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행 ‘주인공主人空’에 대한 일고찰

        이덕진(Lee, Duck-Jin) 대행선연구원 2018 한마음연구 Vol.1 No.-

        중국을 필두로 한 동아시아 선종사의 중심 주제는 주인공主人公[自性, 自心, 卽心, 佛性, 無位眞人]을 찾는 것이다. 그들의 선법은 사람이 주인 되고, 이 세상이 그 주인 된 사람에 의해 재단되고 운영 되는 인불주의人佛主義를 목적으로 한다. 대행선사의 주인공 사상은 중국 불교지성사의 위대한 성과인 주인공主人公 사상과 그 맥락을 같이한다. 그러나 거기에서 멈추지 않는다. 대행은 전통적인 의미의 주인공主人公을 해체解體하고, 그 자리에 주인공主人空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構築한다. 즉 ‘지금 이 자리의 바로 나’를 강조하기 위해 주인공을 설파하지만, 그 주인공이 실체성이 없음을 강조하기 위해 공公 대신에 공空을 놓는 것이다. 각자覺者 중심의 중국 선종은 선이 최상근기의 놀음이 되면서부터 중생에 대한 배려를 소홀히 하게 된다. 그러나 대행은 중·하근기를 우선시 한다. 대행은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 모두에게 근기와 관계없이 열심히 수행과 정진을 한다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고 차근차근 쉬운 한국말로 가르친다. 대행의 수행법인 관법은 주인공을 믿고, 모든 것을 주인공에게 맡기고, 놓는 방법이다. 자연스럽게 관행을 행하는 단계에 도달하기 전 수행자들이 어려움에 부닥칠 때가 있다. 이럴 때일수록 타력에 의존하기보다는 자력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대행은 가르친다. 대행은 자신의 주인공에게 “해 주십시오.”라는 타력용어로 말을 걸지 말고 “할 수 있다.”는 자력언어를 쓰라고 설파한다. 모든 것을 주인공에 맡기는 대행의 행위는 신앙을 신행으로 전환하는 큰 방편이 된다. 대행에 의하면 보살은 중생에 대한 그의 행위가 공空하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인식하면서도 중생의 구제를 위해 부단하게 허깨비[空] 같은 노력을 지속하는 자이다. 그 결과 중생이 있는 만큼 부처가 있고, 부처가 있는 만큼 중생이 있게 된다. 내가 있기에 부처가 있고 부처의 형상이 내 형상이며 부처의 마음이 내 마음이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행이 표방하는 입전수수入廛垂手는 깨달은 자의 아상我相에 가까운 자의식自意識에서 비롯된 시혜도 구세의식도 아니다. 잘되는 사람을 보면 내 일 같이 기뻐하고 불쌍한 사람을 보면 같이 아파하고 슬픈 사람을 보면 같이 눈물을 짓는 것이 대행의 입전수수이다. 그러기에 대행은 “길거리와 장터에서 뭇 사람과 섞인 채 그들의 고통은 절로 사라지니 이제 내 앞에서는 죽은 나무도 살아나는구나.”고 노래하는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Seon Buddhism of China is to find the Juingong (Main Character, 主人公). The teachings pursue the belief of oneness of people and Buddha where the temples are founded and operated by people who own the world. Ven Daehaeng has agreed to share the principle of Juingong (主人公), which is the great achievement of Buddhism in China. Then Ven Daehaeng decomposes the Juingong (主人公) and builds a new paradigm based on the new belief. In other words, the idea of Juingong (主人公) is spread to emphasize ‘myself right here, right now,’ but 'emptiness(空)' has replaced 'owning(公)' to emphasize that the Juingong (Emptiness of owner, 主人空) is not a substantial entity. Ven Daehaeng's discipline is to trust the Juingong (主人空) and leave everything to Juingong (主人空). This is a way to convert worshipping into religious doing. According to Ven Daehaeng Seon, Bodhisattva clearly comprehends that his act for the living things is empty, but constantly makes empty efforts for their salvation. As a result, there are Buddha as many as the number of living things and living things as many as the number of Buddha.

      • KCI등재후보

        頓漸論諍이 남긴 숙제

        이덕진(Lee Duck-Jin) 보조사상연구원 2003 보조사상 Vol.20 No.-

        Existing controversies about Don(頓) and Jeom(漸) in Buddhism have several significant assignments. First, the relationship in Don-o-jeomsu(頓悟漸修) thinking between Jongmil(宗密) and Jinul(知訥) Are the conventional viewpoints of our academic world around Buddhism valid in the earth, which have considered Don-o-jeomsu thinking of Jinul and Jongmil as identical with each other without any doubt? What is something identical and different in their thinking? Secondly, from Jongmil's thinking, we can find some clues of Neo-Confucian thinking system. Thus, is there such tendency shown in Jinul's thinking as well? In other words, assuming that domestic Buddhist circles might offer a flexible thinking system to help accept Neo-Confucianism in the end of Koryo dynasty in a little smoother ways, we may wonder if the clues might be just originated from Jinul. Thirdly, we may reflect on ourselves about the question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faces in Korean Buddhism as posed by the late Buddhist priest Seongcheol(性徹). In his lifetime, Seongcheol would say that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has a tendency to tell Gong-an-seon(公案禪) from the angle of Don-o-donsu(頓悟頓修) externally, while following Hwa-eom-seon(華嚴禪) from the angle of Don-o-jeomsu(頓悟漸修) internally, and the origin of such structural inconsistency might derive from Jinul. Obviously. it is somewhat exaggerated that Seongcheol insisted Jinul brought such inconsistency into Korean Buddhism. However, on the supposition that we might have a consensus of opinion about the fact that the tradition of contemporary Korean Zen Buddhism could be located and traced only within the framework of ancient Chinese Imjaejong(臨濟宗), although such supposition is not feasible in practice, we need to listen to some arguments posing that Jinul's Zen principles are somewhat deviated from the Imjaejong and even the tradition of Josaseon(祖師禪). Fourthly, there are functional relationships between Jinul's Don-o-jeomsu and Ganhwaseon(看話禪) thinking. In other words, we may wonder if Jinul's Ganhwa Gyeongjeol-mun(看話徑截門) really completed previous theory of Don-o-jeomsu. In 『Theory of Ganhwa Gyeol Eui(看話決疑論)』, Jinul insisted on Ganhwa Gyeongjeol-mun. And from certain angle, this argument turned over the Theory of Don-o-jeomsu at first hand, Jinul had insisted on tenaciously in his 『Jeolyo(節要)』. Therefore, it indicates that he annulled the Theory of Don-o-jeomsun as pointed out by Seongcheol.

      • KCI등재

        일제시대 불교계 인물들에 대한 연구 성과와 동향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 불교 사상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이덕진 ( Duck Jin Lee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6 禪文化硏究 Vol.1 No.-

        일제시대 불교계 인물들의 불교 사상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한 연구 성과와 동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우선 연구대상이 될 일제시대 불교계 인물들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대상 인물을, 경허선사를 필두로 하여, 백용성, 박한영, 만공선사, 한암선사, 한용운, 권상로의 일곱 스님으로 정하였다. 전체자료를 중심으로 보면 한용운이 제일 많아서 불교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자료만도 106편으로 전체의 약 27.6%이다. (한용운의 경우 전체 연구 자료는 765건이다.) 다음으로 백용성이 84편으로 전체의 약 21.9%이다. 세 번째는 경허인데 76편으로 전체의 약 19.8%가 된다. 그 다음으로 박한영과 만공 그리고 한암이 각 31편으로 약 8.1%이다. 마지막으로 권상로가 25편으로 약 6.5%이다. 우리는이 통계를 통해서 이 인물들에 대한 불교계의 관심도를 점쳐볼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보면 역시 한용운이 제일 많아서 88편으로 전체의 35%이다. 다음으로 백용성이 53편으로 전체의 약 21.2%이다. 세 번째는 경허인데 43편으로 전체의 약 17.2%가 된다. 그 다음으로 박한영이 21편으로 약 8.4%이다. 그 다음은 만공이 17편으로 약 6.8%를 점하고 있으며, 한암이 15편으로 6%를 점유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권상로가 13편으로 약 5.2%이다. 우리는 이 통계를 통해서 이 인물들에 대한 전문 연구자의 관심도가 불교계의 대중적 관심도와 별로 다르지 않음을 엿볼 수가 있다. 이 일곱 분의 스님에 대한 연구결과를 분석한 결과 이제 앞으로 천착해야 될 총체적인 연구 과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근 현대 불교에 대한 불교계의 관심이, 특히 종단 및 학계의 관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리고 그 관심은 전문 연구자의 확보와 근 현대 불교에 대한 강좌개설로 이어져야 한다. 둘째, 지난 100년 간의 불교에 대한 제대로 된 자료의 수집과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학제간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일제의 종교정책에 대한 기본적인 정리가 필요하다. 다섯째, 민족운동 독립운동 반봉건운동과 연관된 근 현대 고승들의 사상 및 활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근 현대 불교가 가지고 있던 미래지향적 불교사관을 끄집어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In order to study the result and trend of research focused on studies of the Buddhist philosophy of Buddhist monks while under Japanese imperialism, we first selected the people in the Buddhist circle who will be the subjects of the study. As a result, seven monk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beginning with the Rev. Gyeongheo and including Yongseong Baek, Hanyeong Park, the Rev. Mangong, the Rev. Hanam, Yongun Han and Sangro Gwon. With regards to the entire collection of documents, those which mentioned Yongun Han made up the largest group. The documents regarding his relationship with Buddhism numbered 106, making up 27.6% of the entire collection. This was out of a total of 765 research documents referring to Yongun Han, Next came the 84 documents on Yongseong Baek, taking up about 21.9%. 31 documents referred to Hanyeong Park, Mangong and Hanam each, comprising 8.1% of the total. Last, 25 documents referred to Sangro Gwon, making up 6.5%. From these statistics, we will be able to estimate the interest in Buddhism of those monks. Next, looking at the available research papers, 88 papers referred to Yongun Han, 35% of the entire collection. Yongseong Baek followed with 53 papers making up about 21.2%. Third was Gyeongheo with 43 papers, making up 17.2%, Next came Hanyeong Park with 21 papers, comprising 8.4%. After that was Mangong with 17 papers, making about 6.8%, followed by Hanam with 15 papers, totaling 6%, and last was Sangro Gwon with 13 papers, making up 5.2% of the papers. From these statistics, we can see that the interest level of professional research on these monks was not that different from the interests of the public in the world of Buddhism. By analyzing the research results on these seven monks, we could see the research tasks needed for the future. First, the Buddhist circle, especially the involvement of different Buddhists sects and academia on modern and present Buddhism, is definitely needed. And these interests should be followed up with professional researchers and open lectures on modern and present Buddhism. Second, collecting good data on Buddhism for the last hundred years and its systematic research is necessary. Third, cooperative research among academia is necessary. Fourth, basic research surveying the Japanese religious policy under Japanese imperialism is necessary, Fifth, research on the monks philosophy and activities in the modern and present era related to national movement, independent movement, and anti-feudalism movement is necessary, Sixth, a future-oriented Buddhist historical view that modern Buddhism had, needs to be expos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고압고객용 전력량계 무정전 교체단자대 개발

        이영섭(Young-Seop Lee),이수묵(Sue-muk Yi),이덕진(Duck-jin Lee)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시험용단자대(TTB : Terminal Test Block)는 계기용변성기(MOF)와 전력량계 사이에 조합 부설하여 정전 없이 전력량계를 시험하거나 교체할 때 사용하는 전력량계 부속장치로 고압으로 수전받는 설비에는 반드시 시설해야 하는 필수 기자재이다. 현행 단자대는 오결선 및 고장발생의 소지가 있고 가격도 비싼 단점이 있어 크기가 작고 결선이 간단하며 단순한 구조의 고압 전자식전력량계 무정전 교체단자대를 개발하였다. 새로이 개발한 단자대는 전력량계에 꽂음방식으로 설치하여 연결이 간편하고 오결선 발생의 소지가 없으며 전자부품을 사용하지 않아 고장이 없고 가격을 기존 제품에 비해 1/2 수준으로 대폭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오결선 또는 고장발생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 R-BENCH TOOL을 이용한 상용차용 정전용량 방식의 연료 센서의 소프트웨어 검증 평가

        김상우,이주형,손정현,이수호,이덕진,Kim, Sang Woo,Lee, Ju Hyoung,Son, Jung Hyun,Lee, Soo Ho,Lee, Duck Jin 대한기계학회 2014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Transactions of the KSME. C, 산업기술과 혁신 Vol.2 No.1

        최근 차량이 기계장치 중심에서 전기전자 장치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상용차량 역시 전기전자 장치가 증대되고 있다. 정전용량 방식의 연료 센서는 연료의 레벨을 정전용량 값으로 측정하여 센서 내 MCU 를 통해 연산과정을 거쳐 최종 전압값의 신호로 출력해 주는 센서이다. 기존의 세라믹 저항을 이용한 센서보다 내구성이나 연료 측정 정확성이 향산된 진보된 센서로 센서에 대한 소프트웨어 검증을 위하여 가변 커패시터 보드를 제작하여 R-BENCH TOOL 을 통해 test case 를 자동으로 생성시킨 후 연료 센서의 소프트웨어 검증을 시도하였다. 또한 결론으로 98% 이상의 높은 소프트웨어의 신뢰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Recently vehicle development trend changes from machinery vehicle to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As well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commercial vehicles are increasing more than machinery system. The capacitance fuel sensor is a sensor that, by measuring the capacitance value of fuel level sensor MCU operating for the final voltage value of the signal output. That is increasing durability and fuel measurement accuracy more than conventional ceramic resistor type. For Sensor software verification R-BENCH TOOL generated test case automatically. We make the programmable Capacitor board for test. And it was confirmed that more than 98% of the high reliability of the softw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