽입 시의 무균술 이행 수준이 높아유치도뇨관삽입시 무균술 이행수준과 정맥관 삽입 시의 무균술 이행수준 간의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두 가지 술기 모두 기본적인 무균개념에 바탕을 둔 것이기 때문에 나타난 자연스런 결과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무균이행 정도를 자가보고형 설물으로 조사한 것이라는 제한점이 있어 연구결과를 해석하는데 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병원감염 관련 선행연구와 달리 구체 적인 간호술기 과정 중의 멸균 이행정도를 조사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보며 이러한 병원감염원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병원감염 관리 전략개밥의 기초자료로 활용됨 수 있을 젓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was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load and aseptic technique perfor-mance by clinical nurses, and to decrease the incidence rate of nosocomial infection. Methods: Participants (N=283) were recruited in B city from April to June 2007.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Nursing workload was rated 9.85 out of a total score of 15. The level of aseptic technique performance as the basis for insertion of a Foley catheter was 42.72 out of a total score of 50, and as basis for insertion of intravenous catheter for fluid therapy was 40.11 out of a total score of 55.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septic technique performance and nursing workloa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septic technique performance in insertion of Foley catheter and that of intra-venous catheter for fluid therapy (r=.279, p<.00l). Conclusions: Attention to asepsis by nurses is crucial in nosocomial infection-related clinical nursing skills.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 대상 채소 관련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이선옥(Sun-Ok Lee),김현아(Hyun-Ah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5

        본 연구에서는 채소 관련 영양교육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경남 창원지역에 소재하는 A초등학교 학생 122명(교육집단 61명, 비교육집단61명)을 대상으로 2010년 10월 4일부터 10월 25일까지 4주간 영양교사가 직접 영양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교육집단과 비교육집단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전후에 각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양교육의 효과성 평가를 위해 영양지식(채소 인지도, 채소 관련 영양지식), 채소 기호도, 채소 섭취 행동(채소 섭취 경험 정도, 채소 반찬 섭취율)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채소 관련 영양교육이 채소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교육집단과 비교육집단 모두 교육전보다 교육후 채소 인지도가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나(p<0.001), 교육집단의 상승폭이 비교육집단의 상승폭보다 컸다. 또한 채소 관련 영양지식의 경우 비교육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p<0.001) 영양교육으로 인해 채소 관련 영양 지식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채소 기호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비교육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p<0.001) 영양교육이 영양지식의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채소 관련 영양교육이 채소 섭취 경험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비교육집단(p<0.001)과 교육집단(p<0.001)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교육집단에서의 상승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즉 채소 관련 영양교육으로 인해 다양한 채소 섭취를 경험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채소 반찬의 섭취율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시금치반찬(p<0.001), 배추김치(p<0.001), 깍두기(p<0.001)의 섭취율이 교육집단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교육집단을 대상으로 채소 관련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의 67.2%가 ‘영양교육수업이 흥미 있었다’고 응답하였으며, ‘영양교육 수업이 영양지식의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은 62.3%였다. 영양교육 후 채소반찬 제공 시의 섭취 행동에 대해서는 ‘골고루 조금씩 먹는다’는 응답이 44.3%로 가장 많이 조사되어 채소 관련 영양교육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영양교사에 의한 채소 관련 영양교육이 학생들의 채소 인지도, 채소 관련 영양지식, 채소 기호도, 채소 섭취 경험 및 채소 반찬 섭취율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4주간의 짧은 교육기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집단의 영양지식과 기호도, 섭취율이 향상되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올바른 식습관 정착을 위해서는 향상된 영양지식을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육 실시 직후 바로 영양교육의 효과를 측정하여 측정시기가 1회로 그쳤으나 3개월에서 6개월 뒤에 측정함으로써 교육 효과의 지속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 같다. 셋째, 지금까지는 일반적인 영양지식 및 식습관 위주로 영양교육이 이루어졌는데, 향후에는 좀 더 다양한 구체적인 주제별로 체계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vegetable-related nutrition education for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nam province. A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al knowledge on vegetables, vegetable preferences, and vegetable intake in school foodservices were assessed between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contained 62 and 67 students, respectively, an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nutritional education in four sessions (40 minutes each session) per week.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is education, and 122 questionnaires (for 61 memb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61 members of control group) were analyz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p<0.001) increase in vegetable-related nutrition knowledge (form 5.02 to 6.10 out of a total score of 9),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Vegetable preference scores also significantly (p<0.001) increased (from 3.44 to 3.85 on the 5-point Likert scale) in experimental group,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ol group. We also observed a significant (p<0.001) increase in vegetable intake from school foodservices (89.34% to 95.49%)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a vegetable-related nutrition education for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effective at improving the nutritional knowledge of vegetables, vegetable preferences, and vegetable intake from school foodservices. Therefore, to encourage the vegetable-related right dietary habits, sustainable, and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for elementary students.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흡연과 금연홍보매체노출과의 관련성

        이선옥(Sun-Ok Lee),박종(Jong Park)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09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4 No.2

        본 연구는 다양한 홍보매체를 접하고 있는 우리나라 중학생을 대상으로 금연홍보노출정도와 흡연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200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에 응답한 중학생 38,820명으로서 이 중 설문에 대한 불충분한 응답으로 지난 일 년 동안 접한 금연홍보매체와 흡연율을 평가할 수 없는 1,106명을 제외한 37,714명을 최종 분석 대상자로 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PSS version 17.0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흡연율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 하였고,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흡연율은 1학년에서 성별, 거주 지역, 학업성적, 경제상태, 부모와 동거여부, 스트레스 정도, 현재음주여부, 금연교육경험, 금연홍보매체노출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학년에서는 거주 지역을 제외한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3학년에서는 거주 지역과 금연교육경험을 제외한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금연홍보매체노출이 흡연과 관련된 제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유의한 변수인지 파악하기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학년의 경우 금연홍보매체노출이 전혀 안 된 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5∼6점이 교차비 0.49(95% CI=0.33-0.74)로 유의하게 낮았고, 3학년의 경우 5∼6점이 교차비 0.57(95% CI=0.43-0.76)로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중학생에서 금연홍보매체 노출정도와 흡연과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었고, 추후 선후 관계나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을 위한 금연광고 개발에 있어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exposure to anti-smoking promotion media and smoking,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exposed to various media of promo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8,820 middle school students who answered to the 200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Answers of 37,714 subjec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those of 1,106 that could not be used to judge anti-smoking promotion media and prevalence of smoking as they were considered insincere to the questions. We used SPSS of version 17.0. This study conducted a chi-square test to identify smoking rat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whether they are independently significant. Results: Smoking rate increased as the subjects were in higher grades. From the results of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odds ratio(OR) at points 5∼6 of the first graders that had never been exposed to anti-smoking promotion media was 0.49(95% CI=0.33-0.74), which was significantly low. And OR at points 5∼6 of the third graders was 0.57(95% CI=0.43-0.76), significantly low.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 between exposure to anti-smoking promotion media and smok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 KCI등재후보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증상발생 후 병원 도착 시간이 일년 후 사망률에 미치는 임상적 영향

        이선옥 ( Sun Ok Lee ),오상은 ( Sang Eun Oh ),정명호 ( Myung Ho Jeong ),김현국 ( Hyun Kuk KIM ),전해정 ( Hae Jung Jeon ),최영자 ( Young Ja Choi ),김성수 ( Sung Soo Kim ),고점석 ( Jum Suk Ko ),민구 ( Min Goo Lee ),심두선 ( Soo Sun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지 Vol.78 No.6

        Background/Aims: Symptom-to-door time is associated with the prognosis for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However, this value has not been a concern in patients with non-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NSTEMI).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to-door time and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NSTEMI. Methods: In total, 1,971 patients with NSTEMI (64.8±12.1 years, 23.6% women) were enrolled between Nov. 2005 and Jan. 2008.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ation of symptoms and first medical contact: group I (<12 hours, n=1433) and group II (>12 hours, n=538). One-year mortality rate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Thrombolysis In Myocardial Infarction (TIMI) and Global Registry of Acute Coronary Events (GRACE) risk scores were calculated in all study patients. Results: The mean age was 64.4±12.2 years in group I and 65.6±12.0 years in group II (p=0.046).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except for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initial systolic blood pressure, and initial serum creatinine levels. One-year mortality rates de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 I patients [hazard ratio (HR)=1.35, 95% CI (confidential interval): 1.03~1.75, p=0.028] based on a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analysis, which was adjusted by GRACE score, baseline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predictors of a 1-year mortality in a univariate analysis. In intermediate-to high-risk patients (n=1,184, defined as having a TIMI risk score above 3 poi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mortality rates between the two groups (HR=1.35, 95% CI: 1.02~1.80, p=0.037); the low-risk patients (n=787, HR=1.57, 95% CI: 0.80~3.05, p=0.188), however, showed no such differences. Conclusions: Symptom-to-door time was an independent long-term clinical predictor in patients with NSTEMI, especially in intermediate-to high-risk groups. (Korean J Med 78:717-724, 2010)

      • KCI등재

        문학 번역에 있어서 작품 구조 분석의 의의 ― 『마교사전』을 중심으로

        이선옥 ( Lee Sun-ok )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81 No.-

        본 논문은 韓少功의 『馬橋詞典』을 번역한 『마교사전』(심규호, 유소영 역, 서울: 민음사, 2007)을 대상으로 하여 문학번역에 있어서 언어 능력뿐만 아니라 문학적 안목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번역본을 읽을 때에 부분적인 흥미를 느낄 수는 있지만, 전체적인 이야기의 전개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작품을 통해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알아내기가 쉽지 않은데, 그 이유가 번역가가 작품의 구조를 충분히 파악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번역본에 드러나는 작품 구조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번역본은 이 소설이 사전체소설의 형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의 문학적 의의를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하여 소설의 외형을 사전의 형식으로 처리하지 않고 있으며, 표제어를 표제어답게 번역하지 않아 이 소설에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중심지표로서의 표제어의 역할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하였으며, 표제어가 소설 본문 속에 재등장할 때에 동일한 번역어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역시 표제어 재등장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둘째, 소설에서 화자와 시점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번역본은 이야기에만 주의하고 이야기를 전달하는 화자의 존재에 주의하지 않아 시제 파악, 이야기의 시간적 배경, 사건의 전개 과정을 잘못 파악하고 있다. 셋째, 장면과 요약이라는 소설의 서술방식의 사용에 주의하지 않고 있다. 번역본은 원텍스트의 모든 대화를 직접화법으로 바꾸고, 원텍스트의 단락을 자주 임의로 변경함으로써 작가의 장면과 요약에 따른 서술방법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suppose that literary perspective is important as well as language ability in literary translation by examining the novel 마교사전, that was translated by 심규호 유소영 from 馬橋詞典 of Han Shao-gong. While reading a translation may be of partial interes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evolution of the whole story and it is not easy to find out what the writer was trying to express through the work, because the translator seems to have failed in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e work. An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the work revealed in the transl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translator is not fully aware of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the novel`s using the form of a dictionary. Thus, it does not take an appearance of the novel in the form of a dictionary, and does not translate the headwords as a headword―-bringing the headwords not playing a enough roles as a central index. In addition, the headwords can`t play their roles also in reappearing in the novel text with non-same translators. Second, the translator ignores the importance of the speaker and viewpoint. The translation pay attention to the story only and do not pay attention to the existence of the narrator who communicates the story, so that it has failed to grasp the understanding of the tense, the time of the story, and the progress of the story. Third, it does not pay attention to the use of narrative methods of novels such as scenes and summaries. The translation does not convey the writer`s thoughts according to the scene and summary by changing all conversations of the original text into direct speech and changing the paragraph of the original text freely and arbitrarily.

      • KCI등재

        대학 글쓰기에서 자료 읽기와 쓰기 교육의 통합 방향성 모색

        이선옥(Lee Sun-Ok) 국어국문학회 2008 국어국문학 Vol.- No.149

        Academic writing can be defined as a writing for a member of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to produce intellectual discourse. And writing is unavoidably related to reading.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ading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method to incorporate it with writing education.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has covered various areas with vague definition. There is no doubt that curriculum of writing education necessarily includes creative writing, critical writing, political writing, and explanatory writing. But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academic writing education as one part of general education, the focus of academic writing education should be signifying practice through writing as social practice. In this sense, the critical writing would be a core in academic writing that presents compelling arguments with potent reasoning. The points of my argument that reading education should be a key part in academic writing education, are; Firstly, the reading education allows to have holistic understanding on the context, which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discourse production as social practice; secondly, reading is important to get writing materials. To use reliable data and to make logical quotation are key factors of critical writing; thirdly, reading becomes more important for critical adaptation and acceptance in the new reading environment, created by internet. I also suggest a incorporative education method of writing with reading as the central part. It is a pilot program that will be developed into a lecture model.

      • KCI등재

        향기흡입법이 제왕절개술 산모의 주관적 수면의 질, 상태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이선옥(Lee, Sun Ok),황진희(Hwang, Jin Hee) 기본간호학회 2011 기본간호학회지 Vol.1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on subjective quality of sleep, state anxiety, and depression of mothers who underwent a Cesarean section delivery.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study based upon data acquired through a pre-post test. The experimental group (n=33) was given general obstetric nursing care plus dry inhalation method using lavender essential oil, in which each mother put one drop on a tissue and breathe near it for 5 minutes before going to bed. Then they put 1~2 drops on their pillow for 6 nights. The control group (n=34) was only given general obstetric nursing car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for measures of subjective quality of sleep, state anxiety, and depression by self-report. χ<SUP>2</SUP>-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ANCOVA with SPSS/Win12.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quality of sleep (p<.001), state anxiety (p=.049) and depression (p=.029).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roma inhalation method can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quality of sleep and decrease anxiety and depression in postpartum mothers suffering from stress related to a Cesarean section delivery.

      • KCI등재
      • KCI등재

        여성 리더십 함양을 위한 토론수업 모형 연구

        이선옥(Lee Sun-ok)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7 아시아여성연구 Vol.46 No.2

        여성 리더십은 협동적ㆍ수평적 조직 운영을 중시하며, 양적 성장보다 질적 과정을, 권위적 통제보다 합리적 의사결정 과정을 존중한다. 이러한 여성 리더십을 갖추기 위한 교과과정으로 토론교육의 중요성을 살펴보았으며, 토론교육을 통해 논리적 텍스트 구성력을 신장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논리적 텍스트 구성력은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민주적으로 할 수 있는 논리적 설득 능력을 키우게 되며, 수평적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대학에서의 여성 리더십 프로그램으로 토론교육이 주요하게 부각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1차적으로 논리성을 키우는 토론교육 모형을 제시하는 데 중심을 두었지만 앞으로 여성 리더십 프로그램으로 토론교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논제 개발이나 토론모형의 다양화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This paper addresses the importance of debate-based classes as a women's leadership course. Women's leadership emphasizes cooperative and horizontal management of organization, and also respects qualitative and reasonable decision making process, rather than quantitative growth and authoritative control. Therefore, this article introduces a class model in order to improve the students' ability to construct a logical text. The ability to construct a logical text, this paper argues, is essential for logical persuasion and ultimately for horizontal and democratic communication. While presenting a class debate model is a primary object of this current study,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women's leadership program, more discussion topics and various debate models must be develop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