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배성현(Bae Sunghyun),이병인(Lee Byoungi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보육교사와 장애아 보육교사 간의 협력의 질 향상 및 장애유아 참여행동과 관련된 교사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해, 비평적 문헌 고찰과 현장 순회지원 일지 분석 및 교사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 내용과 방법을 구성하였다.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은 교사 포트폴리오를 사용하여, 과정목표 설정과 실천을 위한 교사 간 대화(상호 피드백)를 중심으로 하였다. 교수 활동에 대한 자기 평가 및 교사 포트폴리오 외에 교사 자신이 설정한 과정목표의 한 주간 실천에 대해 교사와 연구자 간의 피드백, 면담을 포함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문헌 고찰 결과에서, 장애유아 참여행동과 관련하여 교사가 해결해야 할 주요 문제는 교사 간의 협력태도인 업무 협력과 정서적 상호지원으로 요약하여 프로그램 목적에 반영하였다. 프로그램 내용과 절차에서는 문헌비평 결과를 기반으로 조직 심리학 분야 용어인 팀 학습행동을 교육현장에 적용 하기 위한 새 정의를 규정해 프로그램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 사지원 프로그램은 장애아통합어린이집 통합반에서 근무하는 일반 보육교사와 장애아 보육교사에게 적용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teacher support programs based on team learning behavior to improve the quality of collaboration and the difficulties between regular & special childcare teachers.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on-site itinerant diaries, and teacher needs surveys to develop collaborative teacher support programs. These programs organized components and methods of collaborative teacher support programs based on team learning behavior. These programs used portfolios that made feedback of progress goals and configuration, self-reflection on teaching, and implementation for a week. Using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data, this study investigated problems, and developed programs for collaboration(work collaboration and emotional mutual supports) of regular & special childcare teachers. In the programs procedure and details, the term of team learning behavior utilized for the new definition to apply to education field is based on the result of literature revie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apply regular & special childcare teachers at inclusive childcare centers.

      • KCI등재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내 유아특수교육 연구 동향 분석: 2002년부터 2022년까지 전문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김혜숙 ( Kim Hyesook ),이병인 ( Lee Byoungin ),서규원 ( Seo Gyuwon ),주찬미 ( Joo Chanmi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육 관련 국내 연구의 키워드 의미연결망을 분석함으로써 유아특수교육 분야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22년까지 총 21년간 학술지에 등재된 999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에서 추출된 2,536개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정제 과정을 거쳐 연결중심성을 확인하고 의미연결망을 분석하였다. 정제 및 수정된 키워드를 대상으로 KrKwic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출현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키워드로 의미연결망 분석과 중심성 수치를 산출하였다. 그 다음 TEXTOM을 통해 매트릭스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연결망 분석 소프트웨어인 UCINET6, NetDraw를 활용하여 의미연결망을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기간 내 가장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이는 키워드는 ‘통합교육’, ‘장애유아’, ‘유아특수교사’, ‘발달지체’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기간 내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 중심성이 모두 높은 키워드는 ‘통합교육’, ‘장애유아’, ‘유아특수교사’, ‘발달지체’, ‘연구동향’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석 시기별 키워드 동향에서는 공통으로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이는 키워드와 각 시기별 새롭게 등장한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기별 모두 높은 연결중심성을 보이는 키워드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키워드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의미연결 구조망을 확인하였고, 추후 유아특수교육 연구를 위한 다각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emantic network of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 Korea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this end, 999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or a total of 21 years from 2002 to 2022 were collected. Based on the 2,536 keywords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papers, the connection centrality was confirmed through a refinement process and the semantic network was analyze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was analyzed using the KrKwic program for the refined and modified keyword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centrality values were calculated for the main keywords. Then, a matrix file was created through TEXTOM, and based on this, the semantic network was visualized using UCINET6 and NetDraw, which are social network analysis software.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keywords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during the entire period were ‘inclusive educatio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nd ‘developmental delays’. Second, keywords with high connectivity centrality, proximity centrality, and mediation centrality within the entire period were ‘inclusive educatio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velopmental delays’, and ‘research trends’. Third, keyword trends by analysis period were able to identify keywords that showed a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in common by period and keywords that newly appeared in each period. Finally, the keywords showing high connection centrality by period wer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inclusive education’. This study identified various semantic connection networks by examin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with a focus on keywords, and discussed variou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