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리산국립공원 해발고도와 식생에 따른번식기 조류군집의 특성

        이도한 ( Do Han Lee ),권혜진 ( Hye Jin Kwon ),송호경 ( Ho Kyung S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2 No.5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의 해발고도와 식생에 따른 번식기 조류군집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를 위하여 고도와 식생에 따라 4개 조사구를 선정하고 2006년 3월부터 8월까지 번식기 조류군집과 서식지환경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지에서 관찰된 조류 종수는 총 32종으로 각 조사구별 관찰 종수 및 밀도는 고도가 낮은 혼효림 조사구에서 27종, 37.31마리/ha, 고도가 낮은 활엽수림 조사구에서 23종, 34.99마리/ha, 고도가 높은 혼효림 조사구에서 18종, 23.95마리/ha, 고도가 높은 활엽수림 조사구에서 19종, 20.21마리/ha이었다.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만 관찰된 종은 11종(멧비둘기, 검은등뻐꾸기, 직박구리, 호랑지빠귀, 붉은머리오목눈이, 숲새, 산솔새, 쇠솔딱새, 큰유리새, 박새, 동박새)이었으며,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만 관찰된 종은 4종(들꿩, 매사촌, 두견이, 흰배멧새)이었다. 조류 종수와 밀도는 고도가 낮은 지역과 혼효림에서 높게 나타났다. 영소길드는 고도가 낮은 지역은 3가지 유형의 종수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고도가 높은 지역은 수관층 영소길드의 종수가 적게 나타났다. 채이길드는 모든 조사구에서 수관층 채이길드의 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별 밀도의 조사구별 차이분석에서 식생에 따른 밀도의 유의적 차를 나타낸 종은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4종으로 그 중 오목눈이와 박새는 수관층의 피도량의 차이, 진박새는 침엽수서식지 선택 특성에 따른 것이었다.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5종은 관목층 수목의 밀생에 따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도에 따른 밀도의 유의적 차를 나타내는 종은 10종으로 벙어리뻐꾸기, 굴뚝새, 쇠유리새, 쇠솔새, 진박새, 노랑턱멧새는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흰배지빠귀, 오목눈이, 곤줄박이, 동고비는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지리산 번식조류군집 분포는 관목층의 밀생과 수관층의 총피도량 차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관목층의 피도량과 수관층의 엽층다양성 및 총피도량 관리 및 유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breeding bird community in relation to altitude and vegetation in Jirisan National Park. The survey was carried over 4 study sites by point counts method to figure out habitat environment and breeding bird community from March to August in 2006.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otal 32 species were recorded, and 27 species and density of 37.31 ea/ha in low altitude mixed forest, 23 species and 34.99 ea/ha in low altitude deciduous forest, 18 species and 23.95 ea/ha in high altitude mixed forest, 19 species and 20.21 ea/ha in high altitude deciduous forest, respectively. Eleven species were observed only in the low altitude sites, 4 species were observed only in the high altitude sites.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were high in the low altitude sites, and they were high in the mixed forests. In nesting guild analysis, the low altitude sites are similarly found species number of three types but canopy nesting species in the high altitude sites are advent less. In foraging guild analysis, the species number of canopy foraging appeared most highly in all study sites. In the difference analysis of each species density, Four species which are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low altitude sites, owing to vegetation. Long-tailed Tit(Aegithalos caudatus) and Great tit(Parus major) are difference because of difference in volume of canopy layer, and Coal Tit(Parus ater) was difference because of coniferous forest preference quality. Four species(Hazel Grouse, Winter Wren, Pale Thrush, Yellow-throated Bunting) which are showed the difference of the density in the high altitude sites because of thick growth of the bush layer. Ten species which are showed the difference in study sites, owing to altitude. Oriental Cuckoo(Cuculus saturatus), Winter Wren(Troglodytes troglodytes), Siberian Blue Robin(Luscinia cyane), Arctic Warbler(Phylloscopus borealis), Coal Tit(Parus ater), and Yellow-throated Bunting(Emberiza elegans) appeared highly in the high altitude sites, Pale Thrush(Turdus pallidus), Long-taild Tit(Aegithalos caudatus), Varied Tit(Parus varius), and Eurasian Nuthatch(Sitta europaea) appeared highly in the low altitude sites. It seems that bush layer coverage volume and canopy layer total coverage volume do influences on the breeding bird community, because the bush layer was thick growth, and canopy layer coverage volume was difference. It would be needed th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bush layer coverage volume and canopy layer with multi-layer structure to increase foliage height diversity and total coverage volume fo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Jirisan National Park.

      • KCI등재

        지리산국립공원의 산림환경에 따른 번식조류의 풍부도

        이도한 ( Do Han Lee ),송호경 ( Ho Kyung S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에서 번식기동안 산림환경에 따른 번식조류들의 풍부도를 조사하여, 번식조류 풍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 조류서식지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를 위하여 주등산로 4개소를 조사지로 선정하고 2007년 4월부터 8월까지 번식조류 및 산림환경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리산국립공원의 고도 300mm부터 1900m에서 번식기동안 관찰된 조류는 총 33종이었으며, 전체 조사지점의 30%이상에서 출현한 13종과 종풍부도, 개체수풍부도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으로 산림환경 인자들 중 조류들의 풍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한 결과 각 종들은 고도의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환경 인자들 중 교목층 12m이상 엽층피도율, 수고, 관목층 엽층피도율, 경사도, 아교목층 4-2m 엽층피도율 등은 고도보다 더 많은 종의 풍부도 변화에 영향력 있는 인자들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지리산국립공원 번식기 조류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해 교목층 12m이상 엽층피도율, 수고, 관목층 엽층피도율, 경사도, 아교목층 4-2m 엽층피도율 등의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bundance of breeding birds in relation to forest environment, to figure out the influential factors in abundance of breeding birds and to get the basic data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bird community in Jirisan National Park.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selected 4 main hiking trails as survey points and conducted a survey on breeding bird species and forest environment from April to August in 2007.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the birds observed during the breeding season was 33 species at the elevation of 300 meters to 1,900 meters. This research made a regression analysis of 13 bird species appearing at more than 30% of all surveyed points, species richness, and richness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As a result of making a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factors, among the forest environment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richness in bird species, each species was found to be less influenced by an elevation. In addition, this analysis revealed that among the forest environment factors, coverage of tree-1 layer(>12m), tree height, coverage of shrub layer(2~0.5m), slope, coverage of subtree-2 layer(4~2m) appeared as more influential ones on the variation of abundance in more species than an elevation itself. That explains why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aintain and manage the coverage of tree-1 layer(>12m), tree height, coverage of shrub layer(2~0.5m), slope, and coverage of subtree-2 layer(4~2m), etc.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bird species in a breeding season at Jirisan National Park.

      • KCI등재
      • KCI등재

        광학 디스크 기록을 위한 Blu-ray Laser Diode의 온도특성 및 기록품질 개선

        이도한,김영길,Lee, Do-Han,Kim, Young-Kil 한국정보통신학회 201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논문에서는 Blu-ray 디스크의 기록을 위한 Laser Diode의 온도특성을 고려한 기록품질의 개선방법에 대해 연구했다. 주변 온도변화에 따라 Blu-ray Laser Diode는 전류-전압 관계로부터 미분저항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미분저항이 저온에서 기록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In this paper, we research the method for write quality improvement by temperature characteristic of Laser diode for optical recording. Differential Resistance of Blu-ray laser diode is changed by temperature. We analyze the effect of the change of the differential resistance in low temperature and propose the method for the write quality improvement.

      • 유역모형을 이용한 유달율 산정

        이현지 ( Hyunji Lee ),강문성 ( Moon Seong Kang ),김계웅 ( Kyeung Kim ),이도길 ( Do Gil Lee ),류정훈 ( Jeong Hoon Ryu ),이한필 ( Han-pil Rhee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수질오염총량관리에서는 유역에서 발생하는 배출부하량이 수계의 특정지점에 도달하기까지의 과정을 유달율을 활용하여 정량화하고 있다. 유달율은 실측자료를 활용하여 산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나, 모든 유역에 대해서 유달율 산정을 위한 수문·수질 계측망을 구성하는 것은 어려우며, 환경변화에 따른 변화 또한 반영하기 어렵기 때문에 유역모형, 통계식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유달율을 산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 상류에 위치한 총량단위 유역을 대상으로 HSPF를 이용하여 유달부하량을 산정하고, 유역의 배출부하량과의 관계를 통해 유달율을 산정하고자 한다. 대상유역은 주천A유역을 선정하였으며, 모형의 입력자료 및 보·검정에 필요한 유량·수질 자료는 물환경정보시스템의 자료와 환경부 전국오염원조사자료를 바탕으로 구축하였다. 유달율은 2015년 기준으로 모의된 유달부하량과 수질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에 따라 산정된 배출부하량을 통해 유량조건별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오염총량관리 계획수립을 위한 유달율 산정 연구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웹 로봇 에이전트의 하이퍼링크 분석기법을 이용한 음란메일 차단 시스템의 구현

        이승만(Seung-Man Lee),정희석(Hui-Sok Jung),한상(Sang Han),송우석(Woo-Seok Song),이도한(Do-Han Lee),홍지영(Ji-Young Hong),반의환(Eui-Hwan Ban),양준영(Joon-Young Yang)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1C

        이메일은 누구나 쉽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편리함 때문에 인터넷에서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순수한 의사소통의 수단이 아닌 스팸메일의 범람은 성인뿐만 아니라, 어린이 · 청소년에게도 무차별적으로 전송됨으로써 심각한 부작용을 낳고 있다. 본 논문은 점차 지능화 되는 신 유형의 음란스팸메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하여 새로운 방법의 음란메일 차단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스팸메일 차단시스템은 사용자가 직접 음란한 메일이라고 판단되는 메일에 대해 일일이 키워드를 설정하거나, 메일 내용 중에 텍스트만을 추출하여 패턴 매칭방법으로 분류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본 논문은 기존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미지 내 Skin-Color분포의 Human Detection 알고리즘과 웹 로봇 에이전트의 하이퍼링크 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성능 측정결과, 형태소 분석과 Human Detection 알고리즘을 병합하여 적용한 경우 성능 측정에서 90% 정도의 F-measure를 보였지만, 추가적으로 웹 로봇에이전트의 하이퍼링크 분석기법을 병합하여 적용한 경우 97% 이상의 F-measure를 보이며, 신뢰성이 높은 음란스팸메일 차단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 유황곡선 작성방법에 따른 유황 값 비교 및 분석

        김계웅 ( Kyeung Kim ),강문성 ( Moon Seong Kang ),이도길 ( Do Gil Lee ),이한필 ( Han-pil Rhee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유황곡선은 하천의 유황 변동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간유량 분석방법(calendar-year method)과 전 자료기간유량 분석방법(total-period method)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분석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1년 365일에 대한 유량에 순위를 부여하고, 특정 지속일수 순위의 유량 값을 자료기간 년 수로 평균하여 산정하는 연간유량 분석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결측 자료가 많아 1년간의 완전한 유량자료를 얻기 어려워 결측된 일부 자료는 수문모형을 통해 보완되기도 한다. 한편, 전 자료기간유량분석방법은 전 기간의 유황을 큰 것부터 순위를 부여하고, 초과확률 백분율에 따라 유황을 산정하기 때문에 일부 기간의 자료가 결측되어도 분석할 수 있으나 국내에서는 사용빈도가 낮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유황곡선을 작성하고, 작성방법에 따른 유황 값을 비교하고자 한다. 유황곡선 작성을 위한 유량자료는 환경부에서 8일 간격으로 측정하는 자료와 국토교통부 수위관측소에서 매일 측정되는 자료, HSPF 모형에 의해 모의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황분석 시 유황곡선 작성방법 선정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유역모형을 이용한 유량조건별 비점배출계수 산정

        김계웅 ( Kyeung Kim ),강문성 ( Moon Seong Kang ),이도길 ( Do Gil Lee ),이현지 ( Hyunji Lee ),전상민 ( Sang Min Jun ),이한필 ( Han-pil Rhee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에서는 비점오염 배출부하량을 산정하기 위해 기준유량 조건에서 비점배출계수를 적용하여 산정하고 있다. 하지만, 비점오염원은 강우특성, 유역특성 등에 따라 배출특성이 상이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일괄적인 계수로 산정된 배출부하량은 이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 상류의 총량 단위유역을 대상으로 HSPF를 이용하여 점/비점배출량을 모의하고, 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에 따라 산정된 배출부하량과 비교하여 유량조건에 따른 비점배출계수를 산정하고자 한다. 모델에 필요한 지형자료는 국토지리정보원의 DEM 자료와 환경부의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구축하였으며, 수문/수질 자료는 물환경정보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자료와 환경부의 전국오염원조사자료를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보정 및 검정을 수행하였으며, 모의된 결과에서 점오염원에 대한 영향을 제외하여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 대한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모의된 비점오염 배출부하량과 기술지침에 따라 산정된 배출부하량을 통해 유량조건별 비점배출계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의 비점배출계수 개선에 있어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