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천 삼거리 유적지 흑요석제 석기에 대한 산지 추정

        이선복(Seonbok Yi),좌용주(Yong-Joo Jwa),진미은(Mi-Eun Jin),길영우(Youngwoo Kil) 한국암석학회 2019 암석학회지 Vol.28 No.4

        우리나라 선사시대 유적지 중 하나인 연천 삼거리에서 출토된 흑요석제 석기에 대한 산지를 유추해 보았다. 삼거리 흑요석제 석기에 포함된 미세결정 중 산화광물과 휘석은 연정 내지 포이킬리틱 조직을 보이며, 휘석의 미세결정은 그 조성이 헤덴버자이트 내지 오자이트의 조성을 가진다. 기질에 대한 주성분 산화물의 함량에서 삼거리 흑요석제 석기는 좁은 범위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며 SiO₂ 함량이 73.8~75.5 wt.%의 산성의 유문암 조성을 나타낸다. 기질의 희토류원소 함량 역시 일정하며 뚜렷한 Eu 음의 이상을 보인다. 삼거리 흑요석제 석기의 이러한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징을 우리나라 주변 흑요석 대표 산지인 백두산과 일본규슈의 흑요석과 비교해 보았을 때, 흑요석제 석기의 원석이 백두산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We estimated the provenance of the obsidian artifacts from Samgeori site at Yeoncheon, one of the prehistoric sites in South Korea. Pyroxene microlites are of hedenbergite to augite compositions, and intergrown and/or overgrown with Fe-oxides showing poikilitic texture. Major oxides contents for the matrix of the obsidian artifacts exhibit a narrow compositional range, especially SiO₂ contents being 73.0~75.5 wt.% of acidic rhyolitic composition. Also, rare earth element (REE) contents are relatively constant in the obsidian artifacts, and the chondrite-normalized REE patterns show a strong Eu negative anomaly. These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features of the Samgeori obsidian artifacts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both the Baekdusan obsidians and Japanese Kyushu obsidians which have been thought to be two major obsidian provenances around South Korea. It is suggested that the Samgeori obsidian artifacts were possibly originated from the Baekdusan obsidians.

      • KCI등재

        남한지역 고구려 보루 유적 편년에 대한 대안적 접근

        이선복(Yi, Seonbok),김준규(Kim, Junkyu) 고구려발해학회 2018 고구려발해연구 Vol.62 No.-

        이 논문에서는 남한지역 고구려 보루 편년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고, 편년 수립의 대안으로서 방사성탄소연대를 활용하고자 한다. 그 동안 관련 유적의 편년은 문헌에 기록된 역사적 정황을 주요근거로 삼아 보루가 사용되었으리라 추정되는 기간을 한정한 후, 토기 편년을 보조적 근거로 채택해 설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어떤 보루이건 그 축조와 사용에서 폐기에 이르는 정황은 어디에도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일종의 특수한 생활 유적으로서의 고구려 보루의 편년을 위해서는 다양한 고고학적 맥락을 검토해야 한다. 나아가 토기 편년의 응용도 관련유적의 편년에서 일정한 한계를 안고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몇몇 문제는 보다 적극적인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치의 활용을 통해 보완할 필요가 있다. 방사상탄소연대 활용을 통한 유적 편년 수립을 위해서는 적절한 연구전략의 바탕 위에서 편년에 필요한 시료를 채집하여 정밀도가 높은 결과를 얻어야 한다. 무등리 유적에서 얻은 방사성탄소연대에 대한 평가는 무등리 제1보루는 6세기 후반부터, 제2보루는 이보다 앞선 5세기부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해준다. Chronology of the Goguryeo fortresses in South Korea has been proposed by many mainly on the basis of historical records and pottery analysis but with dubious results. Historical records seldom provide information detailed enough to understand the life history of individual fortress sites. Reliance on the literature has more often than not been limiting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remains. Also, variabilities in the assemblage composition of the Goguryeo potteries are yet to be fully appreciated, a situation exacerbated by the complex nature of the fortress sites itself. To address these problems, we suggest more vigorous adoption of the results of radiocarbon dating. They are often shunned by researchers but reliable dates can be obtained only when sampling, dating and interpretation are made within a coherent framework of appropriate research strategy and with an adoption of high-precision dating, Analysis of radiocarbon dates from the Mudeung-ri Fortress No. 1 and No. 2 demonstrates that they prove valuable to establish chronological framework of the Guguryeo fortress sites. It appears that the Mudeung-ri Fortress No. 1 could had been occupied from the latter part of the 6<SUP>th</SUP> century CE while the latter could have been used from the 5th century CE.

      • KCI등재

        雷斧考

        이선복(Seonbok Yi) 한국고고학회 2001 한국고고학보 Vol.44 No.-

        우리 나라의 옛 문헌에서 선사시대의 돌도끼는 雷斧라 불렸으며, 그에 대한 기록은 15세기 중반부터 찾아볼 수 있다. 雷斧는 中國에서 들어온 용어로서, 천둥과 번개를 주재하던 雷神의 도끼가 땅에 떨어진 것이라는 語源的의미를 갖고 있다. 雷斧가 특별한 藥效를 지니고 있다는 생각은 唐代이래 널리 퍼졌으며, 각종 醫書에도 계속 전해져 내려왔다. 한편, 宋代性理學의 확립과 더불어 雷斧는 단지 氣의 순환에 따른 自然物에 불과하다는 설명이 제시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雷斧는 淸代에도 여전히 신비스러운 것이었다. 朝鮮王朝實錄의 기록은 朝鮮初期에 雷斧가 깊은 관심의 대상이었음을 말해 준다. 그러한 관심은 일차적으로 藥材로서의 效能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星湖僿說과 五洲衍文長箋散稿의 기록은 朝鮮後期에도 世間에서는 雷斧를 계속 신비의 대상으로 보고 있었음을 시사해주는 듯하다. 實學의 勃興에도 불구하고, 朝鮮後期秋史의 제한된 활동을 제외하고는 古代의 遺産에 대한 여하한 관심도 표출되지 않았던 것은 당대의 性理學的宇宙觀과 支配秩序아래에서 당연한 일이었다고 보인다. Prehistoric stone axe had been known as thunder-axe in Korea. Its earliest known description dates from the 15th century during the early Chosun(조선; 朝鮮) Dynasty. In China, mentions of the thunder-axe, or the axe of the thunder god with medicinal potency, are found among the records of the Tang(唐) Dynasty. Such understanding spread widely during the Song(宋) Dynasty. At the same time, however,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Xinglixue(性理學), or the Zhuxi(Chu Hsi[朱喜]; Zhuzi[Chu Tzu; 朱子]) branch of Confucianism, an explanation appeared that such axes would be the product of nature resulted from the circulation of qi(氣). Nevertheless, more secular conception continued to thrive into the Qing(淸) Dynasty. While stone axes were also sought after during the Chosun Dynasty, it nevertheless appears that philosophical explanation given by scholars of the Song China had been more widely accepted in Korea than in China. The almost total lack of any kind of antiquarian interest in the past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despite the emergence of Sirhak(실학; 實學) tradition, might well be explained when the strong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upon the Chosun society is taken into consideration.

      • 전곡리 유적의 연대와 퇴적층의 성격

        이선복 ( Seonbok Yi ) 국립중앙박물관 2011 고고학지 Vol.17 No.-

        소위 아슐리안식 주먹도끼를 산출하는 대표 유적인 전곡리 유적이 약 50만 년 전 용암이 분출한 다음 20만 년이 지나 중국에서 바람을 타고 날아와 쌓이기 시작한 황토층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주장은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 용암 내에 포획된 탄화목 및 용암 하부 토양에서 얻은 방사성탄소연대측정치는 용암분출이 4만 년 전 무렵까지 계속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또한 전곡리 퇴적층에서 얻은 20만 년에서 10여만 년 전 사이에 이르는 TT-OSL 연대는 측정방법상의 문제로 실제 연대보다 과장된 결과일 가능성이 있다. 퇴적이 바람이 아니라 물에 의해 이루어졌음은 퇴적층 내에서 강자갈이 하천퇴적물의 침식흔적과 더불어 발견된 다는 사실이 말해주고 있으며, 이것은 토양미세구조 분석에 의해 더욱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 즉, 구석기문화층은 대략 4만 년 전에서 AT분출 무렵을 전후한 무렵에 이르는 1만 수천년 정도의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매우 늦은 시기에 고졸한 형태의 석기가 나타나는 이유는 현재 설명하기 어렵지만, 동아시아의 지리적 위치를 감안할 때 호모 사피엔스 이전 단계의 고인류가 혹시 매우 늦은 시기까지도 이곳에서 생존하고 있었을 가능성도 그 이유의 하나로서 추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re is little supporting evidence for the argument that Jeongok-ri and other palaeolithic localities with handaxe assemblages in the Imjin Basin were formed within loess deposits on top of the basalt plain from around 300 kya, some 200,000 years after the volcanic eruption. Radiocarbon dates obtained from charred tree trunk captured within the lava as well as soil layers below the basalt suggest that volcanic activity continued until around 40,000 years ago. Also, TT-OSL dates from Jeongok-ri seem to have overestimated the actual age of the deposit by several times. Fluvial origin of the deposit is well indicated by gravels found within it and truncation marks left by water, which is further verified by the examination of soil micromorpholy. In other words, archaeological deposits on top of the basalt probably had been formed over a relatively short period between ca. 40 and 29-26 kya, the latter the timing of the eruption of the Aira-Tanzawa tephra whose grains are found within the upper part of the deposit. While we need to find out the reasons behind such ‘late’ occurrence of archaic stone tools, as a possible candidate, one might be allowed to speculate the late survival of an archaic Homo species during the OIS 3 in the eastern margins of the Eurasian continent.

      • KCI등재
      • KCI등재

        베트남 호아빈 문화 편년 시론

        이선복(Seonbok Yi),이준정(June-Jeong Lee),김성남(Seongnam Kim) 한국상고사학회 2005 한국상고사학보 Vol.49 No.-

        베트남 북부 호아빈 성 일대에 산재한 호아빈 문화 유적에 대한 AMS 연대측정 결과는 호아빈 문화가 18,000 B.P. 이전에 확립되었음을 말해준다. 항쪼 유적 발굴에서는 모두 13개의 호아빈 문화층이 19,000 B.P.에서 9,000 B.P. 사이에 걸쳐 형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연대측정치, 퇴적층 구성상의 특징, 동물 자료 및 석기군의 특징에서 나타나는 변화의 양상은 호아빈 문화의 담당자들이 플라이스토세 말의 변화하는 환경 조건에 대응하는 적응 전략을 구사해 나갔음을 보여준다. 호아빈 문화 편년 체계와 적응 모델 수립을 위한 최초의 시도로서, 항쪼 유적의 자료는 호아빈 문화에 대해 적어도 3~4개의 분기로 구성된 편년 체계를 설정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AMS dating of the Hoabihnian sites in the Hoa Bihn Province in northern Vietnam suggests that the Hoabihnian Culture was already established by 18,000 B.P.. Excavation at the site of Hong Cho revealed 13 Hoabihnian levels cobering a period between ca. 19,000 B.P.. AMS dates and changes in lithological composition of deposits, as well as characteristics in fauna and lithic assemblage, suggest changing adaptive strategies adopted by the Hoabihnian under fluctuating climatic conditions. As the first attempt to establish the chronology and the adaptive model of the Hoabihnian, we suggest with the Hang Cho data to subdivide the Hoabihnian into several ph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