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 센티멘탈 이데올로기 ; "이광수"라는 과제: 근대적 읽기 관습의 창출과 계도적 미학의 길 -이광수의 문학론과 『무정』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이만영 ( Man Young Le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8 No.-

        본 논문은 『무정』을 통해서 이광수가 창출하고자 했던 근대적 읽기의 관습이 무엇이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문학이 작가에서 독자로 이어지는 감성의 흐름을 다루는 것이라고 할 때, 『무정』 역시 이광수 자신이 가졌던 문학관을 당대 독자들에게 전이시키기 위해 기획된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이 작품에서 ‘형식’과 ‘영채’가 경험하는 읽기 관습의 변모 과정은 이광수 본인이 생각했던 근대적 독자의 창출과도 깊은 연관관계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 『무정』을 문제적인 텍스트로 간주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문학의 가치」(1910)에서 「문학이란 하오」(1916)에 이르기까지 이광수 본인이 주창했던 ‘정(情)의 문학’을 본격적으로 시현했던 텍스트가 다름 아닌 『무정』이었기 때문이다. 둘째, 이 작품이 기존의 읽기 관습을 탈피함과 동시에 근대적 읽기 관습을 창출하고자 하는 이광수 자신의 의도를 농후하게 드러내고 있는 텍스트이기 때문이다. 첫 번째의 이유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무정』이 탄생하게 된 문학사적 지평을 개괄하는 작업에서부터 출발하고자 한다. 주지하다시피 『무정』은 신소설과 번안소설이 길항/경합하던 문학사적 지평 위에서 탄생한 작품이다. 그러한 지평위에서 이광수는 신소설 작가와 번안소설의 작가들의 문학론을 갱신하면서, ‘정’을 강조하는 문학론을 주창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문학의 가치」와 「문학이란하오」라는 두 평문을 중심으로 이광수가 주창했던 ‘정’의 문학이 무엇인지 개괄함으로써, 『무정』에 투영된 ‘정’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상기한 두 번째의 이유와 관련하여 이광수의 문학론이 『무정』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무정』에 드러난 ‘읽기’의 관습에 대해 논의한다. 『무정』에서 형식과 영채는 종종 그간 읽어왔던 텍스트들을 다시 읽거나 상기함으로써 자기 각성을 시도·완성한다. 형식이 앎을 지향했던 독서 행위에 대해 반성했다면, 영채는 도덕을 지향했던 독서 행위에 대해 반성했다. 이는 인간의 정신을 지(知)·정(情)·의(意)로 분화하여 설명하고자 했던 ?문학이란 하오?의 논법과 무관하지 않다. 다시 말해 이들이 기왕의 독서 관습을 반성하는 것은 결국 문학이 학문[知]과 종교[善]의 영역으로부터 독립되어야만 한다는 이광수의 문학론을 고스란히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무정』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를 논의한다. 이광수가 말하는 정은 단순히 연애의 감성만을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정은 개인의 차원을 넘어서서 인류의 차원에까지 확장될수 있는 개념이며, 문학은 그러한 인류의 정을 발육시키는 통로로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무정』에서 나타나는 연애의 감정을 인류애의 층위로까지 끌어올린 작품이라고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modern habit of reading which Lee Gwang-su tried to create through 『Moojeong』. When literature deals with the flow of sensibility from the author to readers, 『Moojeong』 is also a text that he planned to spread his own value about literature to readers of the day. Indeed, in this novel,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the change of reading habit that ``Hyeong-sik`` and ``Yeong-chae`` went through and his conception about the creation of modern readers. There are two reasons why 『Moojeong』 is considered problematic. First, 『Moojeong』 is the text where he has realized the ``literature of Jeong(情),`` which he had advocated from 「The Value of Literature」(1910) to 「What is Literature」(1916). Second, it is a text where has been revealed his intention of a creation of modern habit of reading as well as discard of the old one. Related to the first reason, this study starts from summery of literary background of 『Moojeong』. As is generally known, it was written on the background of antagonism and rivalry among korean nouveau roman and adapted novels. Lee Gwang-su suggests a literary theory of ``Jeong`` while renewing that of those novels. This study is to grasp the nature of ``Jeong`` reflected in 『Moojeong』, summarizing the literature of ``Jeong`` in 「The Value of Literature」and 「What is Literature」. As to the second reason, this study looks into how his literary theory is reflected in 『Moojeong』. First, ``Reading`` habit implied in 『Moojeong』 will be discussed for this. Hyeong-sik and Yeong-chae try and complete their self-awakening through re-reading or reminding of texts already read. Hyeong-sik reflects his knowledge-oriented reading, while Yeong-chae reflects her morality-oriented reading. This is not irrelevant to the argument of 「What is Literature」which explains human mind as 知(intelligence)·情(emotion)·意 (volition). In other words, their reflection for their reading implies the author`s literary theory that literature should be independent of knowledge[知, intelligence] and religion[善, the good]. Second, discussion on the meaning of love in 『Moojeong』. ``Jeong`` of Lee Gwang-su is not only affection. Rather it is a concept extended to mankind level beyond individual level, and literature should function as a developer of humanity. In this context, it is appreciated that this work evolved affection into humanity.

      • KCI등재
      • KCI등재

        보편에 이르는 길

        이만영 ( Man Young Lee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6

        본 연구는 최재서가 작성한 평문을 통시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의 국민문학론이 어떻게 형성되어왔는지 추적해보고자 한다. 『국민문학』에서의 활동 이전과 이후의 비평 의식을 매개할 때라야 비로소 최재서는 하나의 연속적 실체로 간주될 수 있다고 판단되기에, 본 연구에서는 1930년대에 개진된 최재서의 비평 체계 속에서 국민문학론의 맹아를 추출하고 이를 최재서의 국민문학론과 접맥시키는 데 주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최재서가 엘리엇(T. S. Eliot)의 ‘전통’과 ‘몰개성’이라는 개념을 자신의 비평 속에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했는지 검토한다. 최재서는 동시대적인 질서 관념을 내세우기 위해 전통 개념을 활용한 바 있는데, 여기서의 동시대적인 질서는 특수한 개별 문학이 보편적인 세계 문학과 교섭할 수 있는 질서를 의미한다. 최재서는 이러한 전통 개념을 작가가 마땅히 가져야 할 모럴로 간주하면서, 한 작가의 개별성이나 지역 문학의 특수성은 궁극적으로 세계 문학의 보편적 윤리들을 담지 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몰개성’이라는 엘리엇의 비평적 개념과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최재서는 엘리엇의 몰개성론을 참조하여 개성에 얽매인 ‘소아(小我)’적 글쓰기를 배제하고 전통에 의거한 ‘대아(大我)’적 글쓰기를 지향해야 한다고 단언한다. 이러한 그의 관점은 결국 개성을 억압하는 통제가 필요하다는 논리로 귀결되는데, 그 논리는 1940년대 『국민문학』을 통해 개진했던 전체주의적 논리와 동궤를 이루고 있다. 최재서의 논의는 개성보다는 전통을, 지역문학의 특수성보다는 세계문학의 보편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던 바, 거기에서 중요하게 부각되는 것이 ‘코스모폴리탄(cosmopolitan)’ 이념이라 할 수 있다. 최재서는 조선적 특수성보다 서구적 보편성을 강조하면서, 작가에게 필요한 모럴은 문명의 중추인 유럽 대도시의 문화와 접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서구 중심적인 코스모폴리탄 이념은 1940년 6월에 일어났던 ‘파리 함락’을 기점으로 커다란 변화를 맞게 된다. ‘파리 함락’은 보편성의 표본이라 할 수 있는 서구의 몰락을 확인하는 일대 사건이었기에, 최재서는 코스모폴리탄 이념을 강조했던 기존의 비평적 논리를 수정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그는 서구를 대체할 만한 보편성의 표상을 일본으로 설정하기에 이른다. 엘리엇의 이론을 참조하여 개성보다는 전통을 강조하고 개별적인 지역문학보다는 보편적인 세계문학의 모럴을 강조했던 그가, ‘파리 함락’ 이후 일본 중심의 보편성을 강조하게 되면서 이른 바 국민문학론을 주창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따라서 최재서의 비평을 통시적인 흐름으로 바라본다면, 그의 비평논리는 엘리엇의 전통론과 몰개성론에서 출발하여 대동아공영권을 인정하는 국민문학론으로 귀결됨으로써 결국 논리의 파탄을 맞이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pursuing how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of Choi, Jae-Seo has been composed by reviewing the criticism of Choi, Jae-Seo. Choi, Jae-Seo can be considered as one continuous entity only when the critique 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in『National Literature』is mediated mutually, so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will concentrate the efforts on extracting the sprouts of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in the criticism system of Choi, Jae-Seo set forth in 1930s and grafting them in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of Choi, Jae-Seo. For this, we should review in what manner Choi, Jae-Seo utilized the concepts of ``tradition`` and ``impersonality`` suggested by T. S. Eliot in the criticism of his own in the first place. Choi, Jae-Seo says that the tradition should also include the idea of contemporary order, which means the order that a special individual literature can negotiate with the universal world literature. Choi, Jae-Seo regarded the concept of tradition like this as the moral which a writer ought to have, and asserted that the personality of a writer or the speciality of local literature should contain the universal ethics of world literature ultimately. The recognition like this is organically connected with the critical concept of ``impersonality`` suggested by T. S. Eliot. Referring to ``impersonality theory`` suggested by T. S. Eliot, Choi, Jae-Seo asserts that a writer should aim at the writing based on ``larger self``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 to the exclusion of ever writing based on ‘smaller self’ constrained by personality. After all, his viewpoint like this results in the logic that the control to oppress the personality is required, and this logic forms the same track as totalitarian logic stated through『National Literature』in 1940s. The discussion of Choi, Jae-Seo is progressed toward the direction that the tradition rather than personality is emphasized and the universality of world literature rather than the speciality of local literature is emphasized, and it can be said that what is highlighted here is the ``cosmopolitan`` ideology. Laying emphasis on the universality of the West rather than the speciality of Joseon, Choi, Jae-Seo says that the moral required for a writer can be formed by contacting the culture of big cities in Europe, the backbone of civilization. However, the cosmopolitan ideology like this centering on the West encounters a big change starting from the ``Fall of Paris`` that occurred in June, 1940. Because the ``Fall of Paris`` was one of big incidents confirming the decline of the West which was regarded as a model of universality, Choi, Jae-Seo had nothing but to modify the existing critical logic which emphasized the cosmopolitan ideology. In the end, he came to establish Japan as the representation of universality to replace the West. Although having emphasized the tradition rather than personality, and the moral of world literature rather than individual local literature after referring to the theory of T. S. Eliot, he came to advocate the so-called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as he emphasized the universality centering on Japan after the ``Fall of Paris`` in 1940. Therefore, investigating the criticism of Choi, Jae-Seo through a flow penetrating the ages, the logic of his criticism started from the tradition theory and impersonality theory suggested by T. S. Eliot and resulted in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accepting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 KCI등재후보

        조영 경식도 심초음파에 의한 난원공개존 유병율 및 임상적 의의

        이만영(Man Young Lee),전두수(Doo Soo Jeon),전승석(Seung Suk Cheon),이길환(Gil Hwan Lee),강동헌(Dong Heon Gang),김철민(Chul Min Kim),채장성(Jang Seong Chae),박인수(In Soo Park),홍순조(Soon Jo Hong),최규보(Kyu Bo Choi) 대한내과학회 1994 대한내과학회지 Vol.47 No.2

        N/A Objectives: Most of patients with patent formen ovale have normal intracardiac pressure and no other abnormality during their life. But because of the high prevalence of clinically latent venous thrombosis, paradoxical embolism through a patent foramen ovale may occur. Although this is a rare complication, the result can be devastating. Previously, contrast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was used to demonstrate patent foramen ovale but the prevalence rate was less than the expected one based on autopsy in general population. These low detection rates have discouraged the use of contrast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to diagnose patent foramen ovale. But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provides larger tomographic field and more clear views around the interatrial septum than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We tri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patent foramen ovale and its role as a possible cause of paradoxical embolism in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Methods: Contrast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ic examinations with indocyanine green were performed in 426 patients including 32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The prescence of the patent forancen ovale was confirmed by demonstrating echogenic contrast crossing the interatrial septum. Result: 1) Contrast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is a useful technique to evalute right to left shunt, 2) Patent foramen ovale was demonstrated in 73 of 426 patients and 6 of 32 two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showed pakent formen ovale. But patent formen ovale was thought to be a cause of paradoxical embolism only in 3 patients without accompanying cardiovascular disease or risk factors. 3) The prevalence of patent foramen ovale increased progressively with increasing age. 4) There are no serious complications during and after contrast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Conclussion: Contrast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is a safe, and reliable technique for evaluating interatrial shunt provoked with cough or Valsalva maneuver. This technique should be considered in cerebrovascualr disease patients without known risk factors to evaluate the possible paradoxical embolis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