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왕릉의 구조 및 능주(陵主) 검토

        이상준,Lee, Sang June 국립문화재연구원 201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5 No.2

        개성과 강화에는 다수의 고려왕릉이 남아 있다. 이 왕릉들은 전대의 능제적 전통을 이어받아 고려만의 독창적인 능제를 완성, 조선왕릉에 전승시켰다. 고려왕릉의 일반적인 특징은 우선 능역을 3~4단으로 구획하고 능제에 맞추어 각 단에 석물과 정자각을 배치하였다. 석실은 입구를 남쪽에 두고 있으며, 벽석은 수직으로 쌓아올렸고, 천장은 평천장이다. 석실바닥에는 중앙에 관대를 놓고, 그 주변에 전돌을 깔았다. 벽면과 천장에는 회칠을 하고 그림을 그렸다. 그런데 석실내부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이런 일반적인 특징 외에 몇 가지 세부적인 차이가 발견된다. 고려초기에는 1단 평행고임천장과 통돌관대, 유물부장대 그리고 식물소재의 벽화가 조합되어 나타나며, 이는 과도기적 형태를 거쳐 12세기후반을 기점으로 평천장, 장대석재벽석, 석주형석재조립관대로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몇몇 왕릉은 출토된 시책(諡冊) 편을 통해 능주를 명확히 규정할 수 있으며, 석실내부에서 출토된 청자는 해당 왕릉의 축조연대와 상당한 시기차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점은 도굴 등 왕릉의 파괴로 인한 후대 보수과정에서 당대 유물이 매납된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기록상 왕릉의 장지방향과 발굴결과를 비교검토하여 능주가 누구인지를 추적해 보았다. 그 결과 충목왕명릉 등 일부 왕릉은 능주의 비정이 잘못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re remain many royal tombs of the Goryeo Dynasty in Gaeseong and Ganghwa.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se royal tombs were taken over tradition of tomb construction style from previous generation, and they completed their own inventive style. Furthermore they handed down those style to the Joseon Dynasty. The area of tomb was divided into 3 or 4 steps, and stone figures and T-shaped houses for sacrifice were arranged on each steps. It was the stone chamber of lateral opening style which had an entrance to southward, and it was formed as a rectangular box-shaped with a pile of stone walls and a flat ceiling. There was a coffin stand in the middle of floor, and traditional bricks were around them. The wall side and ceiling had been whitewashed and painted pictures. These are general characteristics for the tomb construction style of the Goryeo Dynasty. By the way, we can notice a number of features except those general things with inspection in detail. In early days, we confirmed 1step-parallel fulcrum ceiling, coffin stand of all in one stone, bier of burial artifact, and mural of plant material as a set, but they were changed as flat ceiling, Red-stone wall with rectangular stone, coffin stand set as stone pillar through the period of transitional form as of in the late 12th century. In case of several royal tombs, the fragments of king's epitaph which were confirmed from tombs could be defined owners clearly, and there were considerable timing difference between the large numbers of celadons which were excavated with the fragments of king's epitaph and recording chronologically of stone chamber structure. The reason for timing difference is that posterity artifacts were buried through repairing courses by occasion of destruction caused by robbing of the royal tombs. Meanwhile I inferred the existing hypothesis about owners of royal tombs and autonym ones in comparison the burial spot direction of hypothesis ones and outcomes of excavation. Therethrough, some hypothesis about owners of royal tombs such as Myung-neung which was assumed as tomb of the King Choongmok were not correct.

      • KCI등재

        쉼터 청소년의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탄력성

        이상준 ( Sang June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쉼터에서 생활하는 가출청소년들의 사회적 탄력성에 임파워먼트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사회적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심리사회적 특성들을 통제변수로 투입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의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쉼터 청소년들 289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사회적 특성에서는 낙관성이 낮을수록, 친구의 지지가 높을수록, 쉼터교사와 의사소통이 긍정적이고 개방적일수록 이들의 사회적 탄력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적 특성과 심리사회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개인내적 임파워먼트와 대인관계 임파워먼트는 사회적 탄력성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empowerment on the social resilience of runaway adolescents living in youth shelters. And it`s also meant to mak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selecting as control variables their psychosocial traits that were thought to affect social resilie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89 adolescents living in youth shelt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in terms of psychosocial traits, lower optimism, better friend support, and higher communication level with a shelter teachers led to better social resilience. Second, intrapersonal empowerment and interpersonal empowerment contributed to bolstering school resilience though their demographic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상준(Lee, Sang-June) 한국인간발달학회 2020 人間發達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어떠한 방식으로 매개하는지 그 과정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산지역의 3개 4년제 대학교에서 508명의 대학생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결정수준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낮아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결정수준은 진로스트레스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는 하지만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받음으로써 진로스트레스의 직접적인 영향력은 더 적다는 것을 발견했다는 점과 사회인지이론을 지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at sorts of mediating rol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lay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 level. Data was collected 508 university students in Daegu-Gyeongsa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 Career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directly influenced career decision level, while indirectly influenced career decision level through media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roduc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Specifical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r career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led to low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ut nevertheless, the high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led to higher career decision level.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career decision level was directly influenced by career stress, but it was found to be less directly affected by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supported social cognitive theory. It is significant in that respect.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상준(Lee, Sang-June)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에 대해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완화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산지역 대학생 57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조절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취업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 부모지지, 친구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 부모지지는 취업스트레스와 조절함으로써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완충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에서 대학생들의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상시적으로 운영해야 하며, 부모지지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가족관련 교양교과목을 개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seeking, ego identity,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on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the buffering effect of ego identity,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ver negative influence of job seeking stress on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578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Gyeongsan in South Korea,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job seeking stress had a negative influence, and ego identity, self-esteem, parent support, and friend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Second, ego identity, self-esteem, and parent support had a significant buffering effect and a moderating negative influence on the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of job seeking stress. This suggests that a university should constantly operate programs to improve students’ self-identity and self-esteem, and open family-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relation to the importance of parental support.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따른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비교 연구

        이상준 ( Sang June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대구지역의 중, 고등학교 청소년 842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과 스마트폰 게임중독은 각각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각 중독유형에 대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상대적 설명력을 확인해 보며, 스마트폰 중독과 스마트폰 게임중독 간의 공통적인 요인과 상이한 요인은 무엇인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차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청소년 중 스마트폰 중독은 22.7%, 스마트폰 게임중독은 3.9%로 나타났다. 둘째, 위험요인이 스마트폰 중독과 스마트폰 게임중독 모두에서 보호요인보다 더 높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과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위험요인은 우울, 충동성,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부모의 통제, 스마트폰에 대한 친구의 영향력으로 나타났고, 공통적인 보호요인은 교사지지로 나타났다. 또한 각 중독유형에 대한 상이한 요인은 보호요인에서 자기효능감과 모-자녀 개방적 의사소통이 스마트폰 중독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마트폰 게임중독에서는 친구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a examine the youth`s smartphone addiction and smartphone game addiction, relative influence of protective and risk factors in each addiction type, and common and different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mong the smartphone addiction types. A total of 842 youth in Daegu were surveyed, and the findings were as below: Firstly, 22.7% of the surveyed youth were addicted to smartphone, 3.9% had smartphone game addiction. Secondly, in each addiction types, the risk factors gave severer influence than the protective factors did. Thirdly, among the smartphone addiction types, the common risk factors were depression, impulsiveness, parents` control, and friends` influence, while the protective factor was teacher`s support. A different protective factors included self-efficacy, and mother-children open communication the in smartphone addiction, while in the smartphone game addiction, included friend`s support.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이상준(Sang June L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산지역의 3개 4년제 대학교에서 553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스트레스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은 진로결정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은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areer stres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the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of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 level. Data was collected from Daegu․Gyeongsan where 553 university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career stress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the university students. As for the moderating variabl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had a positive impact on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buffering effect moderating negative influence of career stress on career decision level of the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아동기 학대 경험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

        이상준(Lee, Sang-June) 한국가족학회 2013 가족과 문화 Vol.25 No.1

        본 연구는 아동기 학대 경험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은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보고, 이러한 매개경로의 간접효과 유의미성을 Sobel test를 통해 획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지역의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021명의 청소년들 중 학대 경험 청소년 696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 모형의 결과 학대 경험 청소년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문제중심적 대처를 선택할 가능성은 낮아지고, 문제중심적 대처를 할 경우에는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정서중심적 대처를 선택할 가능성은 높아지고, 정서중심적 대처를 할 경우에는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우울·불안 모형의 결과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정서중심적 대처를 선택할 가능성은 높아지고 정서중심적 대처를 선택한 청소년의 우울 ·불안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obel test의 결과 스트레스가 문제중심적 대처방식을 거쳐 자아존중감으로 가는 간접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가 정서중심적 대처방식을 거쳐 우울·불안으로 가는 간접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delve what path the ways of coping strategies affected in the relationship of daily stress to psychological adjustment of adolescence Experienced abuse in Childhood, an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of the mediation path by utilizing Sobel test. The sample consisted 696 adolescence Experienced abuse among 1,02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in Daegu. 111e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the self-esteem model, the non-abused students were less likely to choose a problem-centered coping when they were under heavier stress, and they had a better self-esteem when they performed a problem-centered coping. They were more likely to choose an emotion- centered coping when they were under heavier stress, and they had a lower self-esteem when they performed an emotion-centered coping. According to the depression/anxiety model, heavier stress was more likely to lead to a choice of an emotion-centered coping, and the adolescents who chose an emotion-centered coping suffered more depression and anxiety.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obel test, the indirect effect that stress had on self-esteem through a problem-centered coping pattern was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that stress had on depression/anxiety through an emotion-centered coping patter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이상준(Lee, Sang Jun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社會科學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의 분포를 알아보고, 스마트폰 중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에 대해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완충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지역 청소년 826명을 성별과 학교급을 고려하여 비례층화표집으로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에서 상호작용적 조절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위험 사용자군은 5.6%로 나타났고,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은 17.1%, 일반사용자군은 77.4%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 모-자녀 의사소통은 스마트폰 중독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완충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stributions by level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buffering effect of self-esteem, family support,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over negativ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Data was collected from Daegu, in South Korea where 826 adolescents were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considering sex and school grade. This study used the interactive analysi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5.6% of respondents were high risk user group, 17.1% of them were potential risk user group, 77.4% of them were common smartphone user group. Second, self-esteem, family support,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buffering effect moderating nega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과 탄력성에 대한 보호요인의 매개효과

        이상준(Lee Sang-June) 한국가족학회 2007 가족과 문화 Vol.19 No.1

          본 연구는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탄력성에 미치는 가정폭력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보호요인이 어떠한 방식으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 2,114명의 청소년들 중 가정폭력경험 고위험집단 363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정폭력이 개인적 탄력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이 무의미하게 나타남으로써 가정폭력과 개인적 탄력성에 대한 보호요인의 매개적 역할은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가정폭력이 사회적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보호요인의 매개경로 투입으로 무의미하게 나타남으로써 보호요인은 사회적 탄력성에 미치는 가정폭력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전히 제거하는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폭력이 학업적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보호요인의 매개경로 투입으로 무의미하게 나타남으로써 보호요인은 학업적 탄력성에 미치는 가정폭력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전히 제거하는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at sorts of mediating roles protective factors played negative influence of family violence affected resilience of adolescents experienced family violence. The sample consisted 363 high-risk group experienced family violence among total 2,114 student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BR>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BR>  First, 69.1% of the surveyed adolescents were experienced family violence in childhood. In sub-types, 60.4% were experienced neglect, 49.1% were experienced psychological violence and 21.4% were experienced physical violence.<BR>  Second, Protective factors didn"t play any roles in the relationship of family violence to personal resilience.<BR>  Third, The direct impact of family violence on social resilience was mediated by the protective factors. Those factors produced a complete mediation effect by totally eliminating the negative influence of family violence on social resilience.<BR>  Fourth, The direct impact of family violence on academic resilience was also mediated by the protective factors. Those factors produced a complete mediation effect by totally eliminating the negative influence of family violence on academic resil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