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교사 컨설테이션에서 컨설턴트의 대인영향: 대인권력기반 이론의 적용과 시사점

        이동형 ( Lee Donghyu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교사교육연구 Vol.55 No.4

        교사 컨설테이션은 복잡한 교육적·심리적 문제를 지닌 학생을 지도하는 일반교사(컨설티)를 상담교사, 특수교사, 심리전문가 등의 교육 및 정신건강 전문가(컨설턴트)가 체계적,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컨설턴트의 적절한 대인영향은 컨설테이션의 성과와 직결되는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교사 컨설테이션에서 이러한 대인영향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분석과 이해를 돕기 위한 이론적 틀로서 대인권력기반 이론을 소개하고 이를 교사 컨설테이션 상황에 적용한 국외의 대표적인 연구문헌들을 개관함으로써 이 이론의 유용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이 이론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권력기반이 `과정전문가`로서의 컨설턴트의 역할과 역량개발에 시사하는 점을 도출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교사 컨설테이션에서 나타나는 컨설턴트의 대인영향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가 거의 없는 국내의 실정에서, 본 연구는 대인권력기반 이론이 컨설테이션에서 나타나는 대인영향의 본질을 이해하고, 컨설턴트의 효과적인 대인영향 전략을 개발하는데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교사 컨설테이션에 대한 국내 연구와 실천에 유용한 지식 기반을 제공한다. 이러한 의의와 함께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고 논의하였다. Teacher consultation is a process of providing psychoeducational services by consultants, such as school counselors, school psychologists, and othe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for teachers(consultees) who interact routinely with the students and must deal with a variety of their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roblems. As the consultant`s social influences on the teachers during consultative interactions have been found directly linked to consultation outcomes, this article selectively reviewed research literature includ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that have applied the Bases of Social Power Theory to teacher consultation and examined its usefulness. Further, this study derived implications for consultation practitioners in terms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kills and competences as “process experts”. Given that research on interpersonal influences and processes within teacher consultation is still scarce in Korea, this article calls for more attention on this topic among Korean researchers and provides practicing school-based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ith useful knowledge bases to understand their roles and functions as related to teacher consultation service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provided.

      • KCI등재

        괴롭힘 가해-피해 남자 중학생의 사회·정서적 기능: 가해 및 피해 집단과의 비교

        이동형(Lee, Donghyung),한정규(Han, Jeong-Gyu)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4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괴롭힘 가해와 피해를 모두 경험한 남자 중학생들이 다양한 사회·정서적 기능 면에서 가해 혹은 피해만 경험한 남자 중학생들과 차이를 보이는지, 차이를 보인다면 양적 차이를 보이는지, 아니면 질적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 남자 중학생 336명을 대상으로 Olweus 괴롭힘 질문지를 실시하여 4가지 괴롭힘 경험유형(가해, 피해, 가해-피해, 무경험) 집단을 구분한 후, 가해-피해 집단이 가해 집단 및 피해 집단에 비해 지난 2∼3개월 동안 힘의 불균형, 의도성, 지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괴롭힘 가해 및 피해경험을 유의하게 더 많이 경험하였는지, 사회적 위축(수줍음, 비사교성, 회피)과 사회적 고립을 포함한 사회적 기능 및 사회불안, 우울, 외로움(가족, 친구, 공동체 관계)을 포함한 정서적 기능에 있어서 양적 혹은 질적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가해-피해 중학생들은 가해 혹은 피해 중학생들에 비해 일부 형태의 괴롭힘을 보다 자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다양한 사회·정서적 기능 면에서는 유의한 양적 혹은 질적 차이의 증거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에서도 괴롭힘 가해-피해 집단을 고유하게 예측하는 사회·정서적 기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질적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가해-피해 청소년들이 가해 혹은 피해 청소년들과 질적으로 구분되는 독특한 집단이라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며, 힘의 불균형에 의해 결정되는 괴롭힘 경험의 역동적 측면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bully-victims represent a unique subgroup that is qualitatively or quantitatively different from bullies or victims in terms of their social and emotional functions (SEFs). Method: Participants were 336 adolescent boys from 7 middles schools who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Olweus Bullying Questionnaire and were categorized into one of 4 bullying subgroups (i.e., bullies, victims, bully-victims, no involvement). This study examined if bully-victims, compared to bullies and victims, had experienced various forms of bulling and victimization, characterized by power imbalance, intentionality, and repeatedness, more frequently over the last 2-3 months and demonstrated more problems in various social (i.e., shyness, unsociability, avoidance, and isolation) and emotional (i.e., social anxiety, depression, loneliness) functioning. Results: MANOVAs indicated that bully-victim adolescents had experienced certain forms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more frequently but did not exhibited any evidence of qualitative or quantitative differences in terms of various SEFs. Further, the qualitative difference was not evidenced either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s there were no significant SEFs that uniquely predicted bully-victims. Conclusion: Our findings did not support the argument that bully-victim adolescents consist of an unique and qualitatively different subgroup, but rather implicated that their SEFs may be compromised by their relative power status in bulling dynamics. Other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were fully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수줍음이 외로움 및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성실성과 성별의 조절된 조절효과

        이유미(Lee, Yumi),이동형(Lee, Donghyung),정경수(Jung, Kyungsoo)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청소년의 수줍음과 외로움 및 안녕감, 성실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수줍음과 외로움 및 안녕감의 관계에서 성실성과 성별의 조절된 조절효과 모형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한 광역시에 소재한 4개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 82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줍음, 외로움, 안녕감, 성실성에 대한 측정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1.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Version 3.4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t검증 및 조절된 조절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상관분석 결과에 의하면, 청소년의 수줍음은 외로움과 정적 상관, 안녕감과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성실성은 외로움과 부적 상관, 안녕감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성차는 안녕감에서만 유의하였으며 남자청소년이 더 높았다. 조절된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줍음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성실성과 성별에 의한 조절된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수줍음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성실성과 성별에 의한 조절된 조절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남자 청소년의 경우, 수줍음이 외로움에 미치는 정적 영향과 안녕감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성실성이 완충하였으나, 여자 청소년의 경우에는 이러한 양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가 수줍은 청소년의 이해, 교육 및 지원을 위해 시사하는 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hyness, loneliness, well-being, and conscientiousness in adolescents, and to examine whether conscientiousness and gender play a moderated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hyness and loneliness, and between shyness and well-being. Method: For this purpose, self-reported measures of our study variables were obtained from 823 high school students in a metropolitan city in Korea, and SPSS 21.0 and Process Macro 3.4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hyn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oneliness,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well-being. Inversely, conscientiousn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oneliness,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ell-being. Second, gender difference was significant only in well-being. Third,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by conscientiousness and gender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hyness and loneliness, and between shyness and well-being. Specifically, only for male adolescents, conscientiousness buffered the positive effect of shyness on loneliness and the negative effect of shyness on well-being. Conclusion: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 understanding, education, and support of shy adolescents were discussed an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provided.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발달 궤적: 잠재계층 분류 및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와 친구지지의 영향 검증

        정주미(Jung, Jumi),이동형(Lee, Donghy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발달궤적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친구지지 및 상호작용이 잠재계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가족아동 · 청소년패널조사(MCAPS) 데이터 중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5개년 자료를 활용하여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잠재성장모형 분석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전반적인 사회적 위축 발달궤적은 선형적으로 완만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해 사회적 위축의 발달궤적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한 결과, ‘높은-감소’(2.64%), ‘낮은-증가’(71.5%), ‘낮은-감소’(11.56%), ‘높은-증가’(14.3%)의 4개 잠재계층으로 분류되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부모의 방임적 양육 태도와 친구지지 및 상호작용이 잠재계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은 초기에 낮은 수준의 사회적 위축을 보이는 계층들보다는 초기 사회적 위축 수준이 매우 높은 수준을 보이다가 감소하는 계층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친구지지가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보다 긍정적인 발달궤적을 따라 발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친구지지는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사회적 위축 발달궤적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발달궤적에 관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하였으며, 다문화청소년의 이해와 중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which exist in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social withdraw(SW) amongst multicultural youth, and test the impact of neglectful parenting(NP), supportive friendships(SF), and their interactions on these latent classes. We analyzed the 5-year longitudinal data from 5th through 9th grades, which is part of the MCAPS data collected by the KYPI since 2011. The results from our latent growth modeling demonstrated an overall linear pattern of slow and steady increment of SW over time, but with indications of heterogeneity within the group. Growth mixture modeling identified 4 distinctive trajectories.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NP was, the higher was the likelihood that adolescents belonged to the high-increasing rather than either the low-increasing or low-decreasing trajectories. The higher the SF was,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following a relatively more positive trajectory. Moreover,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were found that suggest that SF appeared to buffer the negative impact of NP on SW trajectories.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for understanding and intervening with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의 또래동조성과 괴롭힘 주변인 역할행동의 관계에서 지각된 학급규준의 조절효과

        정상호(Sangho Jeong),이동형(Donghyung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의 중립적 및 반사회적 또래동조성과 괴롭힘 주변인 역할행동(가해동조, 방관, 방어)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지각된 학급규준이 이러한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중학생 369명을 대상으로, 또래동조성, 괴롭힘 주변인 역할행동, 지각된 학급규준을 자기보고식 측정도구를 통해 측정하고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또래동조성의 하위유형에 따라 괴롭힘 주변인 역할행동 간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중립적 또래동조성은 방어행동과 부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반사회적 또래동조성은 가해동조행동 및 방관행동과는 정적 상관을, 방어행동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지각된 학급규준은 중립적 또래동조성과 방어행동 간의 관계, 그리고 반사회적 또래동조성과 방관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립적 또래동조성이 낮은 학생들의 경우 학급규준이 괴롭힘에 대해 비허용적이라고 지각할수록 방어행동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중립적 또래동조성이 높은 경우는 이러한 증가가 미미하였다. 또한 반사회적 또래동조성이 낮은 경우에는 학급규준이 괴롭힘에 대해 허용적이라고 지각하더라도 방관행동의 증가가 작은 반면, 반사회적 또래동조성이 높은 경우에는 방관행동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가 학교현장의 포괄적인 괴롭힘 예방과 개입 노력에 시사하는 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of two types of peer conformity(PC; i.e., neutral and antisocial) and bystander role behaviors in bullying(BRBB; i.e., “reinforcing”, “being outsider”, and “defending”) and test the moderating roles of perceived class norms(PCN) between PC and BRBB. Participants were 369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wo middle schools in Korea and were administered self-report measures of PC, BRBB, and PCN.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procedures such as correlational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lations between PC and BRBB were different across types of PC and specific BRBB: While neutral PC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fending behaviors, antisocial PC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inforcing and being outsider behavior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fending behaviors. Further, results revealed that PCN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neutral PC and defending behaviors and the relation between antisocial PC and being outsider behaviors. Specifically, low neutral PC students, compared to high counterparts, had a higher increase in defending behaviors as their PCN was against bullying. While low antisocial PC students had only a slight increase in being outsider behaviors as their PCN was not against bullying, high antisocial PC students had a marked increase in such behavior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comprehensive bully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efforts were provided an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하위유형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지각된 학교풍토의 조절효과

        강수현(Suhyeon Kang),이동형(Donghyung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하위유형(수줍음형 위축, 비사교형 위축, 절제형 위축)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를 지각된 학교풍토가 조절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광역시와 U광역시, G도에 소재한 6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734명을 대상으로 연구 변인들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단순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수줍음형 위축과 비사교형 위축은 초기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반면 절제형 위축은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며, 학교풍토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또한 지각된 학교풍토는 수줍음형 및 비사교형 위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교풍토를 긍정적으로 지각할 때 수줍음형 및 비사교형 위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줄어들었다. 즉, 수줍음형 및 비사교형 위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학교풍토가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기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의 사회적 동기를 고려한 하위유형뿐 아니라 학교풍토와 같은 맥락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이해할 수 있으며, 특히 수줍음형 및 비사교형 위축의 특성을 지닌 초기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학교풍토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social withdrawal subtypes (i.e., shyness, unsociability, and regulated withdrawal)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arly adolescents, and to examine whether perceived school climate moderates these relation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elf-report survey that measured research variables with 734 4<SUP>th</SUP> and 5<SUP>th</SUP> graders from 6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 and U metropolitan cities and G province. Findings from simple correlational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both shyness and unsociability withdrawal predicted negatively subjective well-being of early adolescents, whereas regulated withdrawal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Moreover, perceived school climate was found to moderate the effects of shyness and unsociability on subjective well-being. Specifically, when school climate was perceived positively, the negative effects of shy and unsociable withdrawal on subjective well-being was reduced.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perceived school climate plays a buffering role in the relations of shyness and unsociability to subjective well-being.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implications of social withdrawal in early adolescence for well-being should be addressed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contexts such as school climate as well as its subtypes. In particular, highe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roles of positive school climate in order to enhance the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Fur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everal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비사교성과 정서적 부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성별과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의 조절효과

        신지연(Shin, Jiyeon),이동형(Lee, Donghyung),이유미(Lee, Yumi)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청소년의 비사교성 및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정서적 부적응의 지표들(사회불안, 우울, 외로움)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를 성별과 자기결정적 고독동기가 조절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한 광역시에 소재한 4개 고등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 816명을 대상으로 연구 변인들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비사교성,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성별의 삼원상호작용 또는 이원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남학생의 자기결정적 고독동기가 높을 때, 비사교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었으나 여학생의 경우 이러한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우울, 외로움, 심리적 안녕감의 경우, 성별과 상관없이 자기결정적 고독동기는 비사교성과 이러한 변인들 각각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후기 비사교성의 기능적 함의가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같은 인본주의적 동기를 고려하여 이해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사회적 위축의 한 하위유형으로서 아직 연구가 부족한 비사교성의 역할과 기저 동기를 보다 정교하게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s of gender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for solitude (SDM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unsociability and several indices of emotional maladjustment (EM), including social anxiety, depression, and lonel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W) in Korean adolescents. Method: The self-report measures of unsociability, SDMS, EM, and PW were administered to 816 high school students (aged 15–18 yrs.) in Busan, Korea. Results: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 3-way or 2-way interaction effects of unsociability, SDMS, and gender on indices of EM and PW. Unsociability had a diminished impact on social anxiety when SDMS was higher, but such a pattern was found only for males. For the other indices of EM and PW, SDMS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unsociability and EM and PW. Conclusions: Our findings imply that the meaning and adjustment implications of unsociability in Korean adolescents should be understood in consideration of a humanistic motivation such as SDMS, which calls for a more refined conceptualization of unsociability as a subtype of social withdrawal.

      • KCI등재

        학급단위의 공감기반 독서치료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 및 언어폭력에 미치는 효과

        박소정(Park, So-Jeong),이동형(Lee, Donghyung),박소영(Park, So-Yeo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3

        연구목적: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급단위로 실시 가능한 공감기반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이러한 프로그램이 공감능력과 언어폭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B광역시 소재 H 초등학교의 5학년 4개 학급에 공감능력 및 언어폭력에 관한 사전검사를 실시한 뒤 검사점수와 학급 구성이 가장 유사한 두 학급을 선정하여 한 학급은 실험집단 학급(23명)에,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23명)에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6주간 매회 40분씩 총 18회기의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며, 통제집단은 아무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기자 집단이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는 프로그램 종료 직후(사후시점)와 추후시점(사후검사 후 8주 후)에, 인지적, 정서적, 의사소통적 공감능력 및 언어폭력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6주간의 학급단위의 공감기반 독서치료 적용 후(사후시점), 초등학생의 정서적 및 의사소통적 공감능력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효과가 줄어들기는 하였으나, 프로그램 종료 후 8주가 경과된 시점에서도 여전히 통제집단 학급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반면, 인지적 공감능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또한 초등학생의 언어폭력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효과는 사후시점에서만 유의하였고, 추후시점에서는 통제집단과 더 이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 대상의 공감기반 독서치료가 정서적, 의사소통적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고 언어폭력을 감소시키는 학급차원의 중재로 효과적이라는 증거를 제시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lasswide empathy-based bibliotherapy program on elementary students’ empathic abilities and verbal violence. Method: An 18-session bibliotherapy program was administered to a 5th grade class of 23 students (intervention group) for 6 weeks, while no treatment was given to a wait-list control group. Results: Mixed-design ANOVAs revealed that emotional and communicative empathic abilities of the program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t the end of program completion (post-test) and the follow-up (8 weeks following post-test),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emphatic ability. The verbal violence of the program group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the post-test, but not at the follow-up. Conclusion: Our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the empathy-based bibliotherapy is an effective classwide intervention for increasing emotional and communicative empathic abilities and decreasing verbal violence among elementary students.

      • KCI등재

        남자 중학생의 사회성 기술과 인터넷게임 과몰입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신지연(Shin Jiyeon),이동형(Lee Donghy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敎育問題硏究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중학생의 사회성기술과 인터넷게임 과몰입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의 4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3학년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성 기술, 거부민감성, 인터넷게임 과몰입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게임 과몰입을 측정하기 위해 인터넷게임 중독척도와 더불어 과몰입의 행동적 지표인 게임이용도(하루평균게임접속횟수, 일회접속게임지속시간, 하루평균게임시간)를 추가로 측정하여 사용하였다. 총 455명의 유효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중학교 고학년 남학생들의 거부민감성과 인터넷게임 과몰입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성 기술, 인터넷게임 과몰입, 거부민감성 간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사회성 기술과 인터넷게임 과몰입의 관계를 거부민감성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중독경향뿐 아니라 하루평균게임시간에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남자 중학생들의 인터넷게임 과몰입의 원인을 이해하고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예방교육 및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데 시사하는 점을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kills(SSs) and internet gaming overindulgence(IGO) among middle school boys in the South Korea. Participants were 455 7th through 9th grade boys sampled from 4 middle schools in Busan metropolitan area. They completed a survey containing self-report measures of SSs, internet gaming addiction symptoms, and RS. The IGO was measured by behavioral indexes such as the frequency of daily gaming activity, the latency of each gaming activity and the average time spent in gaming per day, as well as gaming addiction symptoms. Results indicated that upper-grade middle school boys had a higher degree of internet gaming addiction symptoms, a longer gaming time spent, and a higher rejection sensitivity. There were significant bivariate correlations among SSs, RS and IGO. Furthe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rejection sensitiv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Ss and IGO as measured by both addiction symptoms and the average time spent in gaming per day.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for understanding contributing factors to IGO and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 and prevention programs for middle school boys who are at risk of IGO.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