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이홍기 편 ?조선전설집?(1944)에 대하여

        이복규 ( Bok Kyu Lee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0

        이 글은 이홍기 편 ?조선전설집?(1944)의 존재 양상을 자세히 알리고,이것이 한국 최초의 우리말 전설집이라는 사실을 주장한 논문이다. 그간에는 최상수의 ?한국민간전설집?(1958)을 최초 전설집이라고 인식해왔는데 그렇지 않다는 새로운 주장을 펼쳤다. 최상수의 것에 비해 그 완성도가 떨어지기는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이 우리말로 엮은 최초의 전설집인 것이 분명하며, 도별로 엮은 점, 초기의 구비문학 연구자 고정옥에게 적극 활용된 것도 명백한 사실임을 밝혔다. 이홍기의 전설집은 모두 167편의 전설을 싣고 있으며, 지역별로 자료를 배열하고 있다. 경기도 10편, 충청도 7편, 전라도 6편, 경상도 10편, 황해도 8편, 평안도 9편, 강원도 5편, 함경도 11편이다. 수록 전설의 유형을 분류한 결과, 지명(地名19편), 암석(8편), 고승(4편), 원령(怨靈4편), 씨족시조(3편), 총묘(塚墓3편), 불사연기(佛寺緣起3편), 용(3편), 수업(修業3편), 지소(池沼2편), 열녀(2편), 불상(佛像2편), 힘내기(힘경쟁담 2편), 보은형(2편), 용천(湧泉1편), 미혈(米穴쌀나오는 구멍 1편), 정자(亭子1편), 임진왜란(1편), 풍수(風水1편), 의견(義犬1편), 효자(1편), 기타(1편)이었다. 가장 많은 것이 지명전설(19), 그 다음이 암석전설(8)임을 알 수 있었다. 각각 전체의 28퍼센트, 12퍼센트를 차지한다. 이 같은 양상은 최상수의 책에 실린 전설의 유형 분류 결과와 유사하여 흥미롭다. 다른 자료집(북한에서 간행한 설화집 및 최상수가 펴낸 전설집)과 비교한 결과, 최상수의 전설집에는 없는 전설들이 이 전설집에 실려 있었다. 서로 중복되어 실려있는 자료라 할지라도 차이가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what Joseonjeonseoljip (1944), the anthology of Korean folklore compiled and edited by Lee Hong-gi, consists of and to establish the fact that it is Korea`s first Legends anthology written in Korean. A new claim is proposed against the Anthology of Korean Legends (1958) by Choi Sang-su that it is not the first anthology. Although compromising the degree of perfection, the collection is assuredly the first Legends anthology written in Korean and edited by a Korean, characterized by being compiled provincially and being actively quoted by Ko Jeong-ok, the first-generation scholar of oral literature. This book contains 167 stories in total, arranging them under the provincial titles: 10 stories for Gyeonggido, 7 for Chungcheongdo, 6 for Jeollado, 10 for Gyeongsangdo, 8 for Hwanghaedo, 9 for Pyeongando, 5 for Gangwondo, and 11 for Hamgyeongdo. To classify the types of folklore covered, there are 19 stories about geographical names, 8 about rocks, 4 about old monks, 4 about spirits with enmity, 3 about clan`s ancestors, 3 about graves, 3 about building a buddhistic temple, 3 about dragons, 3 about apprenticeship, 2 about bodies of water, 2 about fidelity, 2 about buddhistic statue, 2 about wrestling, 2 about gratitude, 1 about fountain, 1 about a hole for rice, 1 about pavilion, 1 about Imjin War, 1 about feng shui, 1 about a faithful dog, 1 about a filial pious son, and the rest. Legends about geography rank first, followed by those about rocks, which account for 28 percent and 12 percent respectively. This is interesting in that the classification is similar to that of Choi Sang-su. When compared with other collections such as the folklore anthology published in North Korea and that of Choi Sang-su, this book introduces more stories. Even the overlapped stories differ in textual terms. First of all, they differ in size as Lee`s stories are much longer. Secondly, Lee`s stories use more paragraphs. All these suggest that Lee and Choi very likely used different sources when they compiled their materials. The North Korean version turned out to copy virtually everything of Lee`s except that such surrealistic, much too fantastic, or superstitious elements as might contradict the North Korean ideology have been eliminated. This is a pioneering study of Lee Hong-gi`s Joseonjeonseoljip. Provided what the researcher claims in this study is valid, certain statements about ``the first folklore anthology`` ought to be corrected. Additionally, those issues should also be addressed properly such as who on earth Lee Hong-gi the compiler was and what value the stories themselves might retain.

      • KCI등재

        『이춘기일기』(1961~1990)에 나타난 근대적 일상생활

        이복규(Lee, Bok-kyu)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9 民俗硏究 Vol.0 No.38

        이 연구는 『이춘기일기』(1961~1990)에 나타난 일상생활의 근대적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주로 1960년대 초반을 중심으로 일생의례, 교통·통신으로 나누어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생의례의 경우, 혼인례, 상장례 등 일생의례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혼인례에서, 신부의 집이 아닌 제3의 장소인 교회나 예식장에서 예식을 치르고 있으며, 목사를 주례로 모시고 있는 점은 근대적인 변화다. 하지만 피로연은 신부나 신랑의 집에서 가지고 있어 전통이 지속되고 있다. 상장례에서, 전반적인 절차는 유교식 전통이 유지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기독교적인 변용이 일어나 근대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교회가 상장례를 주관하는 주체로 참여하고 있는 점, 여성도 명정에서 그 직함과 이름을 밝히고 있는 점, 흉례든 길례든 기본정신만 유지하되 형편에 따라 융통성 있게 대응하는 점 등이 그렇다. 특히 여성의 명정에서 보이는 평등주의는 기존의 가부장적이거나 남녀차별적인 문화를 탈피한 것으로서 주목할 만하다. 둘째, 교통·통신의 경우, 전보, 완행열차, 공동 전화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고속열차, 휴대폰이 등장한 지금에 비하면 느린 수단들이지만, 도보나 말을 타고 다니거나 인편으로 소식을 전하던 전근대와 비교하면, 발전한 양상이다. 이상의 내용을 총괄해 보면, 『이춘기일기』에 나타난 1960년대 초반, 익산 농촌 지역의 일상생활은 전통의 지속과 변화가 혼재하면서도, 근대적 변모 쪽으로 확실하게 달라져 가고 있었다고 보인다. 일생의례의 경우, 이춘기의 가정은 특히 기독교의 영향 아래 이런 변화가 더욱 촉진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is to review the modern features of daily life appeared in ‘Lee Chunki’s diary’. The reviewed results are on the lifetime rites,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and so on mainly in early 1960s as follows. First in case of lifetime rites, the aspects of marriage, funeral rites, and so on were reviewed. With respect to marriage, the ceremonies were held not in the bride’s houses but in the third places such as churches or wedding halls and inviting ministers as the officiants were the modern changes. However, wedding receptions were held in bride or bridegroom’s house demonstrating the continuation of the tradition. In the funerals, the Confucian tradition was maintained in overall processes, yet, the Christian changes in the detailed contents were occurred demonstrating the modern aspects. They showed that the church participated in funerals as the main body, women revealed their names and titles in the funeral banner, and flexibility was allow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ough the fundamental mind was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rites whether they were good of bad. Especially, equalitarianism shown in the women’s funeral banner is worthwhile to pay attention as breaking the discriminating culture between men and women. Second in case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legram, local train, and common phone were reviewed. Compared to the present bullet train or cellphone, the are slow tools, however, they were the advanced features compared to the pre-modern period when the news had been distributed by walking, horse-riding, or the person. To sum up the above, it appears that early 1960s on Lee Chunki’s diary, the daily life of Iksan rural areas were clearly changing toward a modern change, while continuing and changing traditions. Lee’s family is believed to have promoted this change, especially under the influence of Christianity.

      • KCI등재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Codium fragile (SURINGAR) HARlOT in Korea Using Allozymes

        이복규,박소혜,허윤성,주무열,최주수,허만규,Lee Bok-Kyu,Park So-Hye,Heo Youn-Seong,Ju Mu-Teol,Choi Joo-Soo,Huh Man-Kyu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2

        The study of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was carried out in the Codium fragile using allozyme analysis. Although this species has been regarded as a ecologically and economically important source, there is no report on population structure in Korea. Starch gel electrophore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allozyme variation and genetic structure of four Korean populations of this species. Of the 15 genetic loci surveyed, nine (60.0%) was polymorphic in at least one population. Genetic diversity was high at the species level ($H_{ES}$=0.144), and, that of the population level was relatively low ($H_{EP}$=0.128). Nearly 87% of the total genetic diversity in C. fragile was apportioned within populations. The predominant asexual reproduction, population fragmentation, low fecundity, geographic isolation and colonization process are proposed as possible factors contributing to low genetic diversity in this species. The indirect estimated of gene flow based on $G_{ST}$ was 1.69. The moderate level of gene flow in C. fragile populations is mainly caused by thallus developed from isolated utricles dispersal via sea current. 알로자임 분석을 이용하여 청각의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를 분석하였다. 이 종은 한국내 생태적, 경제적 중요한 자원이지만 유전적 분석이 수행되지 않았다. 전분 젤 전기영동으로 이 종의 한국내 네 집단에 대해 알로자임 변이와 유전 구조를 조사하였다. 15개 대립유전자좌위에 대해 9개 좌위(60.0%)가 적어도 한 집단에 대해 다형현상을 나타내었다. 종수준에서 유전적 다양성은 매우 높았다($H_{ES}$=0.144). 집단수준에서 유전적 다양성은 비교적 낮았다($H_{EP}$=0.128). 청각에서 전체 유전적 다양도의 87%는 집단내에 내포되어 있었다. 청각의 번식방법은 유성생식보다는 무성생식이 우세하고, 집단의 단절, 낮은 자손의 생성, 지리적 격리, 그리고 정착과정이 낮은 유전적 다양성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사료된다. 조사한 청각 집단에서 세대당 이주하는 개체수는 1.69로 평가되었다. 이 값은 보통 수준의 유전자 흐름으로 해류를 통한 이동이 주된 요인으로 보인다.

      • KCI등재

        이춘기의 30년(1961∼1990) 일기에 대하여

        이복규 ( Lee Bok-kyu ) 택민국학연구원 2018 국학연구론총 Vol.0 No.21

        익산 지역에서 농부로 살았던 이춘기(1906~1990)의 30년(1961~1990) 일기 내용을 몇가지 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춘기 30년 일기 중 26책이 현재 출판사인 학지사에 인계되어 소장중이다. 30책 중 4년 치인 1964, 1965, 1967, 1968년 분은 분실되어 없다. 삽화를 그려 넣었다는 점, 회고록을 겸한 장편 일기도 있는 점, 메타 일기도 있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둘째, 이춘기의 가정생활에서 주목되는 것은 주부의 이른 죽음이 가정에 몰고 오는 후유증이 얼마나 심각한가 하는 점이. 특히 늦둥이 두 아들을 남기고 간 상황에서, 혼자 남은 배우자가 느끼는 그리움은 물론 어린 아이들의 양육에 대체할 길 없는 결손과 상처를 초래한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아울러 재혼을 얼마나 신중하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실패의 사례를 통해 생생히 증언한다. 그런 가운데에서도 어린 두 아들을 양육하는 데 최선을 다하는 이춘기의 부정과 교육열은 인상적이다. 셋째, 이춘기 일기에 담긴 세시풍속 관련 정보는 민속학적으로 의의가 있다. 마을 웃어른에 대한 세배와 꽃주일(flower sunday)의 쇠퇴 및 소멸, 대보름 공동체 제의의 약화 등은, 세시풍속은 지속되기도 하고 변하기도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우리의 생활이 자꾸만 가족화, 개인화, 도시화로 바뀌는 데 따른 필연적인 결과라 하겠다. 넷째, 이춘기의 일기에 적힌 회고 가운데 3·1운동 및 6·25 회고가 지닌 역사적 가치는 주목할 만하다. 민족 전체가 경험한 이들 사건 앞에서 한 개인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겪었고 반응했는지 아주 자세하게 증언하고 있다. 특히 4·4 이리시장 만세운동의 전개양상을 현장에 있던 사람의 시각에서 기록한 일기라서 역사를 보완할 만하다. 다섯째, 이춘기가 겪은 노년의 체험도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지금의 우리에게 시사하는바 크다. 노인의 외로움, 용돈의 필요성, 시력도 청력도 떨어지면 병들어가는 몸, 거듭되는 친구와의 사별, 돌보는 이 없어 독거하는 어려움, 미국으로 이민하기 등. 각 상황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어떤 필요를 느끼는지가 자세히 묘사되어 있어, 노인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참고할 만하다. The contents in the diary for 30 years (1961 ~ 1990) of Lee Chun-Gi (1906 ~ 1990), who has lived as a farmer in Iksan area were examined in several aspects.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out of the diary for 30 years of Lee Chun-Gi, 26 books of diary were handed over and currently kept by Hakjisa, the publishing company. Out of the diary for 30 years, the portion for 4 years of 1964, 1965, 1967 and 1968, which are missed because the family did not hand over. The apparent characteristics of this diary are that the illustrations are inserted, it contains the full-length diary and meta diary, too, etc. Second, what call the attention in the family life of Lee Chun-Gi is how serious the aftereffect that the early death of housewife bring to the family, and particularly, it showed that in the situation that the housewife was passed leaving two late children, it causes not only the longing felt by the husband left alone but also the loss and hurt irreplaceable for rearing infants. In addition, it testifies vividly how carefully one should remarry through the case of failure. In that situation, the paternal love and educational fervor of Lee Chun-Gi who did his best in rearing two young sons are tearful. Thir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asonal customs contained in the diary of Lee Chun-Gi has folkloristic meaning. Decay and extinction of New Year's bow to the elders of the village and the flower Sunday, and the degradation of Daeboreum (the day of first full moon of the year) community proposal, etc. show that the seasonal customs can be lasted or changed, which is deemed to be the inevitable result that our life is changed to family oriented, individual-oriented and urbanized living. Fourth, the historical value of the reminiscence of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nd Korean War is worth a attention. It testifies in detail specifically how an individual went through and reacted encountered those events that the entire race experienced. Particularly, since it is the diary that recorded the development of April Fourth Erie Market Independent Movement in the perspective of the person who attended at the site, it can compliment the history. Fifth, the experiences in the old age that Lee Chun-Gi experienced implies greatly to us who are in aging society. Since it describes what difficulty there is and what is needed by each situation such as the loneliness of the elderly, needs of pocket money, declining sight and hearing and the body getting illness, repeated bereavement with the friends, difficulty in living alone due to not having anyone to take care, emigration to America, etc. it is worth to referring it in understanding and solving the problems of the aged.

      • KCI등재

        『정역(正易)』과 기독교의 상통성

        이복규 ( Lee Bok-kyu ) 온지학회 2017 溫知論叢 Vol.0 No.53

        이 논문은 김항(金恒)이 저술한 정역(正易)(1885)의 특징적인 표현 세가지와 기독교 성경과의 상통성을 살펴본 것이다. 첫째, 상제조림(上帝照臨)의 경우, 유교 문맥 적어도 조선조 성리학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표현이다. 주자의 <경재잠(敬齋箴)>의 ‘대월상제(對越上帝’란 표현이 있지만, 인간 쪽에서 天에 대하여 가져야 할 마음가짐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므로, 上帝가 주체가 되어 인간 쪽으로 오는 『正易』의 ‘上帝照臨’과는 다르다. 하지만 기독교 성경에는 자주 등장한다. 둘째, 상제와 인간 사이의 대화 및 상제 앞에서 자신을 不肖子 즉 아들이라고 하는 표현도 유교 문맥에는 없다고 보인다. 더러 문학적인 형상으로는 존재할 수는 있어도 실제 상황으로 이렇게 제시된 적은 없다고 본다. 그러나 기독교 성경 특히 신약에는 많이 나온다. 셋째, 유리세계(琉璃世界) 역시 유교 문맥에서는 찾을 수 없다. 불교의 정토사상에서 발견되지만 의미가 약간 다르다. 하지만 기독교 성경 중요한계시록에는 이 표현이 나오는바 매우 흡사하다. 정역과 기독교 간에 상통성이 보이는 까닭은 무엇일까? 정역이 저술되던 당대에 중국에서 성경 전체가 한문으로 번역되어 유통되었던 일과 연관이 있지 않을까 추정할 수 있다. 실학시대부터 한역(漢譯) 서학서가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지식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던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정역과 한역 성경과의 관련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reviews the similarities between Juhng-yauk, authored by Kim, Hang in 1885 and Christianity. Preceding studies have denied any similarities or demurred on them, but this paper seeks to shed light on them. There are three concepts in Juhng-yauk that can be referred to as showing similarities with Christianity: ①‘God coming down’, ②‘Conversation between God and mankind’ and the expression of ‘son’, and ③‘A glass world (a world that is as beautiful as a valuable piece of glass)’. First, ‘God coming down’ : This expression is hardly found in Confucianism. Neither Twegye nor Yulgok have used such an expression. But there are many expressions referring to God coming down from heaven in the Bibl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God comes down from the sky, and sometimes it is The Holy Spirit doing so. Jesus Christ also comes down. Expressions about God, The Holy Spirit and Jesus Christ coming down from the sky repeatedly appear. Therefor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records can be confirmed. Second, conversation between God and mankind, and the expression of a ‘son’: This expression, too, is unique and something that cannot be found in the context of Confucianism. Although literary expressions exist in Confucianism, they have never been presented in an actual situation. But in the Bible, conversation between God and man often appears. The Old Testament features scenes where Adam, Eve, Abraham or Isaiah have a conversation with God. In the New Testament, Jesus Christ has a conversation with God. In The Book of Revelations, John, too, has received messages from God (Jesus Christ) and has a certain reaction. This part in “Juhng-yauk” is in line with the Christian Bible. It is also unique that Kim, Hang (金恒) refers to himself as a ‘son’ in front of God. This is rather shocking in the context of Confucianism, because it is an expression that is usually used by those of the lower class. It is rare to find cases where a regular class person refers to the sky as his father. Meanwhile, in the Christian Bible, it is common to refer to God as one’s father and oneself as God’s son. Jesus Christ himself refers to God this way and teaches his disciples to do the same. The first phrases of the Lord’s Prayer are, “Our Father, which art in heaven.” Third, a glass world (a world as beautiful as glass): The “glass world” as presented in Juhng-yauk is an expression that cannot be found in texts of Confucianism. Although it can be found in Buddhist texts, it is still not common. While in Buddhism, it refers to a place where the spirit goes after reincarnation, in Juhng-yauk, a glass world refers to something of a heaven on earth. The only similarity lies in the clean image, with the two worlds being different. The image of the “glass world” in Juhng-yauk is along similar lines as the “New Jerusalem” or “New sky and new land” that appear in The Book of Revelations as an ideal world. In The Book of Revelations, the word “glass” is used, too, to describe these worlds. What explains the similarities found in Juhng-yauk and Christianity?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it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times in which Kim, Hang wrote Juhng-yauk was the late Josun Dynasty period, when Catholic documents that had been translated into Chinese characters had an impact on leading intellectuals. In addition, during the times of Hang Kim, the Bible had already been translated into Chinese and distributed in China. Those Bibles made their way into Korea and were read by Korean intellectuals, leaving an imprint on Juhng-yauk, as well. While the similarities between Juhng-yauk and Christianity can be recognized, there is no written record or physical evidence that testify to such an effect. Follow-up studies will hopefully shed new light on the such effect and impac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Phylogeny Study of Genus Pelvetia in Korea by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 (ITS)

        Bok Kyu Lee(이복규),Man Kyu Huh(허만규),Joo Soo Choi(최주수),Sung Hyun Cho(조성현)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3

        갈조류 모자반과 Pelvetia속은 다세포 조류로 많은 해조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북반구 태평양과 대서양에 분포되어 있다. Pelvetia속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동종 및 근연한 같은 속내 종에 대해 유전자은행을 통해 밝혀진 ITS에 의한 서열을 이용하여 계통관계를 조사하였다. 한국의 P. babingtonii은 북미의 P. babingtonii AF102957과 유사한 핵산서열로 계통도 분석에서 같은 분지군을 형성하였다. 한국의 P. siliquosa은 역시 북미의 P. siliquosa AF102958과 유사한 핵산서열로 계통도 분석에서 같은 분지군을 형성하였다. Pelvetia 속 내 여러 종간은 결실이나 삽입에 의한 indel이 많은 반면 같은 종내 계통은 치환에 의한 차이가 현저하였다. 이 속은 NJ분석에서 크게 두 분지군으로 나뉘는데 한 그룹은 P. canaliculata와 P. limitata이며 나머지 그룹은 P. siliquosa, P. compressa, P. babingtonii을 포함하고 있었다. ITS 서열로 한국 내 분류군과 북미 간 분류군이 잘 구분되었다. MP 분석에서도 높은 지지도로 잘 구분되었다. 따라서 ITS 서열로 종 동정에 이용할 수 있었으며, 종의 보전이나 생식질 보전에 기초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brown algae, or phaeophytes, are a large group of multicellular algae, including many notable types of seaweed. We analysed intra- and interspecific phylogenic studies within the genus Pelvetia in Korea and compared them with results of both same and different species in GenBank. The sequences for P. babingtonii in Korea were generally similar to those for P. babingtonii AF102957, and the sequences of P. siliquosa in Korea were also similar to those of P. siliquosa AF102958. Sequence variation within the Pelvetia is mostly due to nucleotide substitutions, although several small indels and some large indels can be found. Another source of sequence divergence is length variation due to stretches of short repeats that occur at the ITS1 or ITS2 in all the Pelvetia. NJ analysis consists mainly of two clades. One of them contains P. canaliculata and P. limitata, and is sister to the rest of the genus (P. siliquosa, P. compressa, and P. babingtonii). P. babingtonii is not grouped one clade. In the MP analysis, ten accessions or populations were fully resolved and all accessions from the same species formed with 99% or 100% bootstrap supports.

      • KCI등재

        <설공찬전>과 매체 변화, 그 양상과 의미

        이복규 ( Bok Kyu Lee ) 택민국학연구원 2014 국학연구론총 Vol.0 No.14

        문학작품의 유통은 매체에 따라 어떤 변화 양상을 보일까? 이 글에서는 고소설 <설공찬전>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고소설 <설공찬전>을 전달한 최초의 매체는 한문소설이었다. 이는 한문을 아는 일부 식자층에게만 수용될 수 있는 것이었다. <설공찬전>의 두 번째 매체는 국문이었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한문 원작이 발표되자 이것이 (한문으로) 필사되어 유통되는 것은 물론, 국문으로도 번역되어 경향 각지에서 읽혔다. 한글 아는 사람이면 누구나 읽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설공찬전> 국문본을 세상에 알린 (세 번째 매체는 신문이었다. 주지하듯, 신문의 특성은 ‘사실 보도’가 생명이다. 육하원칙에 입각한 서술도 이와 관련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독자를 끌어들일 만한 인상적인 표제와 부제 및 사진 등을 활용한다. 신문은 과연 사실만을 보도했을까? 여러 가지 면에서 그렇지 않다. 그렇게 된 근본 원인은 신문사간의 과다한 경쟁 의식 때문이다. 이 역시 저널리즘과 아카데미즘의 차이라 하겠다. <설공찬전>을 전한 네 번째 매체는 잡지였다. 신문에 비해 지면의 제한성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잡지의 장점을 살려, 원문을 소개함으로써, 신문 보도를 통해 작품 원문에 대해 궁금증을 가질 수 있는 독자를 겨냥한 편집 양상을 보여준다. <설공찬전>을 전한 다섯 번째 매체는 방송이었다. 라디오 방송 보도는 신문이나 잡지와는 달리, 음성으로 전파되는 데다 어느 지역에 있든 그 방송을 청취하는 사람들에게 동시에 같은 메시지가 전달된다는 점에서 이 작품의 존재를 알리는 데 기여하였다 하겠다. 아직 신문을 읽지 않은 사람이라 하더라도 라디오 방송을 귀로 들음으로써 알 수도 있고, 이미 신문을 읽은 사람이라 하더라도 앵커와 발견자가 직접 문답 형식으로 진행하는 방송을 청취함으로써 한결 더 생생하고 현장감 있게 이 작품에 대한 이해를 가질 수 있었을 것이다. <설공찬전>을 다룬 여섯 번째 매체는 TV였다. 대체로 TV 다큐멘터리와 TV 교양물에서는 고소설 <설공찬전>이 조선 최초의 금서가 되었던 이유에 중점을 두고 작자 및 원작을 재조명하였다. TV 오락물로 분류되는 영상작품에서는 원작의 ‘혼령빙의담’에 주목하여 공포를 조성하는 괴기성을 극대화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설공찬전>의 일곱 번째 매체는 연극이었다. 연극 <설공찬전>은 소설의 단순한 연극적 재현이나 각색이 아니다. 작가의 상상력으로 원작의 공백 부분을 메꾸어 주는 것은 물론, 권력문제로 주제를 설정하여, 이 주제에 맞게 인물과 사건을 새롭게 설정한 엄연한 창작품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문학작품은 매체에 따라 그 존재 양상을 달리한다. 유통의 범위에도 차이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매체의 특성에 따라 형식과 내용과 주제까지도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How does the distribution of a literary work vary in relation to medium?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is question focusing on old Korean novel Seol-gong-chan-jeon. The first medium was Chinese letters, so the novel was distributable only in the circle of Chinese literates. The second medium was Korean letters, which is evidenc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with the Chinese original published, the novel was soon copied and distributed, as well as being translated in Korean so as to be read not just in the capital but in the provincial regions as well. Any Korean literates could read it. The third medium through which the Korean version of Seol-gong-chan-jeon became known to the general public was newspapers. Understandably, their priority is in reporting the facts. Events are described in the manner of asking 5W1H. Also, they use eye-catching headlines and subtitles, in addition to photography. However, did the newspapers report the facts only? Not necessarily. The over-heated competition among the newspaper corporations is the primary reason, which makes a gap between journalism and academism. The fourth medium was magazines. Compared to the newspapers, the magazines were relatively free to use the paper space, so the original text version was enabled to be published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the wondering readers. The fifth medium was radio broadcasting. It contributed greatly to making the presence of the novel known to the public, since it is verbally transmitted and communicates the same message to any of those who listen to the broadcasting, including those who have already read the newspapers who could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work by paying attention to the dialog going on between the host and the guest, the one who has discovered the work, as well as those who have yet had no chance to learn about the work who now have the chance to know about its presence. The sixth medium through which Seol-gong-chan-jeon was dealt with was television. A few documentaries and educational shows shed light on the original work and the author, focusing on the reason why it became the first forbidden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Joseon Kingdom. The video works categorized as TV entertainment shows used the story of spirit possession to produce fear and maximize the grotesqueness. The seventh medium relates to a theatrical play. The play Seol-gong-chan-jeon is no simple representation or adaptation of the original but a complete creative work where the author fully using imagination tries to bridge the gaps existing in the original, selecting the power game as its new theme and readjusting the roles of the characters and events. To sum up, a work of literature exists in variable forms depending on its medium of e-pression. The variation affects the range of distribution and in some cases it could even transform its theme and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