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밀리미터파 응용시스템의 연구개발 동향

        이상석,김명수,박정래,구본희,전동석,이석진,이창화,김태홍,최태구,Lee, Sang-Seok,Kim, Myeong-Su,Park, Jeong-Rae,Gu, Bon-Hui,Jeon, Dong-Seok,Lee, Seok-Jin,Lee, Chang-Hwa,Kim, Tae-Hong,Choe, Tae-Gu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6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1 No.3

        이동통신의 급격한 증가 추세와 멀티미디어로의 사용자 요구 및 한정적인 주파수 자원을 고려할 때 향후 밀리미터파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은 필연적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이미 선진 각국에서는 밀리미터파 응용시스템에 대한 기초 연구개발과 실용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와 같은 선진 각국의 밀리미터파 응용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 역사와 실용화 연구개발 동향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부분적으로는 중점적으로 연구개발해야할 문제점도 정리하였다.

      • KCI등재SCISCIESCOPUS

        $ZrO_2$-$TiO_2$ 세라믹의 $MoO_2$ 함유량과 소결온도가 유전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상석,이석진,이창화,최태구,Lee, Sang-Seok,Lee, Seok-Jin,Lee, Chang-Hwa,Choe, Tae-Gu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2 전자통신 Vol.14 No.4

        불요 전자파 제거용 필터의 유전체로 사용되는 Zirconium Titanate 세라믹 유전체에서 $MoO_2$ 함유량과 소결온도에 변화를 주어 이들이 유전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MoO_2$ 함유량보다는 소결온도의 변화가 유전률, 품질계수 및 소결밀도 등에 더 큰 영향을 주었으며, 정전용량의 온도계수 측면에서는 $MoO_2$ 함유량을 제어하여0ppm$^\{circ}C$근처로 이동시켜 상당히 안정된 온도 특성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한국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

        이상석,Lee, Sang-Seok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4

        본 연구는 한국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의 입지, 공간, 조경디테일, 기념조각, 그리고 기념텍스트 등 조경의 관점에서 나타난 기념성을 분석하고, 여기에 나타난 기념문화에 대한 고찰을 하였으며, 전쟁 당사국인 베트남과 미국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과 비교분석을 통하여 국가별 특성을 규명하였다. 연구는 베트남전쟁과 관련하여 국가보훈처에서 지정한 현충시설과 전사자 및 참전군인을 위한 국립묘지인 현충원 및 호국원 등 59개소를 대상으로 하여 현장조사, 문헌연구,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및 고찰을 하였으며,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성과 개방성이 높고, 별도의 부지매입비용이 필요하지 않은 국립묘지, 공원, 가로, 광장에 모뉴멘트를 세웠으며, 6 25전쟁 메모리얼과 함께 설치하기도 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참전군인의 명예를 고양하고자 하였다. 둘째, 국립묘지에서는 홍살문${\rightarrow}$현충문${\rightarrow}$현충탑으로 이어지는 중심축을 강조하고, 주변에 노단식으로 묘역을 조성하는 전통적 방식을 따른 반면, 규모가 작은 모뉴멘트는 대칭축과 사각형을 기본적 형태로 사용하고, 사각형 기단에 기념탑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관습적인 방법 때문에 메모리얼이 획일적으로 단순해졌다. 셋째, 기념탑, 기념비, 참전부대 문장(紋章), 기념벽 등을 기본적 도입요소로 사용하였고, 표준적이며 사실적 이미지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적 양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베트남전쟁 참전기념탑 건립과 관련된 사회적 담론이 허용되지 않았고, 예술가 스스로도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을 만드는데 있어 시대에 뒤떨어진 양식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넷째, 참전군인을 영웅이나 전사로서 용맹성을 강조하였고, 아이구출 조각을 통한 인도주의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등 사실적 근대조각이 많았으며, 세밀한 표현이 부족하다는 한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사자, 해태, 태극 등 전통적 상징물을 이용하여 국가적 기념성을 높였다. 다섯째, 한국에서는 베트남전쟁 참전의 명분으로써 자유수호', '세계평화', '국가경제발전의 초석' 등 반공주의 및 애국주의의 이념적 가치를 내세우고, 지역 및 부대별 참전군인명을 새기어 명예를 고양하는 집단성을 표현하였다. 아쉽게도 전쟁메모리얼에서 본질적으로 추구해야하는 희생자 추모 및 전쟁 자체에 대한 해석은 소홀히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한국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의 기념문화적 특성을 종합해 보면, 양식적으로는 관습적이고 표준화된 전근대적 메모리얼의 만연하고 있고, 정치사회적으로 국가의 공식적 기억과 지역 및 부대의 집단성이 강조되었으며, 이념적으로는 반공주의적 애국주의가 강하게 나타났다. 향후 전쟁메모리얼에서 기본적으로 담아야 하는 전쟁, 죽음, 참전군인의 경험 등 숭고한 기념성에 대하여 재사유가 필요하고,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메모리얼을 만들고, 바람직한 기념문화를 세우기 위한 학문적 연구 및 프로젝트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mmemoration characteristics of fifty-nine Vietnam war memorials in Korea(VWMK) including monuments and national cemeteries from landscape architectural point of view such as location, spacial characteristic, landscape detail, sculpture, and interpretive text. Based on the commem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nalysis, the commemoration culture among Vietnam, the U.S.A., and Korea were studied and differences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numents were mainly located in public open space such as national cemeteries, parks, and plaza, and some of them were elected along with Korea war memorials to honor Vietnam war veterans at the national level. Second, because the monuments were relatively small and memorial towers were conventionally built on a square platform, the memorial style had been simply standardized to stereotype the commemoration characteristics. Third, outmoded memorial towers, stone plates, emblems, and memorial walls were used as main landscape details and standardized facilities were considered from an artistic and social point of view. Fourth, realistic soldier statues to show heroic and humanitarian image were in majority, while symbolic and abstract sculpture were small in number, they were mostly conventional and unexpressive. Fifth, the causes of participation in the Vietnam War were predominantly expressed as 'defending freedom', 'keeping world peace', and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based on anti-communism and patriotism, and also the collectivity of Vietnam War veterans by troop and local level was emphasized through engraving each veterans's name on towers, plates, and walls. VWMK are mostly conventional and stereotyped in style and show strongly national official memory and the collectivity of veterans from a sociopolitical perspective, and aim for anti-communistic patriotism ideologically. Further study and projects will be required to make creative and innovative memorials and to study how to rethink sublime fundamental themes like war, death, and the individual veteran's experience in VWMK.

      • KCI우수등재

        미국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

        이상석,Lee, Sang-Seok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1

        본 연구는 미국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 중 외부공간에 다양한 요소들이 도입되어 공간적 개념을 가지고 만들어진 87개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설계개념, 공간적 특성, 조경디테일의 특성, 기념조각의 특성, 그리고 표현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을 고찰하였으며,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베트남전쟁 메모리얼 85개소(97.7%)에서는 희생자를 추모하고 국가를 위한 헌신이 강조되었고, 84개소(96.6%)에서 지역 부대 집단의 명예를 고양하는 것이 기본적 설계개념으로 적용되었다. 2. 메모리얼의 공간적 형태는 59개소(67.8%)에서 원형이나 축적 구성을 통하여 독립적인 공간의 완성이 추구되었고, 11개소(12.6%)에서 넓은 부지에 다양한 도입요소나 대지조형을 통하여 공간이 구성되었으며, 기념벽을 주요소로 한 것도 12개소(13.8%)에서 나타났다. 3.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주로 기념벽이 사용된 곳이 65개소(74.7%)였고, 대부분의 메모리얼에서 다른 전쟁메모리얼처럼 국가 및 지역, 부대의 명예 고양을 위해 기와 엠블렘이 사용되었다. 이 밖에 빈 의자, 기념비나 마커, 기둥 및 열주, 폰드 및 수로, 헬리콥터 등이 일부 메모리얼에 도입되었다. 4. 메모리얼에서는 V자형 검은색 기념벽을 자주 사용하였기 때문에, 기념조각은 상대적으로 적은 21개소(24.1%)에서 도입되었다. 이 중에서 승리를 고무하는 영웅적인 전투 장면보다는 병사상이나 부상 장면을 묘사한 사실적 조각이 16개소(18.4%)로 대부분이었고, 일부에서 추상조각 및 은유조각이 사용되었다. 5. 전사자 및 실종자 등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기념벽에 전사자 및 실종자 이름을 새기거나, 일부에서는 전사자 및 실종자의 사진 및 추모시를 음각하였고, 'DUTY, HONOR, COUNTRY'와 같은 상징적 문구를 적었으며, 전쟁으로 인하여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던 전쟁포로 및 실종자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는 MIA/POW 이미지를 활용하였다. 6. 미국에서는 기념벽을 중요한 요소로 활용하여 전사자 실종자 참전군인의 이름을 새기고, 성조기 부대기 주기 등을 게양하며, 'ALL GAVE SOME, SOME GAVE ALL' 및 'DUTY, HONOR, COUNTRY'를 자주 표현하여 희생자를 추모하고, 명예를 고양하는 민주주의적 애국주의를 강조하였다. 반면, 베트남에서는 전쟁승리 및 민족 저항정신을 강조하였고, 사회주의의 대표적 양식인 기념조각 및 기념탑을 자주 사용하였으며, '조국은 당신을 기억한다'는 의미의 'TO-QUOC-GHI-CONG(토-국-기-공(土-國-記-功))'을 새기어, 민족주의, 사회주의, 애국주의를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대조적이다. 향후 베트남 및 미국 이외에 베트남전쟁 참전국인 한국 및 오스트레일리아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국가적 기념성에 대한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mmemoration characteristics of Vietnam War Memorials(VWM) in the United States(VWMUS). Through site survey and internet research, the researcher selected 87 VWMUS except monuments simply with markers, and analyzed 5 analysis items: design concepts, spatial characteristics, landscape details, sculptures, and interpretive texts and symbo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in concepts of VWMUS were to cherish victims of the Vietnam War(85 sites (97.7%)), show veteran's dedication for country(85 sites(97.7%)), and publicize the contribution of groups by troop, regional, and membership(84 sites(96.6%)). 2. Most VWMUS were located in memorial parks and plazas. 59 memorials(67.8%) were designed to pursue the completion of each memorial assuming the form of symmetry and circles. On the other hand, 12 memorials(13.8%) were typed memorial walls and 11 memorials(12.6%) were formed by spatial sequence including various landscape details and grading. 3. Stone walls were mainly used to cherish victims of the War at 65 memorials(74.7%), and also, Flags like the Stars and Stripes, POW MIA flags, and state flags were hoisted to symbolize memorial's identity at all memorials. Additionally, Benches, monuments, markers, posts and columns, ponds and channels, Helicopters were partially introduced some memorials. 4. Sculptures were used 21 memorials(24.1%) which were smaller in numbers than other War Memorial in the U.S.A., for black stonewall were used for the main element of VWMUS. Except for a few sculptures that aimed to represent the Vietnam War symbolically and narratively, 16 memorials(18.4%) were formed to realistically express the image of wounded soldiers and their hardship in the Vietnam War. 5. KIA, MIA, Veteran's name were written and their images depicted on walls, Also, the symbolic phrase, 'ALL GAVE SOME, SOME GAVE ALL' and 'DUTY, HONOR, COUNTRY' were written on the memorials walls, and the POW MIA symbols were printed on the flags and engraved on walls. 6.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Democratic patriotism was considered a main ideological value in VWMUS by engraving KIA MIA's names on the walls, hoisting flags Stars and Stripes and POW MIA, and writing symbolic phrases 'ALL GAVE SOME, SOME GAVE ALL' and 'DUTY, HONOR, COUNTRY'. On the contrary, in Vietnam, nationalism, patriotism, and socialism were emphasized as main ideologies through raising war victory and resistance to foreign power as well as writing the symbolic phrase 'TO-QUOC-GUI-CONG' meaning 'our country remember your achievement' on memorial towers.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comparatively analyze VWM in order to understand national characteristics in Korea, Australia, U.S.A, and Vietnam.

      • KCI우수등재

        제2차 세계대전 전쟁 묘지에 나타난 기념성 - 서유럽에 있는 미국군, 영연방군, 독일군 묘지를 대상으로 -

        이상석,Lee, Sang-Seok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5

        본 연구는 유럽에 있는 미국, 영연방, 독일의 제2차 세계대전 전쟁묘지에 나타난 공간적 배치 및 구성, 기념적 요소, 묘역 및 묘비에 나타난 기념적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양식적, 정치적, 종교적 측면에서 기념문화를 고찰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각 나라별로 규모가 크고 고유한 양식적 특성을 보여주며, 장소적 의미가 있는 미국군 묘지 7개소, 영연방 묘지 3개소, 독일군 묘지 4개소 등 대표적인 전쟁 묘지 14개소를 선정하여, 현장조사, 문헌연구, 인터넷 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및 고찰을 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영연방, 독일군 묘지 모두 공간적 중심축을 강조하였고, 대칭적이며 방형, 원형, 나선형 등 정형적 형태를 취하고 있어 신고전주의적 양식을 보여주었다. 한편, 일부 미국군 묘지에서는 곡선 레이아웃 및 유기적 공간 구성을 한 근대주의적 형태가 나타났다. 둘째, 미국군 묘지에는 예배당, 실종자의 벽, 전투지도벽, 기념조각 등을 공통적 기념요소로 적용하였고, 영연방 묘지에서는 쉘터와 '희생의 십자가' 및 '기억의 돌' 등 고전주의 양식의 표준적인 기념 조형물이 도입되었다. 한편, 독일군 묘지는 분구묘와 공동묘지에 상징적 십자가 조형물을 설치하였고, 다른 기념 요소의 사용은 제한되었다. 셋째, 각 나라마다 기독교를 주제로 하는 십자가를 묘비의 주요한 형태적 모티브로 적용하였다. 미국은 라틴 십자가 묘비를 통하여 전사자를 추모하고, 동시에 순교자로서 미국의 희생과 기독교를 강조하였으며, 영연방과 독일은 기독교에 바탕을 두고 전사자의 영혼을 추모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치 및 종교적 측면에서 미국은 공산주의를 극복하는 기독교 및 자유민주주의와 국가적 애국심을 강하게 표현하였고, 영연방은 제국주의 공통된 양식으로 묘지를 조성하였으며, 독일은 집단적 죽음을 동료애로 표현하는 전통주의와 화해 및 평화를 지향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서유럽에 있는 제2차 세계대전 전쟁묘지는 공간적 중심축과 정형적 공간 형태를 통하여 표준화되고 정형화된 묘지의 미학을 추구하면서, 국가별로 공간 설계, 상징적 기념요소의 도입, 종교 및 이념적 가치에서 고유한 기념문화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향후, 우리나라의 현충원 및 호국원 등 묘지에서 담아야 하는 숭고한 기념성과 국립묘지를 발전시키고, 기념문화를 정립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mmem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Commonwealth, and Germany through representative 14 military cemeteries of World war II in Western Europe. Based on the commemor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spacial characteristic, commemorative elements, and graves and headstone, the commemoration culture among U.S., the Commonwealth. and Germany were studied compara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aking geometrical form with mainly square type, rarely circle and spiral patterned, most cemeteries were structured spatial central axis with symmetry, those cemeteries were styled neoclassical, but some of the U.S. cemeteries were modernistic, connecting spaces organically with curved line layout. Second, chapel, the wall of missing, the wall of battle map, and sculpture in the U.S military cemeteries, and 'the cross of sacrifice' and 'the stone of remembrance' as classical monument in the Commonwealth war cemeteries were commonly applied standardized commemorative elements, but commemorative monuments in German military cemeteries were restricted except monumental cross. Third, the symbolic cross of christianism was used all cemeteries to console and cherish the soul of soldiers, specially the Latin crosses in the U.S military cemeteries delivered political message as the american martyr for Western Europe and also the power of the U.S., but the cross in German and the Commonwealth war cemeteries were basically cherish and comfort individual spirit. Fourth, showing the power of victory with national patriotism, the U.S. strongly represented christianism and liberal democracy against communism, the Commonwealth showed imperialistic style, and German military cemeteries were quietly appeared as traditional style forwarding reconciliation and peace. This study suggest the war cemeteries have national identity with typical form and symbolic aesthetics.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materialize sublime commemoration in national cemeteries and to form advanced commemorative culture in Korea.

      • KCI등재

        群集の中を求めて歩く

        이상석(Lee, Sang-Seok, 李祥碩) 일본어문학회 2010 일본어문학 Vol.50 No.-

        本論文は、筆者が現在行っている高度経済成長期についての研究の中で考えた意見や観点、疑問を集約させたものである。高度経済成長とは何かという、高度経済成長期の概観を行うとともに、高度経済成長期を特徴づける企業中心主義が、日本というものを捉える一大要素となりうるのではないかという点。次に、その企業中心主義は何に起因しているのかに関し、その起源として701年に制定された大宝律令が挙げられるのではないかという点。さらに、高度経済成長期を捉え直すにあたって、今を生きている日本人が、高度経済成長期と聞いてどのようなことを想起するのか、高度経済成長期と聞いてどのようなものとして回想しているのか、といった日本人の記憶からの視点が今後重要となるのではないかという点。これらの疑問を、本稿において筆者の思考を整理するとともに、今後の研究の方向性を探る礎石としたい。

      • KCI등재

        戦後日本経済の高度成長研究

        이상석(李祥碩)(Lee, Sang-Seok) 일본어문학회 2011 일본어문학 Vol.55 No.-

        戦後日本経済の高度成長については、その成果と問題点などについて様々な分野に焦点をあてた研究が成されてきた。例えば系列ワンセット主義説や後進性(二重構造)説、輸出成長率説などが挙げられるが、各分野の専門家たちによって細く分類して分析された研究では実際の経済指標からは分かりにくい部分が見受けられるのが事実である。そこで本研究では、戦後日本経済の高度成長について考えるとき、経済の実態を根本的な部分から理解していくために、数々の先行研究のなかで挙げられた成長要因について分析することにした。たくさんの要因が戦後の日本経済の発展においてそれなりの役割を果たしたことには異論はないが、各要因が果たした役割は異なっているし、またそれが経済発展の各段階で果たした役割の程度も違うのである。それで、これらの要因の中でも主要なものは何か、これらの要因の日本経済発展での地位と役割は何か、そしてこれらは日本経済が成長する過程でどのように変化していったか、について一歩進めて研究する必要があると考えた。 日本経済の高度成長の要因を互いの関連性などをもとに分類すると大きく6つの要因に分けられるが、本稿ではまずこれらのうち技術革新と設備投資、国内ㆍ国外市場の拡大、経済に対する国家の関与、の3つの要因について資料を通じて分析を加えている。戦後日本経済が高度成長を実現できた理由については、高度成長における総合的な働きの中での、各要因の地位と役割を明らかにする必要があり、その密接な関連性を改めて考える必要性があると思われる。

      • KCI등재
      • KCI등재

        인문지리학(人文地理學)의 인식론(認識論)에 관(關)한 연구(硏究): 실증주의(實證主義)와 인간주의(人間主義)

        이상석 ( Sang Seok Lee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90 용봉인문논총 Vol.19 No.-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outline the major trends that have dominated over the epistemology and methodology in geographical enterprise after achieving the status of modem scientific discipline. In terms of its moment, humanistic epistemology may be understood as a reaction to positivism emphasizing the natural scientific attitudes only. But now, there has been integrated with another purposes in it. Humanistic perspectives in human geography make it possible not only to introduce the rigidity of philosophy essential to a scientific discipline but also to understand the geographical phenomena in the contexts of anthropocentrism. The focuses of humanistic perspectives in geography are the same as follows : reflexive cognition of human things, the meanings that people have attached to their surroundings, intentions and inter-subjectivity, life-world experience, methodological holisticism, etc. One of the disciplinary aims, that is the know ledge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man and his nature in geography, can be attained by way of understanding these phenomenologically constituted entities. But humanistic perspectives in geography have often been criticized because of their lack of clarity related to the subject-matter, the philosophical base, and methodology. These criticisms seem to be suggested because of misunderstanding the phinomenological methods, but not because of problems in phenomenological epistemology itself. There`s no denying the fact that it is humanistic perspectives that have surmounted the crisis of natural scientism and have humanized the images of naturalized human-being. In short, it is an attempt to make the geographical discipline ‘of human, by human, for human’. It is obvious that humanism is anthropocentric philosophically, but if positivist methodologies help us understand the meanings with which man has endowed, there are no reasons to reject them. For we can reagrd it as the issue of methodologial pragmat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