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활용도 분석
일본/중국/유럽자료
최신/인기 학술자료
해외논문구매대행(E-DDS)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朝鮮筆景』(Pen-picture of Old Korea(1912)) 소재 게일(J. S. Gale) 영역시조의 창작연원과 ‘내지인의 관점'
이상현(Lee Sang Hyun), 이진숙(Lee Jin Sook)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4
본고의 목적은 『게일유고』(Gale, James Scarth Papers) 소재 미간행 책자자료, 『朝鮮筆景『(Pen-picture of Old Korea(1912))에 수록된 게일의 영역시조를 고찰하는 것이다. 『朝鮮筆景』의Ⅰ장 “Korean Songs and Verses”에는 The Korea Review의 권두시로 수록되었던 『장자』의 한 구절에 대한 영역시 1수(1901.2), The Korean Repository에 수록되었던 영역시조 9수(1895.4~1898.12), 초출 영역시조 8수로 구성되어 있다. 즉, 17수가 『남훈태평가』 소재시조를 英詩化한 작품이며, 6수의 영역시조는 본고를 통해 최초로 학계에 공개되는 게일의 영역시조작품이다. 『朝鮮筆景』 소재 영역시조는 The Korean Repository 소재 영역시조들이 보여준 시조번역실험의 결과물이며, 「문학에 관한 片言(“A Few Words on Literature”)」(1895.11)에서 보여준 ‘음악과 회화의 복합체'로 『남훈태평가』 소재 시조를 해외에 소개하고자 한 그의 이론적 지향점이 투영되어 있다. 『천로원정』의 삽화가 기산 김준근의 풍속화 3편과 함께 게일이 엄선한 영역시조는 ‘내지인=한국인이라는 관점'에 의거하여, 조선 사대부 남성의 立身揚名의 이상과 규방여성들의 그리움의 정서 등을 보여준다. 즉, 이 영역시조는 한국인의 내밀한 심성을 재현해 주는 한국의 시가 (Songs and Verses)였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origin of J. S. Gale's Si-jo English translations and his Koreanized perspective in the book-shaped unpublishedPen-picture of Old Korea(『朝鮮筆景』(1912)), one of theGale, James Scarth Papers. The first chapter ofPOK is titled “Korean Songs andVerses.” It includes 18 poems. One poemfromChang-ja(『莊子』) was already introduced as one of opening poems inThe Korea Review(1901.2). Nine poems were also already published inThe Korean Repository(1892, 1895~98). Eight poems were introduced to the English readers for the first time inPOK, six of which are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to the academic community by this paper. POK's seventeen Si-jo translations except one fromChan-ja derive fromNam-Hoon-Tae-Pyeong-Ga(『南薰太平歌』). Gale's Si-jo translations in POK were produced during his mission in Wonsan(1892~1897) as member of the U.S.A. PresbyterianMission in Korea. They can be said to be the accumulated outcomes of his early experimental translations of Si-jo which started to emerge fromThe Korean Repository. They also reflect his literary goal to make knownNam-Hoon-Tae-Pyeong-Ga. Gale thought that this collection embodied his literary view stated in his short article “A FewWords on Literature”(1895) in which he said literature is the combination of music and picture. POK includes 3 illustrations by KimChun-gun who also illustrated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Pilgrim's Progress (『天路歷程』). Gale's selections of Si-jo inPOK are based on his Koreanized perspective which he acquired through his deep knowledge and wide information of Korea during his long residence in Korea. The theme of So-jo inPOK includes Chosun scholars' idea of ambitious fame and the longing of women in the inner quarters. That is, they represent the intimate feelings of the Koreans.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 가정 아동의 쓰기 계획하기 능력과 계획하기 전후의 쓰기 능력 비교
이상현(Lee, Sang-Hyun), 김승미(Kim, Seung-Mi), 이은주(Lee, Eun-Ju)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논총 Vol.3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이 쓰기 계획하기 능력에서 비다문화 가정 아동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각 집단 별로 계획하기가 쓰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다문화 가정 아동 12명, 비다문화 가정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내용 생성하기와 다발 짓기를 통한 내용 조직하기를 실시하였으며 계획하기를 실시하지 않는 사전 글쓰기와 계획하기 지도 후 실시하는 사후 글쓰기로 총 2번의 쓰기를 진행하였다. 계획하기 능력을 살펴보았고 쓰기 결과의 양적,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 가정 아동은 내용 생성하기의 소재의 다양성과 내용 조직하기의 내용의 적정성 항목에서 비다문화 가정 아동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 둘째, 다문화 가정 아동과 비다문화 가정 아동 모두 쓰기의 양적 분석 결과 중 산출성에서 사전 글쓰기보다 사후 글쓰기의 점수가 더 높았다. 질적 분석 결과에서는 두 집단 모두 글의 내용적 측면 중 내용의 풍부성 항목이 사후 글쓰기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고 조직적 측면의 두 항목(글의 체계성, 글의 흐름)에서도 사전 글쓰기보다 사후 글쓰기에서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위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다문화 가정 아동의 경우 쓰기 계획하기를 중재할 때 다양한 소재를 산출하고 주제와 독자를 고려하여 내용을 정리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하며 다문화 가정 아동과 비다문화 가정 아동 모두 계획하기를 사용한 쓰기 중재가 쓰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해볼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differ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in writing planning ability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writing planning on writing ability of each group.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12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The tasks to examine the writing planning ability are “Idea Generating” using a Brainstroming strategy and “Idea Organization” using a Clustering strategy. Pre-writing for children who did not take the planning instruction and post-writing for children who took the planning instruction was conducted. From the result of the task, the writing planning ability and pre, post-writing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 First,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low ability regarding variety of idea in Idea Generating aspect and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s in Idea Organization aspect. Second, both groups got higher score from the post-writing than the pre-writing regarding productivity in the result of quantity analysis. systematicness and flow of writing in the result of quality analysis. Conclusion: In intervening the writing plann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focus on producing various idea and organizing contents of writing considering the subject and readers. And It can be thought that an intervention using a writing planning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writing ability for both groups.
수정 IPA를 이용한 국립백두대간수목원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이상현(Lee, Sang-Hyun), 강신구(Kang, Shin-Koo), 이호승(Lee, Ho-Seung), 오진아(Oh, Jin-Ah), 한상열(Han, Sang-Yoel)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7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전통적 IPA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Kano이론에 기반한 수정 IPA를 이용하여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서비스 및 시설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는 총 636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이중기재 및 불성실답변을 제외한 58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정 IPA 분석결과 I사분면 지속적 노력이 필요한 속성으로는 주변경관의 조화, 식물의 다양성, 입구안내 및 정보제공, 시설물 안전성, 트램 이용안전성 및 편리함 등 12개 포함되었다. II사분면 우선시정이 필요한 속성은 수목원의 위치 및 교통, 수목원 내 혼잡성, 수목 크기, 트램 승차인원 등 총 9개가 포함되어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로 나타났다. This Study used the Revised IPA based on the Kano theory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traditional IPA. The aims to provide the service of the baekdudaegan arboretum and the efficient operation method of the facility. in the survey, 586 copies of the total 636 copies the questionnaire excluding double entry and dishonest answer,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Revised IPA, the keep up good work corresponding to the I quadrant included 12 attributes such as harmony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plant diversity, provide entrance information, stability of facilities, stability and convenience of tram. The concentrate here in the II quadrant contained 9 attributes, such as arboretum location and traffic, Arboretum traffic line and congestion, tree size, Tram riding passeng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