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구스타프 클림트의 <스토클렛 저택의 장식벽화(Stoclet Frieze)> VR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경험 평가

        이보아(Bo-A Rhee),최여림(Yeo-rim Choi),정도영(Do-Young Jeong),박성훈(Seong-Hun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기반으로 <클림트 인사이드(2017)>전시에서 사용된 <스토클렛 저택의 장식벽화(Stoclet Frieze)> VR 앱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이하 PU)과 인지된 이용용이성(이하 PEOU)의 평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VR 앱의 학습적합성(SFL)이 감상적합성(SFA)보다 높게 평가된 PU의 경우, 학습유용성(UFL)과 감상유용성(UFA)의 모든 요인이 만족도(DOS)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전시환경에서의 VR 앱의 학습에 대한 내적 동기 부여 및 감상 지원에 대한 잠재력이 확인되었다. 또한 PEOU의 모든 요인들은 DOS뿐만 아니라 DOI와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본 연구를 통해 TAM의 PU와 PEOU의 ATUA(DOS 및 DOI) 및 BITUA(ITRA(1) 및 ITRA(2))에 대한 영향력이 검증됨에 따라, 두 변수는 사용자의 VR 앱에 대한 기술 수용에 대한 예측을 가능케 했으며, 결론적으로 예술작품 원작을 재매개한 VR 앱에 대한 평가모델로써 TAM의 적합성이 입증되었다.

      • KCI등재

        ‘연결완전성(seamless visit)’이 내재한 관람 경험 창출을 위한 모바일 기술의 적용

        이보아(Rhee Bo-a) 인문콘텐츠학회 2012 인문콘텐츠 Vol.0 No.25

        연결완전성이 내재한 관람 모형에서, 관람 전의 ‘앤터런스 내러티브(enterance narrative)’는 관람하는 동안 핸드핼드 멀티미디어의 사용을 통해 전시물 및 동반 관람객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생성되는 ‘의미 만들기’로 전환되고, 관람 후에는 공유 및 심화 활동을 통해 그 경험이 확장된다. 오늘날 핸드핼드 멀티미디어 가이드는 관람객 주도적인 인터랙션, 풍부한 콘텐츠 제공, 의견 남기기, 길찾기 기능과 네비게이션, 북마킹, 피드백, 개인 웹페이지 등과 같이 기능적 측면에서는 큰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례로 다룬 핸드핼드 멀티미디어 가이드의 가장 큰 특징은 정보의 역동적인 프리젠테이션과 연계성, 상황인지, 적응성이다. 원칙적으로 핸드핼드 멀티미디어 가이드는 비간섭적 특성을 지녀야한다. 관람객 측면에서 정보의 콘텐츠와 프리젠테이션이 유용하기 위해선, 박물관은 관람객의 행동 관찰로 형성되는 비간섭적 사용자 모델을 사용해야한다. 또한 사용자 경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핸드핼드 멀티미디어 가이드는 직관적이며 인터랙션 또한 간단하고 효과적이어야 한다. 관람객들이 자신의 개인적 관심이나 속도에 따라 전시물을 해석하게 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방법은 핸드핼드 멀티미디어 가이드가 적응성을 지니고 개인화와 사용자 정의에 의해 정보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것들이 관람객의 기대와 요구를 충족시키고 관람 경험이 풍부한 의미 만들기 위해 핸드핼드 멀티미디어 가이드를 개발할 때의 필수조건이다. In seamless visit model, the entrance narrative in the pre-visit phase is transformed into meaning making phase by interacting with exhibits and other visitors by using handheld device during visit. Then, it is extended to sharing, deepening and reinforcing museum experience during post-visit activities. Today, handheld multimedia guides have reach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functionality including visitor-driven interaction, media rich delivery, connotation, way-finding and navigation, bookmarking, feedback, and so on. Some of the salient elements of the handheld multimedia in this study are the emphasis on the multimodality in dynamic presentation and coherence, context-awareness, and the adaptivity. In principle, the handheld multimedia guide should not be intrusive. For the efficacy of the users, the information content and information presentations museums should deploy non-intrusive user modeling which is built solely upon observing the visitor’s behavior, and take into account the context of use. The content and presentations also has to be intuitive and shall bring minimal and effective interactions. In order to ensure that visitors are allowed to interpret the visit according to their personal traits, a handheld multimedia guide should be adaptive and should support strong and fine-tuned personalization and customization of all the information provided. These are prerequisites to fulfill visitors’ expectations and needs and to stimulate their attention while allowing for both learning and enjoying, so that the visit can result in a richer meaning making in their museum experience.

      • KCI등재

        융합적 관점에서 접근한 클로드 모네 작품의 하위 무게 중심 유형 분석 - 건초더미 연작, 루앙대성당 연작, 수련 연작을 중심으로 -

        이보아(Rhee, Bo A),서예은(Seo, Ye Eun),유태경(Yoo, Tae Ky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4

        본 연구는 미술사와 공학이 융합된 정량적 예술작품분석에 대한 가능성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위 무게 중심 유형 분석(Barycenter Pattern Analysis)을 통해 정량적으로 모네의 연작에 대한 분석을 실행하고, 그 데이터를 시각화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세 가지의 연작에서 작품의 제작 시간과 계절, 즉 빛의 변화에 따라 명도와 채도의 중심점 위치와 분포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건초더미의 경우, 대상의 배치에 따라 명도의 분포가 달라졌으며, ‘루앙대성당’의 경우에는 명도와 채도의 중심점 분포 변화에 대한 빛과 날씨의 영향력이 입증되었다. 특히 ‘수련’의 경우에는 명도와 채도의 분포에서 백내장으로 인한 시력의 영향력이 드러났다. 예를 들면, 백내장을 진단받기 전의 작품에서는 명도와 채도의 분포가 일정한 양식을 보였다. 반면, 진단을 받은 이후에는 명도나 채도의 분포가 더욱 응집되거나 더욱 산개되는 불규칙한 특징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성적인 방법으로는 발견되지 못했던 화가의 양식 변화나 화가의 개인적 영향력 등을 명도와 채도의 무게 중심 유형 분석을 통해 발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입증해 주었다는데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다양한 공학적 접근이 미술사 연구방법론과 융합되면서, 향후 정량적 연구방법론은 예술작품간 관계성 및 위작 판별 등으로 그 응용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possibility of a quantitative analysis of artworks through the convergent of art history and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utationally analyze the distribution of brightness and saturation of Monet’s series through the Barycenter Pattern Analysis and to visualize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three series, the positions of center point and the distribution of Barycenter Pattern of brightness and saturation differ depending upon the production time and season of the artworks (i.e. the change of light). In the case of ‘Wheatstacks,’ the distributions of brightness are affected by the arrangement of the subject, and the influences of light and weather on the distribution of the central point of brightness and saturation are presented in a certain pattern in the series of ‘Rouen Cathedra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Water Liles’ series, several irregular patterns are revealed in the distribution of the Barycenter of brightness and saturation due to the the worsening of cataract problems. For example, the distribution of brightness and saturation in the artworks which were produced before the diagnosis of cataract reveals a certain pattern. On the other hands, the distribution of brightness or saturation in the artworks which were produced after the diagnosis of cataract becomes more irregula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possibility of discovering the painter’s style change or the painter’s personal influence, which cannot be discovered by a qualitative method, through the Barycenter Pattern Analysis. As various technological approaches are converged with art research methodologies, we expect that the applications of quantitative methodologies can be expanded to illuminate the relevance between works of art and to identify art forgeries.

      • KCI등재

        IT기반의 융합형 콘텐츠를 활용한 스마트 전시 시스템과 모바일 해석매체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이보아(Rhee, Bo-a) 인문콘텐츠학회 2013 인문콘텐츠 Vol.0 No.29

        청와대관 개편의 궁극적인 목표는 IT기술 기반의 융합형 스마트 전시 시스템을 구축하고, 디지털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와 모바일 해석매체를 제공함으로써 관람경험을 증진시키는 것이었다. 청와대관에 대한 만족도는 개편이전의 대통령관에 비해 증가한 반면 관람소요시간의 증감은 모호했다. 전시물에 대한 유인력과 만족도를 측정한 결과, 청와대를 직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대통령 직무실, 대통령과 사진촬영, 청와대 사이버탐방에 대한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만족도, 유인력, 관람소요시간은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있으며, 관람소요시간보다는 유인력의 관람만족도에 대한 영향력이 크다. 두 번째, 모바일 해석 매체의 본질적인 가치와 효과성은 기술적 적용보다는 사용성과 모바일 해석매체와 관람객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터랙션에 따라 좌우된다. 마지막으로, 청와대관의 스마트 전시 시스템은 연결완전성이 내재한 관람모형을 구현하지 못했으며, 그 원인은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서비스와 기능의 적합성 문제에 기인하지만, 무엇보다도 홍보부족으로 인해 관람객으로부터 사용성을 유도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IT 기술, 멀티모달 시스템(multi-modal system),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해서 스마트 전시 시스템과 연결완전성이 내재한 관람 모형의 개념을 도입하고, 이에 대한 구현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접근한 최초의 박물관학적 연구라는 점에 의미를 두고 있다. Ultimate goal of Cheongwadae Hall recontextualizing project was to turn the gallery into a smart exhibit system utilizing IT as well as to enhance the visiting experience by offering digital interactive multimedia and mobile interpretive methods. After the reformation took place,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creased while the variation of viewing time was unclear. Based on the results of measuring exhibit’s attracting power and degree of satisfaction, contents displaying lives of Cheongwadae (Presidential office, Photo booth with president, Choengwadae virtual tour) were very positively evaluated. These are some implications on this research : first, there is a meaningful cor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attracting power. second, the effectiveness and essential value of mobile interpretive methods depend on usability and the interaction between visitor and mobile interpretive methods. Lastly, smart exhibit system deployed in Cheongwadae Hall have failed to implement seamless visiting model. The problem lies not only in smart phone application contents being unsuitable, but also in marketing issues discouraging users from using the app. This research bears significance for being the first study to introduce the concept of seamless visit and that of smart museum based on interaction modalities using mobile devices and diagnoses both the effectiveness and the possibilities from empirical and museological perspectives.

      • KCI등재

        예술작품 기반의 VR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연구: 미술관 VR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전망

        이보아 ( Rhee Bo A ),김주섭 ( Kim Ju Sub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5 No.-

        Through the convergence and integrated approach, this study investigates participants’ overall experiences with VR applications and examines the existence of virtual aura. Perception of the presence of aura depended on the quality of VR applications and their suitability for art appreciation. Participants’ previous viewing experiences, which were correlated with perception of the presence of aura, negatively affected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VR applications as well as on the evaluation of the suitability for learning. The auras were mitigated in the virtual reproductions for participants with previous viewing experiences. In their stances, pictorial sameness of VR applications did not promise aesthetic sameness of the originals. On the contrary, the aura were appropriately migrated in the reproductions for participants without those experiences. To sum up, VR applications have great potential to introduce participants to the art world. They stimulate intrinsic motivations for learning and offer meaningfulness in the affective process of art appreciation.

      • KCI등재

        A study on users’ experiences with VR applications of artworks

        Rhee, Bo A(이보아),Kim, Ju Sub(김주섭)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5 No.-

        Through the convergence and integrated approach, this study investigates participants’ overall experiences with VR applications and examines the existence of virtual aura. Perception of the presence of aura depended on the quality of VR applications and their suitability for art appreciation. Participants’ previous viewing experiences, which were correlated with perception of the presence of aura, negatively affected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VR applications as well as on the evaluation of the suitability for learning. The auras were mitigated in the virtual reproductions for participants with previous viewing experiences. In their stances, pictorial sameness of VR applications did not promise aesthetic sameness of the originals. On the contrary, the aura were appropriately migrated in the reproductions for participants without those experiences. To sum up, VR applications have great potential to introduce participants to the art world. They stimulate intrinsic motivations for learning and offer meaningfulness in the affective process of art appreciation.

      • KCI등재
      •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기반의 전시관람경험에 대한 반응 분석

        박지현(Jihyun Park),석아영(Ayoung Seok),윤영준(Youngjun Yoon),이보아(Bo-A Rh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박물관 3.0시대의 도래와 함께 박물관 경영 측면에서 빅데이터 분석, 그리고 공유와 개방의 관점 및 커뮤니케이션 플랫폼과 마케팅 도구로써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나 비콘에 의존했던기존의 박물관 빅데이터 분석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전시에 대한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를 분석함으로써, 관람객 분석도구로써 인스타그램 해시태그의 효용성과 가치를 입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2년 동안 국내에서 개최된 다섯 개의 전시의 인스타그램 해시태그를 수집 및 시각화했다. 그 결과, 모든 전시의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는 전시명, 전시장소, 전시회, 지역명, 작가명에 집중되었다. 결론적으로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는 전시관람 경험에 대한 분석을 위한 빅데이터로 사용하는 것이 부적합했다. 또한 관람객 개발을 위한 도구로써 인스타그램 해시태그의 효용성과 가치는 입증되지 못한 반면, 노출형에 해당하는 해시태그의 정보 확산에 대한 잠재력은 확인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