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PPARG, PPARgamma) 발현과 대장암 예후

        이보인 ( Bo In Lee ) 대한장연구학회 2009 Intestinal Research Vol.7 No.1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γ (PPARG, PPARgamma)는 지방 대사 매개체(mediators of lipid metabolism)의 발현과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핵 수용체이다. PPARG이 종양발생에 기여하는지 억제하는지에 관해서는 논란이 있으며 대장암 예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잘 알지 못한다. 저자들은 서로 독립된 두 전향적 코호트 집단에서 확인된 470명의 대장암(1-4기) 환자에서 면역조직화 학염색을 통해 102개(22%)의 종양이 PPARG 발현 양성인 것을 확인하였다. 환자 특성과 cyclooxygenase- 2, fatty acid synthase, KRAS, BRAF, PIK3CA, p53, p21, β-catenin, LINE-1 hypomethylation,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CpG island methylation phenotype (CIMP)와 같은 분자적 특성에 대해 보정한 대장암 특이 사망과 총 사망의 hazard ratio (HRs)를 구하기 위해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을 이용하였다. PPARG 발현 음성 종양 환자들에 비해 PPARG 발현 양성 종양 환자들의 총 사망률은 Kaplan-Meier analysis (p=0.0047), 단변량 Cox regression (HR, 0.55; 95% CI, 0.37-0.84; p=0.0053), 다변량 분석(adjusted HR, 0.43; 95% CI, 0.27-0.69; p=0.0004)에서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 PPARG 발현 양성 종양 환자들의 대장암 특이 사망률 역시 유의하게 낮았다(adjusted HR, 0.44; 95% CI, 0.25-0.79; p=0.0054). PPARG와 사망률 저하와의 상관관계는 MSI, CIMP, LINE-1이나 다른 분자 변수 등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모든 Pinteration>.05). 결론적으로 종양의 PPARG 발현은 환자의 생존기간 연장과 독립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PPARG 발현은 대장암 중 저활동성 아형과 연관이 있는 듯하다.

      • KCI등재

        공간 콘텍스트의 유형에 따른 공공공간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적용 방법 연구

        이보임(Bo Im Lee),강성중(Sung Joong K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공공공간에서 인터랙션디자인은 하드웨어 중심 디자인의 문제를 극복하고, 공공성 증진, 주민과의 소통, 공간의 경험을 창출한다. 본 연구는 인터랙션 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공간 콘텍스트 유형을 도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공공공간의 기능과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터랙션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 고찰을 위한 문헌연구와 적용 유형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로 진행되며, 이용자의 소통이 다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공공간으로 연구 범위를 제한한다. 건축 콘텍스트는 추상적인 도시의 사회문화적 인자를 중시하며, HCI 콘텍스트는 이용자 환경 정보로 구성되나 사회문화적 관점을 반영하는 추세이다. 공공공간은 거주민, 방문인, 이방인이 모이는 열린 공간으로 상호교류의 장이다. 국내의 공공공간은 가로를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보행밀도는 공간 콘텍스트와 상관관계를 보인다. 공간 콘텍스트를 기반으로 공공공간 인터랙션 디자인은 가로지향형, 목적지향형, 절충형으로 구분된다. 세 가지 유형 인터랙션 디자인은 공간 콘텍스트가 가지는 사회문화적 특성 및 이용자 행태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현재 공공공간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은 사회적 관계형성, 소통과 교류의 기능보다는 경관의 연출, 사용자 참여, 공간 경험 창출에 더 높은 효용 가치를 가진다. 공공공간의 인터랙션으로 이용자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을 위해서는 장소성의 배려와 지역 중심의 콘텐츠가 요구된다. Interaction design in public space could overcome the problem of hardware-based design, enhance publicity and communication with people, and create spatial experience. This aims to examine type of spatial contexts for interaction design,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interaction design to improve function and value of public space. The study is perform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or theory study and case studies for developing applicable type. The range of study is limited to urban public space. While architectural context puts emphasis on urban socio-cultural factors, HCI context consists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user. Public space is an open space to gether habitants, visitors, and strangers and communicate among them. Public space in Korea are developed as street-centered, pedestrian density has something to do with spatial context. Based on spatial context interaction design for public space is categorized into street-oriented, object-oriented, and comprised type. These types have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user behaviors given by spatial context. Interaction design for pubilc space has more functions in making new landscape, user participation, creating spatial experience than making soci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To making social relationship for citizens through interaction design, placeness and region-centered content are requir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간경변증 환자에서 말초혈액 Nitric Oxide 활성도 측정의 의의

        이보한 ( Bo Han Lee ),백두산 ( Du San Baik ),윤승욱 ( Seoung Ug Yun ),신재민 ( Jae Min Shin ),김지환 ( Ji Hwan Kim ),윤세영 ( Se Young Yun ),김병하 ( Byung Ha Kim ),김석배 ( Suk Bae Kim ),신정은 ( Jeong Eun Shin ),송일한 ( Il Han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3

        목적: Nitric oxide (NO)는 간경변증 환자에서 혈관리모델링과 맥관형성에 의한 문맥 순환의 재분배를 통해 과역동 혈액순환를 초래하는 혈관이완제 중의 하나로 nitric oxide synthase (NOS)에 의해 유도된다. 간경변증에서 NO는 간내 순환계, 문맥과 내장 순환계 및 전신 순환계 등 유래하는 위치에 따라 그 활성도에 다소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경변증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NO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간기능 이상이 없는 대조군과 비교하고, 문맥압 항진증과 관련된 과역동 혈액순환 및 잔여 간기능에 따른 NO의 활성도를 비교분석하여 간경변증에서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말초혈액에서의 NO 활성도 측정의 의의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3월부터 2005년 2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환자 중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문맥압 항진증의 합병증이 동반된 61명의 간경변증 환자와 동반되지 않은 34명의 간경변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32명의 건강검진자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NO 활성도는 Griess 시약을 이용한 Nitrate/Nitrite Colorimetric Assay Kit (Cayman Chemical Co., Ann Arbor, USA)를 이용하여 대상 환자들의 말초혈액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간경변증 환자에서의 말초혈액 NO 활성도는 임상적 문맥압 항진증이 동반된 경우에 86.1±40.6 μmol/L, 동반되지 않은 경우에 83.5±47.2 μmol/L로 측정되어 대조군에서의 52.3±38.4 μmol/L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으나(p<0.05), 임상적 문맥압 항진증 동반유무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Child-Pugh 분류 A, B, C에 따른 말초혈액 NO 활성도는 각각 84.9±45.5, 81.9±53.2, 86.4±39.8 μmol/L로 각 분류 간의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으며, albumin, bilirubin, prothrombin time 등 생화학적 검사에 따른 NO 활성도의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간경변증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NO 활성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으나 임상적 문맥압 항진증이나 잔여 간기능의 정도는 반영하지 못하였다. 향후 NO 활성도와 혈관 리모델링 및 맥관형성과 같은 과역동 혈액순환, 문맥압 항진증 및 잔여 간기능과의 정확한 상관관계의 분석을 위해서는 말초 혈액순환에서 보다는 간내 혈액순환이나 문맥 및 내장 혈액순환에서의 직접적인 NO 활성도 측정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Nitric Oxide (NO) induced by NO synthase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hyperdynamic circulation and collateralization by vascular remodeling in patients with cirrhosis. Methods: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peripheral NO activity in patients with cirrhosis, we measured the production of NO metabolites, nitrate and nitrite, using the nitrate/nitrite colorimetric assay with Griess reagents in the peripheral venous blood of 95 cirrhotic patients with or without clinical portal hypertension (PHT), and in the peripheral venous blood of 32 control patients without liver disease. Results: The peripheral NO activities in cirrhotic patients with clinical PHT, cirrhotic patients without clinical PHT, and non-liver disease control patients were 86.1±40.6 μmol/L, 83.5±47.2 μmol/L and 52.3±38.4 μmol/L, respectively. NO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irrhotic patients than in non-liver disease control patients (p<0.05),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NO activity between the cirrhotic patients with or without clinical PHT. Peripheral NO activities in cirrhotic patients with Child-Pugh classification A, B, and C were 84.9±45.5 μmol/L, 81.9±53.2 μmol/L and 86.4±39.8 μmol/L,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 significant correlation of NO activity with the biochemical profiles of the serum albumin level, bilirubin level and prothrombin time were not defined. Conclusions: Peripheral NO activity was increased in cirrhotic patients, but it did not reflect the degree of clinical portal hypertension and the function of the hepatic reserve in this study. For a precise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NO and hyperdynamic circulation with collateralization in cirrhosis, intrahepatic or portal NO activity might be considered rather than peripheral NO activity.(Korean J Med 73:251-257, 2007)

      • SCOPUSKCI등재

        Billoth 2 수술 후 반복적인 부종과 저단백혈증을 일으킨 세균과다증식증후군 1예

        이보인 ( Bo In Lee ),최규용 ( Kyu Yong Choi ),김병욱 ( Byung Wook Kim ),최황 ( Hwang Choi ),조세현 ( Se Hyun Cho ),정우철 ( Woo Chul Chung ),이강문 ( Kang Moon Lee ),박수헌 ( Soo Heon Park ),채현석 ( Hyun Suk Chae ),최명규 ( Myun 대한장연구학회 2003 Intestinal Research Vol.1 No.2

        저자들은 Billoth II 수술을 받은 75세 남자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 및 멸균카테터를 통한 공장흡인액 배양으로 세균과다증식 증후군을 진단하고 항생제 치료로 호전을 보인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세균과다증식이 있으나 선별검사 대상의 요건에 맞지 않는 증례가 있고 선별검사의 상당수가 국내에서 용이하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Billoth-II 수술 상태와 같이 소장접근이 용이한 경우에는 임상적으로 의심되면 곧바로 상부위장관내시경을 이용한 세균배양검사를 시행해 볼 수 있다.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bacterial overgrowth syndrome with recurrent edema, hypoproteinemia and normal serum cobalamine level after Billoth II subtotal gastrectomy, which was diagnosed by jejunal aspirates culture and antibiotics treatment. When predisposition and clinical suspicion were present, jejunal culture might be preferable especially in case of post-Billoth II operation status because jejunal approach is easy, screening tests are negative in certain cases and some screening tests are not available in Korea. (Intestinal Research 2003;2:197-200)

      • KCI등재

        대장암 선별과 대장폴립 진단검사 가이드라인

        이보인 ( Bo In Lee ),홍성필 ( Sung Pil Hong ),김성은 ( Seong Eun Kim ),김세형 ( Se Hyung Kim ),김현수 ( Hyun Soo Kim ),홍성노 ( Sung Noh Hong ),양동훈 ( Dong Hoon Yang ),신성재 ( Sung Jae Shin ),이석호 ( Suck Ho Lee ),김영호 ( You 대한소화기학회 2012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9 No.2

        1. 한국에서 대장암과 대장샘종의 역학 (1) 한국에서 대장암의 발생률은 증가하고 있다. (2) 한국에서 대장샘종의 발생률은 증가하고 있다. 2. 대장암 선별과 대장폴립 진단검사 가이드라인 1) 선별검사 시행 시기 (1) 평균위험군에서 대장암 선별과 대장샘종 진단검사는 50세부터 시작하는 것을 권고한다. 단, 대장암 증상이나 징후가 있는 경우 50세 이전에 시행할 수 있다. 2) 대변잠혈검사 (1) 50세 이상의 평균위험군에서 대변잠혈검사는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므로 대규모 인구집단에서 대장암의 선별검사로 권고한다. 이는 검사 양성일 때 대장내시경검사가 수행되어야 함을 전제로 한다. (2) 50세 이상의 평균위험군에서 대장암의 선별검사로 기존의 guaiac 대변잠혈검사에 비해 대변 면역화학검사를 우선적으로 권고한다. 3) CT 대장조영술 (1) 50세 이상의 평균위험군에서 CT 대장조영술을 대장암 선별과 대장폴립 진단검사 중 하나로 권고한다. (2) CT 대장조영술에서 6 mm 이상의 폴립이 발견된 경우 대장내시경검사를 권고한다. 4) 이중조영바륨관장술 (1) 50세 이상의 평균위험군에서 이중조영바륨관장술을 대장암 선별검사 중 하나로 권고한다. (2) 이중조영바륨관장술에서 6 mm 이상의 폴립이 발견된 경우 대장내시경검사를 권고한다. 5) 대장내시경검사 (1) 50세 이상 평균위험군에서 대장암 선별과 대장샘종 진단검사로 대장내시경검사를 우선적으로 권고한다. (2) 50세 이상 평균위험군에서 첫 선별대장내시경검사가 일정 질 수준 이상으로 이루어졌다면 대장암이나 대장샘종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5년 이후 추적대장내시경검사를 권고한다. 단, 대장암 경고증상이 새롭게 발생한 환자를 포함하여 추적기간 내 중간암의 우려가 있다고 의사가 판단하는 경우 5년 이내라도 추적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Colorectal cancer is the second most common cancer in males and the fourth most common in females in Korea. Since the most of colorectal cancer occur through the prolonged transformation of adenomas into carcinomas, early detection and removal of colorectal adenomas are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to prevent colorectal cancer. Considering the increasing incidence of colorectal cancer and polyps in Korea,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Korean guideline for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nd polyp detection. Korean Multi-Society Take Force developed the guidelines with evidence-based methods, Parts of the statements drawn by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Herein we discussed the epidemiology of colorectal cancers and adenomas in Korea, optimal screening methods for colorectal cancer, and detection for adenomas including fecal occult blood tests, radiologic tests, and endoscopic examinations.

      • SCOPUSKCI등재

        단기간 동안 갑자기 성장한 조기대장암 1예

        이보인 ( Bo In Lee ),최규용 ( Kyu Yong Choi ),김병욱 ( Byung Wook Kim ),최황 ( Hwang Choi ),조세현 ( Se Hyun Cho ),정우철 ( Woo Chul Chung ),이강문 ( Kang Moon Lee ),박수헌 ( Soo Heon Park ),채현석 ( Hyun Suk Chae ),최명규 ( Myun 대한장연구학회 2003 Intestinal Research Vol.1 No.1

        Retrospective studies report that doubling time of early colorectal cancer is 26 months.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early colorectal cancer which increased over twofold in a size in only 13 days. (Intestinal Research 2003;1:64-67)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비만치료에서 소화기의사의 역할

        이보인 ( Bo In Lee ) 대한소화기학회 201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6 No.4

        Obesity is a serious disorder that increases morbidity and mortality. Primary intervention with life style modification and medication is not always effective for obese patients. Endoscopic management of obesity may be a less invasive, more cost-effective, and relatively safer option than bariatric surgery. Moreover, therapeutic endoscopy is considered to be the primary modality for managing complications that occur after bariatric surgery. In the near future, role of gastroenterologists will be more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obesity and its related problems. (Korean J Gastroenterol 2015,66:186-18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