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소통의 진단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범준(Bumjune Lee),조성겸(Sung Kyum Cho)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4 언론과 사회 Vol.22 No.2

        이 글은 소통문제 연구들이 전제하는 소통 진단 방식을 유형별로 정리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피터스와 하버마스의 논의를 바탕으로 소통 진단 방식에 전제된 대화 모델과 합의 모델의 맹점, 딜레마, 모호성을 드러내고, 이에 관한 해법을 제시한다. 대화 모델은 상호성, 양방향성, 상호작용성의 가치에 주목하게 함으로써 민주적, 다원주의적 소통을 지향하게 하는 장점이 있지만, 일방향적인 소통이 제공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외면케 하는 문제가 있다. 합의 모델에 대해 본 연구는 합의와 다원주의 사이의 딜레마 문제를 제기하고,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을 바탕으로 이질성의 동질화를 수반하지 않는 합의가 어떻게 가능한지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합리성을 강조하는 시각과 상호성을 강조하는 시각이 충돌하는 문제를 명시화하고, 두 시각 모두를 포괄하는 진단 방식을 제안한다. This study, as a kind of meta-criticism, offers critical insights into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and methods of appraisal employed by communication studies about so-called “communication crisis” and “absence of communication.” It elucidates blind spots, dilemmas and ambiguities in models of communication which are neglected in previous research. As for the dialogue model, we argue that it has a blind spot that makes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value of one-way communication. Concerning the consensus model, we clarify the “dilemma of harmony but non-identity” that many researchers face in evaluating the public communication about current affairs. As an alternative, we redefine the idea of pluralistic consensus based on the communicative action theory of Habermas. Finally, we deal with the conflict between rationality and reciprocity in the diagnosis of public communication and propose an approach negotiating the two diagnostic criteria.

      • KCI등재

        경청ㆍ대화 행위 척도의 개발: 경청하기, 이해 돕는 말하기, 예의 지키기의 차원을 중심으로

        이범준 ( Bumjune Lee ),조성겸 ( Sung Kyum Cho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8 조사연구 Vol.19 No.3

        오늘날 ‘듣기’의 중요성은 폭넓게 인식되고 있지만, ‘경청’을 상호작용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요소로 보고 본격적으로 측정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경청의 관점에서 일상의 소통행위를 평가할 수 있는 경청 대화 행위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어떤 소통행위자가 소통할 때 자신과 다른 참여자의 경청에 기여하는 활동을 경청 대화 행위로 정의하고, 좁은 의미의 경청만이 아니라, 경청을 중심으로, 서로 간의 말하기-듣기가 유기적으로 교환되며 진행하는 데 도움을 주는 행위들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일반 개인 응답자와 사내 근무자를 대상으로 2차례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청 대화 행위를 ‘경청하기’, ‘이해 돕는 말하기’, ‘예의 지키기’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구성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세 하위 차원과 기준 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온라인 개인 데이터(N=479)의 경우, 경청 대화 행위의 세 변인들이 ‘경청·대화 결과’, ‘소통의 적절성’, ‘화자의 사교적 매력’, ‘업무적 매력’ 등의 기준 변인들과 모두 예상한 방식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사내 데이터(N=100) 분석결과도 유사하지만, ‘이해 돕는 말하기’가 ‘사교적 매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만은 확인되지 않았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경청 대화 척도의 의미와 활용방안, 그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quality listening scale in order to evaluate communicative behaviors in daily life. We defined quality listening as the communicative behaviors contributing to the listening of each of the communicative partners. The quality listening concept measured in this study includes all direct and indirect communicative behaviors. First, we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listening behaviors and communicative competencies and extracted 26 items that are supposed to measure various dimensions of quality listening. Second, we conducted two surveys: one of general public and the other of employees of a private company.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shows that three factors are important in quality listening: listening well, helping the communicative partner to listen well, and courtesy. The reliability of the items measuring these three factors are 0.89, 0.90, and 0.91, respectively. These three factors explained 36% to 60% of the variance of the outcome variables, which shows the validity of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t follows from these results that listening behavior could be evaluated using the quality listening scale suggested in this study.

      • KCI등재

        소통의 질 측정 방법의 타당성 검토

        이범준(Bumjune Lee),조성겸(Sung Kyum Cho) 한국언론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1 No.1

        본 연구는 시민들의 ‘소통의 질’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동안 시민들 간의 사회적 이슈에 관한 소통이 ‘어떻게’이루어지는가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높았지만, 이를 측정할 체계적인 척도의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숙의적 토론 모델에 근거한 유형화가 아니라, 소통의 질에 근거한 유형화를 채택함으로써 일상적 대화의 진단과 개선책 모색에 보다 적합한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통문제에 대한 사회비평적 연구와 온라인 공론장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소통을 진단ㆍ평가하는 기준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행 연구들의 척도를 재구성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의 구성요소에 대한 개념적 타당도를 검토하고 일반적 상호성, 합리성, 반대의견 듣기, 소통예의 등 4개의 하위 차원으로 이루어진 소통의 질 척도를 제시하였다. 일반적 상호성, 합리성, 반대의견 듣기는 정치적 관용, 숙의지향성, 예의중시 다원주의로부터 긍정적 영향을 받고, 이슈이해도, 소통유대감, 소통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타당성이 확인되었으나, 소통예의의 경우 부분적으로만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소통의 질 척도를 정교화할 후속 연구와 척도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It also seek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scale.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interest in how societal communication is conducted. However, there has never been a scale to measure the quality of societal communication. The authors reviewed the literature on so-called “Communication Crisis” in Korea and researches about online public sphere and derived four dimensions: interactivity, rationality, listening to opposing views, and communicative courtesy. The factor analysis of survey data using these four dimensions showed their validity. These four factors ar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ertain communication values and results. However, only three of them, interactivity, rationality and listening to opposing views, positively affected the communication values and communication results as expected. Communicative courtesy did not.

      • KCI등재
      • KCI등재

        자기와의 관계

        이범준(Lee, Bumjune)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5 문화와 정치 Vol.2 No.1

        이 글은 권력-저항의 문제에 초점 맞추어 후기 푸코(Michel Foucault)의 주체성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주체성에 관한 후기 푸코의 이론적 전환은 “자기와의 관계” 개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환기시킨다. 자기와의 관계를 개념화함으로써 담론, 권력에 환원되지 않는 주체성 차원을 명시화할 수 있었고, 권력과의 관계에서 개인이 행사할 수 있는 자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되었음에 주목한다. 또한 이론적 전환 이후 푸코가 탐색하였던 저항 모델, 현재성 비판, 윤리적 거리, 존재의 미학, 진실의 스캔들 등의 특징과 의미를 검토한다. 푸코의 저항 모델은 개인의 존재양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라는 정치권력에 대한 저항의 출발점을 명료히 하고, 사회적 역할과는 구별되는 자아의 존재양식을 이론적, 실천적 개입 지점으로 부각시킨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존재양식들 간의 헤게모니 투쟁을 고려하지 않는 한계가 있음을 지적한다. 결론적으로 인간 삶의 조건을 근본적으로 의심, 도전하는 푸코 식의 비판보다 그러한 도전을 진지하게 고려하면서도, 대안적인 문화 및 사회조직을 만들어가는 작업이 보다 가치 있음을 주장한다.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study of late Foucault on subjectivity, focusing on the question of power and resistance.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ualization of subject’s “relation to the self.” By this concept, Foucault could elucidate the subjectivity dimension that is not reduced to the dimension of discourse or power and explain the freedom exercised by the individual in relation to power. It also discusses the implication of late Foucault’s resistance model, that is “critique on the presence”, “ethical distance”, “aesthetics of the existence” and “scandals of the truth”. It is argued that the resistance model leads us to discover the importance of critical reflection on historical modes of existence as the starting point of resistance but has a limitation of neglecting hegemony struggles between the modes. In conclusion, it proposes that an endeavor to make an alternative culture or new social organization is more important than Foucauldian skepticism and challenge on historical conditions of life.

      • 초창기 게임 소개 기사의 담론 구조: 게임 긍정 담론으로서 가능성과 한계

        이범준 ( Lee¸ Bumjun ),김옥태 ( Kim¸ Ock Tae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23 통합인문학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컴퓨터 게임이 소개되기 시작했던 1994년부터 1996년 사이 국내의 대표적인 5개 신문에 등장한 게임 소개 기사를 게임 소개 보도기사, 게임 칼럼 그리고 게임정보기사의 세 가지 하위유형으로 규정하고 그 담론구조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창기 게임 소개 기사들은 게임 이용과 정보화 사이의 밀접한 관련성을 보여주는 담론 구성요소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유형의 게임 소개 기사들은 게임 이용자들이 어떻게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이용법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당시의 게임관련 기사의 담론이 부정적 영향만 부각한 것이 아니라 게임을 긍정적인 면도 강조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structure of game introduction articles, game columns, and game introduction articles in five representative domestic newspapers from 1994 to 1996, when computer games were introduced in Kore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arly game introduction articles had a discourse component show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game use and informatiz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ertain types of game introductory articles provided specific how-to information about how players could play the gam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discourse of game-related articles at the time not only highlighted the negative effects, but also emphasized the positive aspects of games.

      • KCI등재
      • 지속가능사회문화의 개념 정립과 발전 방향 제안

        이혜주(Hyejoo Lee),최은희(Eunheui Choi),이범준(Bumjune Lee) 지속가능과학회 2013 지속가능연구 Vol.4 No.1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난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전지구촌적 노력으로, 물질적 성장중심주의에서 환경, 사회 및 경제가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중심의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지속가능발전 전략의 일환으로 문화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지만 발전과 문화에 대한 체계적 인식은 부족한 편이다. 이데 본 연구는 기존 문화연구의 검토를 통해 지속가능 발전과 문화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가 지속가능발전에 있어 환경, 경제, 사회 등 제 부분 간의 선순환을 돕고 각 부문들이 원활하게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윤활유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theoretic approach to a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ulture through reviewing advanced cultural studies. It is proved that socio-culture plays an important rol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lubricating or connecting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al pillars. Therefore, culture should become an infrastructure of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