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결과 활용도 개선 방안

        이두헌,박재우,Lee, Du-Heon,Park, Jae-W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3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4 No.6

        건설공사 사후평가 제도는 공공건설사업 수행결과를 반영하여 향후 유사한 공공건설사업의 계획 수립 시 활용되어져야 하나, 현행 제도는 당초 기획 계획 당시에 추정한 수요, B/C비율, 공사비, 공사기간 등 예측치와 건설공사 완공후 일정기간(3년 내지 5년) 경과후에 측정한 실제 결과치를 단순히 비교하여 제시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또한 대부분 공공발주기관에서는 수동적인 사후평가 업무수행에 그치고 있어 제대로 환류가 이루어지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발주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건설공사 사후평가 제도의 수행현황을 파악하였으며, 국내 사후평가 제도와 유사한 미국과 일본의 건설사업 평가체계를 벤치마킹하였다. 또한, 건설공사 사후평가 제도와 관련된 국토부 실무담당자와의 수차례 업무회의를 실시하여 사후평가 수행의 적시성 확보 및 활용성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건설공사 사후평가 제도 개선을 통해 건설사업 수행과정에서의 목표 및 성과에 대한 확인 점검 분석 체계를 내실화하고, 건설공사 특성별로 평가내용 및 방법을 차등화함으로써 발주청의 사후평가 수행에 대한 실천력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Post-evaluation system reflects the results of performing a public construction project in the future simila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to be utilized in the planning. However, the current system simply compares the expected values, such as demand, B/C ratio, cost of construction, construction period, with the actual values after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In addition, most public owner does not actively conduct the post-construction evaluation tasks, so that the evaluation results has not been returned to early stage of a construction project. In this study, status of the post-construction evaluation system is investigated by a survey of the public owner and the construction project evaluation system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as analyzed. This paper presents the improvement scheme of utilization of the results of the post-construction evaluation system. Through improving the post-construction evaluation system, it is expected that public agencies would easily utilize the post-construction evaluation.

      • KCI등재

        국내 유닛 모듈러(Unit Modular) 주택생산시스템 적용을 위한 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

        이두헌,김균태,Lee, Du-Heon,Kim, Kyoon-Tai 한국건설관리학회 2013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4 No.5

        정부에서는 국가정책 아젠다인 '저탄소 녹색성장'을 실현시키기 위한 노력들을 전산업부문에 걸쳐 진행하고 있다. 건설산업 부문도 예외가 아니어서 에너지 및 온실가스 배출저감을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건축물은 국가 총에너지소비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주거건물의 에너지 효율화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저감은 국가적으로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주택전세난으로 서민들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어, 시장수요에 능동적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주택생산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적이고 시공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국내 유닛 모듈러 주택생산체계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함으로써 유닛 모듈러 주택의 활성화 기반을 위한 제시하고자 한다. The government has made a lot of efforts to realize 'low-carbon green growth', one of the national policy agendas, throughout the whole industries. The construction sector is not an exception,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are active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 In particular, buildings occupy more than 20% of the total national energy consumptions. Thus, it can be said that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of the residential buildings and reducing CO2 emission are the urgent national agenda. Moreover, as ordinary people find it more and more difficult to get a lease on housing, which has become an important social issue recently, a housing production system that can actively respond to market demands is in urgent need. To build an eco-friendly system that can maximize efficiency in construction,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and analyze the modular housing production system in the county and to find its problems. By suggesting the ways to improve the system, it aims to prepare for the base to revitalize the unit modular housing production system.

      • KCI등재

        공공건설사업 기술정책 인식도 분석

        이두헌,이교선,박희성,Lee, Du-Heon,Lee, Kyo-Sun,Park, Hee-Su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7 No.3

        정부는 1990년대 후반 국내 공공건설사업의 효율성 저하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1999년 공공건설사업 효율화 종합대책을 수립하였다. 종합대책에 포함된 52개 대책 관련 제도는 1999년부터 2001년 사이에 모두 개선되었다. 그리고 2001년 정부는 본 대책의 정량적(사업비 절감 등)인 성과분석은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정량적인 분석보다 선행되어야 할 관련대책이나 규정의 효용성 및 활용정도에 대한분석은 수행된 사례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공건설사업의 전체를 포괄하는 종합대책의 인식도, 실무활용도, 효율성, 만족도를 건설 산업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나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부 대책은 당초 기대했던 효과보다 실적이 미미하거나, 후속대책 마련 등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장에서 유명무실화된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범정부차원에서 추진되어 온 공공건설사업 효율화 종합대책에 대한 성과를 전반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향후 유사한 대책 수립 시 더 효율적인 공공건설사업 수행이 가능하도록 그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MOCT) announced the General Policy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the Policy) in 1999. Fifty two regulations were amended to embody the Policy between 1999 to 2001 Then MOCT performed the analysis to show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of the Policy. However, there has been no effort to evaluate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Policy so far. Therefore, this paper was initiated to perform the survey on industry's perceptions, implementation degre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Policy. The result shows that most policies were implement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ut some policies were little adopte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o update the Polic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o effectively implement public sector projects.

      • KCI등재

        토공측량 자동화 기술의 적용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이두헌(Du-Heon Lee),박재우(Jae-Woo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6

        본 연구는 무인항공기, 레이저스캐너 등 최신의 기술을 활용하여 3차원 지형 분석 플랫폼 개발 등 토공현장을 디지털화하여 궁극적으로 토공 자동화를 이루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요소기술 개발과 함께 국내 건설공사의 특성에 맞게 기술이 적용 ·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도화가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의 무인항공기 및 레이저스캐너를 활용한 토공측량 자동화 기술은 시범사업을 통해 토공작업 계획, 현장관리 등의 기본 정보가 되는 지형의 좌표, 토질, 시추, 토공량, 성·절토 여부 등의 정보가 원활하게 취득될 수 있도록 하는 활용성 검토가 이루어졌다. 또한, 토공자동화에 대한 기술개발 및 활용에 있어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일본에서의 토공자동화에 대한 기준, 매뉴얼 등 제도 개선 추진현황 및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벤치마킹하여 국내 관련 제도의 개선안을 마련하였다. 향후 금번 제시한 「공공측량 작업규정」 개선을 포함하여 건설사업 초기단계부터 시공완료 단계까지 해당 기술 적용에 요구되어지는 관련 제도 내용을 파악하여 구체적인 제도화를 추진할 계획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igitalization of earthwork such as development of 3D terrain analysis platform using latest technologies includ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errestrial laser scanner to ultimately achieve earthwork autom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lated element technologies and to establish regulations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domestic construction projects. As a result of pilot project about the earthwork surveying automation technology, it was confirmed that information such as terrain coordinates, soil, boring, and excavation volume is acquired smoothl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related regulations and manuals in Japan and propose the improvement plan of domestic regulation. We plan to study regulations from early to final construction stage, combine with the ‘regulation for public surveying’, and improve the regulations in det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